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omparative Research on the Right to Educ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Eun Jung Yoo(은정)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法學論叢 Vol.43 No.-

        미국의 장애인교육법(IDEA)은 주정부에게 장애를 가진 아동의 교육을 보조하기 위하여 연방재정을 제공하는데, 이 연방재정을 받기 위해서 주정부는 몇 가지 법상 요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그 중에 하나가 바로 FAPE(무상의 적절한 공립학교 교육)인데, 이것은 주정부가 모든 자격이 되는 아동들에게 무상의 적절한 공교육을 제공할 의무를 의미한다. 미국 연방대법원은 “적절한 교육”에 해당하는 지의 판단기준을 명확하게 세우지는 않았지만, 장애아동에 대한 적절한 교육이란 일반학급에 통합된 장애아동이 일반아동에게 기대되는 것처럼 어려운 목표를 세우고 이를 달성하여 진보를 이루는 것이 되어야 한다는 권리의 실체적인 내용을 특수교육법의 목적과 일반조항 뿐만이 아니라 구체적인 개별화교육의 절차적인 보장에서 이끌어 내었다. 미국연방대법원은 미국장애인교육법이 요구하는 교육프로그램이 아동의 상황에 비추어 적합한 진보를 만들어 낼 수 있도록 합리적으로 계산되어야 할 것을 요구하고, 이것은 그저 최소한(de minimis) 보다 나은 수준이면 적절한 교육 요건을 충족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설명하였다. 한국 역시 미국과 마찬가지로 한국의 장애인의 교육권은 법률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형성되고 보장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 장애영아에 대하여는 법이 무상교육을 보장하고 있지만 그 이상의 장애아동에 대하여는 의무교육을 보장할 뿐이다. 또한 우리 법의 장애아동의 교육을 받을 권리는 미국 특수교육법의 무료의 적절한 공교육을 받을 권리에서 “적절한”에 해당하는 내용을 법적으로 구성할 근거가 분명치 않다. 나아가 장애인차별금지법 등에서 법원의 다양한 구제조치를 규정하고 있음에도 시혜적이 아닌 법리적인 근거로 장애인의 특히 교육에 있어서의 차별여부를 판단하는 일관된 법원의 판결들을 찾기가 힘들다. 따라서 법률에서 장애아동의 무상의 적절한 교육을 받을 권리를 실체적으로 보장하고, 이의 구제 및 분쟁해결 절차를 다양하고 상세하게 보장하여 이 권리가 명목상의 시혜적인 권리가 아닌, 구체적인 권리로 행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IDEA in the U.S. provides grounds for federal financing for a state government in order to support the education for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for this federal financial support, the state government has to meet several statutory requirements. One of these is FAPE (Free and Appropriate Public Education), which means an obligation to provide free and appropriate public education to all eligible children. The United States Supreme Court has not made clear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appropriate education", but the appropriate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has been found and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disabled children integrated in general classrooms have challenging goals as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do so by the Court. The substantive content of the right to appropriate education has been inferred from not only the purpose and general provisions of the Special Education Act but also from the procedural guarantees of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IEP) of the qualified child with disabilities. The Court held that IDEA requires the education programs be reasonably calculated for the children to make right progress for their situation, which does not merely indicate that any condition above the minimum (de minimis) level is enough. As in the U.S., education rights for disabled people in Korea are also formed and guaranteed through laws. However, Korean laws are guaranteeing free education for disabled infants, but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y only guarantee compulsory education. Also, in Korea, right to educ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does not have a clear foundation that legally constitutes the meaning of ‘appropriate’ compared to the equivalent from the right to a free and appropriate public education under IDEA in U.S. Further, although some laws such as Act on Prohibi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Korea are regulating various remedy measures of a court, it is hard to find consistent judgment of the court in deciding over whether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are discriminated or not in education on juridical grounds rather than on the grounds of dispensation. Therefore, in the statutory law, the right to receive a free education of a child with a disability should be guaranteed to be practical, and the various and detailed procedures of relief and dispute settlement procedure shall be guaranteed so that this right can be exercised as a concrete right rather than a nominal.

      • KCI등재

        화용론적 언어중재를 통한 ADHD 아동의 의사소통 기술 증진 연구

        은정 ( Eun Jung Yoo ) 한국특수아동학회 2006 특수아동교육연구 Vol.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ADHD 아동들에게 화용적 언어중재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의사소통 기술과 문제행동의 변화를 보고자 하였다. 대상아동은 초등학교 2학년 남아 3명으로 소아정신과에서 ADHD로 진단 받은 아동들이었다. 주의력 결핍과 과잉 행동이 주된 문제이면서 또래와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가진 3명의 아동은 의사사통 기술에서 미숙함이 보고되었고, 이에 대해 사전 사후 평가를 통해 중재의 효과를 설명하였다. 화용적 능력 평가와 부모 평정 척도 그리고 문제 행동관찰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사전 사후검사와 AB 설계로 변화를 알아보았다. 결과적으로 3명의 아동 모두 화용적 능력평가와 부모 평정 척도 결과 의사소통 기술에서 증가를 보였고, 문제행동은 관찰을 통한 결과에서 행동 발생빈도가 감소되어 문제행동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새로운 상황을 직면하거나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미숙한 행동이 여전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ADHD 아동의 행동 및 특성을 개선하는 접근 방법들에 대한 다양한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비교 검토하여 실재적 적용에 대한 가능성과 효과에 대한 예측을 하는 데 실험적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ADHD 아동의 의사소통 기술의 향상과 문제행동의 개선 효과를 알 수 있었으며, 다른 중재적 접근과 함께 적용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pragmatic intervention program for the communicative skills and problematic behavior of the children with ADHD. The participants were 3 boys, who enrolled 2nd grade of an elementary school and identified with ADHD. Their characteristics were common with the attention deficit and distractive behavior and poor social skills. The measurement of the communicative skills were administered with the Pragmatic Protocol and the Parent`s Rating Scale pre and post the intervention. To evaluate the improvement of the problematic behavior, the parent observed and measured the occurrence of target behavior with AB research desig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mprovement of the communicative skills were significant, however, they have still immature in face of the new contexts or the case of solving the problem.

      • KCI등재

        일반논문 : 미국의 연방법 선점원칙 및 징발금지원칙의 고찰 -미국연방대법원의 건강보험개혁법 판경(NFIB V. Sebelius)을 중심으로-

        은정 ( Eun Jung Yoo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法學硏究 Vol.23 No.1

        우리 헌법은 미국연방헌법과 달리 지방의 권한을 보호하기 위해 중앙정부, 즉 국회의 권한을 제한하는 내용이 없을 뿐 아니라, 지방자치법의 국가사무에 대한 조항 역시 국회의 권한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지방자치단체가 할 수 없는 것과 할 수 있는 것을 말해주기 위해서라는 점에서 연방국가인 미국과 단일정부국가이면서 지방자치제도를 보장하는 우리나라는 근본적인 부분에서 큰 차이점이 있다. 미국의 경우 건국 초 연방헌법에 의해 강력하게 제한이 되었던 연방정부의 권한과 역할은 현재에는 연방대법원의 탄력적인 헌법해석에 힘입어 크게 확대되었고, 주 및 지방정부의 권한의 영역에 속하는 것까지 연방법으로 선점하거나, 조세 및 재정지출권한을 통하여 연방정부의 정책목표와 지침을 주 및 지방정부가 참여하도록 요구하는 경우가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연방정부는 직접적으로 주정부로 하여금 연방의 정책을 입법 또는 이행하도록 하려는 시도를 하여 왔고, 미국연방대법원은 이러한 시도를 헌법적으로 금지되는 징발(commandeering)이라고 하며 위헌으로 선언하였다. 본고는 미국 연방정부의 합헌적인 법률선점(preemption)과 연방법에 의한 국가사무를 위하여 주정부를 징발하는 위헌적인 징발(commandeering)의 연구를 통하여, 현재 우리나라의 법정수임사무의 도입논의와 구체화가 지방분권과 지방자치라는 헌법적 가치를 제고하는 방안이라는 이해 위에 이뤄지도록 할 것을 제안한다. Korean Constitution differs from the U.S. Constitution, a federal country in that the former does not include the provisions to limit the power of Parliament for the protection and security of local government autonomy and further the provisions in the Local Autonomy Act which provide national affairs exist not to limit the power of Parliament but to tell local governments what they can and can not, and thus Korean Constitution maintains only the local autonomy system as a unitary system of government. The power of federal government in U.S. which once was seriously limited now has been greatly expanded through its powers of preemption, taxing and spending by which it often requires state and local governments to participate in federal programs and to follow federal directions and standards, largely thanks to the flexible interpretation of federal constitution by the U.S. Supreme Court. Moreover, federal government has attempted directly to require state governments to legislate or implement federal policies and programs, and regarding those attempts, the Supreme Court has declared them unconstitutional as prohibited commandeering of federal government. This article suggests that the study of federal preemption in U.S. which is regarded constitutional and unconstitutional commandeering which commandeers states to carry out the national affairs required by congressional legislations persuade us that the current discussion of introducing the System of Statutorily Authorized Affairs ought to be understood and given concrete shape to enhance the constitutional values of decentralization of powers to local governments and local autonomy through the proposed system.* Assistant professor at College of law,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KCI등재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은정(Eun Jung Yoo) 한국헌법학회 2011 憲法學硏究 Vol.17 No.3

        현재 세계는, 적어도 헌법재판을 실질적으로 수행하는 헌법재판기관이 있는 민주주의국가는, 대의기관으로부터 사법부로 국가의 권한이 이전하는 현상을 목도하고 있다. 이 현상은 가장 헌법재판의 역사가 오래된 미국으로부터 신생국가로서 헌법재판소를 설립한지 얼마 되지 않은 여러 나라들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다. 미국연방대법원의 사법적극주의는 헌법에 어긋나는 법률을 포함한 하위 법규범의 무효라는 규범통제의 획기적인 제도를 발견하여 여러 나라의 헌법재판의 이념, 규범통제제도의 발전에 영향을 미친 반면에, 의회의 대표성과 민주적 정당성을 중요시 여기는 여러 나라들이 초기 헌법재판제도를 기초함에 있어서 미국식의 사법심사제도 즉 사법부 우위의 헌법재판제도를 도입하지 않도록 하는 데에도 역시 영향을 미쳤다. 미국의 연방사법부는, 연방사법권을 행사하고, 특히 연방대법원은 연방헌법이 보장하는 개인과 시민의 자유와 권리를 보호하는 헌법의 보호자이며, 연방법과 헌법을 해석하고 적용하는 최종적인 권위를 가지며, 이러한 헌법에 위반되는 국가작용을 무효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연방대법원의 지위와 역할은 헌법상의 다른 기관 및 제도와 내부적, 외부적 환경적 요인들에 의해 제한을 받기 마련이다. 그 중에서 특히 연방대법원의 사법적극주의 성향에 따라, 많은 민감한 정치적 사안들을 헌법적인 사건으로 심사하였고, 정치권 역시 이러한 논쟁적인 문제들에 대하여 사법적인 해결을 선호함으로써,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에 기여하여 왔다. 정치의 사법화는 사법의 정치화를 가져올 것이고, 사법의 정치화는 사법부의 독립을 훼손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밖에 없다. 정치의 사법화는 헌법의 최고규범성을 인정하고 헌법재판을 적극적으로 행하는 국가에서 불가피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정치의 사법화가 항상 사법의 정치화를 가져오거나, 사법부(헌법재판소를 포함한)의 독립을 해치는 결과를 가져오게 할 필요는 없다. 강력하고 광범위한 헌법정책 형성권한을 가진 헌법재판기관이 이 권한을 온건하고, 전략적으로 행사함으로써 가능하다. 따라서 적어도 국가적, 사회적 합의가 있지 않은, 정치적인 문제에 대하여는 헌법재판을 담당하는 재판기관은 사법적극주의적 태도보다는 사법온건주의 태도를 취하여 정치과정이 활성화되도록 하고, 민주적 의사결정과정에서의 자유와 공정성을 보장하되, 사법심사를 하는 경우는 실증적인 증거를 토대로 판단하고, 연방주의적인 혹은 분권국가의 장점인 정책적 실험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허용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The world, at least the nations with a constitutional court, which actively exercises judicial review or constitutional adjudication power, has witnessed the transfer of national power from the legislature to the judiciary. This tendency can be found not only in America which has the longest history of judicial review, but also even in newly independent countries which have established a constitutional court only recently. Judicial activism of the U.S. Supreme Court has found and developed an institution of judicial review, that is, a system of norm control (a system to invalidate lower norm in violation of higher norm, in particular, a constitution) and spreaded the idea and system of constitutional adjudication (judicial review) to other countries, while the judicial activism of the Court, simultaneously, warned the countries of danger of judicial supremacy, and accordingly, adversely affected those countries, which traditionally put more trust and emphasis on their legislatures, the representative of the people, to have rejected the American type of judicial review. Federal judiciary of America exercises judicial power (most of all, power of judicial review), and performs various important functions, such as a role of the guardian of the Constitution to protect and guarantee civil and individual rights and liberty, and of a final arbiter of the federal law and constitution and so on. However, the actual position and role of the U.S. Supreme Court is delimited by interaction with other branches of the government and the legal and constitutional system and institutions as well as by internal and external conditions of the Court. Among of all, the Supreme Court with judicial activism, has decided a number of political cases as a constitutional question, and on the other hand, the two political branches also have acquiesced to and even preferred a judicial solution of politically controversial issues, and therefore, it contributed to the judicialization of politics and subsequently politicization of judiciary. Judicialization of politics and consequent politicization of judiciary would have a detrimental effect on independence of the judiciary. Even though judicialization of politics is inevitable in the countries of the constitutional democracy where the constitution is the highest norm of the country and has an institution to actively exercise judicial review power, the judicialization of politics does not have to negatively affect independence of the judiciary. This is possible by judicial modesty and pragmatic and strategic exercise of judicial review power. There would be a prudential constitutional court more attentive to guarantee the political, democratic process of policy making free and fair, allowing diverse policy experiments by decentralized governments, at least in controversial areas where social and political consensus has not yet reached, while the Court adjudicates legally and intelligently, based on actual evidence and information for the case before it, when it is called to adjudicate a constitutional case.

      • KCI등재
      • KCI등재

        미국의 연방주의와 지방자치제도 : 우리나라 지방자치 및 지방분권이행 과정에의 시사점

        은정(Yoo Eun-Jung) 한국비교공법학회 2010 공법학연구 Vol.11 No.3

        미국연방제에 대한 연구는 미국의 민주주의가 개인의 자치와 국민주권의 이념과 원칙 위에 근거하고 세워졌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자치와 국민주권의 이념은 특히 다른 중요한 헌법원칙들과 함께 연방제도를 통하여 구체화되고 공고히 보장되어 왔다. 미국 연방제는 연방정부 즉 중앙정부뿐 아니라 각 주정부가 국민에게서 이양 받은 주권을 보유한다. 연방정부는 연방헌법에 의해 수권한 제한된 권한만을 행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중앙으로 권력이 집중하여 독재정부가 탄생,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침해할 가능성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고, 주정부들은 연방정부의 제한된 권한과는 달리 일반적이고 광범위한 영역에서 법을 제정, 집행, 하고 적용할 권한을 가진다. 지방자치에 대하여는 연방헌법에서 언급하는 바가 없으며, 각 주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의 지방정부들이 어떤 형태로든 자치를 누리고 있다. 물론, 현대 행정 국가화 추세에 따라 또한 규모의 이익 등을 추구하기 위하여 연방으로 권한이 집중되고, 전통적으로 주와 지방정부의 관할이던 많은 영역에 연방정부의 권한과 영향력이 커져 왔고, 또 깊숙이 침투하였지만 연방제와 그 안에서의 지방자치의 의의는 점점 더 중요해 지고 있다. 특히 현대의 환경, 이민, 테러, 빈부 격차의 증가에 따른 복잡하고 어려운 지역적, 국가적, 국제적인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협조적인 정부 간 관계의 중요성은 더욱 증대하여 왔고, 이의 해결을 위한 각 단계의 정부들의 협력적이고, 서로 통제하며, 경쟁하게 하는 연방제도와 지방자치제도는 점점 더 중요한 해결방안으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미국 연방제도와 연방주의의 다양한 이론들 그리고 지방정부의 역할 등은 현재 우리나라가 추진하는 지방분권과 지방자치와 또한 통일 후의 국가구조를 설계하는데 주는 시사점은 크다고 할 것이다. The study of American federalism shows that American democracy has been founded and built on the idea of personal autonomy and popular sovereignty which is embodied and ensured by federal system with other constitutional principles. In American federal system, each state as well as federal government has sovereignty which is delegated by the people. By guaranteeing that federal government has only limited power authorized by U.S. Constitution while states have plenary power, founders of America built a mechanism which prevents a danger of federal government to become a tyranny so that it would undermine and infringe individual autonomy, freedom and rights. On the other hand, autonomy of local government is not guaranteed in U.S. Constitution. The Constitution is simply silent regarding local government. Nevertheless, the practice of local autonomy, or autonomy of people exercised through and in local governments, has a long tradition in America from the New England town meetings. Also it is obvious in that most of local governments have some sort of - varied across state - autonomy guaranteed by their states and there exists the area of law which local governments are responsible to implement independently or together with a state government. The importance of cooperation of federal, state and local governments is ever more increasing to resolve contemporary problems such as environment, immigration, terror, growing disparity between rich and poor, and so on, which are also shared universally by many countries in the world. Federal system is valuable not only for preventing tyranny and guaranteeing individual rights but also encouraging different experiments and customized solutions by and for local and state governments. Moreover, it enables for different levels of governments to explore their cooperative, checking, and competing intergovernmental relationship. Korea is now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local autonomy and decentralization system, and preparing for the nation's structure of the future unified country. Accordingly, American federal system, and discussion of various federalism theories and of intergovernmental relations including localism, in particular, would give some useful cues for the current discussion of how to enforce decentralization and local autonomy system in accordance with Korea situation.

      • KCI등재

        성과 측정지표와 순위상관관계 -국내 주식형펀드를 중심으로-

        은정 ( Eun Jung Yoo ),김상배 ( Sangbae Kim ) 명지대학교 금융지식연구소 2016 금융지식연구 Vol.1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14가지 성과 측정지표들을 통해 추정된 국내 주식형펀드의 상대적 순위가 일치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2년 1월부터 2015년 3월까지 총 996개의 국내 주식형펀드의 월별 수익률 자료를 이용하였다. 전체 표본을 이용하여 추정된 결과의 강건성을 검증하기 위해 5가지 방법으로 추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전체 표본펀드를 대상으로 한 분석 결과, 트레이너비율 그리고 MPPM은 다른 성과 측정지표들과 낮은 순위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존편의를 고려하기 위한 생존펀드와 소멸펀드의 구분, 그리고 표본 펀드를 두 개의 그룹으로 구분한 분석에서도 전체 표본과의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하지만, 전체 표본기간을 표본기간1(2002년 1월 - 2005년 12월)과 표본기간2(2006년 1월 - 2015년 3월)로 구분한 분석에서는 표본기간1에 비해 표본기간2에서 트레이너비율과 MPPM은 샤프비율과의 순위상관계수가 많이 하락한 것을 발견하였다. 트레이너비율에서의 이러한 결과는 전체 표본에서 트레이너비율의 낮은 순위상관관계는 우리나라 주식시장의 베타의 불안정성 때문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상치를 제거한 분석과 위험회피계수를 조정한 분석에서는 MPPM이 샤프비율과 낮은 순위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은 투자자의 위험회피성향보다는 수익률에서의 이상치에 의한 것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즉, MPPM은 수익률의 이상치에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요약하면, 국내 주식형펀드의 성과를 평가할 때, 트레이너비율 그리고 MPPM은 샤프 비율과 낮은 순위상관관계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국내에서도 성과 측정지표의 선택이 성과평가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성과 측정지표의 선택이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or not performance measures find virtually identical rank ordering using Korean equity fund data. To do so, we use 996 equity funds, which exist more than 24 months for the sample period of January 2002 to March 2015. Using the Spearman`s rank correlation coefficients, we compare the relative ranking orders which are generated by 15 different performance measures, including the Sharpe ratio, Jensen`s alpha etc. The results from the whole sample data show that performance measure have different rankings. This is the case of Treynor ratio and MPPM(Manipulation-Proof Performance Measure). The results of 5 robustness tests show that the low rank correlation of Treynor ratio is driven by the unstability of betas in the Korean stock market, while MPPM is very sensitive to the existence of outliers in fund returns. Overall, our result implies that the choice of the performance measure is actually important for fund performance evaluation, as shown in Ornelas et al.(2012).

      • KCI등재

        교사의 의사소통 방법과 교수방법에 따른 청각장애학생의 국어교과 성취력과 개선방안

        은정 ( Eun Jung Yoo ),서중현 ( Jung Hun See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4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청각장애학생의 학업성취의 어려움에 대해 국어교과를 중심으로 교수방법의 실태와 개선방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부산, 경남, 충북 3개 지역의 청각장애학교 교사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중 회수된 82부를 빈도분석과 교차분석하여 자료를 처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청각장애학교 교사들은 청각장애학생의 국어교과 수준이 건청학생에 비교해서 3년 이상 지체되었다고 응답했으며, 교사들은 의사소통 양식으로 주로 토탈 커뮤니케이션을 사용하며, 국어교과 수업에서는 중요한 부분 정도만 상호작용이 이루어진다고 하였다. 그리고 국어교과 내용영역별로 발음, 단어, 문법 영역에서는 주로 교사설명중심 교수방법이 사용되며, 독해력 영역에서는 학생탐색중심과 교사설명중심 교수 방법이 비슷한 비율로 사용된다고 하였다. 개선방안으로 청각장애학생의 국어교과 학업성취의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해서 청각장애 학생의 장애 특성, 언어적 특성에 알맞은 교수방법의 개발이 요구되며, 의사소통 방법은 수업내용이나 상호작용 측면에서 토탈 커뮤니케이션보다 효과적인 의사소통 양식이 요구되었다. This study, focusing teacher factor as one of main factors contributed to hearing impaired student``s low achievement reported in the former researches, investigated how teachers for hearing impaired students guessed an academic level of their students, why the low achievement was bought, and what measures for moving up to higher achievement level should be taken. In this study, especially it would be focused on the difficulties of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their hearing impaired students and insufficiency of teaching methods as teacher``s main cause resulted in the low achievement of hearing impaired students mentioned in the previous studies. For investigating this factors, questionnaire based on some previous researches was developed. 100 questionnaires sent out to teachers of 3 deaf schools, and 82 of them returned were analyzed by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cross-tabul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as more than 3 year-gap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level of hearing impaired students and that of hearing students. The result also indicated that the gap was supposed to result from the difficulties of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their hearing impaired students and insufficiency of teaching methods. Most teachers have used Total communication during their class hours, which would make it difficult to communicate each other and to deliver their class to their students. Only one or two teaching methods were applied regardless of distinction of the content area of Korean language such as pronunciation, words, grammar, and reading comprehension. Most teachers have applied the teacher-centered instructional approach rather than the student-centered exploration approach. Therefore, various teaching methods considering hearing impairment characteristic such as a difficulties of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their students should be developed. In addition, it needs that teaching approaches`` applied according to each area of Korean language arts. Finally,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applying more effective communication method than total communication approach to hearing impaired students in order to help their academic achievement.

      • KCI등재후보

        자유학기제에 활용 가능한 학교상담자용 학급단위 집단상담 모형 개발

        은정(Eun-Jung Yoo),이종연(Jong-Yeun Lee) (사)한국학교공공모래놀이학회 2022 학교상담 및 모래놀이 Vol.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자유학기제에 활용 가능한 학교상담자용 학급단위 집단상담 모형을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설문조사, 포커스 면접 조사, 전문가 협의회를 실시하여 내용 영역, 조직적인 틀 영역, 소요자원 영역으로 구성된 잠정 모형을 구안하였다. 구안된 잠정 모형은 40명의 학교상담 현장 전문가인 전문상담교사 패널들의 1차, 2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통해 내용타당도를 확보하여 최종 모형으로 확정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최종 구안된 자유학기제에 활용 가능한 학교상담자용 학급단위 집단상담 모형은 총 3영역(내용 영역, 조직인인 틀 영역, 소요자원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첫 번째, 내용 영역으로 3개 영역(자신에 대한 이해와 수용, 의사결정하기, 타인을 이해하고 사이좋게 지내기)으로 구성되었다. 두번째, 조직적인 틀 영역으로 4개 영역(가용시간, 운영 회기 수, 자유학기제 중 적합한 모형, 프로그램 운영)으로 구성되었다. 세 번째 소요자원 영역은 5개 영역(프로그램 운영자, 필요 역량, 역량개발방법, 재정적 지원, 행정적 지원)으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본 연구는 중학교에서 학교상담자의 역할 정립과 학급단위 집단상담을 운영할 수 있는 역량강화 방안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되는 모델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class unit group counseling model for school counselors to use the free-semester program.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first of all this study reviewed the previous research studies, and conducted a survey, a focus group interview, and an expert meeting to develop a proposed model, which consists of the content area, the organizational frame area, and the required resource area. The proposed tentative model was confirmed as the final model by securing content validity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Delphi surveys of panels of professional counselors who are 40 school counseling field experts.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class unit group counseling model for school counselors that can be used in the final proposed free semester system consisted of a total of three areas (content area, organizational frame area, and required resource area). The content area includes three sub-areas(understanding and accepting oneself, making a decision, understanding others and getting along well). The organizational framework includes four sub-areas(available time, number of operational sessions, a most suitable model among the free-semester models, and program operation). The required resource area includes five sub-areas (program operator, required capacity, capacity development method, financial support, and administrative suppor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a model for looking for a solution to establish the role of school counselors and to enhance their competency to manage class unit group counseling with middle school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