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ETERMINANTS OF HOUSEHOLD FOOD SECURITY IN RURAL ETHIOPIA: AN EMPIRICAL ANALYSIS

        ( Jemal Abafita ),( Kyung Ryang Kim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4 농촌경제 Vol.37 No.2

        Food insecurity and malnutrition present key policy challenges in Ethiopia. This paper examined the determinants of food security among rural households in Ethiopia using data from the latest round of Ethiopian Rural Household Survey. Two measures of household food security (a self-reported food security status and a multidimensional index generated based on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 PCA) were used. OLS regressions were first run to identify important determinants based on the two measures, disregarding endogeneity problems. Then Instrumental Variable (IV) estimation was carried out to account for endogeneity issues. The results revealed that age and education of household head, adequacy of rainfall, livestock possession, participation in off-farm activities, soil conservation practices and per capita consumption expenditure were strongly and positively related to household food security; while access to credit and remittance had a negative influence. Accordingly, the study suggests that a judicious combination of interventions that enhance income diversification opportunities in rural areas through promoting off-farm activities, education, training and extension services, and improving livestock productivity could help enhance household food security. Provision of awareness creation on better and productive utilization of such resources as credit should also be emphasized in rural areas.

      • KCI등재

        연구보문 : 사회과학; 한국의 새마을 운동은 에티오피아 농촌개발을 위한 모델이 될 수 있는가?

        ( Jemal Abafita ),( Fikadu Mitiku ),( Kyung Ryang Kim )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13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25 No.3

        Korea`s integrated rural development model, which was mainly implemented through community-based development initiative known as Saemaul Ungong (SMU), has been largely successful in bringing about an unprecedented success in the transformation of the country`s rural areas and the overall economy. Ethiopia, on the other hand, has been implementing various development programs that have set agricultural and rural development as priority since early 1990s. Even though there has been significant progress in the last decade, as a result, the country is still far from achieving the level of transformation envisaged in these programs. To this end, there are crucial lessons to draw from successful rural development models such as Saemaul Undong. The paper has examined the factors underlying the success of such a development approach along with a review of the rural development situation in Ethiopia. Given the high priority accorded to the Ethiopian agricultural and rural sector, and the largely similar enabling conditions in Ethiopia now and Korea back in the 1970s, the paper argues that Ethiopia`s rural development program, could be made to work better if the ideals of SMU can be carefully adapted to the existing gaps in the current programs. In particular, the paper has highlighted that the factors that have been key for the success of SMU in Korea such as land reform; social ties among villagers; strong institutional support; strong leadership and political commitment on the part of government; and promotion of ownership and empowerment of rural communities could be judiciously incorporated into the Ethiopian rural development strategies to attain similar results. Restructuring of the existing rural infrastructural programs and incentive system in favor of these programs and introduction of a piloting schemes in selected villages are required as a precondition to achieve such results.

      • KCI등재

        Agricultural Development in Myanmar: Lessons from Korean Experience

        Kim Kyung-Ryang,Jemal Abafita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12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24 No.2

        미얀마는 생태적 다양성과 함께 풍부한 수량, 비옥한 토질 등 양질의 농업환경을 갖고 있다. 1960년대 동남아의 최대 쌀 수출국이었던 미얀마가 농업 후진국으로 전락한 것은 농업에 대한 열악한 투자와 자본과 기술의 부족으로 농업의 기계화나 비료 사용이 극히 제한되어 농업생산성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은 미얀마 농업분야의 현 상황을 검토한 후 한국의 발전과정에서 도출한 경험을 바탕으로 미얀마의 농업개발을 위한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미얀마의 농업과 농촌발전을 저해하는 제약요소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높은 생산비용에 비해 낮은 품질의 농산품, 낮은 생산성, 농업인프라의 부족 등 농업생산분야에서 한계를 보이고 있다. 둘째, 불안정한 수급에 의해 농산물가격의 급격한 변동 및 저장시설부족으로 인한 농산물마케팅에 문제점가 있다. 셋째, 농업 연구 및 지도 관련기관 직원들의 기술 및 지식수준이 매우 낮으며, 낙후된 시설과 장비부족 등으로 농민들에게 제한적인 농업기술 교육 및 훈련을 제공하고 있다. 넷째, 농촌경제의 활성화를 위해 설립한 금융시스템이 설립 당시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으며, 실효성이 매우 떨어진다. 다섯째, 정부내 연구 및 지도기관간의 유기적 협력이 이루어지질 않아 농업연구결과가 현장에 연결되는데 어려움이 나타나고 있다. 미얀마의 농업발전을 위해 한국의 경험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한국의 경우 미얀마의 현재보다 더욱 열악한 환경속에서도 1960년대부터 녹색혁명과 백색혁명 및 새마을운동을 통한 복합적인 농업개발을 통하여 농업분야를 포함한 성공적인 경제발전을 이룩하였다. 한국의 경험으로부터 미얀마의 농업개발을 위해 제시되는 중요한 교훈은 시대환경과 흐름에 맞게 농업정책이 조정되었다는 것이다. 한국의 발전경험을 중심으로 미얀마의 농업발전을 위한 교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농업의 생산성을 제고시켜야 한다. 농업용수 개발 및 관개시설의 개선사업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전문기관을 신설 또는 조정하여 연구와 농촌지도를 통해 생산현장에 새로운 기술을 전파함으로써 생산성을 증가시킨다. 둘째, 농촌지역을 활력화 시킨다. 농촌인프라를 개선하고, 농촌금융을 선진화하며, 새마을운동을 통한 정신계몽을 추진하는 등 농촌지역을 활력화 시킨다. 셋째, 농산물 도매시장과 농산물의 가공저장시설의 건설 및 유기적인 유통체계를 구축하여 농산물유통체계를 개선한다. Myanmar is endowed with vast natural resources. However, its performance in terms of economic development in general and agricultural development in particular has not been satisfactory. This paper reviews the current situation of Myanmar’s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 to draw lessons from the Korean experience and provide policy recommendations for Myanmar’s future direction. Myanmar’s agricultural and rural sector faces a number of constraints that need to be tackled. The major ones include: the unnecessarily high cost of production, unsatisfactory profits due to low productivity and poor quality of products, the increasing population and living costs, inadequate pricing policies both for agricultural inputs and products, low investment in agricultural research and development, inadequate human resource development, weak linkages in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inadequate access to agricultural credit, and lack of basic physical infrastructure. Moreover, lack of access to adequate high-quality seed and scarcity of farm infrastructure has been identified as notable impediments to the development of the agricultural sector. Other issues like lack of a well-established system for stabilizing price fluctuations in agricultural products and of marketing information, rural financial markets, coordination and cooperation among line ministries involved in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 activities also deserve a closer look for improvements. It is, therefore, imperative to share the Korean experience of agricultural and rural development. Accordingly, fine-tuning policies to changing economic conditions over time; finding a good mix of policies based on pressing needs and changing circumstances; setting-up appropriate institutions and policy context; empowering local community in rural development activities; and sharing the experience of the New Village Movement (Saemaul Undong) could be key lessons to draw from the Korean experience. Specific recommendations for Myanmar’s agricultural and rural development have also been forwarded based on the Korean experience.

      • KCI등재

        Price Transmission in Ethiopia's Coffee Value Chain

        김경량,Jemal Abafita 한국농업경제학회 2014 農業經濟硏究 Vol.55 No.4

        Coffee has been and still remains the leading cash crop and exportcommodity of Ethiopia. In this study, we reviewed the coffee marketing andsupply chain with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pattern of price transmissionbetween world price and producer prices. An Error Correction Model(ECM)was employed to analyze the pattern of price transmission between worldprice and producer prices focusing on both the long-run and short-runadjustments. Data on producer and world coffee prices from 1998/99-2011/12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long-run relationshipbetween world and domestic (producer) prices was significant implying thatEthiopian coffee market is well integrated into the international market. Wealso found that the Granger causality runs from producers to the globalmarkets and not the reverse. This implies that prices are determined at thefarm-gate and are then passed on to the export market. Furthermore, theshort-term price transmission dynamics was found to be asymmetric withregard to adjustments towards the long-run equilibrium.

      • Price Transmission in Ethiopia`s Coffee Value Chain

        ( Kyung Ryang Kim ),( Jemal Abafita ) 한국농업경제학회 2014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KJAT) Vol.55 No.3

        Coffee has been and still remains the leading cash crop and export commodity of Ethiopia. In this study, we reviewed the coffee marketing and supply chain with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pattern of price transmission between world price and producer prices. An Error Correction Model (ECM) was employed to analyze the pattern of price transmission between world price and producer prices focusing on both the long-run and short-run adjustments. Data on producer and world coffee prices from 1998/99.2011/12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long-run relationship between world and domestic (producer) prices was significant implying that Ethiopian coffee market is well integrated into the international market. We also found that the Granger causality runs from producers to the global markets and not the reverse. This implies that prices are determined at the farm-gate and are then passed on to the export market. Furthermore, the short-term price transmission dynamics was found to be asymmetric with regard to adjustments towards the long-run equilibrium.

      • KCI등재

        한국의 국제농촌개발협력과 새마을운동: 전수가능성과 한계

        김경량 ( Kyung Ryang Kim ),제말아바피타 ( Jemal Abafita ) 한국협동조합학회 2015 韓國協同組合硏究 Vol.33 No.2

        이 2000년대 중반 이후 국제사회는 개도국 농업.농촌개발은 MDGs 달성을 위한 선결과제로 인식하고 공적개발원조를 확대하고 있다. 개도국은 대체로 인구의 70∼80%가 농촌에 거주하며, 경제.사회적 환경도 한국의 1970년대 초반과 유사하다. 최근 한국의 농업.농촌개발 분야 국제협력도 양적으로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지만 질적 수준은 미흡하다는 평가가 적지 않다. 즉 한국의 국제농촌개발협력은 단순히 양적인 확대를 넘어 급증하는 개발수요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원조효과를 높여야 하는 과제가 노정되어 있다.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대표적인 농촌개발정책으로 인식되고 있는 새마을운동은 근면, 자조, 협동정신을 함양하여 농가소득 증대와 농촌마을의 생활환경과 생산기반 정비 등을 이루어 나가는 운동으로 정의되며 1970년대 초에 시작된 한국의 전반적인 경제와 농촌 지역 발전을 위한 지역사회 개발 모델이다. 새마을운동은 1970년대 초 당시 빈곤극복에 대한 농민들의 바람과 그 바람에 대한 정부정책이 일치되어 성과를 얻을 수 있었다. 새마을운동의 초기 단계 초점은 마을 수준에서 하드웨어 측면의 인프라를 개선하는 것이었다. 이후 마을이 더 많은 자신감과 경험을 얻고, 농업 생산성 향상을 위한 기초 인프라를 확충한 후에 새마을운동의 초점은 소득 향상 사업으로 전환되었다. 새마을운동의 성공 요인으로 정책측면에서 1948년 이후 시행된 농지 개혁과 다양한 농업지원정책 등을 들 수 있다. 농지 개혁은 소득 평준화와 농촌 인구 균형에 기여했고, 새마을운동이 성공적으로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 또 다른 결정적 성공 요인으로 정부의 강력한 지원을 들 수 있다. 새마을운동은 하향식과 상향식 접근이 모두 적용된 지역사회 개발사업으로서 특징을 가진다. 새마을운동 실행에서 가장 중요한 측면은 강한 주민들의 자발적 헌신과 정부의 효과적인 지원이었다. 현재 많은 개도국들은 한국의 새마을운동 경험 전수를 원하고 있지만 그들의 모습은 1970년대 한국의 상황과 많이 다르다. 새마을운동이 추진되었던 1970년대의 한국은 단일 민족, 깊은 유대 관계, 전쟁의 아픔과 북한과 군사적 대치라는 특수한 조건 아래 있었고, 정부 주도의 개발을 국가가 강요하던 상황이었다. 현재 많은 개도국은 다민족, 다종교, 세계화 등 이보다 더 복잡한 상황들로 엮여 있기 때문에 새마을운동을 적용할 때에는 한국의 새마을운동을 표준화모델로 참고하되 개도국 각국별 맞춤형 사업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개도국형 새마을운동은 국제사회에서 통용되는 원칙과 가이드라인에 맞는 정책과 전략, 사업내용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Korea`s successful development model, which raised the country from the ashes of war to one of the top economic powers in the world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has been widely acknowledged as a miracle of our time. This has motivated many developing countries to learn from its experience. In response, Korea has been intensifying its overseas development cooperation with emphasis on project-based assistance and technical cooperation in the area of agriculture and knowledge sharing. In particular, Korea`s rural development experience - mainly implemented through community development campaigns like the New Village Movement Saemaul Undong (SMU) - has now become a major part of Korea`s overall international rural development cooperation.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d the transferability of such a development experience using article review methods. The paper has identified factors required for effective transfer of the model and has highlighted on issues that need precaution in transferring the model.

      • KCI등재

        연구논문 : 사회과학 ; 미얀마의 농업개발 현황과 한국으로부터의 교훈

        김경량 ( Kyung Ryang Kim ),제말 ( Mal Je ),아바피타 ( Abafita )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12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24 No.2

        미얀마는 생태적 다양성과 함께 풍부한 수량, 비옥한 토질 등 양질의 농업환경을 갖고 있다. 1960년대 동남아의 최대 쌀 수출국이었던 미얀마가 농업 후진국으로 전락한 것은 농업에 대한 열악한 투자와 자본과 기술의 부족으로 농업의 기계화나 비료 사용이 극히 제한되어 농업생산성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은 미얀마 농업분야의 현 상황을 검토한 후 한국의 발전과정에서 도출한 경험을 바탕으로 미얀마의 농업개발을 위한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미얀마의 농업과 농촌발전을 저해하는 제약요소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높은 생산비용에 비해 낮은 품질의 농산품, 낮은 생산성, 농업인프라의 부족 등 농업생산분야에서 한계를 보이고 있다. 둘째, 불안정한 수급에 의해 농산물가격의 급격한 변동 및 저장시설부족으로 인한 농산물마케팅에 문제점가 있다. 셋째, 농업 연구 및 지도 관련기관 직원들의 기술 및 지식수준이 매우 낮으며, 낙후된 시설과 장비부족 등으로 농민들에게 제한적인 농업기술 교육 및 훈련을 제공하고 있다. 넷째, 농촌경제의 활성화를 위해 설립한 금융시스템이 설립 당시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으며, 실효성이 매우 떨어진다. 다섯째, 정부내 연구 및 지도기관간의 유기적 협력이 이루어지질 않아 농업연구결과가 현장에 연결되는데 어려움이 나타나고 있다. 미얀마의 농업발전을 위해 한국의 경험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한국의 경우 미얀마의 현재보다 더욱 열악한 환경속에서도 1960년대부터 녹색혁명과 백색혁명 및 새마을운동을 통한 복합적인 농업개발을 통하여 농업분야를 포함한 성공적인 경제발전을 이룩하였다. 한국의 경험으로부터 미얀마의 농업개발을 위해 제시되는 중요한 교훈은 시대환경과 흐름에 맞게 농업정책이 조정되었다는 것이다. 한국의 발전경험을 중심으로 미얀마의 농업발전을 위한 교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농업의 생산성을 제고시켜야 한다. 농업용수 개발 및 관개시설의 개선사업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전문기관을 신설 또는 조정하여 연구와 농촌지도를 통해 생산현장에 새로운 기술을 전파함으로써 생산성을 증가시킨다. 둘째, 농촌지역을 활력화 시킨다. 농촌인프라를 개선하고, 농촌금융을 선진화하며, 새마을운동을 통한 정신계몽을 추진하는 등 농촌지역을 활력화 시킨다. 셋째, 농산물 도매시장과 농산물의 가공저장시설의 건설 및 유기적인 유통체계를 구축하여 농산물유통체계를 개선한다. Myanmar is endowed with vast natural resources. However, its performance in terms of economic development in general and agricultural development in particular has not been satisfactory. This paper reviews the current situation of Myanmar`s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 to draw lessons from the Korean experience and provide policy recommendations for Myanmar`s future direction. Myanmar`s agricultural and rural sector faces a number of constraints that need to be tackled. The major ones include: the unnecessarily high cost of production, unsatisfactory profits due to low productivity and poor quality of products, the increasing population and living costs, inadequate pricing policies both for agricultural inputs and products, low investment in agricultural research and development, inadequate human resource development, weak linkages in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inadequate access to agricultural credit, and lack of basic physical infrastructure. Moreover, lack of access to adequate high-quality seed and scarcity of farm infrastructure has been identified as notable impediments to the development of the agricultural sector. Other issues like lack of a well-established system for stabilizing price fluctuations in agricultural products and of marketing information, rural financial markets, coordination and cooperation among line ministries involved in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 activities also deserve a closer look for improvements. It is, therefore, imperative to share the Korean experience of agricultural and rural development. Accordingly, fine-tuning policies to changing economic conditions over time; finding a good mix of policies based on pressing needs and changing circumstances; setting-up appropriate institutions and policy context; empowering local community in rural development activities; and sharing the experience of the New Village Movement (Saemaul Undong) could be key lessons to draw from the Korean experience. Specific recommendations for Myanmar`s agricultural and rural development have also been forwarded based on the Korean exper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