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사범계열과 비사범계열 대학생의 캡스톤 디자인 수업에 대한 학습경험과 학습성과 인식 차이

        김정연 ( Chungyun Kim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8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2 No.4

        캡스톤 디자인은 미래 사회에서 산업계가 요구하는 융·복합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적합한 교육이다. 이에 따라 공학뿐만 아니라 인문, 사회, 자연, 예술 및 사범계열 분야에까지 확장되어 운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범계열과 비사범계열로 구분하여 전공과목으로 운영된 캡스톤 디자인 수업에 대한 학습경험과 학습성과 인식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캡스톤 디자인 수업을 수강한 대학생 258명을 대상으로 학습경험과 학습성과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사범계열과 비사범계열에서의 학습경험 및 학습성과 인식에서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사범계열에서의 캡스톤 디자인 수업 개선과 방향성에 있어 중등교육뿐만 아니라 평생교육 현장과의 긴밀한 연계성을 가지고 사범계열에서의 전문성 실현을 위해 체계적인 캡스톤 디자인 수업 운영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Capstone design class is suitable for cultivating convergent talented people required by an industrial world in the future society. As a result, it has expanded to include not only engineering but also humanities, social studies, nature, arts, and education major fiel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learning experience and learning outcome recognition about a capstone design class by separating students who majored in education from ones who majored in non-education. For this purpose, 258 university students who took a capstone design class were surveyed about learning experience and recognition of learning outcomes. From this research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learning experience and recognition of learning outcomes in the education major and non-education major fiel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ystematic capstone design class should be operated in order to realize professionalism closely related with the lifelong education field as well as the secondary education in improvement and direction of capstone design in the education major field.

      • KCI등재

        대학 신입생의 자기계발 수업 수강이 자아개념 및 자아탄력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김정연 ( Chungyun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2

        본 연구에서는 대학 신입생의 자기계발 수업 수강이 자아개념 및 자아탄력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총 15주, 한 학기 동안 실험집단 대학 신입생 53명은 자기계발 수업을 수강하였고, 통제집단 대학 신입생 50명은 기초학문탐구 수업을 수강하였다. 대학 신입생의 자아개념 및 자아탄력성 측정은 대학생용 자아개념 검사(이경화·고진영, 2015) 및 대학생용 자아탄력성 검사(이은석·김성회, 2012)를 사용하여 사전 및 사후검사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결과, 대학 신입생의 자기계발 수업 수강은 자아개념과 자아탄력성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대학 신입생 시기부터 비인지적 역량 계발이 중요하며, 자아개념 및 자아탄력성 함양을 위해 다양한 활동, 발표 및 토의 등을 할 수 있는 자기계발 수업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시사한다. The effect of taking a self-development class on improving self-concept and ego-resilience of university freshmen was analyzed in this study. For 15 weeks, one semester, 53 university freshmen in an experimental group took the self-development class, and 50 university freshmen in a control group took a basic academic exploration class. The self-concept and ego-resilience measurement of university freshmen was conducted as pre- and post-tests using the self-concept test for university students (Lee & Koh, 2015) and the ego-resilience test for university students (Lee & Kim, 2012).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self-development class for university freshmen was effective in improving self-concept and ego-resilie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foster non-cognitive competency during the freshman year of university and it is desirable to develop and use the self-development class where university freshmen can do various activities, presentations, and discussions to promote self-concept and ego-resilience.

      • KCI등재

        사범계열 대학생의 학년별 창의융합역량 및 자기주도학습능력 차이 분석

        김정연 ( Chungyun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5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와 창의융합인재 육성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면서 사범계열 대학생을 위한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법에 있어서 변화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사범계열 대학생의 인지적 및 비인지적 측면의 수준 파악과 역량 강화 전략을 위한 기초자료 마련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현재 사범계열을 전공하고 있는 261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창의융합역량 및 자기주도학습능력을 측정하여 학년별 차이가 어떠한 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창의융합역량 및 자기주도학습능력의 하위요인에서 학년별 특성이 반영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서 학년이 올라갈수록 전공특성이 강화되기 때문에 학년별 차이가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사범계열 저학년부터 창의융합역량과 자기주도학습능력을 계발할 수 있는 차별화된 교육과정과 교수-학습법을 적용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With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increasing demand for creativity convergence talented people, the necessity of change in the curriculum and teaching-learning method for university students in education major was raised. Accordingly,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level of cognitive and non-cognitive aspects of university students who majored in education and to make basic materials for competency strengthening strategies. To this end, the creativity convergence competen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261 university students whose major was education were measured. The differences between grade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were differences in which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ade were reflected in the sub factors of creativity convergence competen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the result of study, the differences between grades appeared because the major characteristics were strengthened as the grade was higher. These findings suggest differentiated curriculum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to develop creativity convergence competen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hould be applied from the lower grade with education major.

      • KCI등재

        대학생의 창의융합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

        김정연 ( Chungyun Kim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8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2 No.3

        대학은 대학생의 창의융합역량 향상을 위한 고등교육의 질 제고와 창의와 융합에 기반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야 하는 시대적 요구에 직면해 있다. 이는 미래 패러다임을 선도적으로 이끌어 갈 창의융합인재를 육성시킬 수 있는 창의융합교육이 강화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대학에서의 창의융합교육과정 및 교수-학습자료 개발 전략을 마련하기 위해 대학생의 창의융합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423명을 대상으로 창의융합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고 그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성, 학년 및 전공계열에 따라 다양한 차이가 나타났고, 이는 배경변인별 특성이 반영된 차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성, 학년 및 전공계열을 고려하여 창의융합교육이 실시되어야 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창의융합교육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을 높여야 하고, 창의융합교육을 구성하는 하위 요인에 대한 요구를 반영한 교육적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Universities are faced with the needs of the times to enhanc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in order to improve creativity convergence competency and to create new value based on creativity and convergence. This implies that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creativity convergence education that can foster creativity convergence talented people who will lead the future paradigm. Accordingly this study was to analyze recognition and needs of university students about creativity convergence education in order to develop creativity convergence curriculum and development strategy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in universities. For this purpose, recognition and needs of 423 university students from four-year universities about creativity convergence education were surveyed and their differences were compared. As a result, there were various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grade, and major field, which was ones that reflected characteristics of the background variables. These results show that the creativity convergence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considering gender, grade and major field. Also, it suggests that the level of recognition of university students about the creativity convergence education should be raised and an educational approach that reflects the needs for sub factors which form the creativity convergence education is necessary.

      • KCI등재

        대학생의 창의적 성격 및 자아개념 향상에 미치는 온라인 창의수업의 효과

        이경화 ( Kyunghwa Lee ),김정연 ( Chungyun Kim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문화연구 Vol.23 No.1

        본 연구에서는 창의융합인재 육성에 대한 시대적 요구에 맞추어 개발된 온라인 창의수업이 대학생의 창의융합역량과 관련된 창의적 성격 및 자아개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온라인 창의수업을 실시하기 전, 후에 사전, 사후검사로 창의적 성격(이경화, 2014)과 자아개념(이경화, 고진영, 2015)을 측정하여 창의적 성격과 자아개념 향상에 미치는 수업효과를 분석하였다. 한편, 온라인 창의수업의 효과가 대학생들의 성, 학년, 전공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 지를 확인하게 된다면 향후 대학에서 실시되는 창의성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에 도움을 제공할 것이라고 보았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실험설계를 하였는데. 온라인 창의수업을 수강하는 374명의 대학생들을 실험집단에, 온라인 자기주도학습을 수강하는 321명의 대학생들을 비교집단으로 배정하였다. 한 학기 수업 후에 실험의 효과를 확인한 결과, 온라인 창의수업을 수강한 실험집단 학생들의 창의적 성격과 자아개념은 비교집단 학생들에 비해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향상 정도는 대학생의 배경변인인 성, 학년, 전공에 따라 부분적으로 통계적인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미래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재가 갖추어야 할 역량으로서 창의적 성격과 자아개념 함양을 위해 대학 강의를 체계적으로 어떤 내용과 방법으로 실시할 것인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oster creative confluent talented students, identifying the effect of online creativity class on creative personality and self-concept of university students and average score differences before/after online creativity class and online self-directed class, according to gender, grade and major. So, an experimental group of 374 and a control group of 321 were compared based on the results of creative personality of the integrated creativity test(Lee, 2014) and self-concept test(Lee & Koh, 2015).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there were partially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of creative personality and self-concept according to gender, grade and major. Therefore differentiated curriculum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to foster creative confluent talented students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should be implemented systematically for a long term.

      • KCI등재

        두줄쓰기 창의기법 적용 동시짓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능력과 창의적 성격 향상에 미치는 효과

        고성희(Sunghee Koh),이경화(Kyunghwa Lee),김정연(Chungyun Kim)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3

        본 연구는 두줄쓰기 창의기법을 활용한 동시짓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능력 및 창의적 성격을 향 상시키기에 효과적인지를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실험설계로 유아 30명을 대 상으로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지역의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4세 2개 반을 무선 선정하여, A학급 15명을 실험집단, B학급 15명을 통제집단으로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에서는 두줄쓰기 기법을 활용한 동시짓기 활동을 적용하였고, 통제집단에서는 누리과정에 기초한 동시감상활동을 하였 다. 그리고 실험 전·후에 유아용 통합창의성검사(이경화, 2014)를 하였고, 집단 간 독립표본 t-test와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두줄쓰기기법을 활용한 동시짓기 활동은 유아의 창의 적 능력 및 성격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의 창의성 계발 을 위하여 두줄쓰기기법을 활용한 동시짓기 활동이 의미 있게 사용되어, 유아를 창의융합인재로 육성 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whether a poem making activity using two-line writing technique was effective in improving creative ability and creative personality of young children. Experimental study was carried out on 30 young children with a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experiment desig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as 2 classes of 4-year-old young children at a daycare center in Seoul. 15 students in the A class and 15 students in the B class were assigned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experimental group, a poem making activity using two-line writing technique was applied, and a poem appreciation activity based on the Nurie process was implemented in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the integrated creativity test for young children(Kyunghwa Lee, 2014)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and an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covariance analysis(ANCOVA) were performed. As a research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a poem making activity using two-line writing technique was effective in improving creative ability and creative personality of young childre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possibility of fostering young children as creativity convergence talented people while a poem making activity using two-line writing technique is used meaningfull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