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20 January 2007, Mw 4.48, Odaesan, Korea, earthquake

        Namdae Jo,Chang-Eob Baag 한국지질과학협의회 2007 Geosciences Journal Vol.11 No.1

        Jo, N.-D. and Baag, C.-E., 203, Estimation of spectrum decayparameter κ and stochastic prediction of strong ground motionsin southeastern Korea.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Society of Korea, 7, 597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Junn, J.-G., Jo, N.-D. and Baag, C.-E., 2002, Stochastic prediction ofground motions in southern Korea. Geosciences Journal, 5, 1726.Kang, T.-S. and Baag, C.-E., 2004, The 29 May 2004, Mw=5.1, off-shore Uljin earthquake, Korea. Geosciences Journal, 8, 115123.KIGAM, 2007, http://quake.kigam.re.kr.Kim, W., Kim, S. K. and Baag, C.-E., 206, Optimum design foraccelerograph network and instrumental intensity in South Korea.Technical Report t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Pre-pared by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107 p. (in Korean)Kim, W., 2007, Earthquakes in Stable Continental Region, 1-dayworkshop for seismic observation and analysis Earthquakes in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선경(禪經) 문헌과 수슈르타 상히타에 나타난 체질의학에 대한 비교 연구

        박종식(Baag, Jong-Shik)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9 佛敎學報 Vol.0 No.89

        체질론은 일반적 상식의 수준에서도 유통되지만, 의학분야에서는 효율적 건강관리의 측면에서 연구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체질의학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하여 아유르베다와 불교의 관점을 대조함으로써 몸이라는 대상을 파악하는 사유 방식을 점검한다. 특히 고대인도의 전통의학인 아유르베다에서는 3구나와 3도샤의 개념을 바탕으로 인체를 규명하면서 체질의학으로 전개되었다. 특히 아유르베다 학파 가운데 외과학을 중심으로 발달하였던 수슈르타 학파는 3도샤에 따른 체질을 제시하는 일반적 관행을 넘어서 천상계와 지상계라는 2부류를 첨가하여 5종 유형의 인간체질론을 제시하였다. 이로써 인도수비학의 전형 가운데 하나인 5수 분화체계를 지향하며 5대 체질론(pañca-mahābhautika)을 제시한다. 또한 수슈르타 학파는 물질적 우주론을 인체에 상응하기 위해 도입된 개념인 혈액(rakta)체질의 첨가 이후 kapha-pitta-vāta-rakta의 4체질설을 확정하여 제시한다. 이로써 수슈르타 상히타는 4체액설, 4체질설, 4성격유형론 등 여타의 4요소설이 가지는 보편성을 획득하는기반을 마련하게 되었다. 이 점은 3체질론의 설명방식과 4체질론의 이론이 상호 경쟁하는 과정에서 궁극적으로 4체질론이 보편성을 획득한 것이다. 이점에서 수슈르타 학파의 실증적 관점은 불교의학의 실천적 태도와 친연성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불교의 선경 문헌 『좌선삼매경』과『수행도지경』 등은 선정수행의 실천과 종교성을 제시하며 실증적 태도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수행의 방편을 행자의 기질에 따라 제시함으로써 체질의학에서 실천적 접근의 입장은 확연하다. 탐진치의 3독 개념을 바탕으로 전개되는 불교 체질의학은 아유르베다의 물질적 세계관과 달리 심리적 측면으로 서술되는 특징이 있다. 『좌선삼매경』은 3독 개념을 중심으로 심리와 체형을 분석하여 제시하고 있다. 또한 『수행도지경』의 경우 심리적 특성은 물론 이에 따른 신체적 성향 등을 상세하게 제시하여 19 유형을 상세하게 제시함은 물론 이에 따른 수행의 내용을 안내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way of thinking about the body by contrasting the views of Āyurveda and Buddhism through the content analysis of constitution medicine. In Āyurveda, a traditional medicine of ancient India, it was developed as a constitution medicine by identifying the human body based on the concept of 3guṇa and 3doṣa. Among the Āyurveda schools, the Suśruta school developed five types of human constitution by adding two classes of pārthiva (地界) & nābhasa (天界) systems beyond the general practice of presenting constitution according to the 3doṣa systems. In this way, we aim for the fivedifferentiation system, one of the typical examples of Indian numerology, and present the five constitutions (pañca-mahābhautika). In addition, the Suśruta school presents the four constitutions of kapha-pitta-vāta-rakta after the addition of the blood (rakta) constitution, a concept introduced to correspond to the material cosmology. This led Suśruta Saṃhitā to lay the groundwork for acquiring the universality of other four-factor theories such as four-body theory, four-constitution theory. This point is that the four constitutions ultimately gained universality in the process of the competition between the three constitutions and the four constitutions. In this sense, the empirical viewpoint of the Suśruta school shows the practical attitude and affinity of Buddhist medicine. Buddhisms Zen Scriptures (禪經), Zuochansanmeijing (『坐禪三昧經』) Xiuxingdaodijing (Skt., Yogacārabhūmi, 『修行道地經』) show empirical attitudes by presenting the mode of bhāvana (修習) and religiousity. Particularly, the position of practical approach in constitution medicine is clear by suggesting the means of practice according to the temperament. Buddhist constitution medicine, which is based on the concept of three poisons (3毒), is characterized by psychological aspects, unlike Āyurvedas material worldview. Tso chan san mei ching analyzes the psychology and body shape based on the concept of three poisons(3毒). In addition, in the case of Xiuxingdaodijing’ 19 types are presented in detail as well as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inclinations, and the contents of the performance are guided.

      • 보안 멀티캐스트 환경에서 최소비용을 위한 효과적인 Rekey Interval 할당에 관한 연구

        박진영(Baag Jin Young),이구연(Lee Goo Yeon),이용(Lee Yong) 강원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2001 産業技術硏究 Vol.21 No.1

        This paper proposed for allotment of group key’s rekey interval required from secure multicast environment. New group key distribution occurs in two cases: one is periodical update and the other is permitted or unpermitted withdrawal of group member. In later case, the group controller distributes new group key to member except withdrawal member because it can’t predict precisely. In former case, the group member who cheated the group can adjust the rekey interval. Using relation between security level, overhead and cost from rekey interval, this paper suggests effective rekey interval allotment through probable performance analysis in large dynamic group.

      • KCI등재

        달마불식(達磨不識) 공안과 한국 선시(禪詩)의 관련성 연구 -만해용운과 설악무산의 작품을 중심으로-

        박종식 ( Baag Jong-Shik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20 禪文化硏究 Vol.28 No.-

        한국의 불교수행 풍토에서 간화선 수행은 선의 종지가 전래된 이후, 중국화된 가풍으로부터 벗어나 독자적 속성을 찾으려고 노력한 흔적이 있다. 특히 근대이후 공안을 매개로 한 한국 문학 작품은 이러한 한국 선관의 특징을 반영하여 한국인의 미의식을 고취하였다. 달마불식의 공안이 문학적 작품으로 승화한 대표적 작품으로는 만해용운의 「알 수 없어요」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때까지의 문학평론 위주의 만해 연구는 이러한 측면을 규명하는데 소홀한 점이 있었다. 그리고 설악무산의 문학작품들에 대한 접근 역시 문학평론을 중심으로 진행되었기에 작품의 본령에 속하는 선적 해석에는 부족한 실정이었다. 본 연구의 기본 취지는 기존의 연구 경향들로부터 벗어나 만해와 설악의 문학작품 저변에 자리한 선관을 검토하기 위하여 ‘불식’ 화두와 관련지어 재조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벽암록』과 『종용록』서두에 등장하는 ‘달마불식’ 화두의 형성과정을 고찰하여 공안이 문학의 창작 동기로 작동할 수 있는 지점을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선어록의 독해 방법인 적기어법을 점검하고, 나아가 한국적 전개양상을 『선문염송』과 연결지어 검토하고 마지막으로 만해와 설악의 문학작품을 통하여 그 성과를 측량할 것이다. 이는 『벽암록』이나 『종용록』 등의 중국 선전과 대조되는 『선문염송』의 찬술과 더불어 본격화된 한국 선수행의 특징을 만해와 설악의 문학성에서 규명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선시의 영역으로 표출되는 한국선관의 문학적 성과를 새롭게 조명하여 선문화에 대한 연구의 지평을 선관의 문학화로까지 확장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선문염송』에서 독자적 노선이 확립되어 전승된 한국선의 독자성은 만해에 이르러 뚜렷하게 확장되어 현대시의 성격을 지닌 시집 『님의 침묵』으로 제시되었다. 또한 설악은 전통적 선시의 영역을 시조의 형식으로 변형시키며 ‘한글 선시조’라는 독창적 분야를 개척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달마불식의 공안은 만해와 설악을 통하여 재가공되었다고 할 수 있다. 만해의 『님의 침묵』이후 만해 정신을 계승한 설악은 자신의 작품 창작 모티브가 『선문염송』에 있음을 밝히며 선수행을 생활의 미학으로 개진하고자 하였다. 특히 설악은 ‘불식’을 시제(詩題)로 사용하며 선의 수행을 한국의 문화적 전통으로 연결하여 문학적 형상화에 성공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The practice of Ganhwa - Seon(看話禪) in Korea Buddhism has been traced since the tradition of Seon was passed, trying to find its own attributes away from the Chinese tradition. In particular, Korean modern literary works, which have been used as a medium for Gong - An(公案), have inspired Koreans' aesthetics by reflecting these characteristics of Korean Seon. Manhae Yongwoon's < I Can't Know >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works sublimated by the Dharma Bulseek(達磨不識) as a literary work. However, the study of Manhae focused on literary criticism up to this point has been neglected to identify aspects related to Seon and Gong-An. In addition, studies on literary works of Seorak Musan were also conducted around literary criticism. Therefore, there was a lack of interpretation of Seorak Musan's work regarding the practice of Buddhism. The basic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literary works of Manhae and Seorak in relation to Buddhist practice. To this end, we reviewed Dharma Bulseek Gong - An that appears in Beokamrok(碧巖錄) and Jongyongrok(從容錄). In addition, it identified the point where Gong - An can act as a motivation for creating literature. In addition, we reviewed Jeokgi - Eobeop(賊機語法), which is a method of reading Seon Text. In addition, the Korean development pattern will be reviewed in connection with SeonmoonYeomsong, and finally, the results will be measured through literary works of Manhae and Seorak. In addition to the publication of SeonmoonYeomsong, which contrasts with Chinese Text such as Beokamrok and Jongyongrok, I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Buddhist practice in Manhae and Seorak's literary works. Thus, it is to expand the horizon of research on Seon culture to the literary art of Seon-guan(禪觀) by newly illuminating the literary achievements of Korean Buddhism expressed in the realm of Seon poetry(禪詩). In conclusion, the originality of the Korean Seon, which was passed dow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n independent route in SeonmoonYeomsong, was markedly expanded to Manhae, and the poetry Nim's sile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poetry was presented. In addition, Seorak transformed the domain of traditional poetry into a form of Sijo(時調) and pioneered the original field of Korean Hangeul Sijo. In this regard, it can be said that Dharma Bulseek Gong-An was reworked through Manhae and Seorak. Seorak uses SeonmoonYeomsong as the motive for the creation of his work. Also, it aimed to improve Buddhist practice into aesthetics of life. In particular, Seorak uses Bulseek(不識) as the title of the work and can be regarded as successful in literary imagery by linking Buddhist Seon practice with Korean cultural tradition.

      • KCI등재

        백골관 수행과 불교 인체 골격 해부학의 상관성 검토

        박종식(Baag, Jong-Shik)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20 佛敎學報 Vol.0 No.92

        본 연구는 불전에 나타난 골격 계통의 내용을 불교의학의 하부 단위인 해부학으로 재구성하여 제시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었다. 이는 불교의 과학적 측면을 색법 중심으로 재구성하는 것이며, 이를 위하여 특정 불전이나 학파를 중심으로 파악하기 보다는 불전의 전반적 해부학적 내용을 검토하였다. 그리하여 불교의학을 구성하는 하부 구성단위인 불교해부학을 제시하여 불교 교학의 외연을 확장함은 물론 불교학 연구 대상을 자연과학 분야와 연결하는 통로를 모색하였다. 초기 불교 이래 불교 수행법의 하나인 부정관법은 골관과 백골관법 등으로 확장되며 36물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제시하고 있다. 불전의 주류적 관점은 36 부정물에 골조직을 포함시키고 있으나, 특정 불전에서는 골격을 제외하여 제시하고 있다. 나아가 부정관의 전통적 관점에서 벗어나 골관을 제시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그리하여 불교의 골격계통에 대한 이해는 불교의학의 지평을 확장하여 정관(淨觀)으로 규정되는 백골관으로 진행하는 획기적 측면으로 연결되었다. 또한 불교의 백골관을 아유르베다의 문맥과 대비하여 불교의학의 골격계통 해부에 대한 관심이 수행 본연의 측면에 서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불전과 아유르베다 문헌은 공통적으로 태아학의 입장에서 태내에서 골격이 등장하는 과정을 적시하고 있다. 불전에서는 발라사거(鉢羅奢佉) 단계를 골격 발생시기로 표명하고 있다. 골격발생에 대하여 「불설입태장회」 등과 아유르베다 문헌의 내용을 분석하여 불교의학 및 아유르베다의 골격 이해의 방식이 사회문화적 배경과 깊은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의학은 단순한 질병의 관리와 건강에 대한 문제만이 아니므로, 불교의학은 불교사상의 토대 위에서 시대정신을 반영하며 재해석되어야 하는 분야이다. 과학철학의 입장으로 이러한 사실을 정리하는 것은 차후의 문제로 남겨 두고, 단지 불교적 입장의 골격론을 검토하는 것에 한정하였다. 본 연구의 깊은 의미는 불교학 연구의 외연 확장이 불교의학 분야의 정립은 물론 과학철학으로의 전진이라는 융합의 영역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한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anatomy of the skeletal system of Buddhism. Buddhist views on skeletons were presented in an integrated manner by extracting contents related to skeletons from the Buddhist Canon. It also reconstructs the scientific aspects of Buddhism on a material basis. To this end, the overall anatomical contents of Buddhist Canon were reviewed rather than focusing on the particular Buddhist Canon or school sect. Thus, Buddhist anatomy, a sub-component of Buddhist medicine, was proposed. In addition to expanding the scope of Buddhist studies, it also identified academic areas that connect Buddhist research subjects with natural science. Most Buddhist Canon incorporate skeletons in unclean body parts. However, by checking the content of a particular Buddhist Canon that excludes the skeleton, We can identify the logical foundation for presenting the skeleton separately from the Aśubha Bhāvanā (不淨觀法). Thus, the Golgwan (骨觀) was presented as a new aspect,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Buddhist skeletal system was connected to the innovative aspect of expanding the horizon of Buddhist medicine and proceeding to the Baekgolgwan (白骨觀) of Śubha Bhāvanā (淨觀法). The specific features of the skeleton that occur during the Prasakha (鉢羅奢佉) phase are shown in the Anandagarbhāvakrāntinirdeśa (「佛說入胎藏會」) & Garbhāvakrāntinirdeśasūtra (「佛爲阿難說處胎會」). They were analyzed and presented in a diagram. Through this process,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tents of Buddhist medicine and the skeletal system of Āyurveda should be grasped not simply by listing the anatomical contents but by understanding the socio-cultural background.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한국 서남근해에 대한 항공자력탐사 해석

        박창고,박창업,Baag Czango,Baag Chang-Eob 한국석유지질학회 1994 한국석유지질학회지 Vol.2 No.2

        1969년 미해군이 황해지역에서 실시한 항공자력측정자료를 분석 연구한 결과, 한국 서남근해 제2광구 내에 있는 기존 군산분지(群山盆地) 남쪽에 흑산분지(黑山盆地)라고 명명하는 신퇴적분지가 존재함을 알게 되었다. 이 흑산분지는 서서 북-남남동으로 뻗은 3개의 소분지로 구성되었다. 이번 연구결과로 인하여 군산분지에 대해 독립적인 새로운 분석을 하게 했고 또한 그 두 분지뿐만 아니라 서근해 전역에 걸쳐 지질구조적 성인 및 그 생성역학(生成力學)에 대한 중요한 자료를 얻게 되었다. 분지생성 및 구조형태는 ‘두번-건너뛴-좌수향-렌치단층(斷層)’(Double overstepped left-lateral wrench faults)에 의한 롬보캐즘(rhombochasm)으로 해석된다. 한반도 내에 발달하고 있는 대단층들을 본 항공자력이상으로부터 얻은 중거에 의해서 본 연구지역 즉 근해까지 연장시켰다. 또한 이들 단층들의 성질을 좌수향렌치로 해석했다. 이와 같은 전 지역적인 단층 구조형태는 이동우의 영동분지에 대한 연구결과와 같다. 단층들의 운동방향은 필리핀이 에오세(Eocene) 이후 시계방향으로 약$80^{\circ}$회전했다는 최근 발표된 고지자기연구(古地磁氣硏究)에서 얻은 증거에 의하여 뒷받침되고 있다. 2$\frac{1}{2}$-차원의 모형 연구결과에 의하면 군산분지는 대략 $7,500{\cal}m$의 두터운 퇴적층을 갖는 것 같다. 흑산분지는 그 상부에 탄성파 속도가 빠른 층이 덮고 있어서 지금까지 발견되지 않고 있었다고 믿어진다. 흑산분지의 개략적인 형태가 석유부존에 적합한 듯 하기 때문에 두터운 퇴적층을 보유하고 있는 듯한 자력적 표현을 규명하기 위한 정밀항공 자력탐사를 실시할 것을 추천한다. 만약 고속도의 층이 확인된다면 자력탐사법에 대한 보충이 될 뿐 아니라 퇴적층에 대한 구조적인 묘사를 하는데 도움이 되는 중력탐사를 추가할 것을 추천한다. 정밀자력탐사 또는 중력탐사를 할 수 없다면 높은 에너지원의 탄성파 탐사를 실시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도 있다. Analysis of the aeromagnetic data aquired by US Navy in the year 1969 permits us to predict a new sedimentary basin, Heugsan Basin, south of the known Gunsan Basin in Block Ⅱ. The basin appears to consist of three sub-basins trending NNW-SSE. The results of our analysis provide not only an independent assessment of the Gunsan Basin, but also new important information on the tectonic origin and mechanism for the two basins as well as for the entire region. The basin forming tectonic style is interpreted as rhombochasm associated with double overstepped left-lateral wrench faults. From the magnetic evidence, a few NE-SW trending major onshore faults are extended to the study area. We also interpreted the nature of the faults to be left-lateral wrenches. This new gross structural style i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recent Yeongdong Basin analysis by Lee. The senses of fault movement are also supported by the paleomagnetic evidence that the Philippine Sea had experienced an 80-degree clockwise rotation since the Eocene. Based on a 2 $\frac{1}{2}$ model study the probable maximum thickness of the sediments in the Gunsan Basin is approximately 7500 meters. We believe that the new Heugsan Basin was left unidentified because a high velocity layer may be overlying the basin. Because the overall structural configuration of the Heugsan Basin appears to be favorable for hydrocarbon accumulation, a detailed airborne magnetic survey is recommended in the area in order to verify the magnetic expression of this thick basin. A detailed subsequent marine gravity survey is also recommended in order to delineate the sedimentary section and to acquire supplemental data to the magnetic method only if an overlying high velocity layer is confirmed. Otherwise a high energy source seismic survey may be more eff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