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식물 신경생물학과 기독교 녹색 윤리

        유경동(Kyoung?Dong, Yoo) 한국기독교학회 2019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11 No.-

        식물이 영혼을 가질 수 있는가? 이와 같은 질문은 신학에 있어서도 매우 흥미로운 주제가 아닐 수 없다. 최근 식물의 인지기능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식물이 인간처럼 지능적 존재라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식물이란 단어를 은유로 사용할 때 식물은 움직이지 못한다거나 생각을 하지 못한다는 맥락에서 ‘식물인간’이나 ‘식물국회’라는 말을 사용하는데, 신경생물학의 연구에 의하여 점차 그러한 해석들이 편견으로 밝혀지고 있는 것이다. 전통적으로 인간중심의 생명윤리 개념이 식물까지 포함된 생태계로 확장되고 있으며, 특히 생태신학의 방향에 대한 진지한 재고가 필요하다. 한국의 기독교학계에서는 신경생물학과 연관한 윤리의 방법론에 대한 선행연구가 그동안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는데, 필자는 이 논문에서 주로 서구권의 이론들을 소개하면서 크게 세 가지 방향으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첫째, 신경생물학에서 강조하는 식물의 인지기능과 사회성의 요소들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이러한 신경생물학적 해석을 기독교세계관의 식물에 관한 해석학적 지평을 넓혀보도록 하겠다. 특히, 식물과 연관된 ‘나무 십자가’에 대한 상징적 해석을 신경생물학적 관점에서 살펴보도록 하겠다. 그리고 셋째, 신경생물학과 생태신학적 관점에서 식물에 대한 기독교윤리적 과제를 제안하도록 하겠다. 이 연구가 신경생물학과 기독교윤리 사이의 간학문적 통섭을 통하여 생태계에 대한 인식이 보다 깊어지기를 바란다. Can plants have soul? Recently, research on the perceptiveness of the plants have been performed along with this inquiry, proving that the plants are intelligent. The word ‘plant’ was commonly used in the expressions such as ‘plant–man’ or ‘plant–parliament’ as a metaphor for something that can’t move or think, but the plant science is revealing it as prejudice. This research will study the modern scientific discovery on plants while expanding the boundaries of bioethics and attempt to broaden the hermeneutical prospects of the biblical world view to plants. Also, this study will present a careful proposal regarding the directions of ecological theology from the Christian ethic’s perspective. The ecological study on the brain function of the plants have been rare within the Korean Christianity and while introducing the theories from the West, this research will progress in three major directions. Firstly, on the elements of brain functionality of plants emphasized in the neurobiology. Secondly, this neuro–biological interpretation will be used to broaden the hermeneutical boundary of the Christian world–view on plants. Thirdly, Christian ethical significance regarding plants will be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cological theology. Hopefully, this study, through interdisciplinary consilience between neurobiology and Christian ethics, will deepen the understanding of the ecosystem.

      • KCI등재

        집합 기억과 기독교 윤리

        유경동(Kyoung?Dong, Yoo) 한국기독교학회 2017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06 No.-

        기억이란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연결하여 인간의 행위를 지속케하는 뇌의 정신적 작용이라고 할 수 있다. 인간의 기억은 주로 대뇌피질과 측두엽의 신피질, 그리고 해마(hippocampus)가 그 역할을 담당하며, 인과관계에 의하여 필요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저장하여 삶을 지속케 한다. 뇌 과학에서 밝히고 있는 기억에 관한 연구는 집합 기억에 대하여서도 그 중요성을 강조한다. 인간에게 기억은 물론 일차적으로 개인에게 ‘항상성’ (homeostasis)을 유지하여 주는 역할을 하지만, 기억은 동시에 일련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형성되는 ‘집합적 기억’이기 때문에, 집단을 구성하는 인간의 정치나 윤리적 행위와 무관하지 않으며, 필자는 이 관점을 본 논문의 출발점으로 삼는다. 필자는 뇌 과학에서 강조하는 집합 기억에 대하여 신학과의 통섭(consilience) 을 위하여 세 가지 관점에서 논지를 전개하고자 한다. 첫째, 뇌 과학의 집합 기억에 관한 이론들을 정리하여 보겠다. 특히 집합 기억의 중요한 기능인 기억작용을 통한 ‘사회적 통합’의 역할을 중심으로 살펴보겠다. 둘째, ‘집합 기억과 신앙공동체’란 관점에서 성경에서 강조하는 ‘기억’의 핵심내용이 무엇인지 정리하여 보도록 하겠다. 공동체적으로 ‘기억하기’ 의 행위를 통하여 하나님과 이웃에 대한 ‘망각’을 극복하는 책임윤리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다. 셋째, ‘집합 기억과 기독교 윤리’를 통하여 뇌과학과 신학의 통섭을 시도하면서 윤리적 과제가 무엇인지 제시하도록 하겠다. 결론적으로 필자는 인간의 기억이나 집단의 ‘집합 기억’은 자연적인 것이거나 객관화가 가능한 수량적인 인지행위가 아니라고 강조한다. 인간의 의식은 기억 행위에 있어서 자신에게 유리하거나 불리한 것을 고려하고 조작하며 심지어 성경의 내용처럼 예수에 대한 기억을 무시하고 바라바에 대한 기억으로 바꾸기도 한다. 기독교 공동체의 기억은 과거의 문자화된 역사를 암기하는 것이 아니라, 역사 속에 공유되었던 기억을 생생하게 재현하고, 그 기억이 확산될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다. 잘못된 기억을 입력하고 그 기억이 올바른지에 대한 검증 없이 무차별적으로 소비하는 현대 문명의 이기 속에서 성경의 기억을 회상하고, 기독교 공동체에서 그 기억을 영적으로 재생산하는 사명이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하다고 본다. Memory(remembrance) is a mental interaction of the brain that connects the past, present and the future to sustain the human behavior. Cerebral cortex, neocortex of the temporal lobe and Hippocampus are in charge of human memory, systematically storing the necessary information through a casual relationship to sustain life. Memory revealed by the neuroscience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collective memory’ as well. Certainly, the memory plays, primarily, the role of sustaining personal homeostasis in humans but at same time, since memory is a ‘collective memory’ formed through a series of social interaction, it is not irrelevant to the politics or ethical behavior of human that form a mass, and the author will place this perspective as the starting point of this paper. The author will unfold the argument from three points of view for the consilience of theology with the ‘collective memory’ that is emphasized by the neuroscience. Firstly, theories regarding the ‘collective memory’ of the neuroscience will be organized. Especially, the role of ‘social consolidation’ through the interaction of the memory, which is a crucial function of the ‘collective memory’ will be the center of examination. Secondly, from the viewpoint of the ‘theology of the collective memory,’ the author will try to organize what the core substance of the ‘memory’ emphasized by the Bible is. The ethical responsibility of how the community overcomes the state of ‘oblivion’ of God and neighbours through the behavior of ‘remembering’ will be examined. Thirdly, by attempting the consilience of neuroscience and theology through the ‘Christian ethics of collective memory,’ the ethical challenge will be presented. The author will leave out the interpretation and the biological functions regarding the memory from this article. Instead I attempt to introduce points of arguments concerning the ‘collective memory,’ and apply them to theology and to Christian ethics. Hopefully, the consilience with theology through theories regarding the ‘collective memory’ of the neuroscience, still an unexplored field in Christian theology, will contribute to the fundamental development of each field.

      • KCI등재

        뇌기능과 뇌의식의 문제를 극복하는 윤리적 공동체 연구

        유경동(Kyoung?Dong Yoo) 한국기독교학회 2015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96 No.-

        이 글은 뇌과학의 최근 연구에서 인간의식과 뇌기능에 관계된 이론을 소개하며 아울러 그 한계를 살펴보고 이를 극복하는 공동체의 역할을 강조하는 관점에서 세 가지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뇌과학에서 정의하는 인간의식에 대하여 살펴보고, 특히 ‘뇌의 기능과 의식’의 문제에 대하여 탐구하고자 한다. 뇌기능은 뇌의 특정부위에 있는 신경세포의 역할이고, 의식은 이 기능을 통하여 수행되는 인지적 능력이다. 그러나 현대 뇌과학의 발견에 따르면, 뇌기능과 의식 사이에 수행되는 인간의 사고와 판단이 정상적이지 않을 때가 많다. 기능과 의식이 과연 일치하는지, 또는 기능의 상실과 의식의 상실로 말미암아 윤리적으로 어떤 문제가 제기되는지 살펴봄으로써 인간의 윤리적 행위에 대한 책임과 그 한계를 살펴보는 것은 매우 의미가 있다고 본다. 둘째, 인간의 의식과 기능에 문제가 생길때, 이를 극복할 수 있는 공동체성과 뇌의 사회성에 대하여 논지를 전개하겠다. 셋째, 뇌과학의 관점에서 의식과 기능의 문제에 대한 기독교윤리학적 과제가 무엇인지 대안을 제시하고, ‘집합의식’의 역할과 교회공동체의 책임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다. 뇌기능과 의식의 연구가 관련 학제에서도 한계가 있는 상황에서 필자의 관심은 뇌기능과 의식을 도덕적 범주에서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즉 뇌의 기능에 따른 의식의 역할을 검토하고 그리고 의식에 따른 인간의 행위를 이해함으로써 기능과 의식 사이의 일치 또는 불일치의 문제를 분석하여 보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우리는 최소한 인간의 행위를 자신의 주관적인 의식적 차원에서 상대방의 행위를 도덕적으로 판단하지 않고, 행위를 유발하는 뇌기능의 문제와 이를 해석하는 공동체주의 관점까지 접근함으로써 인간의 도덕적 행위와 윤리적 원리를 보다 통전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된다고 본다. Age related problems in brain function call our attention to the cognitive functions of the human brain. The questio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ciousness and brain function has been a heated issue because they imply our understanding of reality, self and the world. In the discussion of the relationship and comparison between the brain function and consciousness, such issues as cognitive function, memory, consciousness, self, and various syndromes in relation to brain injury are engaged to explore the meaning of ethics and responsibility in the context of brain science. After reviewing all the factors of the above issues briefly, this paper comes to a conclusion that the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 of the brain and collective memory needs to be shared to create a sense of ethical community. To achieve this goal, Christian communities are encouraged to revise the standard of the public and Christian ethics.

      • KCI등재

        뇌 과학에서의 자아와 신학적 자아

        유경동(Kyoung?Dong Yoo) 한국기독교학회 2016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00 No.-

        필자는 이 글에서 세 가지 논지를 발전시킨다. 첫째, 자아개념에 대한 뇌 과학의 이론들을 분석하여 자아와 연관된 뇌 과학의 관점은 세 가지 견해를 정리하였다. 그것은 각각 생물학적 차원에서 뉴런과 같은 뇌세포와 중추신경계통의 작용으로 보는 뇌신경적 관점, 이러한 뇌의 생물학적 작동 때문에 형성되는 뇌의식과 인지작용, 그리고 뇌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의 주위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뇌의 사회화 관점에서 보는 입장이다. 둘째, 어거스틴과 아퀴나스에게는 현대 뇌 과학과 같은 학문적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지만, 신학적으로 신앙에 있어서 자아의 역할에 관한 탐구가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 자아에 대한 이해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정리하였다. 어거스틴에게 자아개념은 이분법적인 관점에서 죄악에 사로잡혀 있는 자아와 주의 은혜로부터 회복된 자아개념으로 나뉘며, 회복된 자아는 하나님의 사랑이 계시된 진리의 말씀에 사로잡히게 되어 하나님을 따라 순종하는 참된 자유의 세계에서 살아갈 수 있게 된다. 진정한 자아는 감각의 세계를 통제하며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삶을 살게 되고 눈이나 감각 그리고 잘못된 의지를 통하여 영향을 받는 욕망을 제어하고 항상 거룩한 삶으로 나아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자아는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으심을 입은 자아를 새롭게 인식하여 이 내적 자아는 비록 육체의 한계를 극복할 수는 없지만 온전한 하나님의 피조물로 살아가는 삶을 최고의 가치로 여긴다. 아퀴나스에게 자아는 인간이 추구하는 행복을 목표로 하면서도 인식의 주체성을 확보하고 자율성이 전제되어야 하는 개념이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행복이나 인식 그리고 자율성의 최고 원리가 되는 하나님을 전제함으로써 자아는 하나님의 선행적 원리 안에서 벗어나지 않게 된다. 언뜻 아퀴나스의 자아는 인간 이성의 독립성과 인간의 자유의지가 강조되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하나님 안에서의 이성과 자율성이 강조된다. 셋째, 뇌 과학의 자아개념과 고전의 신학적 자아개념과의 차이점을 살펴보고 기독교윤리학적 관점에서 뇌 과학의 뇌 결정론적 관점을 극복할 수 있는 신학적 대안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현대 뇌 과학에서 밝히는 자아의 개념을 통하여 인간의 의식과 자율성, 그리고 의지의 개념을 이해하는 데 날로 정교화되어 가지만 여전히 생물학적 인과율에 제한되어 있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 한편, 기독교적 관점에서 하나님의 뜻을 실현하는 영혼과 자유의지는 과학적 관점으로 설명할 수는 없지만 어거스틴과 아퀴나스가 설명하려고 한 자아개념을 통하여 뇌 과학과 신학 간에 통섭의 길을 열어놓을 수 있다고 본다. 이는 또한 인간의 책임과 자율성을 탐구하는 윤리학을 생물학적 인과율에 의존하지 않고 더욱 심오한 종교성의 발로에서 찾으려는 신학적 노력도 동시에 요청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을 통하여 인간성의 이해가 깊어지며 육체의 욕망을 넘어 보다 깊은 인간성의 성찰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The remarkable development in neuro–science calls our attention not only to the cognitive functions of the human brain but also to the understanding of self. In the discussion of the comparison between the idea of self in brain science and theology, traditional theologians such as Augustine and Thomas Aquinas are introduced to explore their understanding of self in relation to God and the Bible. Augustine’s theory of self is based on his notion of body–soul dualism and free will. Augustine places human self into soul, not body. For Augustine, human self is the principal agent in the control of both desire and perception. As the supervisor of perception, human self controls human sense, cognition, and thought. With regard to its perceptive ability, Augustine states that human soul reflects the trinity of God. Augustine also states that the human soul is limited. As the controller of desire, the human soul is under the influence of the human’s limited free will. Through human’s individual being, knowing, and will, the human soul can be corrupted. However, Aquinas presents a very different view on human self. While Augustine considers human self as being totally distinguished from body, and only belonging to the soul, Aquinas argues human soul cannot be explained by either soul or body. Aquinas regards human self as the combination of body and soul. For Aquinas, human self is the principal agent of free will. Human self with free will pursues the ultimate goal and has the abilities of rational judgment and decision–making. In this respect, Aquinas’s theory of human self shows a more positive attitude to human self than Augustine. After reviewing the above issues briefly, this paper comes to a conclusion that the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self is deeper than that of brain science regarding the human subjectivity and the free will in relation to God’s purpose to recover the image of God in human beings.

      • SCIESCOPUSKCI등재

        Magnetic Properties of Ordered L1₂ FePt₃

        Dongyoo Kim,Jisang Hong 한국자기학회 2011 Journal of Magnetics Vol.16 No.3

        Using the full potential linearized augmented plane wave (FLAPW) method, the influences of uniform and tetragonal strains on the magnetic state have been explored for chemically ordered bulk L1₂ FePt₃. The ordered state displays antiferromagnetic Q₁ (AFM-Q₁) state but it transitions into antiferromagnetic Q₂ (AFM-Q₂) state at about 10% uniform strain. The ferromagnetic (FM) state is observed at 11% uniform strain. For tetragonal strain, it is also seen that the transition from AFM-Q₁ to AFM-Q₂ depends on the strength and direction of the applied strain. The FM state does not appear in this case. Magnetocrystalline anisotropy (MCA) calculations for tetragonal distortion reveal that the spin reorientation transition occurs. In addition, we find that the direction of magnetization and the magnitude of magnetic anisotropy energy strongly depend on the c/a rati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