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Factors Associated with Body Mass Index(BMI) Among Older Adults: A Comparison Study of the U.S., Japan, and Korea

        염지혜,김정기,Eileen M. Crimmins 韓國老年學會 2009 한국노년학 Vol.29 No.4

        노인들의 체질량지수는 노후 삶의 질을 결정할 수 있는 중요한 변수임에도 불구하고 어떤 요인 들이 이와 관련되어 있는가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국, 일본, 한국 노인들의 체질량 지수의 분포가 어떻게 다른지 고찰하는데 일차적인 목적을 두었다. 더 나아가, 세 국가 노인들의 체질량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그 관계가 세 국가에서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자료는 미국 (LSOA II, N=8,589), 일본 (NUJLSOA, N=2,888), 그리고 한국의 고령화연구패널 (KLoSA, N=2,397)을 사용하였으며, 기술적인 분석과 체질량지수를 종속변수로 하는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일본과 한국 노인들의 체질량지수 분포는 매우 유사했지만, 일본 노인들의 체질량지수가 한국 노인들의 그것에 비교하여 좀 더 가벼웠으며 분포의 오른쪽 상단인 비만에 해당하는 부분에서 더 낮은 비율을 보였다. 한국과 일본의 체질량 지수 분포는 미국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좌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최빈값에서 덜 퍼져있음이 밝혀졌다. 체질량지수와 사회경제적인 변인의 관계는 한국 노인들에 비해서 미국과 일본 노인들에게서 더 강하게 나타났으며, 한국의 경우 기존연구와 달리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체질량지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사회경제적 변인이나 건강행태보다 인구학적 변수들이 체질량지수에 좀 더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일본의 경우 세 가지 건강행태가 모두 체질량지수를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미국, 일본, 한국에서 노인의 체질량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그 관계의 방향성은 다르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상이한 국가에서 노인들과 현장에서 마주하게 되는 노인병 의사, 간호사, 양로원의 책임자, 사회복지사 등이 노인들로 하여금 적절하게 몸무게를 조절하게 하기 위해서는 어떤 요인이 중요한지 파악할 수 있게 해주고 구체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다는데 그 정책적인 함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BMI distributions among older adults in three different countries: the U.S., Japan, and Korea. The paper also explored differences in the factors predicting BMI in the three countries using three data sets: the U.S. Longitudinal Study of Aging (LSOA II, 8,589 persons), the Nihon University Japanese Longitudinal Study of Aging (NUJLSOA, 2,888 persons), and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2,397 persons). Descriptive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performed. Japanese older adults were somewhat lighter than Koreans with fewer people at the upper end of the BMI distribution. Distributions of BMI among both Koreans and Japanese are shifted leftward relative to Americans. There is less dispersion in the distribution of BMI for Koreans and Japanese than among Americans. The association between socioeconomic variables and BMI is stronger in the U.S. and Japan than in Korea. Demographic variables are strong predictors of BMI in Korea. In Japan, all health behavior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BMI. It is concluded that the relationships between behavioral, demographical, and socioeconomic factors and BMI are not the same across countries. Results hav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involvement of health practitioners in helping older adults to control weight.

      • Do Scores on an Attention Test Predict Scores on Executive Function Tests?

        Angela N. Burda,Jaimie L. Gilbert,Courtney Amundson,Kelsey Baughman,Aaron Brummel,(Sarah Crimmins),(Lisa Daringer),(Courtney Hansen),(Delaney Hoffman),(Olivia Ferguson),(Katherine Polit) 한국언어재활사협회 2018 Clinical Archives of Communication Disorders Vol.3 No.3

        Purpose: This study sought to determine if younger and older adults’ scores on the Attention Process Test predicted scores on the Behavioral Assessment of Dysexecutive Syndrome and Functional Assessment of Verbal Reasoning and Executive Strategies. Methods: The Attention Process Test, the Behavioral Assessment of Dysexecutive Syndrome, and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Verbal Reasoning and Executive Strategies were administered to 60 younger and 60 older adults in a counter-balanced manner. Regression statistics were calculated to determine any predictive outcomes. Results: For older adults, the Attention Process Test significantly predicted the Behavioral Assessment of Dysexecutive Syndrome’s total profile standard scores, and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Verbal Reasoning and Executive Strategies’ total standard scores for Accuracy, Rationale, and in one analysis significantly predicted Reasoning. For younger adults, when correcting for high correlations among the five Attention Process Test subtests, this test did not significantly predict their scores on the Behavioral Assessment of Dysexecutive Syndrome or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Verbal Reasoning and Executive Strategies’ total standard scores. Conclusions: The Attention Process Test was consistently a significant predictor of executive function measures in older adults, but not younger adults, sugges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ttention and executive function may be different for these age groups. Thus, different evaluation procedures may be warranted for older adults versus younger adults. A caveat of these findings is that these results were obtained with healthy, neurologically intact individuals. Future research should further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ttention and executive function in adults with acquired neurological dam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