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liot and Stevens: The Emptiness and The Nothingness in “The Hollow Men” and “The Snow Man”

        장철우(Cheol-U Jang) 한국T.S.엘리엇학회 2015 T.S. 엘리엇 연구 Vol.25 No.1

        본 논문은 T. S. 엘리엇의 「텅 빈 사람들」에 나타난 “허공” 의미가 엘리엇이 주장하는 “전통”의 의미와 어떻게 연관관계를 지니고 있고 그 의미가 확장되어 모더니즘 측면에서 스티븐스의 「눈사람」에 나타난 “무”의 의미와 연결시켜 보고자한다. 두 시인이 말하고자했던 “무”가 단순히 비어있음이 아니고 실재를 둘러싸고 있는 조건이거나 또는 제한된 인간의 시각으로는 규정지울 수 없는 범위를 표현하는 방식임을 증명하고자한다. 엘리엇은「텅 빈 사람들」에서 “텅 빈 것”과 “채워짐”의 관계를 상호 보완적 차원에서 “허공”의 의미를 보여주고 스티븐스는「눈사람」에서 잠재성이 있는 무와 존재하지 않는 무로 구분하여 실재에 다가가는 방법을 제시한다. 두 시인의 목소리가 표면적으로는 다른 것처럼 보이나 결과적으로 두 편의 시에서 독자는 같은 것을 고민하는 두 시인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게 된다. This essay illustrates how the emptiness appears in T. S. Eliot’s poem, “The Hollow Men,” and what the value of the nothingness in Wallace Stevens’s poem, “The Snow Man,” exploring two poets’ poetics in terms of modernism. In “The Hollow Men,” Eliot attempts to overcome the binary opposition by grasping the still point in juxtaposing “the hollow” and “the stuffed.” “The hollow men” and “the stuffed men” are leaning together to assist the other. On the other hand, Stevens describes the emptiness not as nothing itself, but as the nothing which gives us a potentiality. The potentiality brings out the ontological value of the reality. The former poet focuses on the whisper of “the hollow” with “the stuffed” because he adopts “the shadow” which serves as the hollow’s liaison with the stuffed while the latter differentiate the nothingness from the nothingness by highlighting the realm of unperceived in the world. Eliot makes use of a constant companionship between the binary oppositions, but Stevens ontologically approaches the nothingness against nothingness.

      • KCI등재

        Historical Materialism of Go Down, Moses: Hunting/Haunting in Time

        장철우(Cheol-U Jang) 한국아메리카학회 2019 美國學論集 Vol.51 No.3

        This essay explores how historical materialism’s perspective of time is beneficial to read William Faulkner’s Go Down, Moses, especially in three stories of six, “Was,” “The Fire and the Hearth” and “The Bear.” Walter Benjamin’s key concept, “Messianic time,” is appropriate terminology for Faulkner’s Go Down, Moses, especially in “Was” and “The Bear.” Tomey’s Turl and Issac are inheritances of the American slavery system which overarches hunting/haunting of antebellum South. Their family bondage is much stronger enough to undermine slavery history and to reshuffle time sequences; Issac becomes familiar with welcoming Messianic time. This essay also explains why Faulkner attempts to let them (Issac, Tomey’s Turl, and Lucas) rewrite not merely the American slavery history but their own family history by employing hunting/haunting “old bear” which bears the traces their family left.

      • KCI등재

        Deleuzian Ethics in T. S. Eliot’s Poetics

        Cheol-U Jang(장철우) 한국비평이론학회 2019 비평과이론 Vol.24 No.2

        질 들뢰즈의 철학적 개념 중에서 “잠재태”(the virtual)는 생철학자 베르그송의 영향을 받은 T. S. 엘리엇의 시학적 개념인 “전통”(tradition)과 현재와 과거와의 관계 속에서 해석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궤를 같이한다고 볼 수 있다. 엘리엇은 그의 시학을 통해서 인습을 고수하는 “전통주의”보다 항상 현재와의 소통을 하는 “전통”의 가치를 높이 평가한다. 그리고 가 전통을 얻기 위해 필요한 조건으로 생각한 “역사적 인식”은 과거와 현재의 관계 속에서 상호관계를 연결시키는 윤리 적 매개체이며, 들뢰즈가 생각하는 산 자와 죽은 자 사이의 윤리학에서도 필요한 요소이므로 두 사상가의 몰개성적 윤리학을 이루는데 바탕이 된다. 엘리엇은 황무지, 텅빈 사람들 , 불멸의 속삭임 을 통하여 고착된 이분법적 사고에 저항하며 현재와 과거, 죽은 자와 산 자의 윤리학을 실현 시킨다. 본 논문은 이러한 엘리엇의 들뢰즈적 윤리학은 영원한 시간 속에서 현재태(the actual)와 분리되지 않고 “실재계”(the real) 속에 공존하는 “잠재태”(the virtual)의 역할이 그가 추구한 “전 통”을 실현하기 위한 필수불가결한 요소임을 설명하고 결과적으로 들뢰즈와 엘리엇의 몰개성적 윤리학을 통해서 실제적인 타자와의 관계가 아니라 개인이 몰개성화 세계를 경험에서 발생하는 윤리학임을 증명한다. Gilles Deleuze’s philosophical term, “the virtual” reminds us of T. S. Eliot’s poetic term, “tradition” in terms of Henri Bergson’s vitalistic ethics. Eliot’s poetics has something to do with Deleuzian ethics in that Eliot accomplishes his “tradition” to the extent which the past/the present echoes the dead/the living in the realm of the impersonal ethics based on historical sense. In his poetics, Eliot puts the emphasis on the value of tradition, not that of traditionalism. The poet opens the possibility of relationship between the dead and the living or death and life by dealing with such binary oppositions as death/life, the past/the present, wasteland/garden in his works, The Waste Land, “The Hollow Men,” and “Whispers of Immortality.” The ethical relationship between binary oppositions is fully fulfilled in those three poems in the perspective of Deleuzian ethics. For Deleuze, the impersonal death leads us to the field of the virtual and makes us meet the dead in times of Aion. The essay attempts to illustrate how Eliot’s “tradition” can be acquired in the realm of Deleuzian impersonal ethics which is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 and the impersonalized self, not between the self and the other.

      • KCI등재

        Landscape/Mindscape of American Sublime : Walt Whitman and Wallace Stevens

        장철우(Cheol-U Jang) 한국비평이론학회 2022 비평과이론 Vol.27 No.1

        19세기 이후 미국사회는 문화가 발전하고 진화하면서 사상적으로 미국의 청교도(Puritanism), 개인주의(Individualism), 실용주의(Pragmatism), 초절주의 (Transcendentalism), 자유주의(Liberalism)등 서로 다른 지적 풍토를 하나로 묶어서 지탱할 수 있는 무엇인가를 필요로 하였다. 본 논문은 바바라 노박 (Barbara Novak)은 미국의 풍경화를 해석할 때 훔볼트의 개념인 ‘풍경’ (landscape)을 적용한다. 그는 공통적인 풍경을 통해서 문화의 다양성을 하나로 묶어내고 구분을 좁히려 노력하고 미국의 정체성과 아름다움을 하나의 베일로 싸려는 시도를 한다. 본래, 훔볼트는 다양성이 내재된 자연을 하나로 통합하고 예술과 과학을 통합해서 전우주를 자신의 생각 속에 담으려했다. 그는 예술과 과학을 통해서 인간과 자연에 대한 진실에 접근이 가능하다고 생각했다. 과학의 발전은 자연을 탐구하는데 부정적으로 작용하지 않고 오히려 보지 않고 오히려 과학의 발전이 자연을 좀 더 깊게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생각했다. 그는 ‘아름다움’과 ‘숭고미’에 대한 견해도 버크(Burke)와 칸트의 입장과 다르게 ‘아름다움’과 ‘숭고미’의 차이점은 인간의 감정에 미치는 강도의 차이가 아니고 각자 다른 감정의 차이를 야기시키는 풍경의 종류의 차이라고 설명한다. 본 연구는 그의 이러한 통합의 사상이 미국 정체성의 형성 과정을 설명하는데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하고 이러한 사상은 에머슨의 초절주의와 그 궤를 같이함을 증명하고 19세기, 20세기 미국 시인들 휘트먼의 가로지르는 브루클린 페리 과 스티븐슨의 병에 관한 일화 과 눈사람 을 통해서 ‘풍경’이라는 예술적 개념이 철학적 개념으로도 확장될 수 있음을 확인해 보려고 한다. Since the nineteenth century, as culture has developed and evolved, American society has ideologically needed something to support different intellectual climates such as Puritanism, Individualism, Pragmatism, Transcendentalism, and Liberalism. This essay employs Humboldt’s concept of ‘landscape’ when interpreting American landscape paintings in the context of such climates. Originally, Humboldt tried to incorporate nature with diversity into one and adopt art and science to capture the entire universe in his thoughts. He explains that unlike Burke and Kant’s views on ‘beauty’ and ‘sublime,’ the difference between ‘beauty’ and ‘sublime’ is not the difference in intensity on human emotions, but the kind of landscape that causes differences in emotions. The essay explores the idea that the integration is best suited to explain the formation process of American identity, proving that it is in line with Emerson’s transcendentalism, and confirming that the artistic concept of ‘landscape’ can be extended to philosophical concepts through the works of American poets’ works such as Walt Whitman’s “Crossing Brooklyn Ferry,” and Wallace Stevenson’s “Anecdote of the Jar,” and “The Snow M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