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질 들뢰즈의 리좀 개념이 반영된 패션 디자인의 미적 특성 연구

        이연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453

        In modern society, various genres of art, culture, and society are combined and combined, thus creating a fluid value system. This modern society is characterized by expanding the boundaries of thinking and seeking constant change through pluralization. This overall change is noticeable not only in the realm of art, culture, and society, but also in modern fashion, fashion is a convergence of disparate elements across the ages, cultures, and borders. Gilles Deleuze's ‘Rhizome’ means that disparate elements are linked together to form various relationships and go through the process of being constantly created into unexpected places. This is a very useful concept for analyzing fashion design that can not be interpreted as a single ideology like modern fashion desig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se of fashion design that reflects the concept of Rhizome of Gilles Deleuze and to derive aesthetic characteristics. This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provided a new perspective on fashion by analyzing fashion design, which is constantly creating new meanings, by using Deleuze's Rhizome concept. First of all, this study considered the concept of Rhizome and the philosophical reason of Gilles Deleuze and, based on this, tried to establish the analysis system of fashion design along with the principle of Rhizome's reason. In summary, Rhizome's concept is that subjects and objects can be reversed and changed through constant reconstruction, connection and connection, and fashion design was introduced to the concept of "art" talked about by Deleuze based on the philosophical reasons of Gilles Deleuze. In other words, we wanted to analyze the fashion design as a sensory mass, a complex of perception and emotion, and for this purpose, we used it as a language of perception for the analysis of fashion design based on the characteristic characteristics of Rhizom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rt field reflecting the concept of Rhizome. Based on this, cases reflecting the concept of Rhizome in the field of art were studied in advance, and the characteristic characteristics and expressions were organized, and based on this, the foundation was laid for classifying fashion design cases reflecting the concept of Rhizome. The scope of the research has extracted examples from recent 15 years of collections from 2005 to 2020, fashion-related exhibits and fashion design works. The selected research subjects were analyzed through a system through the principle of Rhizome concept, and the contents are as follows. Look at the fashion design that reflects the concept of Rhizome, it is as follows: First, among the members of Rhizome, the principle of connection and connection has the characteristic nature of connection and opening in a form that can be connected and connected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This was analyzed through organic perception in fashion design. Organic perception was analyzed through examples of direct or indirect use of their forms based on organic rules held by natural objects or organic objects. Second, the principle of polymorphism is that disparate elements decentralize into different areas, resulting in a variety of vaginas with non-hierarchical, individual and de-centred characteristic character. This was defined as a variant perception and analyzed by classifying fashion design as a fusion and composite case design along with other areas other than fashion. Third, it can be seen that the principles of diversity have their own independent characteristics and, combined with disparate elements, mean to be created through change and expansion and have the characteristic characteristics of variety, variation and expansion. This was defined as an open perception and analyzed the design associated with ambiguity of design and concept, which was caused by coincidences in fashion design. Fourth, the principle of rupture leaving the flag was meant to constantly create new things through de-regulation and re-regulation and had the characteristic character of variation, creation and flow. This was analysed through the variable perception of distortion of form or change of concept in fashion design. Fifth, the principles of mapping and transcription have been shown through examples that creative results are presented by the participation and chance of various rituals. It had the characteristic character of coincidence, variety, creation, variation, flow, etc. The principles of mapping and transcription were divided into organizational and abstract perception, respectively, to analyze the design through modularity form and disassembly and relocation, and abstract perception was analyzed for the design that appeared due to reproduction and illusion. Look at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fashion design that reflect the concept of Rhizome, the following are the: First, convergence by generation was derived through the creation of new forms by the fusion of technology and the creation of new ones by the recombination of different forms. Second, it can be seen that dreamlike by visual illusions was caused by the visualisation of the auditory concept of incomplete and distorted body expression or sound, the accidental effect, etc. Third, the heterogeneity of the intrinsic concept was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cases in which the morphological aspects and the intrinsic concepts were expressed differently. Fourth, the contradiction by metaphor was derived through the analysis of examples of unpredictable creative outcomes resulting from hiding the original concept through metaphorical expression and seeking new possibilities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accidental elements and various consciousness. Through the above study, we tried to find out about fashion design that reflects the concept of Rhizome through the reason of Rhizome of Gilles Deleuze, and to think again about the meaning of fashion design to modern people by deriving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fashion design. Categorizing the concept of Rhizome into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fashion design was intended to lay the theoretical foundation in explaining and predicting the phenomena and changes taking place in modern fashion design. As a result, this study sought to create an opportunity to expand the humanities foundation of fashion design by incorporating the philosophical reasons of Gilles Deleuze and the concept of Rhizome into fashion design. It is believed that this will not only be used at an academic level, but will be more valuable when it is reinterpreted as a real fashion design and reproduced as a work. Philosophy is a very difficult discipline in itself while studying about Gilles Deleuze's Rhizome and philosophical reasons, but if various interpretations and views are prepared through the process of debriefing and subdividing them, it will help to expand the academic scope through analyzing modern designs and predicting phenomena and changes. Since this study limited the case to a collection of visually recognizable fashion designers and writers in the analysis of fashion design, we hope that further research will lead to more diverse approaches along with the expansion of the scope of case analysis. 현대의 사회는 예술, 문화, 사회 전반에 걸쳐 다양한 장르들이 융·복합되어 나타나고 이에 따라 유동적인 가치체계가 형성되고 있다. 이와 같은 현대 사회는 사고의 경계를 확장하게 되고 다원화를 통해 끊임없는 변화를 추구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총체적 변화는 예술, 문화, 사회의 영역뿐만 아니라 현대 패션에서도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현상으로 현대에서의 패션은 시대, 문화, 국경을 초월한 서로 이질적인 요소들이 융·복합되어 나타나고 있다. 질 들뢰즈의 리좀은 이질적인 요소들이 서로 연결되어 다양한 관계를 형성하고 예측하지 못한 곳으로 끊임없이 창출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현대의 패션 디자인처럼 단일화된 이데올로기로 해석할 수 없는 패션 디자인을 분석하기에 매우 유용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질 들뢰즈의 리좀 개념이 반영된 패션 디자인의 사례를 분석하고, 미적 특성을 도출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는 지속적으로 새로운 의미를 창조해 나아가고 있는 패션 디자인을 들뢰즈의 리좀 개념을 활용해 분석함으로써 패션에 새로운 시각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먼저 본 연구는 리좀의 개념과 질 들뢰즈의 철학적 사유에 대해 고찰하고 이를 기반으로 리좀적 사유 원리와 함께 패션 디자인의 분석 체계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리좀의 개념은 요약하면, 끊임없이 재구성되고 연결·접속을 통해 주체와 객체가 역전될 수 있고 변화하는 것인데, 이러한 리좀 개념을 질 들뢰즈의 철학적 사유를 기반으로 하여 들뢰즈가 이야기한 ‘예술’의 개념에 패션 디자인을 대입시켰다. 즉, 지각과 정서의 복합체인 감각 덩어리로서의 패션 디자인을 분석하고자 하였고 이를 위해 리좀 개념이 반영된 예술 분야의 분석을 통해 나타난 리좀의 특징적 성격을 기반으로 패션 디자인의 분석을 위한 지각의 언어로 사용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예술 분야에 나타난 리좀 개념이 반영된 사례들을 선행으로 연구하여 그 특징적 성격과 표현에 대해 체계화시켰고, 이를 기반으로 리좀 개념이 반영된 패션 디자인 사례를 분류하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연구 범위는 2005년부터 2020년까지의 최근 15년간의 컬렉션과 패션 관련 전시자료, 패션 디자인 작품 등에서 그 사례를 추출하였다. 선정된 연구대상은 리좀 개념의 원리를 통한 체계를 통해 분석하였고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리좀 개념이 반영된 패션 디자인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리좀의 구성원리 중 연결·접속의 원리는 시기와 장소에 상관없이 연결·접속이 가능한 형태로 연계와 개방의 특징적 성격을 갖는다. 이는 패션 디자인에서의 유기적(有機的) 지각을 통해 분석하였다. 유기적 지각은 자연물이나 유기물체가 가지고 있는 유기적인 규칙을 기초로 하여 그들의 형태를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이용하는 것에 대한 사례들을 통해 분석하였다. 둘째, 다질성의 원리는 이질적인 요소들이 다른 영역들로 탈중심화하여 다양한 질성을 파생하는 것으로 비 위계, 개별, 탈 중심의 특징적 성격을 갖는다. 이는 변용적(變用的) 지각으로 정의하고 패션 디자인이 패션 외의 다른 분야와 함께 융(融)·복합(複合)한 사례의 디자인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셋째, 다양체의 원리는 각각의 독립적 성격을 갖고 이질적인 요소들과 결합하여 변화와 확장을 통해 생성되는 것을 의미하고 다양, 가변, 확장의 특징적 성격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개방적(開放的) 지각으로 정의하고 패션 디자인에 나타난 우연에 의해 나타난 디자인과 개념의 모호와 관련된 디자인을 분석하였다. 넷째, 탈 기표 파열의 원리는 탈 영토화와 재 영토화를 통해 끊임없이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것을 뜻하고 가변, 창조, 유동의 특징적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패션 디자인에서 나타나는 형태의 왜곡(歪曲)이나 개념의 변화(變化)에 따른 가변적(可變的) 지각을 통해 분석하였다. 다섯째, 지도제작의 원리와 전사의 원리는 다양한 의식의 참여와 우연성에 의해 나타나는 창조적인 결과가 나타나는 것을 사례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이는 우연, 다양, 창조, 가변, 유동 등의 특징적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지도 제작의 원리와 전사의 원리는 각각 구성적 지각과 추상적 지각으로 나누어 분류하여 구성적(構成的) 지각은 모듈화 형태와 해체와 재배치를 통한 디자인을 분석하였고, 추상적(抽象的) 지각은 재현(再現)과 착시(錯視) 때문에 나타난 디자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리좀 개념이 반영된 패션 디자인의 미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생성에 의한 융합성(融合性; Convergence)은 기술과의 결합에 의한 융합으로 새로운 형태의 생성, 각기 다른 형태들의 재조합으로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것을 통해 도출되었다. 둘째, 시각적 착시에 의한 몽환성(夢幻性; Dreamlike)은 불완전하고 왜곡된 신체의 표현이나 소리라는 청각적 개념의 시각화, 우연에 의한 돌발적 효과 등에 의해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내재적 개념의 이질성(異質性; Heterogeneity)은 형태적 측면에서의 해석과 내재적 개념으로서의 해석이 서로 상이 하게 이질적으로 표현된 사례들의 분석을 통해 도출하였다. 넷째, 은유에 의한 모순성(矛盾性: Inconsistency)은 은유적 표현을 통해 본래의 개념은 감추고 우연적 요소와 다양한 의식의 참여를 통한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함으로써 생기는 예측할 수 없는 창조적인 결과물에 대한 사례의 분석을 통해 도출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질 들뢰즈의 리좀이라는 사유를 통하여 리좀 개념이 반영된 패션 디자인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패션 디자인의 미적 특성 도출함으로써 현대인에게 패션 디자인이 가지는 의미에 대해 다시 한번 고찰하고자 하였다. 리좀 개념이 반영된 패션 디자인의 미적 특성을 통해 현대의 패션 디자인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상과 변화를 설명하고 예측하는 데 있어 이론적인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질 들뢰즈의 철학적 사유와 리좀의 개념을 패션 디자인에 접목함으로써 패션 디자인의 인문학적 토대를 확장하는 기회를 만들고자 하였다. 이는 단순히 학문적 차원에서의 활용에 머무르지 않고 실제 패션 디자인으로 재해석되고 작품으로 재현될 때 그 가치가 좀 더 높아질 것으로 사료된다. 질 들뢰즈의 리좀과 철학적 사유에 대해 연구하면서 철학은 그 자체로서는 굉장히 어려운 학문이지만, 이를 논증하고 세분화시키는 과정을 통해 다양한 해석과 견해를 마련한다면, 현대의 디자인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현상과 변화에 대한 예측을 통해 학문적 폭을 넓히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패션 디자인 분석에 있어 시각적 지각이 가능한 패션 디자이너와 작가의 컬렉션으로 그 사례를 제한하였기 때문에 후속 연구를 통해 사례 분석의 연구 범위 확대와 함께 좀 더 다양한 방식의 접근을 통한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해본다.

      • 질 들뢰즈의 시간-이미지에 대한 연구 : 알폰소 쿠아론의 작품을 중심으로

        문주화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390

        We encounter many things when we watch a film. The moving images, the image structures, and the various symbols and meanings that they create are constantly speaking to us. Those images do not stop, but continue on into the distance toward narrative and diegesis. But this is not all there is to it. Gilles Deleuze transplanted the movement-image and time-image into the relatively recent artistic genre of cinema. Because of Deleuze, we have advanced beyond the mere act of watching a film to encounter film as art form in which time is directly reproduced. In his books Cinema 1 and Cinema 2, Deleuze does not simply offer a chronology of film history from classical cinema to the Nouvelle Vague and Neo-Realism, but expands the very scope of thought that film produces by observing and commenting on the different changes from movement to time and from sensory motor schema to purely optical and sound situation.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Deleuze’s time-image in contemporary film, exploring the layers of time formed, and the circuits of time formed by those layers, as it traverses among different films. Among the many films and artists active today, it focuses on the work of Alfonso Cuarón, one of the leading directors in the Mexican New Wave. At a surface level, Cuarón films have involved fragmented cinematic time and space. Moving inside and outside the Earth and encompassing time frames stretching from early childhood to dystopian futures, his films appear to exist as independent diegesis, yet the point of origin from which they emerge is a sheet of past into which the director’s unseen recollection-images have withdrawn. Those sheets of past were represented in cinematic form with Cuarón’s recent work Roma, which evokes previous works and incorporates them into a time-image world. If Alfonso Cuarón’s body of work is taken to represent a larger whole, different paradigms can be seen to exist as components. The films’ characters in particular exhibit shared physical stances extending vertically through time. Floating endlessly between layers of time, the bodies illustrate a common gestus that passes through the two extremes of loss and lamentation. Cuarón has also repeatedly presented a cinematic grammar in which time is frozen through the fixed form of the photograph, summoned into the present, and recreated directly. Inherent to his works is a shared thematic consciousness, with the intertextuality serving to underpin the director’s authorial stamp. Cuarón’s films assume cyclical structures at larger and smaller levels, much like warp and weft threads. As they intersect, the warp and weft threads create specific coordinates, which appear fragmented and scattered before eventually weaving together to form a single whole. Within the totality of a single frame, Cuarón summons forth disconnected places and erases the spectacle. The dispersive situation that Deleuze found in Neo-Realism also appears over and over in Cuarón’s work. He has focused on water as an open space encountered outside of boundaries, with bodies sharing a liberation within the water’s fluidity. Escaping physical space, the liberated bodies form a boundary-less topography, encountering a spectacle that exists beyond borders. The repeated scenes of spectacle always end in failure. Even in Gravity, which shows the height of his perceptual realism, the endless spectacle of the universe cannot break the character’s will to live. Once they have escaped boundaries, the characters return to their places, transforming from objects to agents and from agents to seers. Within a depth of cinematic time spanning around 50 years, Alfonso Cuarón has conveyed a consistent message. Returning to the original point, the viewing of film may become the viewing of a time-image: one that the image passes through, appearing now on the screen and perhaps surfacing unexpectedly again another day. 우리는 영화를 볼 때 많은 것들과 마주한다. 움직이는 이미지들, 이미지들의 구조, 그것들이 만들어내는 많은 기호와 의미들이 우리를 향해 끊임없이 말을 건넨다. 그리고 이미지들은 멈추지 않고 서사와 디제시스를 향해 멀리 나아간다. 그러나 단지 그것뿐일까? 질 들뢰즈는 역사가 짧은 예술 장르인 영화에 운동-이미지와 시간-이미지를 이식했다. 들뢰즈로 인하여 우리는 단순히 이미지를 보는 행위에서 진일보하여 시간이 직접적으로 재현되는 예술로서의 영화를 마주할 수 있게 되었다. 들뢰즈는 그의 저서 『시네마1, 2』에 걸쳐 고전영화에서부터 누벨바그, 네오리얼리즘에 이르기까지의 영화사를 단순히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운동에서 시간으로, 감각운동 도식에서 순수 시지각적, 음향적 기호로 나아가는 일련의 변화들을 관찰하고 또 주장함으로써 영화가 만들어내는 사유의 장을 확장했다. 본 논문은 들뢰즈가 이야기한 시간-이미지를 동시대 영화에서 읽어냄으로써, 여러 영화 사이를 횡단하며 형성되는 시간의 지층과 그 지층들이 만들어내는 시간의 회로를 탐구 하고자한다. 많은 동시대 영화와 작가들 중, 멕시칸 뉴 웨이브를 이끄는 영화감독 중 한 명인 알폰소 쿠아론의 작품에 주목하였다. 그는 표면적으로는 파편화된 영화적 시간과 공간을 소재로 영화들을 연출해왔다. 지구의 안과 밖을 넘나들며, 그의 유년 시절부터 디스토피아의 미래시대까지 아우르는 그의 영화들은 독립적인 디제시스로 존재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의 영화들을 잉태한 근원지는 영화감독 알폰소 쿠아론의 보이지 않는 회상-이미지가 침잠해있는 과거의 시트이다. 그의 과거의 시트는 최근작 <로마>에서 하나의 영화로 재현되었고, <로마>는 그의 전작들을 다시 소환하여 시간-이미지의 세계로 편입시킨다. 알폰소 쿠아론의 작품을 하나의 큰 전체로 간주하였을 때, 영화를 구성하는 계열체들이 존재한다. 특히 영화의 인물들은 시간을 수직적으로 관통하며 공통적인 신체의 태도를 나타낸다. 시간의 지층 사이를 끊임없이 부유하는 신체들은 상실과 애도의 두 극점을 통과하는 공통된 게스투스를 보여준다. 또한 사진이라는 고정된 형태를 통해 시간을 박제한 후, 현재로 호출하여 시간을 직접적으로 재현하는 영화적 문법을 꾸준히 구현해온 바 있다. 그의 작품들은 공통된 주제의식을 함의하고 있으며, 이러한 상호텍스트성은 작가적 인장을 형성하는 주춧돌이 된다. 알폰소 쿠아론의 작품들은 크고 작은 순환구조를 형성하고 있는데, 이것은 마치 날실과 씨실의 구조처럼 형성되어 있다. 이 날실과 씨실들은 서로 교차되어 특정한 좌표들을 만들어 내고, 이 좌표들은 파편적으로 산재한 듯 보이다가 직조되어 마침내 하나의 전체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하나의 전체적인 프레임 안에서, 알폰소 쿠아론은 탈접속된 공간을 소환하고, 스펙터클과 마주한다. 들뢰즈가 네오리얼리즘에서 발견한 분산적 상황은 알폰소 쿠아론의 작품에도 반복적으로 등장한다. 경계에서 벗어나 만나는 열린 공간으로서의 물의 공간에 주목하였고, 물이 가지는 유동성 안에서 신체들은 공통적으로 해방되었다. 해방된 신체들은 물리적 공간을 이탈함으로써 탈경계의 지형도를 형성하고, 이들은 경계 너머의 스펙터클을 마주한다. 반복된 스펙터클의 상황들은 늘 실패한다. 지각적 리얼리즘을 극대화해서 보여준 <그래비티>에서조차 그 끝을 알 수 없는 우주의 스펙터클도 한 인간의 생의 의지를 꺾지 못한다. 경계 밖으로 탈주한 후, 다시 제자리로 돌아온 인물들은 객체에서 주체로, 주체에서 다시 견자로 자리바꿈을 한다. 알폰소 쿠아론은 그의 유년시절부터, 디스토피아의 미래상까지 약 50여 년이라는 시간을 영화를 통해 아우르며 하나의 세계관과 공통된 메시지를 전달해왔다. 영화를 본다는 것은 이미지가 관통해온, 지금 스크린에서 나타나고 있는, 그리고 어쩌면 언젠가 다시 불현듯 나타날 수 있는 시간-이미지를 경험하는 것이다. 영화 속에서 내밀하게 흐르고 있는 시간의 회로를 읽음으로써 우리는 영화와 영화가 만드는 세계에 한걸음 더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 들뢰즈의 감각론을 통한 현대회화의 해석연구 : 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홍수정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37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my paintings created from 2009 through 2016 from the sensationalist perspective of Gilles Deleuze and discuss them with his conceptual terms. Seeing, feeling, and drawing people, forests, and objects is not reproducing what the artist has seen through mundane eyes, but “translating” what he/she has seen and felt through “affection.” Some of my paintings have been inspired by Gustav Klimt, Edvard Munch, and John Everett Millais to borrow their styles. What I have borrowed to create are the images of affection that rise inside of myself as an artist without filling or narrow the gap between the originals, but somewhat in between the perception of confusion and the act of reluctance and hesitation. I analyze the paintings using the conceptual terms of Deleuze’s sensationalism. I approached “The Drawing of Lines Like Rhizomes” from the perspective of Deleuze’s sensationalism. The interpretation of rhizomes has functioned as useful tools of analysis. Also, the artworks which I have produced by borrowing various elements were discussed by the concepts of “affect” and “affection” and interpreted as “images of affection.” Also, my empty faces without eyes, noses, or mouths can be explained by Deleuze’s “visagété” The concept of perception of smooth spaces (espace lisse) and Striated spaces (espace strie) from the perception theory played significant roles on interpreting the unjustification technique applied to the Forest series. Then I discussed how Klimt, Francis Bacon, and Kiki Smith were related to Deleuze’s sensationalism. I discovered what Deleuze had in common with Klimt, Bacon, and Smith and what was different. Some similarities were found between Klimt’s repeated tree barks and my line drawings and this could be interpreted by the properties of rhizomes. Also, my Looking for Nymph inspired by Klimt’s Mermaids has the “empty faces” with no eyes, noses, or mouths that can be analyzed in relation to Bacon's “Corps sans organes.” Also, the empty face in my Girl may seem similar to Smith’s girl, but it reflects my own unique method of expression not found in any work of the three preceding artists. Moreover, the conceptual terms of Deleuze’s sensationalism were applied to analyze three of my series. With the Girl series, faceness, affect, and affection were discussed in depth and related to the images of contemplation to support my study. The “line drawings similar to rhizomes” from the girl’s head were analyzed based on Deleuze’s theory of “brains” and “The body escapes from itself”, which is related to Deleuze’s sensationalist theory of bodies without organs, underwent an in-depth analysis with the empty faces missing eyes, noses, and mouths. Also, the Forest series was used to interpret the rhizomes, lines, and wrinkles and the repeated rhizomes were thoroughly analyzed to discuss the different types of lines of Deleuze and Félix Guattari by major lines. Deleuze’s wrinkle theory was used to discuss the repetition of double wrinkles to interpret my Forest images in various ways. My Deep Forest was used to discuss the concept of scars and marks of outbreaks in Deleuze’s work. His concepts of smooth spaces and Striated spaces became the major theories behind my unjustification method and my Edvard 1, 2, an image of affection inspired by Munch and Klimt’s The Kiss, analyzed the world touched by eyes and its mutants based on sensationalism. Finally, for the Object series, I discussed that the repetition of Andy Warhol’s Campbell Soup can and the repetition of my line drawings of cell division are different. Based on Deleuze’s sensationalism, Richard Serra’s steel work was compared with force and kinetics and the lines of my Object series were compared with kinetics and dynamics. My Girl, Forest, and Object series reflect Deleuze’s rhizomes and faceness, but the Girl series is the only one with faces missing eyes, noses, and mouths and all three series are mostly composed of line drawings of rhizomes. The process of translation into the production method is borrowed by affection or affected by mundane motifs such as people, forests, and objects. Borrowing by affection and being affected by mundane motifs are translated into artworks through girls, forests, objects. 본 연구는 연구자가 2009년부터 2016년까지 제작한 회화작품을 질 들뢰즈 (Gilles Deleuze)의 감각론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며 그의 개념어들을 통해 고찰해보려는 목적을 가진다. 사람과 숲 그리고 사물이라는 대상을 보고 느끼고, 그것을 그린다는 것은 주체로서의 작가가 일상적인 눈을 통해 본 것을 재모사하는 측면이 아니라 작가가 보고 느낀 것을 ‘감응’을 통해‘번역’하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연구자의 일부 회화작품은 구스타프 클림트(Gustav Klimt), 에드바르트 뭉크 (Edvard Munch) 그리고 존 에버렛 밀레이(John Everett Millais)의 작품에 영감을 받았고 그것을 차용하였다. 연구자가 차용하여 제작된 작품은 원작의 작품들과의 간극을 메우지도, 채우지도 않으면서도 동시에 어떤 부분에서는 혼란시키는 지각과 머뭇거리며 망설이는 행위 사이에 있는, 또 다른 작가로서의 연구자의 내부에서 일어나는 감응의 이미지이다. 본 연구자는 회화작품을 들뢰즈의 감각론 개념어들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있다. 연구자는 `리좀(rhizome)과 같은 선들의 드로잉'을 들뢰즈의 감각론적 관점으로 접근했다. 이때의 리좀적 해석은 작품을 해석하는 유용한 틀로 기능하였다. 그리고 연구자가 여러 요소를 차용하여 제작한 작품을 ‘정동(affect)’과 ‘감응(affection)’의 개념으로 논의하면서 ‘감응의 이미지’로 해석 할 수 있었다. 또한 연구자의 작품에 등장하는 이목구비가 그려져 있지 않은 텅 빈 얼굴은 들뢰즈의 ‘얼굴성(visagéité)’을 통해 설명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지각이론에서 매끈한 공간(espace lisse)과 홈패인 공간(espace strie)으로서의 지각 개념은 연구작품 <숲> 연작에서의 흘리기 기법을 해석하는데에 있어 주요 역할을 하였다. 이어서 연구자는 세 명의 선행 작가들인 클림트, 프란시스 베이컨(Francis Bacon) 그리고 키키 스미스(Kiki Smith)를 통해 들뢰즈의 감각론과의 관계성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그 안에서 연구자는 클림트, 베이커, 스미스와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발견하였다. 클림트의 반복되는 나무껍질들과 연구자의 드로잉 선들의 비교에서는 공통점을 찾을 수 있는데 리좀적 특성을 통해 해석 할 수 있는 부분이다. 그리고 클림트의 <인어들(Mermaids)>을 보고 영감을 받아 차용한 연구자의 <님프를 찾아서>에서는 이목구비가 그려져 있지 않은‘텅 빈 얼굴성’을 베이컨의 ‘기관 없는 신체(corps sans organes)’에 대입하여 분석할 수 있다. 한편 연구자의 <소녀>에서 이목구비가 부재한 얼굴은 얼핏 보면 스미스의 소녀이미지와 유사하지만 앞의 세 명의 선행작가들 작품에서 볼 수 없는 차별화된 연구자만의 개성적인 표현 방법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연구자의 작품에 대한 들뢰즈의 감각론적인 개념어들을 통해 세 가지 연작별 작품 해석을 개진하였다. <소녀> 연작을 통해 얼굴성, 정동과 감응에 대해 심층 고찰함으로써, 사유의 이미지와 연계시켜 연구 의도를 상론하였다. 소녀의 머리로부터 나오는 `리좀과 같은 선들의 드로잉'을 들뢰즈의 `뇌' 이론으로 작품분석을 하였고, 들뢰즈의 감각론으로서 기관 없는 신체 이론과 같은 ‘신체가 빠져나간다’는 연구자의 이목구비가 그려져 있지 않은 텅 빈 얼굴성으로 심층 분석하였다. 그리고 <숲> 연작을 통해 리좀, 선들, 주름에 관하여 해석을 하였고, 거듭 언급된 리좀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들뢰즈와 펠릭스 가타리(Félix Guattari)의 수많은 선들의 종류를 본 논문에서는 주요한 선들로 구분하여 상론하였다. 들뢰즈의 주름 이론을 통해 이중 주름의 반복성을 논의함으로써 연구자의 <숲> 이미지를 다양하게 해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자의 <Deep forest>를 통해 들뢰즈의 돌발 흔적과 돌발 표시의 개념을 상론하였다. 그의 매끈한 공간과 홈패인 공간의 개념은 연구자의 흘리기 기법을 설명하는 주요 이론이 되었으며, 뭉크와 클림트의 <The Kiss>를 보고 영감을 받은 감응의 이미지로서 연구자의 <Edvard 에드바르드1,2>는 눈으로 만지는 세계와 그 변종들이라는 감각론으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사물> 연작을 통해 앤디 워홀(Andy Warhol)의 캠벨수프 캔의 수열적인 제품의 반복성과 연구자의 세포분열로서의 드로잉 선들의 반복성은 차이를 가지고 있음을 고찰하였다. 들뢰즈의 감각론을 통해 리처드 세라(Richard Serra)의 강철 작품은 힘과 운동성으로, 연구자의 사물연작에서 선들은 운동성과 역동성으로 비교하며 해석하였다. 연구작품 <소녀>, <숲>, <사물> 연작은 들뢰즈의 리좀과 얼굴성이 존재하는데 <소녀> 연작에서만이 이목구비가 결여된 얼굴성이 존재하고, 소녀, 숲, 사물 세 가지 연작 모두 리좀과 같은 드로잉 선들이 주요한 표현 방식으로 등장한다. 연구자에게 작품 제작방식으로서의 번역과정은 감응에 의해 차용하게 되거나 사람과 숲, 사물이라는 일상적인 모티프들에 정동된다. 그렇게 감응으로 인한 차용과 일상적인 모티프들에 의한 정동 과정은 소녀, 숲, 사물이라는 소재를 통해 작품으로 나타나게 된다.

      • 재난 시대 예술의 윤리·정치적 변용 가능성 : 질 들뢰즈의 '정동(Affect)'이론을 중심으로

        황수진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373

        본 논문은 질 들뢰즈(Gilles Deleuze)의 ‘정동(affect)’의 개념을 통해 재난 시대 예술에서 타자의 고통을 모방과 재현이 아닌 다른 사유방식으로 그려낼 수 있는지 탐구해 본다. 재난 시대에서 재난이 사회에 가져온 균열과 위기를 역으로 삶과 사고를 변화시킬 수 있는 전환점으로 간주하여 새로운 공동체와 사회로 나아갈 기회의 장을 마련할 수 있다. 그러나 재난과 재난 속 고통 받는 존재들을 시각적 이미지로 표상하는 데 있어 재난을 예외상태로써, 재난 속 타자들과 거리를 둠으로써 동정과 연민을 넘어서 연대와 같은 의미 있는 실천을 끌어내기 어려운 지점이 존재한다. 지금까지 비재현의 윤리학으로 재난과 타인의 고통을 재현하는 것을 금기시해야 한다는 논의와 이에 맞서 불가능한 재현을 재현함으로써 기억을 현재화시키고 역사의 진실을 마주하려는 시도를 발견할 수 있다. 이에 재난 속 타자의 고통을 지금과는 다른 방식으로 표현함으로써 타자와 새로운 관계를 맺을 방안으로 들뢰즈의 ‘정동’을 제시하고자 한다. 들뢰즈에 따르면 정동은 이행과 변이의 힘이자 강도의 순간으로 신체의 표면에서 어디든 가로지르며 작동한다. 정동이 외부와 접촉할 때 신체는 변용을 일으키며 온몸으로 강도와 힘이 퍼져 나간다. 따라서 재현적 사유방식과는 달리 신체와 존재의 변이 능력에 따라 발생하는 역동적인 변이의 이행과 강도를 감지할 수 있는 정동의 비재현적인 사유방식을 주목하고자 한다. 비재현적 사유방식으로서 정동은 신체가 변이하는 순간 타자와 자아의 경계가 무너지고 타자가 곧 나인 특이한 신체성을 경험한다. 이 순간 인식 주체가 자신의 의지대로 스스로를 통제할 수 없으며 정동에 휩쓸려 다른 존재방식으로 이행한다. 이러한 정동적인 사건이 가능하게 해주는 잠재성은 새로운 방식으로 세계를 바라보게 함으로써 나 자신과 세계와의 관계를 재배열하는 재특이화(resingularity)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가타리의 ‘리토르넬로(ritornello)’를 이용해 이질적인 것들을 가로지르며 타자와 자신 안의 복수성까지 허용하는 다수주의적 주체성을 성립한다. 비재현적 사유방식인 정동은 타자와 수평적인 관계를 지향함으로써 예술 작품에서 타자와 맺는 관계에서도 변화가 있을지 예술의 새로운 미적 기능을 논의한다. 또한 정동은 강도와 반복의 운동 속에서 이행하는 힘으로 이 힘들을 감각을 통해 예술작품에서 포착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를 성찰하고 현실 속에서 다른 삶의 생성을 실험하며 변혁의 가능성을 가늠해본다. This study explores the concept of 'affect' by Gilles Deleuze to draw the pain of the other from the art in the age of disaster in ways other than mimesis and reproduction. Calamities in the times of disaster can be considered as a turning point to change the ways of life and thinking through the cracks and crises it brought on our society, and it can provide a place for opportunities to move on a new community and society. However, there is a problematic point in representing people suffering in disaster and disaster itself as a visual image to draw meaningful practices such as solidarity beyond sympathy and compassion by distancing disaster-stricken others from the disaster itself while considering it as an exceptional situation. Until now, it is possible to find an attempt to present the memory and face the truth of history by the dispute that the ethics of non-representation should be forbidden to reenact the disaster and suffering of others, and the representation of the impossible representation. This research would like to suggest the 'affect' of Deleuze as a way of establishing a new relationship with others by expressing the pain of others differently. According to Deleuze, affect is a force of transition and intergradation, and a moment of intensity, and it acts on the surface of body crossing everywhere. When affec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utside, the body causes transformation, and the strength and the intensity spread to the whole body. Therefore, this research would like to pay attention to the non-representative way of thinking that can detect the intensity and transition of the dynamic intergradation that occurs according to the mutative ability of the body and existence to be different from the representationalistic way of thinking. As a non-representative way of thinking, an affect experiences the unusual physicality that the boundary between the other and self collapses and the other becomes the self at a moment when the body transforms. At that moment, the subject of recognition cannot control oneself according to his or her will, but the subject is absorbed in the affect and shifts to another way of existence. The potential of this event of affect makes possible the resingularity that rearranges the relationship between oneself and the world by looking at the world in a new way. Also, it uses the 'ritornello' of Guattari to establish a pluralistic subjectivity that allows the pluralities within self and the other across the heterogeneous. The affect, a nonrepresentative mode of thinking, discusses a new aesthetic function of art, whether it chang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ist or the spectator and the other, by aiming at a horizontal relationship with the other. Besides, the affect captures these forces in the works of art through the shifting force in the movement of intensity and repetition. Through this attempt, this thesis examines the world in which we live, experiments with the creation of other life in reality, and measures the possibility of transfor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