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역발전 차원에서의 박근혜정부의 국민행복 증진의 정책적 방향

        김대근 ( Dae Geun Kim ) 영남대학교 한국균형발전연구소(구 영남대학교 영남지역발전연구소) 2013 한국균형발전연구 Vol.4 No.2

        1인당 국민소득이 2만 달러가 넘었음에도 국내외 연구조사에서 우리나라 국민들의 행복감이 낮다는 보고서가 계속 발표되고 있다. 국민들이 행복하지 못한 원인은 다양하게 있겠지만 소득격차가 큰 역할을 하고 있다. 경제적 빈곤, 그로 인한 정신적인 피로감의 미 해소가 큰 원인으로 작용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행복을 위해서는 소득을 중심으로 한 경제적 차원의 생활여건의 향상이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한편으로는 행복은 경제적 조건들로만 완성되지 않기 때문에 비경제적인, 정신적인 만족감을 얻을 수 있는 요인들도 함께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최근의 웰빙, 슬로우 시티, 올레길 등을 추구하는 움직임은 이 같은 사회현실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에서도 경제적 측면의 생활여건 개선뿐만 아니라, 주민들의 정신적 만족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지속적 추진하고 있다. 행복하지 못하다고 느끼는 국민이 많을 뿐만 아니라, 각종 조사에서 행복지수가 낮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박근혜 정부는 국민행복을 국정의 주요지표로 삼고 있다. 행복을 국정지표로 삼을 만큼 사회적으로 행복하지 못한 요소, 개선해야할 사안들이 많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배경 하에 국민행복을 위한 중앙정부의 대응과 지방정부의 역할 그리고 해외사례 분석을 통해 지역발전차원에서 박근혜 정부의 국민행복 증진을 위한 정책적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지역발전차원에서 행복증진 정책은 균형화된 틀을 구축하는 것이 무엇보다 시급하다. 즉 지역 간 균형발전 틀을 구축함으로서 개인 간, 집단 간, 지역 간 권형화된 발전과 복지수혜의 형평성 확보가 가능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개인적 측면에서 일자리 창출과 지역적 집단적 차원에서 정주여건 개선을 추진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Even though national income per capita exceeded $ 20,000, the researches at home and abroad have published continuously that happiness of the people is low. There are the variety of reasons why people are not happy but the income gap has a major role. It can be assumed that the economic poverty and mental fatigue due to it acted as a major cause. For this reason, it`s necessary to improve the living environment of economics with a focus on earnings for happiness. On the other hand, since the happiness is not completed only by economic conditions, the non-economic and mental satisfaction should be considered. Social movements such as recent well-being, slow city, olle roads reflect the phenomenon of such a society. For this purpose,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are promoting various policies consistently for the spiritual satisfaction of residents as well as improving the living environment of the economic aspects. Government of Park Geun-hye considers people`s happiness as a national key indicators. Government is promoting various policies for that, especially a major policy for the development of the region has been established. Happy policies at the development level of the region has to be done by constructing a balanced framework first. In other words, building up a framework of balanced development and providing an equal opportunity of an individual are important. For this reason, job creation in terms of a personal aspect and improvement of settlement condition in terms of regional. collective aspect are to be pursued preferentially

      • 개성공업지구 중단의 적법요건 및 재개방안 모색

        유창근(Yoo, Chang Geun) 국민대학교 한반도미래연구원 2021 한반도미래연구 Vol.5 No.1

        최근 한반도는 국내외 정세의 영향으로 요동치고 있다. 지난해 남북 통신선을 끊고 개성공업지구에 소재한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했던 북한은 통신선을 복원했다가 한미연합훈련을 문제 삼아 다시 차단했다. 개성공업지구가 중단되지 않고 유지되었다면 연락사무소는 폭파되지 않았고 통신선도 차단되지 않았을 것이다. 개성공업지구는 한반도의 긴장을 완화하고 평화경제를 실현하던 남북경제협력의 상징이었다. 개성공업지구가 중단된지 5년이 지났다. 중단 당시 언론 기사 및 정부의 발표는 “고도의 정치적 결단에 의한 행정조치”라고 했다. 하지만 중단에 대한 행정조치는 헌법이나 남북관계발전법, 남북교류협력법 등 그 어떤 법률에서도 직접적인 근거규정을 찾을 수 없었다. 남북경제협력사업에서 개성공업지구가 차별화된 이유는 남북 간 법·제도적 장치가 마련된 상태에서 운영되었기 때문이다. 지난 2013년 개성공업지구 잠정 중단에 대해, 당시 남북 간 체결한 ‘개성공업지구 정상화 합의서’는 ‘남북관계의 경색’과 같은 정치적 변수와 관계없이 개성공업지구의 운영을 제도적으로 보장하는 성격을 갖고 있었다. 박근혜 정부의 대북정책은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였다. 신뢰 프로세스는 남북관계를 발전시키고, 작은 통일에서 큰 통일을 이룩하자는 실질적 통일 준비를 위한 목표였다. 신뢰프로세스 구축을 위해 ‘통일준비위원회’를 출범시켜 각계 전문가들이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박근혜 정부의 이러한 대북정책 목표와 통일준비위원회의 활동에도 불구하고 취해진 중단 조치로 정부를 믿었던 입주기업들은 큰 피해를 입었다. 한편 중단 조치에 대하여 안타깝게 생각하는 뜻 있는 정치인 및 법률 전문가들은 피해를 입은 입주기업을 구제하기 위해 국가 배상 및 손실보상, 헌법소원 심판, 특별법 제정 등을 위해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이러한 관심과 도움을 바탕으로, 입주기업들은 중단 조치가 적법절차 원칙 위반 및 재산권 침해로 위헌임을 확인해 달라는 ‘개성공업지구 전면중단 조치 위헌확인’ 헌법소원심판을 청구했다. 정부에서 중단 조치를 할 때 ‘헌법과 법률에 근거하여 헌법과 법률이 정한 절차를 지켰는지’와 ‘중단 조치에 따라 침해를 당한 입주기업들의 재산권을 정당하게 보상하였는지’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판단을 구하고자 했다. 헌법소원심판 청구 이후, 입주기업들은 헌법재판소에 본안 심리에 대한 인용 결정을 끊임없이 촉구했다. 헌법재판소에서 이 사건 심판회부 결정을 하고도 본안심리를 개시조차 하지 못하는 데는 분명 법적 한계가 있었을 것이다. 입주기업들은 개성공업지구의 재개를 위해 많은 노력을 했지만 뜻을 이루지 못했다. 헌법재판소의 인용결정은 입주기업들의 명예를 회복하고 개성공업지구 재개를 위해 필요한 절차다. Lately, the situ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has been fluctuating under the influence of domestic and foreign circumstances. North Korea, which interrupted inter-Korean communication lines last year and exploded the inter-Korean liaison office in the Kaesong Industrial Zone, has recently restored the communication lines and blocked them again while problematizing the South Korea-U.S. joint exercise . Had the Kaesong Industrial Zone been maintained uninterrupted, the liaison office would not have been blown up and the communication lines would not have been cut off. The Kaesong Industrial Zone was a symbol of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that played a role at easing tensions on the Korean Peninsula by accomplishing a peaceful economy. Five years have passed since the Kaesong Industrial Zone was suspended. At the time of the shutdown, media articles and government announcements stated “administrative measures based on highly political decisions.” However, no direct basis for the suspension was found neither in the Constitution, nor the Inter-Korean Relations Development Act, or the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Act. The reason why the Kaesong Industrial Zone was differentiated in the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project is that it was operated with the legal and institutional arrangements between the two Koreas in place. Regarding the temporary suspension of the Kaesong Industrial Zone in 2013, the Agreement on the Normalization of the Kaesong Industrial Zone signed between the two Koreas at that time has the character of institutionally guaranteeing the operation of the Kaesong Industrial Zone regardless of political variables such as shrinkage of inter-Korean relations, for instance.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s North Korea policy consisted of a trust process on the Korean Peninsula. The trust process was aimed at developing inter-Korean relations and preparing for actual unification, from small unification to big unification. The ‘Unification Preparatory Committee’ was launched to build a trusting process so that experts from all areas could contribute actively . Meanwhile, despite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s North Korea policy goals and the activities of the Unification Preparatory Committee, the cessation measures were taken, and the companies that believed in the government have suffered great damage. Compromised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legal experts who felt sorrowful for the suspension did not spare their efforts to compensate the damaged tenant companies that invested in Kaesong, for national compensation and loss compensation, to adjudicate constitutional complaints and to enact special laws. Based on this interest and help, the tenant companies filed a constitutional complaint for “confirmation of the unconstitutionality of the total suspension of the Kaesong Industrial Zone” to confirm that the suspension was unconstitutional due to violation of the principle of due process and infringement of property rights. When the government suspends measures, the Constitutional Court is the entity that decides whether it has duly followed the procedures stipulated by the Constitution and laws based on the Constitution and laws and whether the property rights of tenant companies that have been infringed due to the suspension measures have been properly compensated . After filing a constitutional complaint, tenant companies constantly urged the Constitutional Court to make a decision to cite the trial on the merits. There must have been a legal limit to the fact that the Constitutional Court could not even start a trial on the merits even after making a decision to refer the case to a trial. Tenant companies made enormous efforts to reopen the Kaesong Industrial Zone, but to no avail. The Constitutional Court s decision to cite is a necessary procedure for restoring the honor of tenant companies and reopening the Kaesong Industrial Zone.

      • KCI등재

        다중흐름모형에서 정책기업가의 역할 시론적 연구 : 공무원 범죄에 관한 몰수 특례법(전두환 추징금 사례 1997~2013)의 개정 논의를 중심으로

        Dong Kyu Lee,Dong Geun Yum,Jun Ho Lee,Kyoung Rok Kim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4 Crisisonomy Vol.10 No.11

        This study examines the preceding researches on the policy entrepreneurs at home and abroad and after discussing the policy entrepreneurs, analyzes the flow of the revision process of the partial revised bill(hereinafter referred to as Chun Doo-hwan Collection Law) of the confiscation special law about public official crime by administration using the multiple streams framework model, and this researcher attempts to analyze the activities of how the policy entrepreneur among diverse policy actors who plays an important role in opening policy window influenced the revision process in the process of enacting the partial revised bill of the confiscation special law about public official crime. And how the policy window of the partial revised bill of the confiscation special law about public official crime that was not opened in the previous administrations came to be opened in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is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in the previous administrations the policy entrepreneur to open the policy window did not appear but in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President Park Geun-hye played the role of the policy entrepreneur, producing Chun Doo-hwan 본 연구는 정책기업가 대한 국내외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정책 기업가에 대한 심도있는 논의를 하고자 하였다. 또한 공무원 범죄에 관한 몰수 특례법 일부 개정안(이하 전두환 추징법)의 정책과정을 다중흐름모형을 이용하여 각 정권별로 흐름을 분석하였다. 공무원 범죄에 관한 몰수 특례법 일부 개정안의 정책결정 과정에서, 정책기업가 (policy entrepreneur)가 어떻게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활동을 할 수 있었는지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전 정권에서는 열리지 않던 ‘공무원 범죄에 관한 몰수 특례법’ 일부 개정안에 대한 정책의 창이 현재 박근혜 정부에 와서는 어떻게 열리게 되었는지에 대한 분석을 한다. 연구결과, 이전의 정권들에서는 정책의 창을 여는 정책기업가가 나타나지 않았고, 박근혜 정부에서는 박근혜 대통령이 정책기업가의 역할을 하여 전두환 추징법이 산출되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기업혁신의 영향요인과 혁신성과에 관한 연구

        송신근(Song Sin-geun) 한국국제회계학회 2021 국제회계연구 Vol.- No.98

        [연구목적] 본 연구는 세 가지 유형의 혁신인 기술, 제품 및 비즈니스모델 혁신 각각에 어떠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며, 이들 세 가지 유형의 기업혁신이 혁신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데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 기업혁신의 영향요인으로는 시장지향성, 기업가지향성, 학습능력 및 기술시너지를 사용하였으며, 기업혁신의 유형으로는 기술혁신, 제품혁신 및 비즈니스모델 혁신을 사용하였고, 기업혁신에 따른 성과로 혁신성과를 사용하였다. 가설검증은 제조기업으로부터 회수된 247부의 설문지를 사용하여 SPSS AMOS 25를 활용한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분석결과, 기업혁신 영향요인 분석에서 기술 및 제품혁신에는 학습능력과 기업가지 향성이 유의적인 정(+)이 영향을 보였으며, 비즈니스모델 혁신에는 시장지향성, 학습능력, 기업가지향성 및 기술시너지 등 영향요인 모두가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보였다. 기업혁신 성과인 혁신성과에는 비즈니스모델 혁신만 유의적인 영향을 보였다. [연구의 시사점] 이러한 결과는 기업이 추진하는 기업혁신 유형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상이하므로 기업혁신 유형별 상이한 추진전략이 수립되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기대 혁신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최근 혁신유형으로 부각되고 있는 비즈니스모델 혁신에 중점을 둔 혁신전략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at factors affect each of the three types of innovation, such as technology, product and business model innovation, and how these three types of corporate innovation affect innovation performance. [Methodology] Market orientatio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learning ability, and technology synergy were used as the influence factors of corporate innovation,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product innovation, and business model innovation were used as the types of corporate innovation. Hypothesis verification is conducted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SPSS AMOS 25 using 247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manufacturing companies. [Findings] Findings showed that learning ability and corporate orient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echnology and product innovation, and all factors such as market orientation, learning ability, corporate orientation, and technology synergy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business model innovation. And also business model innova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innovation performance, but technology and product innovation showed non-significant results. [Implications] These results show that different promotion strategies for each type of corporate innovation must be established because the factors that have an influence on the types of corporate innovation promoted by companies are different. It also shows that in order to achieve the expected innovation performance, an innovation strategy that focuses on business model innovation, which has recently emerged as an innovation type, is needed.

      • KCI등재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사단칠정론(四端七情論)과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인심도심론(人心道心論)에 담긴 정치철학적(政治哲學的) 의미(意味)

        서근식 ( Geun Sik Seo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2 한국 철학논집 Vol.0 No.33

        퇴계(退溪)가 끝까지 리발(理發)을 포기하지 않은 이유는 순선무악(純善無惡)한 사단(四端)을 惡할 수도 있는 칠정(七情)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이다. 리발(理發)을 인정함으로써 리(理)와 기(氣)가 섞이는 것을 반대한 것이다. 퇴계(退溪)는 비록 리발(理發)을 인정했지만 인간의 규범적 지향처(志向處)를 제시해 주고 있다는 데 의미(意味)가 있다. 율곡(栗谷)은 인심도심론(人心道心論)은 인심(人心)도 인간의 노력여하에 따라 도심(道心)이 될 수 있다는 것이 핵심이다. 인간의 노력여부인 “의(意)”에 관심을 가졌던 것이다. 즉, 인욕(人欲)도 퇴계(退溪)와 같이 제거해야할 대상이 아니라고 함으로써 인욕(人欲)을 긍정하는 학자들에게 영향을 준다. 리(理)와 기(氣)기 서로 떨어질 수 없는 점을 주목해 기발리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을 주장한다. 퇴계(退溪)의 정치철학(政治哲學)은 주관(主觀)的 내면성(內面性)에 기울어져 있다. 그의 순선무악(純善無惡)을 추구함은 사단(四端)을 칠정(七情)과 구분함으로써 이루어졌다. 선(善)할 수도 있고 악(惡)할 수도 있는 칠정(七情)으로부터 사단(四端)을 떨어뜨려 놓음으로써 칠정(七情)의 악(惡)함이 사단(四端)의 순선무악(純善無惡)함을 침범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였다. 율곡(栗谷)의 정치철학(政治哲學)은 객관적(客觀的) 외면성(外面性)에 기울어져 있다. 그가 인심(人心)도 도심(道心)이 될 수 있다고 말한 것은 인간의 사회적 노력을 중요시한 것이다. 즉, 퇴계(退溪)와 같이 인심(人心)을 인욕(人欲)으로 여겨 배제해야할 대상으로 삼지 않고 인욕(人欲)의 선(善)한 측면을 존중하고 있다. 인욕(人欲)의 선(善)한 측면을 강조하다 보면 도심(道心)으로 되는 것이다. 이것이 율곡(栗谷)의 교기질론(矯氣質論)이다. The reason why Toegye(退溪) had not given up his Lifa(理發) to the end was to protect Siduan(四端) which are pure goodness and no evil from Qiqing(七情) that may turn into evil. By acknowledging the Lifa Toegye had opposed to have Li(理) and Qi(氣) mixed together. Even though Toegye admitted Lifa it is significant to note that he had proposed humans` normative aiming for values. The key point of Yulgok(栗谷)` s Renxindaoxin(人心道心) is that Human Mind can be developed as Daoxin(道心) depending upon effort by humans and their works. Yulgok was interested in Yi(意), which signifies whether humans truly exert their effort to seek values. Specifically, like Toegye, Yulgok recognized that Renyu(人欲) were not the target for elimination. This then has affected those scholars who affirm Renyu. Taking notice of the point that Li and Qi are unable to be separated, Yulgok expounded Qifalichengyitushuo(氣發理乘一途說). Toegye`s political philosophy is inclined toward subjective interiority. He was able to move forward in pursuit of Chunshanmoe(純善無惡) by means of dividing Siduan and Qiqing. By separating Qiqing, which may be tagged as Goodness or as Evil, from Siduan, Toegye had completely excluded the possibility of intrusion of the evils of Qiqing in Siduan, which are pure goodness and no evil. Yulgok`s political philosophy leans toward objective externality. He argued that Renxin(人心) could be developed as Daoxin. This is because he had put emphasis on humans` social effort or work. That is to say, like Toegye, Yulgok had not regarded Renxin as Renyu that should be eliminated, but he respected an aspect of goodness of Renxin. When the aspects of goodness of Renyu are emphasized, it turns into Daoxin. This constitutes Yulgok`s Jiaoqizhilun(矯氣質論).

      • KCI등재

        기업혁신과 경영성과 간에 혁신경영 역량과 혁신사업화 역량의 조절효과

        송신근(Song, Sin-Geun) 한국경영교육학회 2020 경영교육연구 Vol.35 No.5

        [연구목적] 본 연구는 기업혁신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이들 간에 혁신경영 역량과 혁신사업화 역량의 조절효과를 분석하는데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 연구를 위한 자료는 제조업체로부터 수집된 총 247개의 설문지를 활용하였으며, 변수의 측정을 위한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였고, 다중회귀분석에 의한 가설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기업혁신 관련 모든 변수들은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효과 분석에서는 기술혁신 및 제품혁신과 경영성과 간에 기술리더십, 혁신제품생산 및 혁신마케팅이 유의적인 정(+)의 조절효과를 보였다. [연구의 시사점] 경영성과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기업혁신을 추진하여야 하며, 이와 더불어 기업혁신, 특히 기술혁신과 제품혁신의 경우 이를 지원하는 혁신경영 역량과 혁신사업화 역량을 갖춤으로써 경영성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innovation and management performance, and whether association between them is moderated by innovation management capability and innovation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Methodology] A total of 247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manufacturers were used as data for the stud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verified for the measurement of variables, and hypothesis verification was perform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ndings] All variables related to corporate innovation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management performance. In the moderation effect analysis, it was found that technology leadership, innovative product production, and innovation marketing had a significant positive (+) moderating effect between technology innovation and product innovation and management performance. [Implications] In order to improve management performance, corporate innovation must be promoted, and in addition, especially in the case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product innovation, it has been shown that management performance can be further improved by having the innovation management capability and the innovation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to support them.

      • KCI등재

        사회보장법 총론의 가능성

        이호근(Lee, Ho?Geun) 한국사회보장법학회 2012 사회보장법학 Vol.1 No.1

        본 논문은 우리나라 사회보장기본법 관련 그 연원, 체제, 구성 및 주요 내용과 쟁점 사항을 분석한다. 논문은 헌법상 사회권과 사회보장의 법적 성격과 관련 판례 및 그 주요 쟁점사항들을 살펴본다. 특히, 논문은 최근 개정되어 2013년 1월에 그 시행을 앞둔 개정 사회보장기본법의 체제와 그 세부적인 내용을 검토하고 개정 법의 방향과 그 쟁점들을 분석 ? 평가한다. 논문은 개정 사회보장기본법이 한편에서 ‘새로운 사회적 위험’을 재정의하고 그리고 다른 한편에서, 기존 사회보장의 대상과 수급권보장 방법에 대한 효율화를 전제로 제 사회보장의 문제에 대한 대응을 개선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그 개정논의가 진행되어 왔다고 평가하면서 그 내용과 체제에 대한 현황 분석과 함께 한계와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있다. 즉 개정 법은 먼저, 우리나라 법체계상 사회권과 사회보장 기본권이 실현되는 헌법?사회보장기본법-사회보장관련 개별법간의 구조에서 사회보장기본법의 법적성격의 근본적인 변화나 사회보장의 규범력을 제고시켜주는 방향으로의 근본적인 변화는 크지 않다고 평가한다. 둘째, 반면 기존의 ‘사회복지 관련 서비스’를 대신하여 새롭게 제시된 ‘사회서비스’는 그 개념의 포괄성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법적구속력이 없거나 약하며 재량행위로 여겨질 수 있는 정책사항이 대부분으로 사실상 미래의 사회보장권은 그 천명된 방향성에도 불구하고 그 권리의 성격이 제고되었다고 말하기 힘들다고 평가한다. 셋째, 논문은 사회보장관련 통합전산망의 강화 등 효율화에 대한 강화조처는 징벌적 제재에 의해 수급권의 범위가 오히려 축소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다시 말해 개정법은 미래의 위험에 대해서는 ‘현금’대신 재량행위나 정책사항으로 보장성이 약한 ‘어음’을 지급하고 현실의 위험에 대해서는 오히려 예외여야 할 사회보장수급권의 오ㆍ남용이 사회보장의 중심 사안인 것처럼 그 법적 제재나 규제가 강화되어 오히려 사회보장 수급권은 전체적으로 약화되는 결과가 될 우려를 지적하고 있다. 넷째, 법적체제의 중복과 불완전성으로 중앙과 지역차원의 통일적인 사회보장ㆍ사회복지체제의 연계의 문제와 통합의 강화 주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중앙과 지역간 법체계의 중복과 법적권한의 불분명성 등 법체계와 재정분담 재조정 문제 등 정비되어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고 지적한다. 마지막으로, 논문은 사회보장의 사각지대에 있는 영세자영업자 포괄의 문제, 정규직 사회보장 중심으로 되어있는 현행 체제의 문제점 등에 대해 개정법안은 여전히 해법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또 장기적인 과제로 궁극적으로 사회보장수급권을 담지하고 이행하기 위한 ‘통합사회법’ 제정의 필요성과 독립적인 ‘사회보장청’ 신설문제와 같은 점을 향후 사회보장기본법의 또 다른 과제로 지적하고 있다. This article is trying to analyze the historical development, content, system and structure as well as some controversial issues of the (revised) Social Security Basic Act in Korea. The article is first focusing on the legal character of social rights and social security envisaged in the Constitution and Social Security Basic Act and its related jurisdiction and the central issues. Especially, the article is intensively analyzing the newly revised Social Security Basic Act, which would be implemented from the January in 2013 on, and the important trend and orientation for the future welfare policy. The revised Social Security Basic Act is being to be spoken as the preparatory trial for the future welfare reform, in which one is redefining the new Social Risks at one side, and one is trying to get more trans parency and efficiency in welfare distribution at the other side. However, there are yet some controversial issues and points in this new Act. First, it is not to see, that even though there are redefinition of the new Social Risks and some kind of emphases on them, one can recognize either any significant change in the basic status of the social rights or its improved legal character. Secondly, in spite of introducing new concept of ‘Social Service’ to the old social welfare and related services, there are not any binding legal ‘rights’, while they remain at best in the beneficiary and voluntary meature. Thirdly, there are several intensified measures (penalty and sanction of the social security entitlements) to make the welfare delivery system more transparent and efficient through the introduction of Electronically Integrated Information Service System to control the unlawful beneficiaries. While this Electronically Integrated Information Service System can be serving to limit the entitlements against the misuse and mal practices of welfare distribution, it is on the brink of falling in the risk to exclude the existence rights of some needy social groups. Fourthly, the revised Social Security Basic Act is lacking in the any improvement of legal rights, while the control function and mechanism in the name of efficiency and transparency have been intensified. At the same time, there should be some institutional improvement for the better coordination between the central social policy and regionally specified social requirements, including the financial burden-sharing. Finally, it is to request that the future welfare policy and law should find out the way to integrate the precarious self-employers and the non-standard workers in the welfare system. And for the better efficiency and transparency of the Social Service Delivery, one should consider the introduction of the Integrated Social Security Act as well as the establishment of the Social Security Office in the long term.

      • KCI등재

        National Security Policies : Reciprocity in South Korean Security Policy Vis-a-vis Nor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김영근 ( Young Geun Kim )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13 ASIAN PERSPECTIVE Vol.37 No.2

        I review the principle of reciprocity in South Korean security policy with regard to Nor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nd analyze how the principle fits with US security policy concerning South Korea. Diffuse reciprocity shaped Korean security policy starting with President Kim Dae-jung`s Sunshine Policy. The Lee Myung-bak government`s hard-line approach increased military tension and economic anxiety on the peninsula. The new South Korean government under Park Geun-hye should devise achievable policy measures rather than place excessive pressure or unrealistic demands on North Korea.

      • KCI등재

        정부운영 방식으로서의 정부3.0 재조명: 문재인 정부의 정부3.0 정책 계승을 위한 제언

        임성근 ( Sung Geun Lim ),이건 ( Geon Lee )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2017 국가정책연구 Vol.31 No.3

        본 연구는 박근혜 정부 4년 동안 국가운영의 한 패러다임으로서 위상을 가졌던 정부3.0 정책의 추진 현황을 회고하며, 그 핵심적 내용을 정리하고, 일반국민, 공무원, 전문가들이 정부3.0을 어느 정도로 중요하게 인식하고 필요성을 체감하고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조사결과에 의하면, 일반국민, 공무원, 전문가 모두 정부3.0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으며 정부3.0의 제 목표 및 핵심과제가 중요하다는데 인식을 같이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3.0 핵심과제에 대한 만족도 및 주관적인 추진성과에 대한 평가는 중요성에 비하여 낮게 인식하고 있다. 이는 정부3.0의 정착은 아직 미흡하고 더욱 발전시킬 여지가 있음을 말해준다. 좋은 제도가 정착되기도 전에 정권의 변동으로 폐기되는 것은 그동안 투입되었던 매몰비용 및 국민들이 누리는 편익을 고려할 때 비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 문재인 정부는 전문가들과의 공론화 과정을 거쳐 미완의 정부3.0 정책을 승계하여 보다 높은 수준으로 발전ㆍ완성시킴으로써 국민에게 유익한 정책은 정권이 교체되더라도 지속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첫 모범 사례가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recalls the implementation progress of the Government 3.0 policy, which has been the paradigm for government administration for four years during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and summarizes its core contents. It also explores how the public, public officials and experts assessed the significance of Government 3.0, and whether they felt its necessi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general public, public officials and experts all felt the need for Government 3.0 and shared an understanding that the goals and core tasks of Government 3.0 are still highly relevant. However, their overall assessment of the satisfaction level and subjective performance of the core projects of Government 3.0 was relatively lower than their perceived importance of the initiative, suggesting that Government 3.0 has yet to take root firmly in place and that there still is a room for further development. It would be a waste of valuable resource to junk the policy initiative even before the good system has been firmly established, considering the immense sunk cost and the benefits enjoyed by the people. We suggest that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would promote and complete the unfinished missions of the Government 3.0 policy initiative through a public deliberation with related experts, thereby establishing itself as the first best case to demonstrate that beneficial policies for the people can be maintained even after the regime has been replaced.

      • 대만 ‘소수(少數)정부’(2000년~2008년) 운영 사례가 한국 신 정부에 주는 시사점

        최창근(Chang-geun Choi) 한국외국어대학교 대만연구센터 2017 대만연구 Vol.- No.10

        In 2017, president Moon’s new Korean government launched. The new government, which was launched through the impeachment of former president of Korea Geun-hye Park and the early presidential election. President Moon’s government is launched with the limitation of the minority government. The new government, which was launched in a small-scale situation, requires cooperation with the opposition parties. In this study, I tried to give some suggestions to the new Korean government by examining the cases and problems of the minority government of Democratic Progressive Party(DPP) of Taiwan in 2000~2008.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