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통시장 내 소매경쟁이 임대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철성 ( Lee Chul Sung ),김장현 ( Kim Janghyun ) 한국유통경영학회(구 한국유통정보학회) 2018 유통경영학회지 Vol.21 No.5

        기존 전통시장에 대한 정부 정책은 대형유통업체와의 경쟁으로 인하여 전통시장의 매출감소를 방지하고 지역 경제의 기반을 유지하고 활성화시키기 위한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그러나 대형유통업체는 SSM 및 상품공급점, 식자재 마트 등과 함께 최근에는 편의점을 통해 전통시장에 입점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러한 대형유통업체로 인한 전통시장잠식은 매출하락에 영향을 미치며, 장기적으로는 부동산 가치의 하락을 야기하여 전통시장이 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소매경쟁의 측면에서 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나 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철성, 김영기, 김승희(2018)과 김승희, 이철성, 김영기(2018)의 연구를 바탕으로 전통시장의 소매경쟁과 임대료의 관계를 살펴보려 한다. 이를 위하여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과 한국감정원의 자료를 바탕으로 이들간의 관계를 실증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시장 내 SSM 및 상품공급점의 입점은 점포의 단위면적당 임대료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기존 김승희, 이철성, 김영기(2018)의 연구결과에서 이들 업체의 입점이 전통시장의 공실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와 일치한다. 둘째, 전통시장 내 하나로 마트의 입점은 점포 임대료에는 영향을 미치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하나로 마트가 유통산업발전법 제외 대상이나 실질적으로 대형유통업체로 간주해야 하며, 전통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전통시장 내 식자재 마트와 기타 마트의 입점은 점포 임대료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government policy on the traditional market has been made in order to prevent the decrease of sales in the traditional market due to competition with large retailers and to maintain and activate the foundation of local economy. However, large retailers have recently entered the traditional market through convenience stores, commodity supply stores, and food materials mart. Recently, it has been opened through convenience stores. Traditional market erosion caused by these large distributors affects sales decline, and in the long run, it may lead to a decline in real estate value and the traditional market may disappear. However, research on retail competition is lacking. Therefore, this study will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retail competition and rent in traditional markets based on the researches of Lee Chul-sung Kim Young ki, Kim Seung-hee (2018) and Kim Seung-hee, Lee Chul-sung and Kim Young-ki (2018).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empirical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based on the data of the market promotion corporation and the Korean appraisal agenc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SM and commodity supply store in traditional markets lower rent per unit area of stores. These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the findings of Kim Seung-hee, Lee Chul-sung, and Kim Young-ki (2018) that the entry of these firms negatively affects the vacancy rate of traditional markets. Second, Hanaro mart's entry has a negative effect on store rents. These results imply that Hanaro Mart should be regarded as a large-scale retailer or a target to be excluded from the retail industry development law and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traditional market.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food materials mart and other mart in traditional markets did not affect store rents.

      • KCI등재후보

        李德馨의 임진왜란 중 외교 활동

        이철성(Lee Chul-Sung) 한국인물사연구소 2007 한국인물사연구 Vol.7 No.-

        This paper examines activities by Lee Deok-hyeong, a diplomat and statesman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f the Imjinwaeran. Le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having Ming forces dispatched to Chosun early in the war. He also was a diplomatic expert who took the charge of treating Ming's generals and gave the conditions and information about Ming's and Japan's forces. During peace negotiation, he not only played the role of a diplomat but also participated in the creation of new military forces to make efforts to cultivate soldiers and expand military facilities. He also established plans for defending Chosun from Yeojin. During re invasion by Japan, Lee transmitted information about the conditions of Ming Japan peace negotiation, and tried to make a favor for Chosun. As such, Lee's diplomatic activities were carried out not based on justification but in a substantial dimension. His opinion apparently is seen as based on toadyism and peace orientation that Chosun should ask Ming to send military forces and dispatch an envoy to Japan. However, Lee tried to change Ming's passive attitude toward combats by means of diplomatic activities, and positively advocated Ming's generals who stood for active engagement. He also claimed that Chosun should give chase to receding Japanese forces and then subjugate Tsusima. Deok hyeong was a clever diplomat who coped with matters in the position of pragmatism.

      • 『충청감영계록』을 통해 본 19세기 충청감사의 지방행정

        이철성(Lee, Chul sung)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20 충청학과 충청문화 Vol.29 No.1

        이 글은 19세기 『충청감영계록』의 텍스트 검토를 해 충청감사의 행정적 기능과 역할의 일단을 밝히려는 것이다. 그간 『충청감영계록』은 시간적 연속성을 지니지 못하고 내용상 완결성이 떨어지는 자료로 평가받았다. 그러나 이 자료가 문서첩의 형태로 묶여 현존한다는 점에서, 『충청감영계록』은 오히려 편찬자의 ‘의도적 선택 에 의해 남겨진 사료이며 따라서 이를 나름의 기준을 가지고 재구성하면 유의미한 결론을 얻을 수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충청감사의 업무를 〈체임(遞任)〉 - 〈봉공(奉公)〉 - 〈애민(愛民)〉의 항목으로 분류하고 문서의 내용을 정리해 보았다. 이 과정에서 충청 감영의 문서 행정이 연례보고와 수시보고 등 계열성을 가지고 있었고, 그 속에서 충청감사의 한 해의 주요 임무가 윤곽을 드러냈다. 또한 충청도 각 고을의 이해관계와 생생한 삶의 현장의 모습도 파악할 수 있었다. 결국 『충청감영계록』은 첫째 연속성이 떨어지고 분절적인 자료 집성이 아니라, 조선 왕조의 중앙집권적 통치체제 속에서 지방자치와 분권의 역할을 수행하는 충청감사의 기능과 성격을 들여다볼 수 있는 소중한 사료라는 점, 둘째 『충청감영계록』은 법전류와 민서류에 나타나는 법식(法式)이 아니라 현실에서 적용되고 있던 행정의 실상과 연대기와 문집류에 가려져 있던 일반 백성의 삶을 적나라하게 보여 주는 콘텐츠의 보고(寶庫)라는 점 셋째 『충청감영계록』은 조선 왕조가 지방행정을 통해 민생을 안정시키고 사회 통합력을 높이려 했던 제반 시책을 밝힐 수 있는 자료집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KCI등재

        특집 : 연행(燕行)의 문화사 ; 조선후기 연행무역과 수출입 품목

        이철성 ( Chul Sung Lee ) 한국실학학회 2010 한국실학연구 Vol.0 No.20

        이 논문은 그 동안 대청무역 연구가 정작 수출입품 자체에 대한 관심에는 소홀했다는 반성에서 출발하여, 개별적인 수출입 품목을 대상으로 조선 사회의 경제적 배경과 문화사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1장에서는 의주부(義州府) 수검소(搜檢所)의 자료를 중심으로, 18·19세기 조선의 수출품과 수입품을 종합적으로 파악해 보았다. 2장에서는 수출 품목인 담배, 해삼, 홍삼에 초점을 두었다. 담배는 16세기 후반부터 17세기 전반까지 중국에서의 흡연 인구 급증을 배경으로 하여 조선의 대표적 수출 상품이 되었다. 해삼은 다시마·미역과 함께 조선시대 전 기간에 걸친 ``잡물무역(雜物貿易)``의 핵심 물종이었다. 홍삼은 19세기 농산 가공물로서 조선 최고의 브랜드 상품이었다. 이들 물품은 어떻게 보면 일본에서 은이 부족해진 시기에 활발히 진행되었던 ``표물무역(俵物貿易)``과 같은 상품이었다. 3장에서는 수입품으로서 모자, 수은, 붕사, 주홍 등을 검토하였다. 모자는 18세기 중후반 조선 사회의 수입 주력 품목이었으나 은화의 유출이 심한 품목이었다. 수은, 붕사, 주홍 등은 조선사회 다방면의 수요에 기반을 두고 수입되었는데, 완제품이 아니라 원재료 혹은 사치성 소비재 생산과정과 연관되어 있다는 점에서 주목했다. 교역품목에 대한 소재적 접근 방법으로써 대청무역의 성격을 규명할 수는 없다. 그러나 무역상품에 대한 규명 없이 무역의 구조와 흐름만을 논의해서도 곤란할 것이다. 소재적 접근이 갖는 한계점은 추후 지속적으로 보완해 갈 것이다. Starting from the reflection that previous studies on trade with the Qing Dynasty have been inattentive to export and import goods, this study approached individual export and import goods through the economic background and cultural history of Chosun society. For this, Chapter I examined goods exported from and imported to Chosun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based on materials from the inspection station in Euiju(義州府 搜檢所). Chapter II focused on export goods tobacco, sea cucumber and red ginseng. Tobacco became Chosun`s representative export goods with the rapid expansion of the smoking population in China from the late 16th century to the early 17th century. In addition, together with tangle and brown seaweed, sea cucumber was a key item of sundry trade(雜物) throughout the entire period of the Chosun Dynasty. Red ginseng was a processed agricultural product and the best brand of Chosun in the 19th century. In some sense, these goods may fall into the category of bale trade, which was active in Japan when silver was in shortage. Chapter III examined import goods hat, mercury, borax and cinnabar. Hat was one of main import items of Chosun society in the mid and late 18th century, but it caused the heavy outflow of silver coins. Mercury, borax and cinnabar were imported to meet demands in various areas of Chosun society, and we took note of the fact that they were not finished products but raw materials and were connected to the production of luxury consumer goods. We cannot explain the nature of trade with the Qing Dynasty through approaching the materials of trade goods. On the other hand, it may be problematic to discuss the structure and flow of trade without explaining trade goods. The limitations in the material approach will be supplemented through continuous research.

      • KCI등재

        18·19세기 조선과 일본의 인삼 재배기록 비교연구

        이철성(Chul-Sung Lee)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21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 No.60

        이 연구는 18-19세기 조선과 일본의 인삼재배 기록에 나타나는 저술의 목적과 배경 그리고 재배 기술을 비교하여 인삼 재배법의 수준과 그 의미를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밭에서 키우는 인삼재배 역사는 문헌 부재라는 현실적 장벽에 부딪혀 분명히 밝혀지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인삼재배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 동아시아의 인삼 무역네트워크의 토대를 밝히는 근본적 연구임이 분명하다. 조선의 인삼재배와 일본의 조선인삼 시험재배 기록을 살피는 것은, 한일 인삼 산업의 토대와 수준을 가늠하고, 19세기 이후 중국시장에서 조선 인삼의 비중을 이해하는 가교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19세기 서유구의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중 <인삼(人蔘)>이 18세기 이후 농서 상 인삼경작의 핵심적인 내용을 총정리한 이론서라면 이학규의 『낙하생집(洛下生集)』 중 <삼서>는 핵심 이론을 전제한 위에서 현장의 재배 기술과 경험을 나눌 수 있는 활용서라고 평가하였다. 한편 사카노우에의 『조선인삼경작기(朝鮮人蔘耕作記)』와 이학규의 『낙하생집(洛下生集)』 중 <삼서(蔘書)>의 기록을 비교 검토하여, 전자가 조선 인삼의 시험 재배단계의 내용을 삽화를 섞어 알기 쉽게 저술한 보고서라면, 후자는 인삼의 생태학적 특징과 재배단계별 내용이 이론적·실용적으로 종합 정리되는 단계의 기록이었다고 평가하였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level and meaning of ginseng cultivation methods by comparing the purpose, background, and cultivation techniques of the 18th and 19th centuries of Joseon and Japan s ginseng cultivation records. The history of ginseng cultivation in the fields has not been clearly revealed due to the lack of literature. However, it is clear that ginseng cultivation is a fundamental study that sheds light on the foundation of the ginseng trade network in East Asia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壬辰倭亂] and the Manchu Invasion of Korea[丙子胡亂]. The reason why Joseon’s ginseng cultivation and Japan’s cultivation records are being examined is because they serve as a bridge between the foundation and level of the Korean and Japanese ginseng industry and understand the proportion of Korean ginseng in the Chinese market after the 19th century. Accordingly, if “Insam[人蔘]” in the 19th century’s “Imwonkyeongjeji[林園經濟志]” is a theory that summarizes the core contents of ginseng cultivation in agricultural books after the 18th century, Lee Hak-kyu’s “Samseo[蔘書]” in “Nakhasaengjip[洛下生集]” is a guide to sharing cultivation skills and experiences in the field on the premise of core theory.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Sakanoue s “JoseonInsamkyongjakgi[朝鮮人蔘耕作記]” and Lee Hak-kyu’s “Nakhasaengjip”, the former is a simple experimental report written by mixing illustrations of the test cultivation stages of Joseon ginseng, the latter evaluated that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ginseng and the contents of each cultivation stage were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organized.

      • 딥러닝 기반 YOLO v3를 이용한 민물 어종 인식 서비스

        송현석(Song Hyeonseok),김신동(Kim Shindong),서정우(Seo Jeongwoo),류덕산(Ryu Duksan),유철중(Yoo Cheol-Jung) 한국정보기술학회 2021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21 No.6

        국내 낚시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면서 낚시가 국민의 중요한 여가 활동으로 자리매김해 가는 반면 낚시인들의 민물 어종에 대한 판별이 쉽지 않아 물고기를 잡은 후 어떤 종류의 물고기 인지 낚시를 오래한 낚시꾼 뿐 만 아니라 모든 낚시꾼의 어종 판별이 쉽지 않다. 그러므로 이러한 낚시꾼들의 애로사항을 파악하여 민물어종에 한해 민물 어종 인식 시스템 개발을 계획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애로사항을 해결하고자 YOLO v3를 통해 민물어종의 이미지를 학습하여 민물어종을 인식하는 모바일 환경의 서비스를 제공하여 낚시꾼들의 보다 정확한 민물어종 인식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While fishing has become an important leisure activity for the people as the domestic fishing market continues to grow, it is not easy for fishermen to identify what kind of fish they are after catching fish, not just those who have been fishing for a long time. Therefore, we planned to develop a freshwater fish recognition system for freshwater fish species by identifying the difficulties of these fishermen. To address these difficulties,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service in a mobile environment that recognizes freshwater fish species by learning images of freshwater fish species through YOLO v3.

      • KCI등재

        외식산업 소상공인의 식재료비 영향요인에 대한 탐험적 연구

        이철성 ( Lee Chul Sung ),김영기 ( Kim Young Ki ),김승희 ( Kim Seung-hee ) 한국유통경영학회(구 한국유통정보학회) 2017 유통경영학회지 Vol.20 No.5

        소상공인은 우리 나라 경제의 한 축이며 외식산업은 이러한 소상공인들이 가장 많이 활동하고 있는 산업 중 하나이다. 외식산업은 1인 가구의 증가와 소득수준의 향상으로 인하여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외식산업 발전의 중심에는 원가우위를 획득하기 위한 중앙집중형 조리시설인 센트럴 키친이 있다. 프랜차이즈 기업들은 이러한 센트럴 키친을 통하여 규모의 경제와 범위의 경제를 달성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시장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었다. 반면, 소상공인들은 식재료의 변동성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프랜차이즈와 경쟁하는 상황에 놓여있다. 이에 본 연구는 외식산업에서 중요한 지표로 꼽는 프라임 코스트의 하위 요소인 식재료비와 인건비를 중심으로 탐험적 연구를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외식산업의 소상공인 중 프랜차이즈 가맹점이 비가맹점에 비하여 식재료비를 절감하는지, 그리고 식재료비와 인건비 간 상충관계가 발생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더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정책 지원방안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프랜차이즈 가맹점이 비프랜차이즈에 비하여 매출액 대비 식재료비 비중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건비와 식재료비는 부(-)의 관계, 즉 상충관계에 놓여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실무적으로 센트럴키친 도입을 통하여 외식산업 소상공인 역량 강화 및 일자리 창출이 가능함을 시사한다. 더불어 학문적으로는 소상공인에 대한 연구 흐름에 기여하며, 특히 외식산업의 프라임 코스트 관련 논란에 대하여 학문적 접근을 통한 시사점을 제공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Small businesses are a pillar of the Korean economy, and the food-service industry is one of the industries where small businesses are actively engaged. Food-service industry are continuously growing, the reason is a one-person household is increasing and the improvement of household income levels. At the center of the industrial expansion, there is Central Kitchen for acquiring cost advantages. Using these central kitchens, franchise companies have achieved economies of scale and scope, and based on this, it was possible to gain market competitiveness. While small businesses are competing against the franchise in situations where the variability of food ingredients is increased. This study focuses on the food costs and labor costs, which are subordinate factors of the prime cost, which is regarded as an important indicator for food-service industry. Specifically, we examines whether franchisee reduce food costs compared to non-franchisee stores, and whether there is a conflict between food costs and labor costs. Furthermore, we are going to discuss ways to effectively and efficiently support policies. Franchisee is lower than non-franchisee stores in proportion to gross sales, and the relation of labor cost and food cost are negative. In other words, it appears that there is a conflict between the two sides. These findings mean that non-franchisee stores in the food-service industry will strive to reduce labor costs due to increased risk of variability caused by the increase in food prices. Accordingly, we expect job losses, imbalance between work and life, and so on.

      • KCI등재

        1880년 論山 遯巖書院의 移建과 재원확보

        이철성(Lee, Chul-sung) 호서사학회 2018 역사와 담론 Vol.0 No.88

        1880년(고종17) 돈암서원의 移建은 그 비중에 비추어 조선 士林들의 절대적인 관심사를 끌었을 법한 사건이지만, 관련 기록이 거의 없다는 것은 매우 기이한 현상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돈암서원 소장 『遯巖書院田畓量案』, 『院中賭地記』, 『齋任案』 등의 문서와 연대기 및 관련 자료를 활용하여, 돈암서원의 이건 배경, 재원확보 방안과 이건의 실상 및 의미 등을 재구성해 보았다. 우선 옛 돈암서원은 하천과 연못을 끼고 있어 장마와 폭우에 따른 다양한 자연재해에 노출되어 있었다. 1854년(철종5)과 1874년(고종 11) 돈암서원 주변에는 집중 호우와 홍수의 피해가 심각했다. 산과 계곡의 모양이 변하고 물길이 바뀌어 서원의 담장까지 물이 차오르는 상황이 벌어진 것이다. 이러한 재난을 극복하는 방책은 단기적으로는 집을 다시 세우고, 도로를 내며, 농지에 덮인 흙과 자갈을 거둬 내는 것이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防川, 防築 등의 治水 토목사업이 이루어져야 했다. 이는 불가항력적인 자연재해에 대응하는 인위적 행위인 동시에 재난 재발 방지를 위한 근본적인 대책이었다. 문제는 막대한 인력과 물력이 투입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돈암서원 이건 3년 전인 1877년(고종14) 돈암서원 有司 송구희는 서원전의 도지를 일제히 점검하였다. 이 과정에서 송구희는 서원 이건에 들어갈 비용을 확보하기 위해, 상환할 땅과 방매할 땅을 재임들과 의논하여 결정하고 일을 추진하였다. 이 때 상환 대상 토지는 무려 3결을 넘었으며, 도지 역시 41석 이상을 얻을 수 있는 정도의 큰 규모로 추정된다. 서원 이건은 1880년 9월 추향 때 마무리 되었다. 결국 서원의 이건은 1877년 서원 토지의 일제 점검을 한 때부터 1879년 이건이 시작되기까지 3년 이상을 준비해 오면서 착수되었고 1년여의 시간을 들여 진행되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당시 돈암서원의 건물이 모두 옮겨진 것은 아니었고 규모에도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송병선은 ‘間架는 비록 크고 작은 차이가 있으나 規模는 예전 것과 새 것이 다름이 없다.’라고 하여 새 돈암서원이 서원 건축의 전형을 계승했다고 하였다. 또한 개항이후 호서유학이 尊周大義에 입각하여 위정척사의 정신사적 맥을 이어가는 근거지가 되어야 한다고 의미를 부여하였다. 요컨대 돈암서원의 이건은 자연 환경의 변화를 극복하려는 호서사림의 노력으로 시작되었으나, 주자 성리학에 입각한 서원의 건축 양식을 준수하였고, 19세기 사상적 혼란을 바로 잡는 중심지로 기능해야 한다는 의미를 부여 받고 있었다. 이로써 이건 이후에도 돈암서원은 호서유학의 중심 서원으로서 존재할 수 있었다. In 1880, transferring construction(移建) of Donamseowon(遯巖書院) attracted absolute attention of sarim(士林) for the proportion, but it’s very weird phenomenon that there is few relative records. Therefore, this thesis reorganized background of Donamseowon’s transferred construction, method of finance securement, actual fact and meaning of transferred construction, etc. with documents such as 『dunamseowonjundapyangan(遯巖書院田畓量案)』, 『wonjungdojigi(院中賭地記)』, 『jaeimrok(齋任錄)』, etc., possessed by Donamseowon, chronicle, and relative materials. First of all, old Donamseowon included stream and pond, so was exposed to various natural disasters such as rainy season and heavy rain. In 1854 and 1874, there was serious damage caused by heavy rain and flood around Donamseowon. Shape of mountain and valley was changed and waterway was changed, so the water came up above the wall of seowon. The methods to recover the disaster were to establish the house, make the road, and collect earth and gravel from the farmlands for a short term. However, for a long term, chisu(治水) public works such as bangchun(防川), bangchuk(防築), etc. should be conducted. It was not only artificial behavior to respond to invincible natural disasters but also fundamental measure to prevent disasters again. The problem is that huge manpower and material power should be inserted. In 1877 when is 3 years before Donamseowon’s transferred construction, yusa(有司) Song, Kuhee(宋龜熙) checked the lands of seowon in the whole. In the process, Song, Kuhee discussed about redeemed lands and sold lands with members, made a decision, and promoted work so as to secure costs for seowon’s transferred construction. At that time, objective lands to be redeemed was more than 3 gyul and lands were big scale to obtain more than 41 seok. Seowon’s transferred construction finished at the time of chuhyang(秋香) of Sep. 1880. Finally, seowon’s transferred construction started while preparing for more than 3 years from the general check of seowon lands in 1877 to start of transferred construction in 1879 and it was progressed for about 1 year. In spite of it, all of Donamseowon were not transferred at that time and the scale was different. But, Song, Byungsun said, ‘Ganga(間架) has big and small differences, but scale(規模) is same as before.’ and that new Donamseowon was succeeded from the ideal type of seowon construction. In addition, it gives a meaning that hoseoyuhak should be the base to continue the context of mental history of euili(義理) learning by focusing on jonjudaeui(尊周大義) after opening a port. In summary, Donamseowon’s transferred construction started with efforts of hoseo people who intended to endure changes of natural environment, but construction type of seowon that focuses on juja seonglihak(朱子性理學) was observed. It also gives a meaning that it should be central place to correct ideological confusion of the 19th century. Therefore, after the transferred construction, Donamseowon should be existing as a central seowon of hoseyuha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