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황기 물추출물이 B16F10 Mouse Melanoma세포의 멜라닌 생성에 미치는 영향

        김영옥,이은미,안덕균,신준식,이성환,Kim, Young-Ock,Lee, Eun-Mi,Ahn, Duk-Kyun,Shin, Jun-Sik,Lee, Sung-Whan 대한한방피부미용학회 2005 대한한방피부미용학회지 Vol.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aqueous extract of the Astragalus membranaceous(AM). AM showed inhibitory effect on the tyrosinase activity using L-tyrosine as a substrate. Tyrosinas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rocess of melanin polymer biosynthesis. In vitro AM extract(1mg/ml) inhibited melanin biosynthesis and are useful for the material used in cosmetics. B16 mouse melanoma cells were cultured in different concentrations. The non-cytotoxicity of the plant extracts was confirmed by MTT assay.

      • KCI등재
      • KCI등재

        누금세공 기법의 조형적 특징과 활용

        김영옥(Kim, Young Ock),고미향(Koh, Mi Hya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4

        누금 기법이란 전통 세공기법의 일종인데, 금속의 장식적 요소를 최대한 섬세하고 화려하게 강조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그 고유성을 유지해왔다. 그러나 현대에 이르러 가공방법의 낮은 실효성으로 인해 누금 기법의 전통적 계승이 어려워진 것이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누금 기법의 장식성은 금속 세공에 있어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이러한 전통적 기법을 현대적으로 해석하여 디자인에 적용하는 것은 그 활용도가 상당히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에는 장신구를 제작하기 위해 전통적인 기법을 그대로 사용하는 방법보다, 앞서 설명한 누금 기법을 현대의 기술적 방법으로 다양하게 적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신라시대에 처음 출토된 유물에서 나타나는 조형적 특징을 중국의 남방계와 북방계의 누금세공의 유입경로에 따라 발전되는 지역적 분류에 따른 특징에서 유래된 부분을 중심으로 그 범위를 한정하였다. 신라시대의 유물에서 나타나는 누금세공의 조형적 특징을 도형화하여 정리하는 과정을 거쳐 누금기법의 현대적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누금 기법의 조형적 특징은 누금 입자의 크기 변화, 입자의 배열 방식, 그리고 미립자의 구성에 따른 이미지 변화가 가장 눈에 띄게 나타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누금기법이 세공의 장식적인 부분에 큰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전통적 누금기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조형적 요소를 이용한 누금세공 기법이 현대에도 활용 될 수 있기를 기대 한다. As a type of traditional workmanship technique, the filigree technique has maintained its characteristics as it could delicately and glamorously emphasize the decorative elements of metal. In modern times, however, due to the low effectiveness of the process method, it is difficult to inherit the traditional filigree technique. Nevertheless, as the decorativeness of filigree technique is an essential element of metalwork, if this traditional technique is modernly interpreted and then applied to designs, the utilization of it could be considerably high. The recent trend of producing accessories is to diversely apply the filigree technique to the modern technical method, instead of fully using the traditional technique. First, this study classified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shown in relics initially excavated in Shiia Period into southern race and northern race of China, and then they were classified into region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inflow channel of filigree, which was the characteristics of northern area and southern area of China.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geometricizing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filigree shown in each relic, the modern applicability of filigree was examined. In the results, regarding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filigree, the change of image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particle size, arrangement of particle, and composition of particle was the most noticeable. The filigree technique had huge effects on the decorative part of workmanship. Lastly, based on this fact, the filigree technique using the formative elements is expected to be used in modern times, by actively using the traditional filigree technique.

      • KCI등재

        여성의 동태적 노동공급

        김영옥(Young-Ock Kim) 한국인구학회 2002 한국인구학 Vol.25 No.2

        본고는 생애에 걸친 한국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유형은 어떠한 것이며, 첫 노동시장 이동을 결정하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모형으로 첫 비취업으로의 이행확률 결정요인을 추정하기 위해 가변변수를 통합하고, 또한 지속기간의 존성과 비관측 이질성을 통합할 수 있도록 Lancaster(1979)의 방식을 따라 기본해자드 모형을 확장시켰다. 분석자료는 한국여성개발원이 2001년에 실시한 「제4차 여성취업실태조사」 결과이며, 최종분석대상은 표본가구에 거주하는 15세 이상 65세 미만의 여성 중 재학생을 제외한 4,109명이다. 여성의 이학 후 관측시점까지의 햇수는 평균 21.3년인데, 이 기간중 실제로 취업한 햇수는 8.2년으로 총 기간의 38.5%에 해당한다. 또한 이 취업기간의 비중은 정규분포를 나타내지 않고 산포되어 있어, 여성은 노동공급의 연속성 측면에서 매우 이질적임을 보여준다. 여성의 첫 노동시장 퇴출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직업과 생애주기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전문직에 종사할수록 노동시장의 퇴출을 늦추는 한편, 결혼이나 출산에 비해 ‘6세 미만 자녀유무’가 중요 퇴출요인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출산이후에도 취업을 계속하던 여성들이 양육역할의 가중 및 둘째 자녀의 출산 등으로 취업을 중단하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나 여성의 학력은 생애주기에 관계없이 일관되게 취업지속기간을 짧게 하는 것으로 나타나 인적자본이론의 기대와 배치된다. 첫 퇴출로의 이행률은 負의 기간지속성을 나타내며, 비관측 이질성을 통제한 이후에도 負의 기간의존성이 여전하여 진정한(true) 음의 기간의존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비관측 이질성을 통제할 때, 그 동안 부분적으로 존재하던 세대 효과가 완전히 사라진다. 따라서 최근 세대일수록 취업연속성이 증가하는 추이가 나타난다고 할 수 없으며, 그간 여성의 경제활동참여 증가가 취업연속성의 향상에 의해 기인한 것이 아니라 취업경력이 짧은 신규 진입자의 증가에 의한 것임을 암시한다. Using detailed data of women's work history, this study analyzes the transition process between employment and non-employment over the life history in order to identity individual and structural determinants in the processes. Korean women comprise very heterogeneous groups in terms of work continuity: one group having a continuous work history and another having an interrupted work experience. While 4.0% of total women have stayed in the labor market since leaving school, 17.3% have not worked outside at all and remaining 87.9% have experienced into and out of the labor market at least once. On the average, the cumulated time of employment per woman is 8.2 years and the cumulated time of unemployment is 13.1 years. Thus Korean women work a total of only 38.5% of their whole lifetime after leaving school. We can conclude that the increase of the employment rate of married women in Korea since the 1970s has been due to the increase of the new entrants with short or little working careers into the labor market, not to the increase of women's work continuity on the whole. A women's educational achievement does not seem to be positively related to employment duration, contrary to the suggestion of the human capital theory. Rather, family variables, especially the existence of the child under 6 years old, is a more significant determining factor for an individual's exit from employment. And there is little difference among different age cohorts which implies little improvement in the employment continuity of younger women. This study also documents the importance of structural variables, such as the type of occupation, as significant determining factors for the hazard rate. Specially women with professional jobs tend to stay longer in the labor market. Therefore, women's entry into more professional occupations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continuity of employment. Our results also show that duration-dependence is not spurious. When unobserved heterogeneity is controlled, the negative relation between the rate from employment and the duration of employment does not disappear.

      • KCI등재

        칠보공예 문화상품화를 위한 방안

        김영옥(Young Ock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2

        공예는 실용적인 물건에 장식적인 가치를 부가한 조형예술의 한 분야이다. 공예는 우리의 일상생활과 밀접히 연결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전통성·지역성·심미성 등 다양한 문화적 가치를 담고 있다. 이런 이유로 세계 각국은 공예를 문화산업으로 육성하여 사회구성원들의 삶을 윤택하게 하고 국가 경쟁력을 높이려고 노력하고 있다. 그간 우리나라에서도 공예문화산업 활성화를 위한 많은 노력들이 있어왔지만 아직 까지 국내 공예문화산업은 열악한 처지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보다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공예산업 발전을 위한 방안으로서 칠보공예의 활성화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기존 발표된 통계자료를 활용한 문헌조사의 방법과 필자 자신의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우리나라 공예산업 일반과 칠보 공예 분야의 특수한 문제점을 정식화(定式化)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우리나라 공예문화산업의 육성을 위한 전략을 현시점에서 가능한 수준에서 제시해 보았다. 우선 현행법상 품질인증제도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본 제도가 공신력과 실효성을 갖춘 제도로서 거듭날 수 있게 해야 한다. 또한 공예기업체도 디자인경영 원칙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자신의 경쟁력을 제고시킬 필요가 있다. 이와 더불어 칠보공예산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산업 분류표상 칠보 공예를 독자적인 항목으로 편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칠보공예 기업은 타 산업분야의 기업들과 적극적으로 협업을 추진해야 할 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들 사이에서 칠보 공예 문화를 확산시키기 위한 저변확대 노력이 필요하다. Craft is a field of formative art that adds decorative value on articles for practical use. Craft is not only closely connected to our daily life, but also has various cultural value in terms of tradition, local and aesthetics. For this reason,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putting effort to enrich lives of social members and increase national competitiveness by promoting craft as a cultural business. In the meantime, there has been many efforts to activate craft culture industry in Korea, but domestic craft culture industry still remains in poor condition. Concrete and practical strategies are needed to improve such condi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possibility of vitalizing the enameling craft for developing craft industry of Korea. To do so, this study adopts the literature investigation research by using released statistics and formulated the special problems of Korea``s general craft industry and enameling craft based on writer``s own pre-research. Afterwards, the paper suggests the realistic strategy to promote domestic craft culture industry. First, under the current law, the problem of the quality certification system should be solved to achieve public confidence and effectiveness. Also, craft company should actively accept the design management principle to improve its competitiveness. Moreover, in order to vitalize the enameling craft industry, enameling craft should be classified as an independent item on Industrial Classification Table. Lastly, enameling craft industry should not only collaborate with companies from different industries but also make an effort to expand the market base of enameling craft products among the general public.

      • KCI등재

        레진을 활용한 조형 예술 디자인 연구 : 현대 예술 장신구를 중심으로

        김영옥(Kim, Young-ock),조완희(Cho, Wan Hee)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2 한국디자인리서치 Vol.7 No.1

        현대 예술 장신구의 다채로운 매체 활용은 전형적인 조형 과정을 해체하고 자유롭고 유기적인 표현 방법의 확장을 보여준다. 또한, 이는 장신구의 의미와 형식의 다양한 가능성과 지각의 표현이자 감정을 표출하는 예술적 도구로서 미적 가치를 부각시키는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예술 장신구의 디자인 과정에서 활용되는 다양한 소재 중 레진(resin, 樹脂)을 중심으로 물리적 특성을 연구하고, 이를 활용한 조형적 표현 방법에 대하여 고찰한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레진이 현대 예술 장신구 작품에 활용된 사례를 통해 표현 방법 및 조형 예술 디자인의 다양한 적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본 연구 주제인 레진은 종류가 다양하여 활용 방법이 광범위하기 때문에 연구자의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기존의 활용 방법과 차별화된 시각적 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 레진 종류를 3가지로 제한하여 물리적 특성을 연구한다. 이를 적용한 표면 표현 방법을 실험하고, 각각의 표현 방식이 예술 장신구에 활용된 예시를 통해 레진이 조형 재료로써 활용 가능성과 이를 활용한 표현 방법의 확장에 대해 증명한다. 본 연구에서는 에폭시 레진, 폴리우레탄 레진, 폴리에스테르 레진을 중심으로 물리적 특성을 분류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이를 활용한 표현 효과 방법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레진의 종류별 특성 중 습도가 높으면 기포가 발생하는 특징을 활용하여 기포를 활용한 반복적인 패턴 연출 방법을 서술하며, 레진의 경화 과정 중 물성의 변화를 연구하여 형태 성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을 분석하고 활용 방안을 제안한다. 그뿐만 아니라 불투명한 타 재료와의 융합으로 투명 또는 반투명한 레진의 특성을 부각시켜 심미적인 효과를 연출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레진은 이와 같이 색감 및 형태의 자유로운 표현과 작업 과정이 용이하고 다양한 조형 표현의 응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어 예술 분야뿐만 아니라 의료 기기 및 상업 용품 제작에도 많이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레진의 재료적 특성을 고찰하고 장신구의 조형 재료로써 활용 가능성과 이를 통한 입체적, 색감적, 질감적 다양한 표현 범위의 확장을 증진하여 다양한 조형 예술 분야의 활용성을 높이고자 한다. Diverse utilization of multimedia in Contemporary Art Jewelry dismantles typical formative process whilst offering expansion of various expressive methods that is free and systematic. Moreover, it serves a role of an aesthetical tool, that is capable of expressing emotions that amplify its aesthetical values while suggesting various possibilities of jewelry’s form and significance. Among diverse materials used when designing a piece of art jewelry, the current study examines resin and formative expression techniques based on its characteristics while offering its applicability based on the cases of various Contemporary Art Jewelry pieces. Using a characteristic of resin, formative expression method of creating a bubble-like shape was used as an example of its description; as bubbles are easily created with high level of humidity. Among various ways to process resin, change in properties was studied to explore ways to work on shaping with ease. Furthermore, by mixing it with other opaque materials, either transparent or opaque elements of resin can be highlighted; offering aesthetical visual effects. As resin provide creative and flexible customizations with its rich colours and forms, it also offers conveneint work processes and applications. Its positive attributes make resin a popular material used in various fields and industries including medical equipments and commercial product manufacturing. The current study examines material characteristics of resin and its potential as sculpture material while making sure to expand the range of various expression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재구성된 신체이미지의 표현 양상 연구 - 한스 벨머(Hans Bellmer)의 인형시리즈를 중심으로

        김영옥(Kim, Young-ock),이유진(Lee, You-ji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7 조형디자인연구 Vol.20 No.3

        20세기 유럽인들은 1, 2차 세계대전을 겪으며 이성의 절대성, 합리성에 대한 회의를 가지게 된다. 특히 프로이트가 주창한 무의식 세계와 그에 대한 인지과정은 유럽인에게 인식의 대전환을 이루는 계기가 되었다. 그들은 이성과 상충하는 개념인 무의식이 인간의 행동과 감정을 규정할 수있음을 자각하였다. 또한 무의식이 표출되는 장소로써 그동안 이성이나 정신에 비해 평가 절하되 었던 몸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초현실주의 작가 한스 벨머의 <인형시리 즈> 작품을 통해 몸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그 표현 양상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벨머의 작업을 관통하고 있는 것은 무의식 속에 억압된 것들이 표면으로 회귀하며 나타나는 낯익은 낯섦, ‘언캐니’ 와 금기의 위반을 통해 죽음과 삶의 대립이 사라지고 융합하게 된다는 ‘에로티즘’의 사유이다. 이들 사유는 모순의 역설을 통해 이분적으로 대립하는 것들의 경계를 해체함으로써 시각예술분야에 서도 무한한 발상과 창조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한스 벨머는 인형의 각 부분을 해체하고, 무의식적 방법으로 재배치하여 배열함으로써, 파편화된 인형의 형태를 구성하였다. 이를 통하여 인간의 왜곡된 욕망을 표출하고, 나아가 파시즘이 지배하던 당시 사회상을 비판하였다. 이처럼 한스 벨머의 작품은 억압된 금기들이 회귀하며 확장시킨 사유들과 더불어 가장 강렬한 시각적 인상을 남기며 몸의 영역과 의미를 확장시켰다. After World War I and II, the 20th century Europeans started to suspect the absolute and the rationality of reason. Especially, Freud’s account of unconscious mind and its cognitive process became the commencement of the great change in their understanding. The Europeans realized that the unconscious, an opposing concept to reason, has the capability to prescribe man’s emotion and behaviour. Furthermore, the change occurred in the understanding of body as the site where the unconscious is expressed while it had been disparaged compared to mind or reason. This research attempted to examine the change in the understanding of body and its expressive aspects through exploring the surrealist work of Hans Bellmer, <The Doll>. The underlying ideas of Hans Bellmer’s work are ‘Uncanny’ where the restrained reveal and emerge to the surface from the unconscious and create familiarized unfamiliarity, and ‘Érotisme’ where the opposition between death and living vanishes while death and living merge together. These underlying ideas, by dissolving dichotomous boundaries with the paradox of the contradictions, present the unlimited capacity for imagination and creation within visual arts. Hans Bellmer created fragmented figure of dolls by disjointing the dolls into separate parts then rearranging them automatically. By doing so, Han Bellmer expressed mankind’s distorted greed and moreover to criticise the fascist society of the time. Likewise, the work of Hans Bellmer expanded the domain and the meaning of body while leaving intense visual impression together with the ideas that are expanded as the repressed taboos reveal to the surface.

      • KCI등재

        조형예술에 활용되는 실리콘 몰드에 관한 연구 : 축합형 실리콘, 부가형 실리콘을 중심으로

        김영옥(Kim, Young-ock),조완희(Cho, Wan Hee)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1 한국디자인리서치 Vol.6 No.1

        최근 다양한 예술 분야에서 다채로운 소재나 매체의 활용으로 표현의 범주가 넓어지고 자유롭고 예술적인 표현이 지향되면서 주제나 개념, 감정의 표현이 확대되고 있다. 조형 예술의 많은 분야에서 다양한 재료의 활용은 소재 자체로서의 가치에서 개념적 가치를 표상하는 물건으로 그 의미를 변화시켰으며 새로운 재료와 기술의 예술적 잠재력으로 표현의 영역을 확장했다. 현대 미술에 활용되는 다양한 소재 중 합성수지는 지난 세기 50년대 이후 등장한 대표적인 신소재이며, 그중에서도 실리콘(silicone)은 인체에 무해하고, 유동성이 있으며, 착색이 용이하고, 이형성이 뛰어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속성들에 의해서 다양한 조형 가능성을 인정받고 있으며, 예술계뿐만 아니라 사회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실리콘의 재료 특성을 고찰하고, 조형물 제작에 많이 활용되는 실리콘 몰드(mold)의 대표적인 두 종류, 축합형 실리콘(Tin-cure silicone)과 부가형 실리콘(Platinum-cure silicone)의 물성을 분석하고 활용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레진, 실리콘, 향초, 비누 등 일상 사물과 합성수지 재료를 중심으로 실리콘 몰드의 종류별 활용할 수 있는 소재와 수축률에 따른 오차 범위 및 경화 불량의 원인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기능적, 표현주의적 재료로서 조형예술 분야 및 디자인 제작과정에서도 모형 제작 용도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실리콘은 앞으로 활용이 더욱 기대되는 소재라고 할 수 있다. 그 특성을 고찰하여 맞는 사용범위와 방법 등을 알아보고, 조형물 제작과정에 적절한 몰드 종류 및 활용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다양한 소재의 활용 범위를 넓혀 재료적 표현 영역의 확장 가능성을 제시한다. Recently, the use of various materials and media in different art fields has widened the category of expression and has expanded the expression of themes, concepts, and emotions as without boundaries and artistic expressions are oriented. The use of various materials in many fields of formative art has changed its meaning from the value of the material itself to the object representing the conceptual value and has expanded its scope of expression with the artistic potential of new materials and technologies. Among the use of multiple materials in modern art, synthetic resin has emerged since the 50s of the last century, and silicone has been widely used in various ways because of its harmless to the human body, liquidity, easiness to color, and it is easily detached. These attributes recognize the infinite possibilities of formative art and are widely used in various fields of society as well as in art. This study considered the material properties of silicone, and analyzed the two typical types of silicone molds widely used in the fabrication of objects which are the tin-cure silicone, and the platinum-cure silicone properties, and analyzed their usability. It also explored the allowable error and causes of curing defects according to the shrinkage rate and materials available for each type of silicone mold, focusing on objects such as resin, silicone, scented candle, and soap. Silicone, which is a functional and expressive material and is often used for modeling in the field of formative art and design production, is expected to be used in the future. The scope, methods, etc. of appropriate use shall be recognized by considering its characteristics, and the types and utilization of molds appropriate for the process of making sculptures shall be presented. Through this, it present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area of material representation by expanding the scope of utilization of various materi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