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on Preference and Fertility Transition in South Korea

        Bongoh Kye(계봉오) 한국인구학회 2014 한국인구학 Vol.37 No.3

        본 연구는 한국의 아들선호와 출산력의 관계가 출산력 변천을 거치면서 어떻게 변화해왔는지를 탐구한다. 아들선호는 한편으로 근대화 과정에서 약화되며 다른 한편으로는 출산력 변천을 지연시킨다고 할 수 있는데, 이는 강한 아들선호가 존재할 경우 아들이 없는 부부가 출산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한국고령화 패널 자료를 활용한 분석결과는 이와 같은 단순한 예상을 지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아들선호와 추가자녀출산(transition to next parity)의 관계는 최근 출생 코호트로 올수록 오히려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들선호가 출산력 변천을 지연시키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둘째, 아들선호와 추가자녀출산은 교육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지 않고 있다. 즉, 교육 수준이 낮은 여성들에게서 나타나는 둘 간의 관계가 교육수준이 높은 여성에게서도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한국의 아들선호가 교육수준과 무관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시사한다. 그렇지만, 아들선호와 추가자녀출산 시기(timing of transition to next parity)는 출산력 변천 이후 교육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상호작용 효과는 출산력 변천 이전에는 발견되고 있지 않다. 이는 출산력 변천 이후 교육수준이 아들선호와 출산시기의 관계를 조정하는(moderating)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결론에서는 이와 같은 분석결과가 한국의 출산력 변천에 갖는 함의를 논의한다. I examine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son preference and fertility changed during the Korean fertility transition. Son preference is supposed to weaken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and delay fertility transition because strong son preference may lead to additional births among sonless couples. Data analyses using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do not support this simple expectation.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son preference and transition to next parity became rather stronger across birth cohorts. Consequently, son preference did not deter fertility transition.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son preference and the probability of transition to next parity does not vary upon education. This suggests that son preference was prevalent in South Korea regardless of educational expansion.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son preference and the timing of transition to next parity varied by educational level after the fertility transition although there was no such differential before the transition. This means that education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n preference and timing of fertility but not the relationship between son preference and the probabilities of having an additional child. I discus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r the Korean fertility transition.

      • KCI등재

        Cross-sectional Average Fertility (CAF)

        Bongoh Kye(계봉오) 한국인구학회 2015 한국인구학 Vol.38 No.3

        본 연구는 횡단-평균 출산율(Cross-sectional Average Fertility, CAF)의 속성을 살펴본다. 최근에 제시된 횡단-평균 출산율(Kye, 2012)은 가임기 여성의 현재 및 과거 출산 경험에 대한 요약치이며, 이들의 평균 가족크기와 관련이 있다. 본 연구는 인간 출산율 데이터 베이스(Human Fertility Database, HFD)와 가상실험 자료를 활용하여 횡단-평균 출산율의 속성을 검토하고 이를 다른 출산율 측청치와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횡단 평균 출산율이 횡단 평균 기대수명(Cross-sectional Average Length of Life, CAL)과 정태적 평균초혼연령(singulate mean age at marriage, SMAM)과 같은 횡단-평균 측정치이기 때문에, 이들 측정치들과의 공통점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횡단-평균 출산율은 다른 측정치들보다 기간 템포 변화의 영향을 가장 작게 받는다. 따라서, 다른 측정치들보다 매끄러운 추세를 보여준다. 특히, 이러한 경향은 출산율이 단선적으로(monotonically) 하락하는 기간 동안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둘째, 횡단-평균 출산율의 변화추세는 지연된 완성 코호트 출산율(lagged completed cohort fertility)과 유사하며, 이는 횡단-평균 출산율이 기존에 사용되어 왔던 지연된 완성 코호트 출산율과 비슷한 방식으로 해석될 수 있음을 함의한다. 지연된 완성 코호트 출산율과 비교할 때, 횡단-평균 출산율은 가장 최근 기간에도 계산 가능하기 때문에, 이러한 유사성은 출산율 추세를 연구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요약하면, 횡단-평균 출산율은 다음과 같은 측면을 고려할 때 출산율 연구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첫째, 횡단-평균 출산율은 출산시기 및 출산 수준이 변화하는 상황에서 템포 효과를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다. 둘째, 횡단-평균 출산율과 지연된 완성 코호트 출산율의 유사성은 횡단 평균 출산율이 출산연구에서 인구학적 변형(demographic translation)을 이해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e current study examines the properties of cross-sectional average fertility (CAF). The CAF is a recently suggested summary fertility measure (Kye, 2012) and summarizes the current and past fertility experiences of currently reproductive women and relates to their mean family size. I examine the properties of CAF and compare it with other summary fertility measures using the Human Fertility Database (HFD) and simulated data. Because CAF is a cross-sectional average measure such as cross-sectional average length of life (CAL) and singulate mean age at marriage (SMAM), I also discuss the shared properties of these measures. Comparison of CAF with other measures shows the following. First, CAF is the most robust to period tempo changes, and it consequently shows the smoothest trends among the measures considered. In particular, this is the case during the period of monotonic fertility decline. Second, the trends of CAF closely resemble those of lagged completed cohort fertility. This suggests that CAF can be interpreted as lagged completed cohort fertility. Because the CAF is available in most recent period whereas lagged completed cohort fertility is not, the correspondence should be useful to examine fertility trend. In sum, CAF is useful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it accounts for tempo effects when fertility timing as well as level changes. Second, the correspondence of CAF and lagged completed cohort fertility suggests that CAF can work for demographic translation in fertility research.

      • KCI등재

        한국의 세대간 사회이동 : 출생 코호트 및 성별 비교

        계봉오(Kye, Bongoh),황선재(Hwang, Sun-Jae) 한국인구학회 2016 한국인구학 Vol.39 No.3

        이 연구는 한국의 세대간 사회이동 변화를 출생 코호트와 성별 비교를 통해 경험적으로 검토한다. 기존의 연구에 따르면 대부분의 산업사회에서 절대적 사회이동(absolute mobility)은 증가하다가 최근 들어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지만, 상대적 사회이동(relative mobility)에는 뚜렷한 패턴이 발견되지 않는다. 즉, 직업구조 변화에 따라 구조적 이동(structural mobility)의 양상은 변화하지만, 세대간 유동성(fluidity)에는 큰 변화가 없다는 것이다. 한국사회의 경우 급격한 산업구조 변동으로 인해 절대적 이동이 다른 국가들보다 높은 수준이며, 상대적 이동 또한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최근 들어 한국사회에서는 “수저계급론” 등 계층구조의 고착화에 대한 사회적 우려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계층갈등의 심화 및 사회적 신뢰수준의 저하로 연결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산업화가 일정 단계를 넘어서면 사회적 유동성이 오히려 감소할 수 있다는 “후기산업사회 경직화 가설(post-industrial rigidification thesis)”의 주장과 일맥상통한다. 이 연구는 절대적 이동과 상대적 이동이 사회이동 연구에서 갖는 함의를 고찰하고, 한국교육개발원의 “교육과 사회이동 조사연구”를 사용하여 세대간 사회이동 패턴의 출생 코호트별, 성별 변화를 살펴본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최근 코호트의 절대적 이동은 다소 감소한 반면, 상대적 이동은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지만, 남성의 유동성은 다소 증가했으나 여성의 경우에는 감소하고 있다. 이는 사회적 유동성의 변화와 계층구조 경직성에 대한 인식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수저계급론 등과 같은 사회적 폐쇄(social closure)의 강화라는 단순한 개념으로는 사회이동의 패턴 및 계층구조 인식의 변화를 설명할 수 없음을 보여준다. In this study, we examine how intergenerational mobility changed across birth cohorts in Korea. Research in social mobility has found consistent relative mobility in industrialized countries as well as initially increasing and then decreasing absolute mobility during the socioeconomic development. Relative mobility in Korea was somewhat higher than other industrialized countries and absolute mobility was extraordinarily high due to high structural change. Recently, concerns about decreasing social fluidity increased, intensifying class conflict and dampening social trust. This phenomenon is consistent with the expectation of ‘post-industrial rigidification’ thesis; social fluidity may decrease at the late stage of industrialization. In this article, we critically review the implications of absolute and relative mobility in the study of social mobility, and examine how the intergenerational mobility patterns changed in Korea using the “Education and Social Mobility” data. While absolute mobility a bit decreased for the youngest cohorts, relative mobility showed no monotonic trends. We also find diverging patterns by gender; increasing rigidity among the women and increasing fluidity among men to some degree although these changes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uggests that the recent change of intergenerational mobility patterns in Korea is not simple and warrants more careful investigation.

      • KCI등재

        여성의 고학력화와 결혼시장 미스매치 가설에 대한 비판적 검토, 1990-2015

        계봉오 ( Bongoh Kye ),고원태 ( Won Tae Koh ),김영미 ( Young-mi Kim ) 한국조사연구학회 2021 조사연구 Vol.22 No.1

        이 연구는 여성의 고학력화가 결혼시장 미스매치에 미치는 함의를 살펴본다. 혼인율의 하락은 결혼성향의 변화와 결혼시장의 구조변동의 결과로 해석할 수 있는데, 결혼시장 미스매치 가설은 여성의 교육수준 향상에 따른 결혼시장의 구조변동에 초점을 맞춘다. 이 주장에 따르면 여성의 교육수준 향상에 따라 고학력 여성이 결혼할 만한 남성 풀이 상대적으로 작아지고 이것이 혼인율 하락으로 이어진다. 이 연구는 인구주택총조사 2% 마이크로 자료(1990, 2005, 2015)와 결측치의 핫덱 대체법(hot deck imputation)을 활용해서 이러한 가설을 검토한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혼여성이 본인과 유사한 조건의 유배우 여성과 비슷한 방식으로 배우자를 선택한다고 가정하여 구성한 합성 배우자(synthetic spouse)의 사회경제적 특성은 실제 미혼남성보다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합성 배우자와 실제 미혼남성들의 교육수준 차이는 감소하고 있으며, 직업적 지위의 차이 변화에는 뚜렷한 추세가 존재하지 않는다. 셋째, 미혼여성이 합성 배우자의 속성과 일치하는 속성을 지닌 미혼남성을 실제로 찾을 수 있는 가능성(잠재적 매칭, potential matching)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이러한 가능성의 증가는 고학력 여성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즉, 결혼시장 미스매치 가설의 예상과 다르게 고학력 여성이 결혼할 만한 남성의 부족 현상은 한국 결혼시장에서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 이는 미혼남성의 수가 미혼여성의 수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한국 결혼시장의 특성에 그 원인이 있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고학력 여성의 비혼율의 증가가 사회경제적 측면에서의 미스매치보다는 가치관 등 문화적 측면에서의 미스매치에 기인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implications of improvement in women’s education for marriage market mismatch in Korea. Changes in marriage propensity and structural changes in marriage market are responsible for decline in marriage rates. Marriage market mismatch hypothesis focuses on structural changes caused by improvement in women’s education. Improvement in women’s education may lead to the lack of marriageable men, causing declining marriages. In this study, we examine this possibility by using the 2% Korean census micro data and the hot deck imputation method. The analyses show the followings. First,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synthetic spouses’, which are constructed by assuming that never-married women’s marriage patterns would be the same as currently married women with the similar characteristics, would be more advantageous than those of real never-married men. Second, changes in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groups are mixed; differences in educational attainment declined but occupational differences showed no clear trend. Third, ‘potential matching’, which is defined as possibility that never-married women can find never-married men with the same characteristics of synthetic spouses, increased. Fourth, the increase in ‘potential matching’ was more noticeable among highly educated women. Hence, lack of marriageable men for highly educated women does not explain declining marriage in Korea, contrary to the marriage market mismatch hypothesis. Highly skewed sex ratio in the Korean marriage market and value-related mismatch are responsible for this pattern.

      • KCI등재

        인구고령화, 사회경제적 발전, 사회불평등의 관계

        계봉오(Kye, Bongoh) 비판사회학회 2015 경제와 사회 Vol.- No.106

        이 연구는 인구고령화, 사회경제적 발전, 사회불평등의 관계를 살펴본다. 최근 한국사회에서는 인구고령화의 부정적인 사회경제적 함의에 대한 논의 및 출산율 제고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논의들은 한 가지 중요한 사실을 간과하는 경향이 있다. 인구고령화는 경제성장, 교육 수준의 향상, 건강 수준의 향상 등 다른 사회경제적 발전과 함께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들은 인구고령화의 부정적 영향을 어느 정도 상쇄할 것이다. 신맬서스주의에 기반을 둔 최근의 논의들은 이와 같은 사실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는데, 이는 인구고령화에 대한 시각을 좁은 틀 안에 가두고 있다. 본 연구는 인구구조와 사회경제적 발전의 관계를 다루는 다양한 인구학적 논의들을 정리하고, 교육 및 건강수준 향상이 인구고령화에 미치는 영향과 연령구조 변화가 사회불평등에 미치는 영향 등을 살펴본다. 본 연구는 이러한 논의에 근거해서 인구고령화가 사회경제적 발전 및 사회불평등의 변화와 상호적인 관계를 맺는다고 주장하고, 이와 관련된 정책적 함의와 향후 연구주제에 대해서 논의한다. The current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among population aging, socioeconomic development, and social inequality. There have been increasing discussions about negative consequences of population aging and how to boost fertility in Korea. These discussions, however, tend to ignore an important fact. Population aging proceeds with socioeconomic development such as economic growth, and improvement in education and health. These changes should countervail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population aging to some extent. The discussion of population aging, based on the Neo-Malthusian framework, does not fully account for this fact, narrowing the perspecive on population aging. The current study reviews a variety of demographic theories that tou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pulation structure and socioeconomic development. I also discuss the implications of improvement of education and health on population ag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opulation change and social inequality. Based on this review, I claim that population aging has a reciprocal relationship with socioeconomic development and social inequality. I also discuss policy implications and research topics based on this claim.

      • KCI등재

        인구고령화 지표에 대한 대안적 접근: 장래연령 관점을 중심으로

        계봉오(Kye, Bongoh) 한국인구학회 2020 한국인구학 Vol.43 No.4

        인구고령화는 사회경제적 발전과 함께 진행되는 현상이며, 이를 고려하지 않은 인구고령화에 대한 논의는 인구고령화에 따른 부정적 파급효과를 과장하는 경향이 있다. 이 연구는 우선 인구고령화에 대한 대안적 접근을 특성중심 접근(Characteristics approach)과 장래연령 접근(Prospective age approach)으로 나누어서 살펴본다. 통계청의 생명표 및 장래인구추계자료를 활용하여 기대여명이 15년인 연령(Remaining Life Expectancy 15 years, RLE 15-), 이들이 전체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Proportion RLE 15-), 장래연령 기준 고령인구 부양비(Prospective Old Age Dependency Ratio, POADR), 장래연령기준 생애과정 비율(Prosepective Life Course Ratio), 장래연령 중위연령(Prospective Median Age, PMA)등의 장래연령에 기초한 대안적 지표를 인구고령화 지표로 추정하고 이를 전통적인 인구고령화 측정치와 비교한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한국사회의 고령화는 전통적인 인구고령화 측정치가 제시하는 것보다 천천히 되어왔고, 앞으로도 그럴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인구고령화가 건강수준의 향상과 함께 진행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며, 인구고령화에 대한 논의가 건강수준 향상이 갖는 긍정적 함의를 포괄해야 함을 시사한다. 결론에서는 이와 관련한 정책적 쟁점을 논의한다. Population aging is a phenomenon that proceed in tandem with socioeconomic development. If we neglect this fact, we exaggerate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population aging. In this paper, I review two alternative approaches to population aging, characteristics approach and prospective age approach. Then, I estimate population aging indices based upon prospective age such as age of remaining life expectancy below 15 years(RLE 15-), Prospective Proportion Old(PPO), Prospective Old Age Dependency Ratio(POADR), Prospective Life Course Ratio(PLCR), and Prospective Median Age(PMA). These indices are compared with conventional aging indices. Analyses show that population aging appears to proceed much slower in prospective age measures than conventional ones. This is the case because population aging and improvement in health proceed in tandem. Hence, policy discussions on population aging should account for implications of improvement of health.

      • KCI등재

        이행의 계곡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나

        김영미(Young-Mi Kim),계봉오(Bongoh Kye) 한국여성학회 2015 한국여성학 Vol.31 No.3

        성평등적 접근에 따르면 저출산은 전통적 성별분업의 평형상태에서 성평등적 성별분업의 평형상태로의 전환기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이 관점에 따르면 성평등주의가 어느 정도 진행되었으나 확산의 규모가 제한적인 사회들에서 저출산이 가장 심각하게 나타나게 된다.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초저출산 국가들, 남유럽과 동구권 국가들이 여기에 해당된다. U자형 이행의 계곡에 있는 초저출산 국가들의 어떠한 사회경제적 조건이 여성의 일과 출산을 둘러싼 미시적 결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을까? 이 연구는 이행기 사회의 노동시장 조건이 여성들의 생활양식 선호가 실현되는 데 제약을 미칠 것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U자형 이행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고지 한다. 이를 위해 여성의 선호에 집중하여 저출산 현상을 설명하고자 했던 하킴의 선호이론을 들여오되 여성의 선호가 왜곡없이 실현된다는 하킴의 가정을 비판하며, 여성의 선호가 실현되는 정도는 경제적 영역에서의 성평등성 정도와 연관되어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여성의 선호실현도라는 새로운 개념을 통해 출산율의 국가 간 변이를 설명하고자 한 이 연구는 ISSP 2012년 〈가족과 변화하는 성역할〉 모듈 자료를 이용하여 38개국의 국가 단위의 총합 변수들을 구성하고 각 국가의 2012년도 출산율과 여성의 선호실현 변수를 종속변수로 하는 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전통적 성역할에 수용적인 여성들과 저항적인 여성들 간의 경제활동률의 차이로 측정된 선호실현도는 국가 간 상당한 변이를 보이며 스웨덴에서 가장 높고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국가들, 동유럽 국가들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 활동에서의 성평등이 높은 국가일수록 여성의 생활양식 선호가 실현되는 정도가 높은 경향성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선호실현도는 출산율과 뚜렷한 정(+)의 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gender equality approach to fertility argues for a U-shaped relationship between the fertility rate and gender egalitarianism, that the low fertility is a temporal phenomenon during the period of transition from a once-stable family equilibrium based on the traditional gender division of labor to a new gender egalitarian equilibrium of family life, According to this perspective, it is those societies where gender egalitarianism is diffused to a limited degree that the fertility is the lowest, namely East Asian countries and Southern/Eastern European countries. What is the most important socioeconomic condition that leads to the lowest-low fertility in the transitional societies? We focus on the labor market condition of the low fertility countries in that it constrains the realization of the life style preference of women, and argue that the extent to which women’s life style preference is realized is closely related with the degree of gender egalitarianism in the labor market. Using ISSP 2012 Family and changing gender roles module,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among fertility, gender gap in the labor market, and the preference realization, a variable constructed with gender role attitudes and economic participation. The result shows that the preference realization shows a significant cross-national variation, highest in Sweden and lowest in East Asian countries and Eastern European countries. More gender egalitarian countries shows greater preference realization. The degree of preference realization is positively related with fert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