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최일수 문학비평 연구 : 1950년대 비평담론의 장을 중심으로

        정학재 한국언어문화학회 ( 구 한양어문학회 ) 2002 한국언어문화 Vol.22 No.-

        Chung Hak jae. 2002. A study on Choi il-soo's literary criticism. The purpose o this paper is to clarify that Choi Il-Soo's criticisms sere the search for the literature of the Korean nation. The research method in this paper is Pierre Bourdieu's fields and symbolic struggles. I classified Choi's criticisms into three aspects ; (1) aspect of the literary generation (2) aspect of the attitude to the culture tradition (3) aspect of the attitude to the national literature. (1) About the literary generation, Choi used discourse strategy of inclusion and difference, distinct from other critics' strategy of exclusion and enhancement (2) About the culture tradition, Choi surpassed the strategy of concealment by the tradition negationists and abstract and ideal discourse by the tradition accessionist. His discourse included form and substance. (3) About the national literature, Chung Tae-Yong and Choi's discourses are superior to others. Because they re-defined the nationality through the historical view. (4) Choi's discourses about the national literature were continued to the concern about the third world's literature. (5) Choi's discourses about the national realism were on the basis of the confidence in the progress of history and he had the intenion to the methods of creation. finally, we could understand tat Choi's literary criticisms were superior to others'in the field of 1950's literary criticism about the aspect in the tradition and national literature and it could be more clear when compared with other critical subjects.

      • Note-Taking as a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and Cognitive Style : Impact on Immediate and Delayed Learner's Academic Performance

        Chung, Jae-Sam,Ki, Hye-Hee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04 East west education Vol.21 No.-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cognitive style and self- regulated learning strategy such as note-taking methods on learners' students' academicper formance. Statistical analysis result showed that both cognitive style and note-taking method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n immediate test.However, there is a significant main effect of cognitive style on a delayed test. Field-dependent students significantly outperformed field-independent students on the delayed test. Also, the main effect of note-taking methods on the delayed test was significant. Students who took notes in a matrix scored higher on the delayed test than did students who took notes in a free format.

      • Theoretical Background of Interaction and Online Discussion in the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

        Chung, Jae-Sam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1 East west education Vol.1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literature, theories, and models on interaction, online discussion, and e-learning in the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 Literature reviews suggested ten factors: the attitude toward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the attitude toward writing, intrinsic/extrinsic motivation, previous knowledge on the subject, the relevance of the discussion topic, the interaction with instructors, physical environment, psychological environment, support. These factors can be categorized into 3 groups such as learner-related factors, design-related factors, and environment-related factors. Based on this study,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were offered: alleviate anxieties on writing, assign students to the discussion group according to the previous knowledge on the topic, implement motivational strategies, assign grades for adequate portion, offer discussion topic which learners consider relevant to them, interact with learners actively, facilitate learners to interact with peer learners. Implications this inquiry into interaction and online discussion for online learning and instruction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Metallurgical Process for Total Recovery of All Constituent Metals from Copper Anode Slimes: A Review of Established Technologies and Current Progress

        Jae‑chun Lee,Kurniawan Kurniawan,Kyeong Woo Chung,Sookyung Kim 대한금속·재료학회 2021 METALS AND MATERIALS International Vol.27 No.7

        Copper anode slimes, the by-product of the copper electrorefining process, have been the subject of extensive investigationfor recovering precious metals viz., Au, Ag, Pt and Pd, in addition to being the main source of rare/energy-critical elementssuch as Se and Te. There have been various approaches aiming at the development of extraction processes involving thermaland aqueous approaches and their combination. In this paper, the literature relating to the treatments of copper anode slimeis compiled to present the underlying concept for the total recovery of all valuable metals from anode slimes. The industrialand proposed scenarios gathered from various sources show that the basis of applying different streams essentially dependson the concentration of copper and selenium in the slimes. Copper anode slime processing has a history of being in a developmentperiod, though at times showing overlaps. The discussion of each metallurgical process is basically explained bythermodynamic analysis using suitable software as well as fundamentals of the chemistry. Recent progress is highlightedand compared to the established technologies with regard to environmental impact and economic consideration/feasibility. This discussion is followed by the construction of a conceptual flowsheet on the progress currently made. It is expected thatfurther work regarding metal recovery from copper anode slimes would objectively shorten the number of stages for thepretreatment as well as metal separation from leach solutions.

      • A STUDY ON THE RISK PROTECTION OF THE MOLD TRANSFORMER

        Chung,Young-Ki,Jung,Jong-Wook,Kim,Jae-Chul,Kwak,Hee-Ro,Lee,Su-Kyung 한국화재소방학회 1997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1997 No.-

        This paper investigates and analyzes the installation and failure status of mold transformer being used in domestic subways and describes the extinguishing process by time through the combustion test of winding part of mold transformer. Condition of installed mold transformers and classes of fire were surveyed and the mold transformer was burned in a horizontal heating furnace. It was confirmed that the mold transformer is self extinguishing and nonflammability. According to this results, the suitable standard of fire protection for the mold transformer was demanded after review of domestic and abroad law. It is expected that the cost of fire protection equipment can be reduced by using the status and combustion test result of mold transformer.

      • KCI등재

        아시아 12개국의 응급의학 실태에 대한 연구 조사

        정제명,왕순주,안무업,박재형,유기철,박준석,강재구,제프리 아놀드 대한응급의학회 1999 대한응급의학회지 Vol.10 No.4

        Background : To assess the current level of development of emergency medicine (EM) systems in Asia. Method : Survey of EM professionals from 12 Asian countries during a 90-day period from August to November 1998. 12 EM professionals from 12 Asian countries completed the survey. All participants were physicians. 7 participants (58%) gave presentations at an international EM conference during the study period. Respondents completed a 103 question questionnaire about the status of EM specialty, academic, patient care, information and management systems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future of EM in their countries. Results : 92% of respondents stated that their countries have hospital-based emergency departments (ED). More than 80% of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ir countries have EMS systems and ED systems for trauma care and patient transfer. More than 70% stated that their countries have national EM organizations, EM research, national EMS activation phone numbers, ED systems for pediatric emergency care, emergency physician (EP) training in ACLS and ATLS and peer review. More than 60% reported official recognition of EM as an independent specialty status, ED triage systems and systems for customer service. More than 50% reported EM residency training programs, EM journals and EP ability to perform rapid sequence intubation (RSI). 50% reported EP ability to perform thrombolysis for acute MI and 33% reported EP ultrasonography. 92% felt that a lack of funding posed a moderate or great obstacle to the future development of EM in their countries. Conclusions : Many essential systems of EM now exist throughout Asia. In the systems of administration and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in many countries, there are some parts to be developed further.

      • KCI등재후보

        A Genealogical Approach to the Incoterms Rules and Revised Incoterms 2010

        Jae,Hwan Chung,Bong‐,Soo Lee 한국무역학회 2013 Journal of Korea trade Vol.17 No.2

        Incoterms have provided a set of rules that the global trade community can use for the interpretation of shipping terms. Always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eller’s delivery obligation, Incoterms focus on the responsibility for the risk of loss or damage to the goods sold, division of transportation and customs‐related costs between the seller and buyer, and the obligation to execute certain functional activities related to the movement of the goods. The ICC has consistently attempted to update Incoterms in a way that keeps pace with the evolution of business practices. The ICC recently published the new listing of terms, which hints at some of the significant changes ahead in the new publication. It is not certain how the Incoterms 2010 have been used in practice, so it is difficult to find out related problems. Therefore, those who are unwilling to use Incoterms 2010 are free to choose Incoterms 2000 or other trade terms. However, this kind of practice can cause a conflict because of differences in the interpretation of trade terms in international trade. It would be desirable to use Incoterms 2010 based on the revised Incoterms 2000. It is still unclear how predominantly Incoterms 2010 will be used in international trade. Of course, it is necessary to keep updating trade terms based on a deeper analysis on the matters associated with the Incoterms rules, and maintain an understanding of contemporary changes. In this context, this thesis aimed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Incoterms rules and find out how t

      • 서울의 Penicillinase Producing Neisseria gonorrhoeae 발생빈도(1998)

        김재홍,김준호,반재용,이정우,황성주,정준규,정성태,강진문,조흔정,홍창의,정혜신,이한승,김이선,이봉길,이종호,선영우,한기덕,윤성필,이성훈,안종성,박석범,문승현,조항래,김형섭,류지호,황재영,박준홍,손상욱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2001 한양의대 학술지 Vol.21 No.1

        In recent years, gonorrhea has been pandemic and remains one of the most common STDs in the world, especially in developing countries. For the detection of a more effective therapeutic regimen and assessing the prevalence of Penicillinase Producing Neisseria gonorrhoeae(PPNG), we have been trying to study the patients who have visited the Venereal Disease Clinic of Choong-Ku Public Health Center in Seoul since 1980 by menas of the chromogenic cephalosporin method. In 1998, 93 strians of N. genorrhoeae were isolated, among which 60(64.5%) were PPNG. The prevalence of PPNG in Seoul, which had been decreased to 39% in 1996 after a peak of 74.3% in 1993, is increased to 64.5% in 1998.

      • 공공부문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에 관한 연구

        정소윤 ( Chung Soyoon ),이재호 ( Lee Jae Ho ),김정해 ( Kim Jung-hai ) 한국행정연구원 2020 기본연구과제 Vol.2020 No.-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연구의 필요성 ○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국가경쟁력 - 인공지능, IoT, 클라우드 등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국가의 경제와 산업에 막대한 영향을 주는 시대가 됨 - 디지털 기술의 발전 정도가 국가경쟁력을 좌우하는 중요 변수가 됨. WEF 영국의 국가경쟁력 순위 2010년 12위 → 2018년 8위(NIA, 2019: 2) - 많은 국가들이 2015년부터 국가차원에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을 세우고 확산시키면서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해 노력하고 있음 ○ 한국의 빠른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 수립과 실행 필요 - 한국의 경우 산업화는 늦었지만 후발국가로서 많은 성장을 이루어 왔으며, 정보화에 있어서는 선제적으로 추진하여 국가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동력으로 삼았음 - 그러나, 한국의 디지털 발전 수준은 타 국가와 비교해서 모멘텀을 잃고 있는 정체단계에 있어 디지털 경제에서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는 추가적인 혁신방안의 모색이 필요 ○ 2020년 COVID-19의 확산으로 사회의 전 분야에 엄청난 변화가 발생하였으며이에 대응하기 위한 정부의 역할이 중요해짐 - COVID-19로 인한 큰 변화로 경제위기 및 대규모 실업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가속화, 세계질서 재편과 탈세계화 등을 들 수 있음(김정해ㆍ이사빈, 2020: 3) - 이 중에서도 사회적 거리두기, 비대면 업무 수요의 폭발적 증가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진행 속도가 매우 빨라지고 있으며, 이는 디지틀 플랫폼이라는 새로운 비즈니스 분야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짐 - 이러한 급격한 변화 속에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추진함으로써 혁신적인 변화를 적극적으로 이끌어가야 할 정부의 역할 및 역량이 강조되고 있음 ○ 2020년 7월, COVID-19 위기 상황에서 데이터 경제 활성화를 통한 경제도약의 추진 수단으로 한국 정부는 디지털 뉴딜 정책을 추진할 것을 발표 - 디지털 뉴딜 정책은 정부ㆍ기업ㆍ시민 등을 아우르는 국가 차원의 경제 발전 국책 사업으로 정의될 수 있음 - 이러한 정책은 국가 차원의 데이터 전략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통해 보다 성공적으로 수행될 수 있음 ○ 특히,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통한 정부 혁신의 추진 및 실효성 제고를 위한 정부 역량강화 필요 - 민간 대기업의 경우 생존을 위한 경쟁력 확보를 위해 이미 전사차원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추진 중임 - 이러한 기술발전과 사회 변화에 발맞추어 정부 역시 디지털 트랜스 포메이션을 통해 대국민 서비스의 효율성, 투명성, 책임성, 신뢰성 제고를 위해 노력해야 함 - 또한 정부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을 수행하여 결과적으로 국가 전체의 웰빙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함 □ 연구 목적 ○ 본 연구는 전 세계적 흐름으로 등장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에 정부혁신의 방향성과 장애요인 및 성공요인 등을 분석하고,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통해 SMART 정부를 구현하기 위한 정부혁신 비전과 전략 그리고 세부 이행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임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연구동향 및 선행연구 분석 - 각국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및 정부혁신 사례 분석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장애요인과 성공요인 분석 - 공공부문 혁신을 위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추진전략 및 이행방안 제시 □ 연구 범위, 내용 및 방법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핵심이 되는 기술인 인공지능, 데이터, 클라우드 시스템 중심으로 연구범위를 한정하고 주요 대상국가(미국, 영국, 싱가포르, 중국)를 대상으로 사례분석 진행 ○ 본 연구의 연구방법으로 문헌분석, 빅데이터(서지계량)분석, 해외사례 분석, 공무원 인식조사, 전문가 조사 등을 진행함 - 문헌분석을 통하여 이론적 논의와 선행연구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빅데이터(서지계량)분석을 통해 관련 연구동향을 파악함 - 해외사례 분석에서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선도 국가(미국, 영국) 사례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두각을 나타내는 후발 국가(싱가포르, 중국) 사례에 대하여 전략, 조직, 인사, 시스템 분야로 나누어 추진 현황을 살펴보고 성공요인과 장애요인을 분석함 - 국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현황 분석에서는 전략적 측면과 이에 따른 조직 및 인력의 운영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공공부문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과 이에 따른 정부혁신에 대한 현황을 살펴봄 - 전문가 분석을 통하여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통해 향후 정부혁신이 어떠한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하는지, 그리고 구체적인 추진 사항에 대하여 조사함 - 설문조사에서는 공무원 및 공공기관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과 정부혁신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해 조사함 - 이 모든 결과를 종합하여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통한 정부혁신의 비전, 미션, 세부 이행과제를 도출하고 우선순위 분석을 통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추진 로드맵을 작성함 2. 이론적 배경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관련 국내외 연구동향 분석 ○ 국내에서는 해외와 달리 ‘디지털 전환’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연구가 구분되어 진행됨 - 디지털 전환은 디지털 방송으로의 전환을 뜻했으며 2000년부터 2010년까지 연구가 많이 진행됨 - 2017년 이후에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관련 연구가 급속도로 증가함 - 해외에서는 2016년 이후 ‘Digital Transformation’연구가 기하급 수적으로 증가함 ○ 관련 키워드 연관성 분석에서도 비슷한 양상을 보임 - 국내에서는 ‘디지털 전환’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 따로 군집화되어 관련 키워드가 연결됨 - 해외에서는 ‘Digital Transformation’과 다양한 분야의 키워드 간의 연관성이 나타남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관련 국내외 선행연구 분석 ○ 국내 선행연구의 경우 기존 학술논문 및 연구 미흡 - 주로 보고서나 학술 기사 형태의 문헌이 대다수로 ① 디지털 트랜스 포메이션에 대한 일반 현황, ② 제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③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과 정부혁신으로 유형화 됨 - 대부분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대한 개괄적인 이해와 사례, 해외 동향에 대한 소개에 그치고 있음 ○ 국외 선행연구의 경우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과 관련한 연구는 2016년에서야 활발해지기 시작 - 국가 차원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과 공공부문에서 논의되는 경향성을 파악하는 연구는 OECD에서 논의되고 있는 디지털 관련 종합적인 보고서들이 대표적임 - OECD는 2014년 ‘디지털 정부 전략에 대한 위원회 권고’를 발표하여 정부 및 공공부문의 디지털 전략 수립 및 추진에 대한 다양한 권고사항을 제안하였고 이를 토대로 OECD(2016)는 디지털 정부의 발전 단계 자체평가를 위한 12개 원칙을 발표함 - 이후 발간되는 OECD 보고서들은 이러한 큰 틀 하에서 변화를 주면서 연구를 진행 중임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정의와 대표 기술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정의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대한 다양한 정의가 혼재되어 있음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은 디지털 기술의 활용과 이를 토대로 한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 성과를 향상시키고 조직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요약될 수 있음. 이러한 변화는 아래와 같이 세 가지 수준에 따라 정의할 수 있음 ○ 디지털, 디지털화, 그리고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 대표적 디지털 기술 - 전 세계적으로 미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이끌 기술로 인공지능 기술, 빅데이터 기술,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 등 3대 기술을 제시함. 그 밖에 IoT 기술 및 자율주행 기술을 포함하여 5대 기술이라고도 하나 본 연구에서는 3대 대표기술을 제시함 □ 디지털 기술이 사회와 정부에 미치는 영향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따른 변화의 특성 - 다수가 필요하지 않은 규모(Scale without Mass), 넓어진 범위(Panoramic Scope), 시간의 역동성(Temporal Dynamic), 소프트 자본의 활성화(Soft Capital), 가치의 이동성(Mobility of Value), 공간적 제약의 상실(Loss of Place), 최종소비자의 지능화(Intelligence at the Edge), 플랫폼과 생태계(Platforms and Ecosystems) ○ 디지털 기술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PEST 분석) - 정치: 초연결사회, 직접 민주주의 확대, 디지털 공공외교 부상 - 경제: 공유경제로 변화가 진행되며 산업 생태계에 전체적인 개편발생 - 사회: 언택트(Untact) 사회로 가속화가 되면서 스마트 교육과 학교의 재구조화가 일어나고 고용노동 시스템에 변화가 예상 - 기술: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가상ㆍ증강현실, 양자 컴퓨팅 등 발전 ○ 디지털 기술이 정부에 미치는 영향 - 발전된 인지기술이 정부에 도입됨에 따라 AI-증강 정부로 변화 - 디지털 ID를 활용한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 품질 극적 도약 - 행동과학을 활용한 정부의 성과 및 결과 개선 - 빅데이터 및 AI 활용에 따른 정부의 데이터 윤리 및 편향성 해결 필요 - 데이터 분석 및 시뮬레이션 등을 활용한 미래 예견적 정부 - 클라우드 정부로의 변환 - 정부 내 혁신을 위한 실험, 인큐베이터 등의 활용 증가(예: 규제 샌드박스) - 스마트 시티와 같은 통합, 연결, 지속가능한 환경으로서의 스마트 정부 - 사용자 경험 중심을 최고의 가치로 하는 고객 맞춤형 서비스 제공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과 정부혁신 ○ 정부혁신의 핵심 도구로서 디지털 기술 - 최근 몇 십년동안 정부혁신의 핵심 도구로 ICT 기술을 활용한 전자 정부가 추진되어 옴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은 초기 전자정부의 기술과는 차별화된 디지털 기술이 또 다른 차원의 성숙된 정부로의 전환을 요구함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통한 정부 성숙도 모델 - 현재 우리나라는 초기단계를 거쳐 발전단계인 열린 정부에 머무르고 있음 - 향후 데이터 중심 정부에서 스마트 정부로 발전되려면 정부 내부의 상당한 정부혁신이 필요하며 범국가 차원 및 개별 정부수준에 따른 정부혁신 전략과 이행계획이 요구됨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따른 정부혁신의 성공요인과 장애요인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통한 정부혁신의 성공요인과 장애요인을 구별해서 정리해 보면 아래 표와 같음 □ 연구 분석틀 ○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통하여 정부혁신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하여 조직혁신, 인사혁신, 시스템혁신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함 - 기존 선행연구 및 정부혁신의 필요성과 성공요인 및 장애요인에서 제시되었던 10개의 요인들을 재구조화하여 분석틀을 유형화함. 전략은 세부요인과 구분하여 전체를 통합하는 큰 틀로 정의하였고 예산은 인프라 구축 등의 비용에 결합하고 세부 요인에서 제외함 ○ 이에 따라 분석틀은 3대 유형 8대 세부요인으로 확정하였으며 향후 수행되는 해외사례 조사, 한국 현황 조사, 공무원 인식조사 및 전문가 델파이 조사 등의 분석을 위한 프레임워크로 공통적으로 적용 - (조직혁신) 조직구조, 조직문화, 일하는 방식 - (인사혁신) 리더십, 인사/역량, 성과관리 - (시스템혁신) 인프라, 법제도 3. 국외사례분석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통한 정부혁신을 잘 수행하고 있는 해외사례로 선진국 중 미국과 영국을, 후발국가 중 싱가포르와 중국의 사례를 선정하여 살펴봄. 그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의 표와 같음 ○ 해외사례 비교분석에 대한 시사점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음 - (비전/미션) 미국과 싱가포르는 정부 내부의 효율화 및 서비스 품질 개선에 중점. 중국과 영국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경제발전, 국민소득과 연계하여 미션 정의 - (조직) 추진 거버넌스는 중앙집중형에서 분산형 체제로 구분해 볼 때 중국>싱가포르>미국>영국의 순서임. 다양한 실험조직, 중간지원 조직, 애자일 조직 운영을 통해 적극적 민첩한 대응 - (디지털 문화) 공통적으로 데이터 및 증거기반 정책을 실현하기 위한 문화를 조성. 교육, 재교육 등이 중요한 화두가 됨 - (일하는 방식) 모든 국가가 유사한 방식으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추진. 정부 간, 부처 간 협업 증진, 사용자 경험의 중시, 데이터 공유 및 활용, 비대면 서비스 프로세스와 행정체제의 효율성 제고 방향으로 추진중 - (리더십) 미국과 싱가포르는 대통령과 총리의 강력한 리더십 하에 추진. 중국의 경우는 당 차원에서 강력하게 추진. 영국의 경우 다소 분권화된 차원의 네트워크 리더십에 의해 추진 - (인사/역량) 훌륭한 인재 확보, 디지털 역량제고를 위한 교육훈련과 재교육, 민간과의 협업을 통한 역량 제고 노력 - (성과관리) 대부분의 국가가 성과와 보상을 연계 시도, 대국민서비스 만족도 지표 개발과 측정, 사업 중심 및 문제해결 중심의 성과관리 수행 방향 - (인프라) 대부분의 국가가 클라우드 시스템 도입 및 보안 시스템 구축 추진, 통신망 고도화 및 인공지능 기술 고도화 추진 - (법제도) 모든 국가들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위한 인프라, 정책, 도구 등에 대한 구체적인 법이나 전략 등을 마련 중 ○ 대부분의 국가들이 추진하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과 관련하여 구현되는 이상적 혁신의 이미지가 유사하다고 판단됨 - 각 국가의 맥락이나 역사적 경로 등이 큰 의미가 없을 정도로 나라별 혁신의 방향이 수렴됨을 알 수 있음 4. 한국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현황 진단 □ 전략 측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본질은 국민 ○ 정부는 데이터 중심의 계획은 수립했으나 집행이 충분히 진행되지 못함 - 예) 클라우드 시스템의 공공부문 도입을 위해 2015년 발표한 제1차 클라우드컴퓨팅 발전 기본계획에 따르면, 공공기관의 민간 클라우드 이용을 0%에서 2018년 40%로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으나 여전히 시범 사업을 실시하고 있는 등 민간 클라우드 이용률이 낮은 수준 ☞ 클라우드 전환율 제고 필요 ○ 데이터 전략에 있어서 시민 중심의 원칙이 요구됨 - 시민 요구에 대한 데이터 생성 및 관리를 보다 강화하고, 고객이 원하는 방식으로 정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 ☞ 디지털 격차를 줄일 수 있는 계획 수립이 필요 □ 조직 측면: 조직혁신 핵심은 데이터 공유 ○ 정부는 현재의 조직구조를 보다 유연하게 하기 위해 다양한 조직구조를 실험중 - 예) ‘현장중심 인력운영’, ‘다수 부처 협업조직 활성화’ 등의 문제해결형 조직 운영 - 이러한 조직구조가 여전히 전략 계획과 연계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음 - 그래서 많은 국가들은 조직구조의 재설계보다는 데이터 공유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 개발에 초점을 둠 ☞ 정부 내 데이터 공유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핵심 엔진으로, 정부 데이터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유도 필요 ○ 일하는 방식에서도 기계와의 협업이 요구됨 - 정부도 인공지능을 활용한 행정 프로세스 재설계와 블록체인 행정 플랫폼 활용, 디바이스 프리(Device-free) 환경 구축을 목표 ☞ 관련 연구 수행 필요 ○ 행정안전부에 디지털정부국이 있으나 디지털 혁신 전략보다는 디지털 시스템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혁신기획과는 혁신을 담당하고 있으나 디지털 전문성이 상대적으로 취약 ☞ 디지털 혁신 전략을 수립할 전문팀과 개별 부처의 디지털 혁신을 담당할 수 있는 전문팀이 필요 □ 인사 측면: 공무원 중심의 체계적 변화 ○ 인사혁신처는 디지털 문화를 갖춘 인력 양성을 위해 디지털 직류를 신설하였으며,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에 디지털 과정을 추가하여 개편하는 등 공무원의 디지털 역량 제고를 위해 노력하고 있음 - 그러나 교육과정을 보면 여전히 한계를 갖고 있음. 예를 들면, 파이썬 교육 등 전문과정의 시간이 너무 짧고 이들이 교육을 받고 현장으로 복귀했을 때 이를 계속 활용할 수 있는지 등 현장과의 연계성에 대한 고려가 부족함 ☞ 공무원 교육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계속 보완하여 세계에서 가장 디지털을 잘 다루는 공무원 양성 필요 ○ 현재의 전자정부 지표는 지능형 정부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반영하지 못한 지표로의 한계를 갖고 있음 ☞ 지표 개선을 통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 보다 빠르게 추진될 수 있도록 유도 □ 시스템 측면: 언제 어디서나 일할 수 있는 시스템 완비 ○ 현재 정부는 디지털 혁신과 관련한 다양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으나 시스템이 현장에서 적용되기 위한 법과 규제 등 제도적으로는 미흡 ☞ 표준화된 디지털 정부를 실현할 수 있도록 표준화된 지침을 마련하고, 기타 적용 가능한 표준을 적시에 업데이트 필요 ○ 재택근무와 영상회의 시스템이 확산되고 있으나 보안 문제로 민간의 우수한 시스템을 활용하는데 한계가 있음 ☞ 정부의 시스템 구축과 함께 민간의 우수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도록 보안 규정을 개선하는 것도 필요 5.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인식조사 □ 공공부문 인식조사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관련 공공부문 인식조사는 중앙행정기관 및 광역자치단체 공무원, 공공기관 종사자 30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내용을 요약 정리하면 아래의 표와 같음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관련 공무원 인식조사 심층분석 결과 - 디지털 전략 실행을 위한 기술 도입과 활용 간 심층 분석 수행을 통해 각 기관별 위치 및 분포를 분석하였음 - 디지털 기술 도입 및 활용 수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함 - 디지털 기술 도입 및 활용 수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상위요인을 제시하면 아래의 표와 같음 □ 전문가 조사 ○ 전문가 조사 결과 종합 정리 - 향후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통한 정부혁신 추진 방안에 대하여 정보화 및 행정학 관련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함 - 주요 요소별로 전문가들이 제안한 내용을 분석하고 이슈를 유형화하여 세부 응답자 수 제시하고, 이 중 각 요소별로 가장 많은 응답이 나온 2가지 중요한 이슈에 대해서는 고딕 및 음영처리 수행 □ 시사점: 공무원ㆍ전문가 조사를 통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성공요인과 장애요인 도출 ○ 공무원 인식조사 및 전문가 조사를 토대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통한 정부 및 공공부문 혁신의 성공요인과 장애요인을 도출해 보면 아래의 표와 같음 6.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과 이행방안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 및 세부 이행방안 도출 ○ 본 장에서는 앞에서 수행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문제점을 분석하고 세부 이행과제를 도출함 ○ 3대 유형별 문제점 분석 및 세부 과제 도출 ○ 도출된 세부 이행과제를 바탕으로 이행 방안 및 개선방안 도출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통한 정부혁신 전략 및 이행방안 최종안 ○ 앞서 제시된 분석 절차에 따라 최종적으로 도출된 개선방안을 토대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통한 정부혁신 전략을 도출함 - 현재 추진 중인 한국판 뉴딜(디지털 뉴딜)과의 정합성을 가질 수 있도록 정부혁신의 방향을 조율하였음 - 이에 따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과 정부혁신 추진을 위한 5가지 원칙을 확립하였음 - 이러한 원칙을 확립하여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통한 정부혁신의 비전에 투영하도록 함. 제시된 비전과 목표를 토대로 3대 유형별 전략과 세부추진과제를 전략체계도로 정리해 보면 다음 그림과 같음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통한 정부혁신 추진 로드맵 제안 ○ 도출된 정부혁신 전략 및 이행방안에 대하여 9인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수행 - 세부 이행방안의 시급성과 중요도에 따라 로드맵을 제안하였음 This study examined digital transformation, which will lead to fundamental changes in all areas of society, and established the vision, strategies, and detailed implementation steps necessary for its use in the public sector. The worldwide spread of the COVID-19 virus, which began in early 2020, has led to tremendous changes in the work and governing environment. In particular, the shift toward non-face-to-face work has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it has become vital to more smoothly introduce digital transformation to handle the growing demand for non-face-to-face activities, remote working, and automation. Accordingly,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announced the Korean version of the New Deal in July 2020 and presented a digital New Deal policy as a fundamental element of this, demonstrating the government's strong desire to promote digital transformation. Though the government is the driving force behind digital transformation, the public sector is still lagging in its implementation. Digital transformation has already progressed rapidly in the private sector, thus it is necessary to lay the foundation for innovation in the public sector by promoting digital transformation. In doing so, the resilience of the economy can be enhanced and Korea can become a leading country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the middle of the dramatic changes caused by COVID-19, the present study sought to investigate digital transformation in the public sector in Korea and to establish a roadmap for its future implementation. First, we looked at the concept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the research that has been carried out so far. In particular, definitions of digital transformation, differences between concepts, and representative technologies were reviewed. In addition, the impact of digital technology on society and government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success or failure of government innovation through digital transformation were identified and classified into nine groups: organization, culture, working methods, leadership, personnel/capacity, budget, performance management, infrastructure, and the legal system. As a result, it was concluded that digital technology is likely to be a key tool for government innovation in the future and, in order for Korea to develop further without being outcompeted by other countries in the coming years, it has to encourage government innovation through digital transformation, which requires national-level strategies and detailed implementation plans. Second, before establishing specific plans for government innovation through digital transformation, we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digital transformation in the US, the UK, Singapore, China, and Korea and identified any problems that Korea has encountered in its implementation. It was found that although the historical paths and contexts of each country were very different, the direction of government innovation implemented through digital transformation and the resulting outcome were similar. In Korea, it was found that many plans for digital transformation have not been fully implemented and that there are various areas that need to be improved so that digital transformation can be carried out quickly,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dedicated organizations, strengthening the skills and knowledge of civil servants, and overhauling the legal system and infrastructure. Third, we conducted two surveys on digital transformation, one focusing on experts and the other targeting the perceptions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officials and workers in public agencies. Through these surveys,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antecedents of success and the obstacles facing digital transformation for organization, personnel, and system. The public official survey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igital transformation status of central, local government, and public agencies by collecting data on the awareness, preparedness, and digital capabilities of public officials and public organizations. One of the major findings was that the level of resources and the opportunities to acquire digital technology had the greatest impact on the introduction and utilization of digital technology. The expert survey asked about what needed to be done in terms of the organization, personnel, and system to achieve government innovation through digital transformation. Fourth, digital transformation strategies and detailed avenues for improvement were described based on the information derived from the literature review, foreign case study analysis, domestic analysis, and the survey results from government officials and experts. The areas of improvement were separated into organizational innovation (organizational structure, organizational culture, and working methods), personnel innovation (leadership, personnel/capacity, and performance management), and system innovation (infrastructure and legal system). As a result, implementation and improvement plans were formulated, and public sector innovation strategies that embrace digital transformation were identified. In addition, a roadmap was proposed based on the importance of the government innovation strategies and detailed implementation tasks. It is expected that the public sector digital transformation strategies, detailed implementation tasks, and implementation roadmap proposed in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promoting government innovation through digital transformation and strengthening the government's capacity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innovation. It is also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a foundation for Korea to overcome the COVID-19 crisis and become a leading country through successful digital transfor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