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Nd:YAG 레이저 여기 H₂/CH₄ 라만 레이저의 출력 특성

        전성률,이주희,황인덕 慶熙大學校 레이저工學硏究所 1997 레이저공학 Vol.8 No.-

        In this paper,we have developed H₂/CH₄ Raman laser pumped by Q-switched Nd:YAG laser for monitoring Water vapor or Aerosol in the atmosphere. Also we have investigated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H₂, CH₄ and mixed H₂/CH₄ Raman laser as functions of gas pressure and input pump energy, respectively.

      • 초고층 주거건축의 공간환경에 따른 거주의식 비교 연구 : 주상복합형아파트와 단지형아파트 거주자의 만족도 분석을 중심으로 focused on dweller's staisfaction analysis of mult-used apartments and housing complex apartments

        추영욱,윤장우,박춘근 대한건축학회 2003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3 No.1

        The result that compare and analysis dwelling consciousness to space environment of apartment complex is as follow. Development of super highrise residential construction is enlivening in Busan. This is differented by multi-used apartments and housing complex apartments, and is in super highrise trend. Housing complex apartments appear higher satisfaction than multi-used apartments in dwelling generally. It was analyzed multi-used apartments are very poor in habitability and living environment side. Resident's improvement request is preferential request for convenient facilities. And while the improvement request about ventilation and lighting is higher in multi-used apartments, improvement request about outside view is higher in housing complex apartments.

      • 실험쥐 모델에서 림프구 주입을 이용한 동종 장기이식에 대한 관용 유도

        김정아,홍성열,김춘추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2003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8 No.2

        연구배경: Mixed chimerism 상태에서는 공여 장기에 대해 특이적인 관용효과가 유도되어 면역억제제를 투여하지 않아도 거부반응이 나타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적합항원(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이 일치하지 않는 실험쥐를 대상으로 전신방사선조사나 이식 전 동종림프구를 주입하는 방법으로 donor chimerism 상태를 만들어 이식장기에 대한 관용효과를 유도하고자 하였다. 방법: C57BL/6 (H-2^(b))를 전처치 방법에 따라 7 Gy의 전신방사선조사를 시행한 군(1군)과 BALB/c (H-2^(d)) 비장 세포를 간문맥 내로 주입하여 이식세포에 대한 관용을 유도한 군(2군)으로 나눈 뒤 BALB/c 골수세포를 주사하여 유도된 chimerism을 분석하고 MLR을 시행하였으며, BALB/c 피부를 이식하여 생착 여부를 확인하였다. 결과: 1군에서는 말초혈액 내에서 donor chimerism이 확인되었고 2군에서는 PCR 방법으로 말초혈액뿐만 아니라 각 장기에서 microchimerism이 확인되었다 MLR 방법으로 1, 2군 모두에서 BALB/c 세포에 대해 동종림프구의 증식반응이 저하되었으며, 동종피부이식편이 평균 생착기간도 대조군의 6.6±0.8일에 비해 1군에서는 평균 90일 이상, 2군에서는 16.3±1.2일로 현저하게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방사선조사나 공여림프구 투여로 동종세포에 대한 면역학적 관용효과를 유도할 수 있었으며, 동종피부이식편의 생착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 Background: Because mixed allogeneic chimerism results in donor-specific tolerance, rejection doesn't occur without immunosupress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induction of immune tolerance on mouse skin allograft in MHC-mismatched hosts that developed donor chimerism after conditioning with total body irradiation or a portal vein injection of donor splenocytes (SPLc), followed by an infusion of donor bone marrow cells (BMCs). Methods: In BALB/c (H-2^(d)) to C57BL/6 (H-2^(b)) combination, C57BL/6 recipients were irradiated at 7 Gy total body irradiation (TBI) prior to BMC infusion (Group 1) and given a portal vein injection with SPLc of BALB/c prior to BMCs infusion (Group 2). BMCs were infused from BALB/c donors to C57BL/6 recipients. Flow cytometry and PCR were used to assess donor-chimerism and standard skin grafting and mixed lymphocyte reaction (MLR) were used to assess donor-specific tolerance. Results: Under this protocol, it was confirmed that mixed chimerism was induced in group 1 and microchimerism was induced in group 2. The proliferation of lymphocyte was reduced in both group 1 and group 2 using MLR analysis. The graft survivals in group 1 (>90 days) and group 2 (16.33±1.2 days) were longer than the control (6.6±0.8 days), which suggested that tolerance was induced across the MHC barrier without further need for immunosuppression. Conclusion: In this donor chimerism model, functional tolerance was induced across the MHC barrier with combined protocol of total body irradiation/ donor BMC infusion and donor SPLc/ dornor BMC infusion. Mechanisms responsible for this tolerance induction require future elucidation.

      • KCI등재후보

        혈액질환 환자에서 조혈모세포 이식과 화학요법 후의 침습성 진균감염의 분석

        유진홍,최정현,이동건,최수미,신완식,김춘추 대한감염학회 2004 감염과 화학요법 Vol.36 No.1

        목적 : 조혈모세포 이식이나 화학요법을 받은 혈액질환 환자에서 침습성 진균감염의 양상을 분석하고 예후 인자를 정하기 위하여 이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법 : 2000년 3월부터 2001년 2월까지 가톨릭 조혈모세포이식센터에 입원한 318명의 환자들 중 진균 감염으로 의심되어 항진균제를 투여받은 12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74명의 환자가 EORTC/MSG 기준에 의해 침습성 진균증으로 판정되었다. 이들 중 6명이 확진이었고, 46명이 추정, 22명이 가능 증례이었다. 가장 많이 침습된 장기는 하부 호흡기이었다(72/74). 사망률은 32.4%이었다. 단변량 분석으로 예후 인자를 도출한 결과 입원 기간, 진단까지 걸린 시일, 그리고 amphotericin B의 총 투여량이 유의한 인자로 나왔다. 그러나 다변량 분석을 시행한 결과 입원 기간만이 독립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예후 인자로 산출되었다. 결론 : 침습성 진균 감염은 현재도 조혈모세포 이식이나 화학요법 후의 중요한 합병증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진균 감염 합병증의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입원 기간이외에 진단의 신속성과 항진균제의 투여도 유의한지에 대해서는 후속 연구를 통해 재치 규명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Invasive fungal infections (IFI) are one type of representing total infections in compromised patient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to determine the prognostic factors of IFI in patients with hematologic diseases undergoing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SCT) and/or chemotherapy. Methods : We retrospectively reviewed consecutive patients (n=122) who received antifungal treatment with the impression of fungal infection complicating post-HSCT or chemotherapy from March-2000 to February-2001. Results : Seventy-four out of 122 registered patients belonged to the IFI on the basis of EORTC/MSG criteria. Six patients were proven IFI, 46 were probable, and 22 were in the category of possible one. The most commonly involved organ was lower respiratory tract (72/74). The mortality was 32.4%. Univariate analysis revealed duration of hospitalization, days to diagnosis of IFI, and total amount of amphotericin B as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But multivariate analysis determined only duration of hospitalization from these variables as an independently influencing factor on the prognosis. Conclusion : Invasive fungal infection is still the major threatening complication of HSCT and chemotherapy. Further follow-up and extension of this study is necessary to elucidate more prognostic factors.

      • KCI등재후보

        호중구 감소성 발열환자에게 경험적으로 투여한 Teicoplanin의 효과

        이동건,임동석,최수미,박선희,유진홍,최정현,민우성,신완식,김춘추 대한감염학회 2004 감염과 화학요법 Vol.36 No.2

        목적 : 호중구감소성 발열 환자에게 경험적으로 teicoplanin을 투여할 때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2003년 7월부터 12월까지 가톨릭조혈모세포이식센터에 입원하여 항암치료 혹은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하고 호중구감소성 발열이 있는 환자 중 초기 항균요법에 반응이 없어 경험적 teicoplanin 투여가 필요한 49명을 대상으로 A, B 제조회사에서 제공한 teicoplanin을 무작위로 어느 한 쪽 치료군에 배정하여 투여하였다. 용량은 첫날 400㎎ 부하용량을 정맥내 bolus로 투여하고 매 24시간마다 200㎎ 유지용량을 투여하였다. 결과 : A군 27명, B군 22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대부분의 환자가 신독성이 있는 약제를 병용하고 있었다. A군 8명, B군 7명에서 그람양성균이 동정되었고, teicoplanin에 대한 내성률은 A군 22.2%, B군 28.6%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1.00; 0.61<95%CI<1.95). 미생물학적 확인 감염이 있었던 환자 중 평균 53.3%에서 완치 혹은 개선의 반응이 있었고 양 군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A군 4명 [50.0%], B군 4명 [57.1%], P=1.00; 0.29<95%CI<2.60). 미생물학적 제거율은 평균 62.5% (A군 55.6%, B군 71.4%)이었고 그 외 미생물학적 효과는 A군에서 제거 후 재발 2명(22.2%), 내성 2명(22.2%)이었고 B군에서 각각 0명(0.0%), 2명(28.6%)이었으며 양 군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28). 발열기간(P=0.89), teicoplanin 사용기간(P=0.47) 및 전체적인 사망률(P=1.00; 0.78<95%CI<1.24)도 양 군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상반응 중 신독성은 16.3% (A군 18.5%, B군 13.6%)에서 나타났고 양 군에 차이는 없었으며(P=0.72; 0.39<95%CI<3.51), 신기능 이상과 관련있는 약제를 적어도 2개 이상 병용하고 있었다. 피부발진은 A군에서 1명, B군에서 3명 발생하였다(P=0.31; 0.93<95%CI<1.34). 결론 : 호중구감소성 발열환자에게 teicoplanin을 투여하였을 때 임상적 반응률은 평균 53.3%(A군 50.5%, B군 57.1%), 미생물학적 제거율은 평균 62.5%(A군 55.6%, B군 71.4%)이었고 두 제조회사간 차이가 없었고 이상반응도 양 군간 차이가 없었다. 앞으로 국내 호중구감소증 환자에서의 teicoplanin의 적정 용량, 용법 등을 알기 위한 집단 약동학 등의 연구를 시행할 예정이다. Background : This study was done to elucidate the efficacy of teicoplanin as the empirical treatment for febrile neutropenia. Methods : Patients were randomized to two groups according to pharmaceutical company (company A or B). Total of 49 patients (A, 27; B, 22) with neutropenic fever were studied prospectively for 6 months (Jul. 2003-Dec. 2003). Patients received 400 mg i.v. once, then 200 mg i.v. once daily. Results : Groups were matched for all demographic variables. Most of the patients were concurrently receiving nephrotoxic drugs. Gram positive microorganisms were isolated in 8 patients for A and 7 patients for B. Resistance rate against teicoplanin was 22.2% in A and 28.6% in B (P=1.0; 0.61 < 95% confidence interval [Cl] < 1.95). Among the patients with microbiologically documented infection, clinical cure or improvement was seen in 4 (50%) of 8 patients for A and 4 (57.1%) of 7 patients for B (P=1.00; 0.29 <95%CI <2.60). Bacteriologic efficacy was assessed as follows; elimination in 5 (55.6%), elimination with relapse in 2 (22.2%), resistance in 2 (22.2%) out of 9 gram-positive bacteria for A and 5 (51.4%), 0 (0.0%), 2 (28.6%) out of 7 bacteria for B, respectively (P=Q.28).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uration of fever, duration of use of teicoplanin, and overall mortality. The incidence of nephrotoxicity and ototoxicity was not significant. Conclusion : For using teicoplanin as the empirical therapy for febrile neutropenia, the rate of clinical, microbiological response, and nephrotoxicity was 53.3%, 62.5%, and 16.3% respectively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2 preparations of teicoplanin. Supplementary evaluation on the adequate dose and duration of teicoplanin may be required.

      • KCI등재후보

        국내 혈액질환 환자에서 침습성 진균 감염의 구제치료로서 Caspofungin의 효과와 안전성

        최수미,박선희,이동건,최정현,유진홍,민우성,신완식,김춘추 대한감염학회 2005 감염과 화학요법 Vol.37 No.5

        목적 : 본 연구에서는 국내 혈액질환 환자들에서 일차 항진균제를 부작용으로 인해 투여할 수 없거나, 일차 항진균제에 반응이 없는 침습성 진균 감염증의 구제치료로서 caspofungin의 효과와 이상반응에 대한 임상 경험을 소개하고, 예후인자를 분석해 보았다. 재료 및 방법 : Caspofungin은 첫날 70 mg, 이틀째 부터 50 mg을 하루 일회 투여하였고, caspofungin 종료시 그리고 종료 4주 후 반응을 평가하였다. 결과 : 총 55명의 환자가 분석에 포함되었고, 남자 32명, 여자 23명, 평균 나이는 38.2세(16-65세)였다. 기저 질환은 급성 백혈병 33명, 골수이형성 증후군 12명, 만성 백혈병 3명, 기타 7명이었다. 진균 감염은 확진 1명, 가능 5명, 추정 47명, 불확실 2명이었고, 감염 장소는 폐를 침범한 경우가 49명, 파종감염 6명이었다. 전체적으로 41.8% 환자에서 양호한 반응을 보였으며, 치료군, 치료후 기저질환의 상태, 침습성 진균 감염 진단시 호중구 감소증 여부, 스테로이드 등 면역억제제 사용 여부가 유의한 예후인자였다. 약제관련 이상반응은 14.5%에서 관찰되었고, 발열, 피부 발진, 간기능 저하 등으로 나타났다. 이중 4명에서 이상반응과 관련하여 투약을 중지하였고, 약제 중단 후 증상은 모두 호전되었다. Caspofungin 관련 신독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 Caspofungin은 국내 혈액질환 환자에서 침습성 진균 감염증의 구제치료에 효과적으로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겠다. 최근 여러 항진균제들이 개발되어 임상에 도입되고 있는 바, 항진균 작용 범위, 독성, 약역동학적 특성, 비용-효과면 등을 고려하여 환자별로 직절한 항진균제를 선택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 Invasive fungal infection (IFI) is an important cause of morbidity and mortality in patients with hematologic malignancy. Patients with IFI who fail to standard therapy have poor prognoses. We investigated the efficacy and safety of caspofungin (CAS) in Korean adults with hematologic diseases and IFI who did not respond to the conventional antifungal 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 Patients with IFI refractory or intolerant to standard antifungal therapy received CAS 50 mg IV daily after 70 mg loading dose on day 1. Efficacy and safety of CAS were assessed in patients who received more than one dose. Favorable response [complete (CR) or partial (PR)] was defined as significant improvement of all clinical symptoms, signs, and radiologic abnormalities. Results : From Feb. 2004 to Feb. 2005, 55 patients who met the inclusion criteria were enrolled. There were 32 male and 23 female patients with mean age of 38.2 years (range, 16-65). Underlying diseases were acute leukemia (33 cases), myelodysplastic syndrome (12 cases), chronic myelogenous leukemia (3 cases), and other hematologic diseases (7 cases). Thirty-six patients were receiving chemotherapy and 13 patients were under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SCT). The number of proven, probable, possible, and indeterminate IFI cases was 1, 5, 47, and 2, respectively. Conventional amphotericin B, intravenous itraconazole, and liposomal amphotericin B were administered for average of 14.9 days prior to administering CAS. Mean duration of CAS therapy was 12.8 days (range, 1-45). Twenty-three patients (41.8%) showed favorable responses (CR : PR=8 : 15) at the end of CAS therapy. Chemotherapy group, neutropenic state, remitted state of underlying disease, and no steroid therapy wer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for favorable response. Eight (14.5%) patients developed drug-related adverse events such as fever, skin eruption, and hepatic dysfunction which were reversible after discontinuation of CAS. Drug-related nephrotoxicity was not observed. Conclusion : On the basis of our investigation, CAS was effective and safe as a salvage therapy of refractory IFI or as an alternative for patients intolerant to standard antifungal agents.

      • 소아 동종 조혈모세포이식 200예의 분석 : Single Center Study

        김학기,조빈,정낙균,정대철,장필상,김선영,김춘추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2002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7 No.1

        연구배경: 1983년 11월부터 2000년 9월까지 시행한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의 성적을 분석하여 소아 골수이식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1983년 11월부터 2000년 9월까지 가톨릭의대 조혈모세포이식센터, 성모병원 소아과에서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한 200예를 대상으로 조혈모세포이식의 유형 및 대상질환, 이식 당시의 상태 및 전처치에 따른 치료 성적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200예 중 HLA-일치 형제간 골수이식이 146예(73%), HLA-일치 형제간 골수이식 이외의 이식이 54예(27%)였다. 1) HLA-일치 형제간 골수이식: 146예 중 남아와 여아가 각각 78명과 68명이었으며 SAA 50예의 5년 무병 생존율은 95.8±2.9%였고 AML 45예의 5년 무병 생존율은 71.7±7.0%로 일차 및 이차 관해기에 이식 받은 40예와 5예의 5년 무병 생존율은 각각 73.6±7.2%와 60.0±21.9%였다. AML에서 전처치로 Bu/Cy를 사용한 28예와 TBI/Cy를 사용하였던 9예의 5년 무병 생존율은 각각 81.9±7.4%와 33.3±15.7%였으며 Bu/Cu/TBI를 시행한 8예의 무병 생존율은 80.0±17.9%였다. ALL 33예의 5년 이상 무병 생존율은 75.5±7.5%였고 일차 및 이차 관해기에 이식을 시행하였던 18예와 14예의 무병 생존율은 각각 83.0±9.0%와 71.4±12.1%였다. CML 및 MDS 11예의 5년 무병 생존율은 72.7±13.4%였다. 기타 질환으로는 Fanconi 빈혈 2예, 혈구탐식성 조직구증식증 2예, 순적혈구 빈혈 2예, Kostmann 증후군이 1예로 이들의 전체 무병 생존율은 85.7±13.2%였다. 2) HLA-일치 형제간 골수이식 이외의 이식을 시행하였던 54예의 3년 이상 무병 생존율은 45.3±11.6%였으며 HLA-일치 UBMT 26예, CBSCT 15예, 형제 이외의 혈연에 의한 골수이식이 13예로 이들의 무병 생존율은 각각 56.2±10.8%, 58.2±13.1%, 35.9±17.3%였다. 결론: 소아 난치성 혈액질환의 완치요법으로 동종 골수이식의 치료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동종 조혈모세포의 공여원으로 비혈연간 골수나 제대혈의 이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 Bone marrow transplantation was first introduced to Korean children in 1983. Since then the number of children receiving transplants has increased steadily. Methods: We analyzed two hundred pediatric cases of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between Nov. 1983 and Sep. 2000 in Cathol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Center of Korea. Results: HLA-matched sibling transplantations were performed in 146 cases (78 males, 68 females, median age; 10 years) with median follow-up of 47 months. The 3-year estimated event-free survival (EFS) of ALL and AML was 76% and 72% respectively. The 5-year estimated EFS of severe aplastic anemia and CML/MDS was 96% and 73% respectively. The 2-year estimated EFS of nonmalignant rare disease was 86%. Twenty-six children underwent unrelated bone marrow transplantation (UBMT), 15 cord blood stem cell transplanta-tion (CBSCT) and 13 familial haploidentical transplantation (FHT). There were 35 males and 19 females with a median age of 6.5 years and median follow-up of 18.5 months. The estimated 2-year EFS of UBMT, CBSCT and FHT were 56%, 58% and 34% respectively. Conclusion: HLA-matched sibling allogeneic BMT showed better survival in children with hematopoietic stem cell disorder compared to UBMT and CBSCT. Recently, transplants using alternative stem cell source are increasing due to lack of suitable matched sibling donor and continuous efforts for reducing transplant-related complications are warranted for improving survival.

      • 성인 급성 림프구성백혈병 고위험군에서 일차관해시 동종 및 자가 조혈모세포이식의 성적 비교 : 단일기관 치료경험 A Single Center Experience

        이석,민우성,민창기,김동욱,이종욱,김유진,박은정,박윤희,김춘추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2000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5 No.2

        배경:성인 ALL에서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은 전처치요법 및 이식편대백혈병 효과에 의한 효과적인 백혈병세포의 제거가 가능하다는 측면에서 활발히 시행되고 있으나 자가 조혈모세포이식과 화학요법과의 비교 연구에서는 대상환자의 다양성 등으로 인하여 상이한 결과가 보고되었다. 그러나 최근 진단당시 환자의 임상적·세포생물학적 특성 및 관해유도요법 후의 백혈병세포의 제거 속도 등을 기준으로 한 위험인자가 정의되면서 이를 근간으로 위험도에 따른 관해 후 치료방침의 결정이 타당성 있는 접근방법으로 제시되고 있고, 특히 고위험군에서의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방법: 성인 ALL 고위험군에서 일차 완전관해시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의 역할을 규명하기 위해 최근 5년간 가톨릭의대 조혈모세포이식센터에서 ALL로 진단 후 일차 완전관해 상태에서 동종 및 자가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받고 임상적 특성과 세포면역학적 특성 및 세포유전학적 검사결과가 모두 확인 가능하였던 환자 중 고위험군에 해당된 50례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고위험군은 진단시 연령이 30세 이상인 경우, 백혈구수가 30,000/μL 이상인 경우, 관해유도기간이 30일 이상 소요된 경우, Ph 혹은 t(4;11)이 동반된 경우 중 하나 이상의 인자를 갖고 있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결과: 대상환자의 중앙연령은 30세(15~43세)이었고, 남녀 비는 27:23이었다. FAB 분류상 L1 29례(58.0%), L2 21례(42.0%)였으며, precursor B-lineage 항원이 양성인 경우는 36례(72.0%), T-세포 항원이 양성인 경우는 9례(18.0%), 골수구계 항원이 동시에 발현된 경우는 5례(10.0%)였다. 세포유전학적 검사상 23례(46.0%)에서 불량한 염색체유형 [Ph 19례, t(4;11) 4례]이 동반되었다. 전체 환자 중 31례에서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하였으며, 19례에서는 자가 조혈모세포이식이 시행되었다. 동종 및 자가 조혈모세포이식 환자군간의 임상적 특성은 양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대상환자의 중앙 추적관찰기간은 27개월(7~72개월)이었고, 전체 환자의 2년 무병생존율 및 전체생존율은 각각 59.0±7.6%, 68.2±7.1%이었다. 조혈모세포이식에 따른 치료성적을 비교한 결과 전체생존율은 동종 조혈모세포이식군 71.4±8.6%, 자가 조혈모세포이식군 62.7±12.4%로 양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던 반면, 재발율은 동종 조혈모세포이식군에서 유의하게 낮은 빈도를 보였으며(25.8% vs 52.6%, P=0.05), 무병생존율에 있어서도 각각 70.6±9.0%, 42.1±12.2%로 동종 조혈모세포이식군에서 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P=0.07). 이식 후 생존율에 영향을 주는 위험인자를 분석한 결과, 진단시 연령, 백혈구수, 관해유도기간에 따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다만 Ph 혹은 t(4;11)이 동반된 경우에서 무병생존율이 동종(28.5±16.0% vs 94.4±5.4%, P=0.0002) 및 자가 조혈모세포이식군(18.1±11.6% vs 80.0±17.8%, P=0.0046) 모두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일차관해시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받은 고위험군 성인 ALL에서는 관해 후 치료법으로써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이 우선적으로 고려될 수 있는 치료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추후 국내에서도 보다 장기간의 추적관찰을 통한 전향적 임상연구를 시행하여 보다 정립된 관해 후 치료방침의 결정 필요성을 제시하였다는 측면에서 임상적 의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Optimal postremission therapy remains controversial in adult patients with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ALL). In this study, we compared allogeneic bone marrow transplantation (alloBMT) with autologous peripheral blood stem cell transplantation (autoPBSCT) using the result of the human leukocyte antigen typing (HLA). Methods:Patients were eligible if they were in first remission (CR1) and had either: adverse cytogenetics [Philadelphia chromosome (Ph), t(4;11)], age >30 years, required more than 1 induction course to achieve remission (time-to-CR1 >30 days) or presenting WBC >30,000/μL. From July 1994 to June 1999, 50 consecutive adult patients with high-risk ALL underwent HLA-matched alloBMT (n=31) or autoPBSCT (n=19) at the Catholic Hem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Center. Results:There were 27 males and 23 females with median age 30 (range, 15~43) years. The distribution of phenotype was as follows: L1 (n=29), L2 (n=21), precursor B (n=36), T (n=9), myeloid marker coexpression (n=5). Adverse cytogenetic abnormalities at diagnosis were shown in 23 (46.0%) cases. All pretransplant characteristics were well balanced between these two groups. Most patients were treated with total body irradiation containing regimen as part of the conditioning. With a median follow-up of 27 months in both groups, disease-free survival (DFS) and overall survival probabilities at 2 years were 59.0±7.6% and 68.2±7.1%, respectively. The relapse rat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alloBMT and autoPBSCT groups (25.8% vs 52.6%,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verall survival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alloBMT had a trend toward better DFS (70.6±9.0% vs 42.1±12.2%, P=0.07). None of the pretransplant characteristics significantly affected outcome after transplantation, except adverse cytogenetics. Prognosis of ALL with Ph or t(4;11) was significantly poorer than that of the remaining high-risk ALL patients (P<0.01). Conclusion: We conclude that alloBMT appears to be more effective than autoPBSCT in prolonging initial CR for high-risk ALL patients. Prospective studies addressing additional clinical variables are needed to guide clinical decision making about transplant choices for adult patients with ALL. New therapeutic strategies for the management of ALL with adverse cytogenetics will be also required.

      • 한국인의 급성 골수성 백혈병 및 골수 이형성 증후군과 HLA 연관성

        윤정숙,김원일,한경자,김용구,임지향,민우성,김춘추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2000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5 No.1

        배경:주조직 적합항원 복합체(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 MHC)는 쥐에서 처음 이식 항원으로 발견된 이래 이식 면역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연구되어 왔으며,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주요 유전자로서 감염, 종양, 자가면역 질환 등의 발생에 관여한다. 사람에서 자가 면역 질환과 HLA 연관성이 증명되어 있으나, 백혈병에서 HLA 연관성에 관한 연구는 드물며 대상군 수가 유의한 결론을 얻기에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과 골수 이형성 증후군(MDS) 환자를 대상으로 HLA class I, II 항원 및 2-유전자좌 일배체형 빈도를 구하고, 이를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는 통계적 방법으로 AML 및 MDS군과 연관된 HLA 항원 및 일배체형이 있는지 살펴보고, AML군은 FAB 분류와 면역 표현형 분류에 따른 아군으로 분류하여 각 아군과 연관된 HLA 항원 및 일배체형을 관찰함으로써 AML 및 MDS군과 HLA의 연관성을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1991년 1월부터 1998년 7월까지 성모병원에 내원하여 NIH standard microlymphocytotoxicity를 이용한 혈청학적 방법으로 HLA class I, II 항원 형별 검사를 실시한 415례의 AML과 62례의 MDS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각 질환군과 FAB, 면역 표현형 아군에서 HLA 항원 빈도와 유전자 빈도를 구하고, 항원 빈도를 대조군과 비교하여 Haldane’s method에 따라 상대 위험도(RR)를 구한 뒤 chi-square 법으로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AML, MDS 각 질환군과 아군에서 square root법을 이용하여 HLA A-B, C-B, B-DR 2-유전자좌 일배체형 빈도를 구하고, 이를 대조군과 비교하여 chi-square 법으로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과:1) Cw8이 AML, MDS 질환군에서 RR이 0.10, 0.22로 매우 감소하여 이들 질환과 강한 연관성 정도를 나타냈다(p<0.001). 2) Blank 유전자 빈도의 증가가 AML, MDS 질환군의 각 HLA locus에서 관찰되었으며, 특히 이 분석 결과는 DR locus에서 현저하여, AML과 MDS군에서 DR-blank 빈도는 11.6%, 7.0%로 매우 증가하였다. 3)AML군과 A2-B61, Cw8-B61, B62-DR11 일배체형 연관성과, MDS군과 Cw3-B51, B62-DR14, B35-DR9 일배체형 연관성이 관찰되었다. 4)FAB 분류별 아군에서 AML-M3와 A33 항원 연관성과 AML-M1과 A2-B51 일배체형 연관성이 높은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내었다(p<0.001). 5) AML 면역 표현형 아군에서 HLA-A29, B56 항원과 panmyeloid 면역 표현형인 CD33, CD15와의 연관성이 관찰되었고, A2-B48, Cw7-B44 일배체형과 myeloid 면역 표현형인 CD34, CD33, CD11c와의 연관성이 관찰되었다. 결론:AML과 MDS는 HLA와 연관성 있는 질환이며, AML과 MDS군의 발생 및 AML군에서 백혈병 세포의 분화 단계를 예측하기 위해 본 연구 자료가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The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MHC) has been widely studied in the field of transplantation immunology, since initially defined as transplantation antigen in mouse in 1936. Although associations have been demonstrated between many autoimmune diseases and HLA in human, the studies of HLA association with human leukemia are rare, and have too small sample size to get a significant result. We tried to invesgate the association of AML and MDS with HLA, and the association of FAB, immunological subgroup with HLA in AML group by using appropriate statistical meth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HLA role in the development of AML and MDS, and find any HLA antigens or haplotypes which can predict the development of AML or MDS. Method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415 patients with AML and 62 patients with MDS who admitted in St. Mary's hospital between 1991. 1. and 1998. 7., and were typed for HLA class I, II antigens by using serological method of NIH standard microlymphocytotoxicity. We calculated the HLA antigen, gene and 2-locus haplotype frequencies in AML and MDS group and FAB, immunological subgroup, calculated relative risk by Haldane's method by comparing HLA antigen frequencies in disease group with those in normal control population. The Chi-Square method or Fisher's exact test was used to assess the significance of the differencies in the antigen and haplogtype distributions in the control vs disease population. Results: 1)The frequencies of Cw8 were severely decreased in AML and MDS population with relative risk of 0.10, 0.22, and revealed high statistical significance with p-values less than 0.001, suggesting strong Cw8 association with AML and MDS. This means Cw8 may be a gene which resists to the development of AML and MDS, or may be linked to other recessive gene, Cw8 may be a gene which encodes increased immune responses to exogenous antigens such as leukemia virus, or may be linked to other immune response gene, otherwise, Cw8 may be an antigen which has a key role in immune surveillance to the development of AML or MDS. 2) Blank gene frequencies were increased in AML and MDS group, and this phenomenon was prominent in DR locus, showing 11.6% and 7.0% of DR-blank gene frequencies in AML and MDS. This suggests increased HLA homozygosity or increased undetected antigens due to loss or modification of HLA alleles in AML and MDS. 3) The associations of A2-B61, Cw8-B61, B62-DR11 haplotypes with AML, and A30-B14, Cw3-B51, B62-DR14, B35-DR9 haplotypes with MDS were observed. 4) According to FAB classification in AML, highly significant HLA-A33 antigen association with AML-M3 and A2-B51 haplotype association with AML-M1 were observed. 5) According to immunological classification in AML, HLA-A29, B56 each antigen association with CD33, CD15, panmyeloid immunophenotypes and A2-B48, Cw7-B44 each haplotype association with CD34, CD33, CD11c, myeloid immunophenotypes were observed. Conclusion:AML and MDS is a disease associated with HLA, and this study will be valuable in predicting the development of AML and MDS, differentiation stages of leukemic cells in AM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