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2000년대 한국과 이집트 여성주의 영화 비교 연구 : 젠더 불평등 양상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Abdelwahed Sherok Ahmed Sayed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4015

        ‘가부장제’라는 용어가 대표하는 남성의 지배권은 여성학계에서 흔히 억압적인 사회체계로 묘사된다. 젠더 불평등을 야기하는 가부장제는 근현대 한국과 이집트 사회의 명백한 공통점들 중 하나이다. 한국의 가부장제 문화는 주로 유교적 이상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성차별적 관습과 사건에 의해 심화되어 왔다. 반면, 이집트의 가부장제는 이슬람 문화권의 전통적 가족 구조와 관련이 깊다. 가부장제적 양상은 두 사회 모두에서 가족, 노동시장, 정치, 언론 등의 맥락 속에 여전히 존재하며, 성에 대한 고정관념과 여기에서 비롯된 성역할의 개념에 뿌리를 두고 있다. 이러한 성 고정관념과 성역할은 해당 사회의 집단 의식을 형성하고 여성들의 사회적 지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한편, 한국 정부는 여성 차별적 법률을 폐지함으로써 유교의 부정적 잔재를 청산하고자 노력하고 있는데 반해 이집트 정부는 이슬람교의 원론적 규칙을 바탕으로 법률에 집착하며 여성 문제에 충분히 협조하지 않는다. 20세기 초엽에 등장한 여성주의 운동은 한국과 이집트 양국에서 여성의 권리를 찾고 불평등한 현실을 개선하는 데에 기여했지만, 아직도 갈 길이 멀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사회적 집단 의식을 재편하기 위하여 성 고정관념에 맞서 여성 존중 문화를 확산시키고, 가부장제 사회의 불균형에서 벗어나 여성에게도 균등한 기회를 만들어 내야 한다는 과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또한, 현재까지 가부장제의 영향이 남아 있는 양국 사회에서 여성주의가 암묵적인 거부에 직면해 있다는 사실을 부인할 수 없다. 2000년대 이후 한국 여성주의 운동의 주된 관심사는 사회 단체와 공직에서 벌어진 성폭력을 근절하는 것이었다. ‘운동사회 성폭력 뿌리뽑기 100인 위원회’, ‘미투 운동’ 등의 운동은 가해자 관점이나 주장을 고려하지 않은 채, 오롯이 피해자의 경험에 기반하여 성폭력 여부를 판단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집트에서도 2000년대 이후 여성주의 운동이 본격적으로 국가의 관심을 이끌기 시작하였고, 여성 권리 운동을 정부 주도하에 펼치기 위한 조치가 시행되었다. 이에, 현재 이집트 여성의 권리 증진을 위하여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국가여성평의회(NCW)가 2000년대에 창립되었다. NCW는 친자녀에게 국적을 물려줄 수 있도록 법안을 개정하였으며, 이혼법 발안을 위해서도 많이 기여해 왔다. 2011년 이집트 혁명 이후 성폭력 사건들이 대두되면서 성희롱 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이윽고 민간에서도 SNS를 통한 미투 운동과 같은 저항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 19세기 중반 이후 서양의 담론을 수용하는 한국과 이집트의 계몽주의 담론을 살펴보면 여성 문제가 주요 관심사인 것을 알 수 있다. 양국의 여성주의는 여성의 권리를 보호하는 법적 조치를 요구하는 것에서 가부장적 사회 집단 의식의 여성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개선하는 것까지 활동 영역을 넓혔다. 이에 따라 언론, 문학, 예술 등에 나타나는 여성상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여성들은 여전히 많은 담론에서 부정적이거나 고정관념에 얽매인 방식으로 표현되고 있음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 언론을 대상으로 젠더 프레임을 분석한 한 연구는 한국 언론의 담론이 ‘남성 편향적’이라는 사실을 도출하였다. 이집트의 경우, 한국에 비하여 언론과 예술의 자유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여성과 여성 문제에 대한 언론의 담론 역시 국가의 제도와 법률 대부분을 지배하는 가부장적 이념에 치우쳐 있다고 볼 수 있다. 일례로, 앞서 언급한 이집트 국가여성평의회(NCW)는 최근 드라마에서 많이 보이는 여성 폭력 장면을 지적하며 이것이 실제 사회에서 여성 폭력을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를 밝혔다. 여성주의 이론은 또한 최근의 영화 이론과 비평에 큰 영향을 미친다. 여성주의 영화 비평은 여성과 남성, 그리고 여성성과 남성성이 영화 속에서 어떻게 표현되는지를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영화계의 수동적인 여성상을 폭로하면서 1970년대 초반부터 영향력을 발휘하기 시작하였다. 여성의 권리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한국과 이집트 양국에서 여성주의 이념을 담은 영화들이 제작되었다. 가부장제 속 여성의 어두운 현실을 부각시키는 것은 이러한 영화들이 여성주의 이념을 드러내는 방식들 중 가장 두드러진다고 볼 수 있다. 2000년대 이후의 한국에서 여성주의 운동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으며, 여성들의 문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현재 한국 영화계에서는 여성 영화의 제작이 눈에 띄게 많아지고 있다. 지난 2020년에만 10편이 넘는 영화들이 여성문제와 여성의 삶에 초점을 맞춰 제작되었다. 마찬가지로, 2000년대 이후의 이집트 영화는 여성들의 위상이 남성과 가장 동등하게 묘사되는 시류를 목격하고 있다. 영화들은 이집트 여성들이 겪고 있는 현실에 더 가까운 이미지를 그리며 이들의 열망과 꿈, 두려움, 고통 등을 적극적으로 반영해 왔다. 아마도 유망한 여성 시나리오 작가, 여성 감독, 여배우들이 다수 등장한 것이 이러한 경향이 갈수록 분명해지는 데 기여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 영화 중 김도영 감독의 <82년생 김지영>, 이수진 감독의 <한공주>, 정승오 감독의 <이장>, 이집트 영화 중 유스리 나스랄라 감독의 <은밀한 고백>, 모하메드 디아브 감독의 <카이로 678>, 캄라 아부 제크리 감독의 <여성을 위한 하루>를 선정, 가부장제 사회 담론을 중심으로 양국 영화의 양상을 분석하여 비교한다. 한국 영화를 살펴보면, <82년생 김지영>은 현대 한국 여성이 어려서부터 체험하는 성차별과 혐오, 억압 등을 가족 생활, 직장 생활, 시집살이 등을 통해 총체적으로 형상화한다. <한공주>는 실제 집단강간 사건을 바탕으로 성폭력 문제를 가장 현실적으로 다루는 한국 영화다. <이장>은 한 가족의 이야기를 통해 ‘가정’이라는 공간 안에서 남성선호사상 또는 장남 우대 문화를 중심으로 가부장적 문제를 다루고 있다. 한편, 각 작품과 비교할 만한 이집트 영화를 선정해 보면, <은밀한 고백>은 여러 이집트 여성들이 겪은 사회적 억압에 대한 이야기를 바탕으로 진행되는 토크쇼 형식으로 가부장제 사회의 양상을 다채롭게 다루고 있어 특히 <82년생 김지영>과 적절한 비교 대상이다. <카이로 678>의 경우 이집트 공공장소에서의 성폭력 문제를 다루며, 실제 성희롱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한공주> 영화와 비교하기에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여성을 위한 하루>는 이집트 여성들이 겪는 삶의 억압 문제를 사회적, 정서적 맥락에서 다루고 있다. 대부분의 사연이 가족 관계 안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한국 영화 <이장>의 적절한 비교 대상으로 볼 수 있다. 한국과 이집트 영화는 여성에 대한 성차별, 성적 억압, 남성 선호 등 비슷한 인권문제를 다루고 있으며, 가부장제 사회 속의 여성상, 그리고 이에 대한 여성의 대응을 형상화하는 데 차이를 보인다. 한국과 이집트의 영화 제작은 백 년이 넘는 역사를 지녔으며, 오랫동안 남성지배적이었던 영화 산업 속에서 여성주의 담론은 존재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세월이 흐르면서 이러한 남성주의 의식에도 변화가 일었고, 우리는 더 많은 여성주의 영화들의 등장을 목격하고 있다. 영화는 기본적으로 수많은 시청자가 보고 즐기는 오락성과 넓은 대중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회 현실을 환기하는 효과가 다른 여러 수단에 비해 훨씬 크다. 앞으로 여성주의적 영화가 더 많이 제작되어 여성 인원의 현실에 대한 인식을 더욱 높이기를 바라며, 여성주의 영화 비평 또한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면 한다. In women's studies, the term "patriarchy" refers to men's dominance, which is typically depicted as an oppressive social order. One of the most evident similarities between modern Korean and Egyptian society is patriarchy, which encompasses gender discrimination. Korea's patriarchal society is largely based on Confucianism, and it has been exacerbated by sexist norms and events. On the other hand, Egypt's patriarchy is inextricably linked to Islamic culture's traditional family structure. In both countries, patriarchy still exists in families, the labor market, politics, and media, and is represented in gender stereotypes and the concept of gender roles emerging from these stereotypes, which shape society's collective consciousness and severely impact women's lives and social status. In both Korea and Egypt, the feminist movement, which began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has contributed to pushing for women's rights and alleviating the unequal situation, but there is still a long way to go. The work of developing a culture of respect for women against gender stereotypes and creating equal chances for women away from patriarchal society's imbalance remains particularly important. Furthermore, it is obvious that feminism encounters implicit rejection in both societies, where patriarchy's impacts may still be seen today. Women's issues were a major concern for the Enlightenment movements in Korea and Egypt, which had embraced Western ideas since the mid-nineteenth century. In both countries, feminism has broadened its focus from requiring legal action to protect women's rights, to improving women's negative image in patriarchal social group consciousness. As a result, many studies on women's images in the media, literature, and art have been conducted, a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women are still expressed negatively or stereotypedly in many discourses. Feminism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recent film theories and criticism. Feminist Film Theory began to exert influence in the early 1970s by exposing passive female images in the film industry, with the goal of exploring the gender problem and how femininity and masculinity are expressed in films. As public awareness of women's rights grew, feminism-themed films were produced in both Korea and Egypt. The most prominent approach taken by these films is to emphasize the dark reality of women in patriarchal societies. The production of feminist films in the Korean film industry is currently increasing noticeably. More than ten films focusing on women's problems and stories were produced in 2020 alone. Similarly, Egyptian films have seen a trend in which women's status is almost equally portrayed as men's since the 2000s. Egyptian women's aspirations, dreams, fears, and pain have been deeply reflected in these films, bringing images closer to the reality they are experiencing. Perhaps the emergence of plenty of promising female screenwriters, directors, and actresses has contributed to this trend becoming more visible. This study chooses Korean films: Kim Do-young's <Kim Ji-young, Born 1982>, Lee Soo-jin's <Han Gong Ju>, and Jung Seung-oh's <Move the Grave>, and Egyptian films: Yousry Nasrallah's <Scheherazade Tell Me a Story>, Mohamed Diab's <Cairo 678>, and Kamla Abu Zekri's <A Day for Women>. Korean film <Kim Ji-young, Born 1982>, depicts gender discrimination, hatred, and oppression experienced by modern Korean women from a young age through family life, work-life, and marriage, <Han Gong Ju> deals with sexual violence and is based on an actual rape case, <Move the Grave> deals with patriarchal issues through a family story, such as male preference or preferential culture for the eldest son. On the other hand, the Egyptian film <Scheherazade Tell Me a Story> is a talk show based on stories of social oppression experienced by various Egyptian women, and is a particularly appropriate comparison with <Kim Ji-young, Born 1982>, <Cairo 678> deals with sexual violence in public places in Egypt and is based on actual sexual harassment case, making it a good candidate for comparison to the film <Han Gong Ju>, <A Day for Women> addresses the issue of social and emotional suppression experienced by Egyptian women, as well as men's guardianship over them, and because most of the stories take place within the context of a family relationship, it can be seen as an appropriate comparison to the Korean film <Move the Grave>. In the first section of this thesis, I examine the reality of women in Korean and Egyptian societies within a suffocating patriarchal system, mentioning the historical context and how it has been incorporated to the present day, when women face inequality in all aspects of life. On the other hand, I go over the history of the feminist movement, its struggle against the patriarchal system, and its most significant accomplishments and failures to date. Then, by reviewing other studies in this field, I turn to the investigation of women’s images in the media, drama, films, and other artistic and social circles, as well as how women are typically expressed in Korean and Egyptian societies. In the second part of this thesis, I examine the frame of feminist film in Korea and Egypt in the 2000s, then analyze selected films individually from a feminist standpoint, with a focus on highlighting manifestations of sexual inequality and female oppression. In the final section, I compare every Korean film with an Egyptian film that addresses a similar issue, and I examin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Korean and Egyptian feminist films address similar human rights issues such as gender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sexual oppression, and male preference and guardianship, but they differ in how they shape women's images in a patriarchal society and how women respond to these violations. Film production in Korea and Egypt dates back more than a century, and there has never been a feminist discourse in the long male-dominant film industry. However, there has been a shift in this sense of masculinity over the years, and we are seeing the emergence of more feminist films. Because films provide entertainment and are widely watched and enjoyed by many people, the effect of evoking social reality is much greater than through other means. I hope that more feminist films will be made in the future to raise awareness of the female population's reality in Korea and Egypt, and that feminist film criticism will be active as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