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ifferential Characteristics Influencing the Individual's Fertility Plan

        송유진(Yoo Jean Song) 지역사회학회 2014 지역사회학 Vol.15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individual's fertility plan and associated factors of it. It also attempts to see whether or not fertility plan is different by region. By using 2012 National Survey of Marriage and Fertility data, this paper confirms that female's age, age at marriage, and number of children influence the individual's planning to have an additional child. Women's employment or gender equity itself is not significantly related with fertility plan. However, the interaction effect is observed, indicating that those who have double burden tend not to plan for an additional child. Son preference is still maintained and affects the individual's fertility plan. Those who live in Jeolla and Kangwon/Jeju areas tend to plan for having additional children. Various circumstances, such as demographic, economic, institutional, childrearing environment, and culture in each region may be able to explain regional variations.

      • KCI등재

        한국, 대만, 일본의 이민자에 대한 태도

        송유진(Yoo-Jean Song) 한국인구학회 2008 한국인구학 Vol.31 No.2

        아시아 내에서의 혼인이동과 노동이동이 급증하는 현실에서 한국, 대만, 일본은 이민자들의 주요 유입국으로 부상하였다. 최근 들어 한국, 대만, 일본 정부는 이민자들을 수용하는 우호적인 사회분위기와 이들에 대한 사회적 지원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노력을 시도하고 있다. 이민자들에 대한 정책 마련을 위해서는 이민자들에 대한 일반인들의 태도가 어떠한지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국제사회조사프로그램(ISSP)의 2003년 ‘국가정체성’ 모듈 자료를 활용하여 한국, 대만, 일본인들의 이민자에 대한 태도와 결정요인을 살펴보았다. 기술분석 결과에 따르면, 이민자 수 증가에 대하여 대만인은 가장 부정적인 응답을 하였고 다음으로 일본, 한국 순이었다. 한국의 경우는 이민자에 대한 태도가 복합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령 이민자에 대한 반감은 가장 낮은 반면 동질적인 민족정체성에 대한 태도는 가장 높다. 또한 이민자들이 한국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응답은 높았으나 문화적인 다양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응답은 가장 낮았다. 이항 로지스틱 분석을 통하여 이민자 수 증가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살펴본 결과, 개인의 연령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수준은 대만의 경우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한국과 일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민자에 대한 가치관은 3개국 모두에서 이민자 수 증가에 대한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이민자에 대한 정책 수립에 있어서 가치관 교육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research examines individual attitudes toward immigration and the determinants of these attitudes in Korea, Taiwan, and Japan. Using 2003 National Identity module from ISSP data, descriptive statistics showed that Taiwan seems to be the most opposed to immigration, Japan in the middle, and Korea the least opposed. Despite being the least opposed to immigration, Koreans agreed most strongly with having a homogeneous sense of ethnic identity. In addition, Korean respondents saw immigrants are being good for the national economy, but not for cultural diversity.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age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individual’s attitude toward immigrants in Korea, Taiwan, and Japan. Effects of educational attainment is only significant in Taiwan. Manual worker and others, and those who work in farming, mining, and fishing tend to have negative attitudes toward increases in number of immigrants. Also, individual's values toward immigrants/immigration are related to the individual's attitude toward increases in number of immigrants in Korea, Japan, and Taiwan.

      • KCI등재

        서민의 정의에 대한 탐색적 고찰

        송유진(Yoo-Jean Song)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11

        서민이라는 용어는 언론이나 정치적 논의에서 빈번하게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서민이 누구인지, 서민을 어떤 기준으로 정의할 수 있는지, 서민과 중산층은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부족하였다. 이 논문은 전국 규모의 설문조사와 2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수행하여 서민에 대한 정의와 인식을 탐색적인 수준에서 살펴보았다. 대다수의 조사응답자들은 스스로를 서민으로 인식하며, 서민을 정의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은 경제적 소득이라고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서민은 고등학교 졸업, 월평균 200~300만원의 수입, 20평 전셋집에 거주하는 영세자영업자나 숙련노동자, 낮은 직급의 화이트칼라의 직업을 가진 사람들로 정의하였다. 또한 서민은 계층상승의 가능성도 있지만 계층하락의 불안감도 지니는, 빈민과 중산층 사이에 끼어 있으면서 일부는 중첩된 집단으로 인식하였다. 스스로를 서민으로 규정하는 사람들은 중산층을 부러워하거나 자신의 계층적 위치를 폄하하기 보다는 자신의 계층적 지위에 대하여 자긍심을 가지면서 미래에 대한 희망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서민 스스로의 자긍심과 희망이 유지, 실현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사회적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서민을 정의하고 서민의 구체적인 특성과 정책욕구를 파악하는 보다 심층적인 분석과 연구가 필요하다. Seomin has been used frequently in mass media and political discussion. However, who is Seomin, how to define Seomin, and whether Seomin and middle class are different has been rarely discussed. This study conducted both national level of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and explored how to define Seomin and who respondents think as Seomin. The majority of respondents consider themselves as Seomin and that monthly income is the most important criteria to define Seomin. Seomin was considered as those who have high school education and 200~300(million won) monthly income, live in a rented house, and work as a small-scale self-employer, skilled laborer, and low level of white collar workers. Also, Seomin is a precarious group which can achieve upward or downward mobility and is located between low and middle class. Those who have Seomin identity tend to have pride in their social status and hope for upward mobility rather than depreciate their social status or envy the middle class. In order for Seomin to be able to achieve upward mobility and to maintain pride in current status, diverse social policies are needed. Further analyses on examining characteristics and policy needs of Seomin are needed.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초국가적 가족연계: 결혼이주여성 본국 가족과의 동거 현황과 결정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송유진(Yoo-Jean Song),이윤석(Yun-Suk Lee)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1 사회과학연구 Vol.60 No.2

        이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다문화가족의 초국가적 가족연계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다는 점에서 출발하였다. 우리나라는 원칙적으로 가족 단위의 이민을 허락하지 않지만 2012년 결혼이주여성들의 초기 정착 및 출산과 양육지원을 위하여 가족초청제도가 도입되었다. 따라서 결혼이주여성들의 본국 가족들이 합법적으로 한국에서 일정기간 함께 살면서 여러 가지 지원 제공을 할 수 있다. 그러나 결혼이주여성들의 본국 가족 동거 현상 및 차별적 결정요인에 대해서는 잘 알려진 바 없다. 2018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 조사자료를 분석한 결과, 결혼이주여성 중 5% 정도만 현재 본국 가족과 함께 살고 있으며 어머니와 함께 사는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다. 베트남과 중국(조선족과 한족) 출신이 본국 가족과 동거하는 비율이 높으며, 여성의 경제활동, 미취학 자녀 수, 본국 가족을 한국에 초청한 경험, 가구소득이 본국 가족과의 동거 확률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결혼이주여성의 연령, 결혼기간, 한국인 배우자의 부모님과 동거는 본국 가족과의 동거 확률을 낮추었다. 즉 동일한 제도적 여건하에서도 가족에 대한 문화적 가치관, 현실적인 경제적 조건, 여성의 경제활동, 과거 교류 경험이 동거의 차이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본국 가족 중 어머니, 부모님 모두, 여자형제와 사는 경우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미취학 아동수와 과거 결혼이주여성의 본국 가족을 한국으로 초청했던 경험만 일관적으로 동거확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과거 교류 경험이 중요하며 결혼이주여성의 자녀양육 및 돌봄에 대한 책임을 덜어주기 위해 본국 가족과의 동거가 일어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결혼이주여성의 초국가적 가족연계를 보다 면밀히 살펴보기 위하여 관련 자료 수집 및 사회적, 학문적 관심이 요구된다. This research was triggered by the lack of scholarly interests in transnational family network of female marriage migrants in Korea. Relying on the 2018 National Survey data for Multinational Family, we analyzed what proportions and who currently live with female migrants’ family and which individual and family characteristics are associated with it. Overall, 5% of female marriage migrants are currently living with their original family and the majority are living with their mothers. Female migrants from Vietnam and China including Korean-Chinese show high propensity of living with their family. As for determinants, female migrants’ labor force participation, the number of preschool children, and the prior experience of visiting Korea of female migrants’ family, and household income are positively related, while living with Korean spouses’ family members are negatively related. ‘Transnational grandparenting’ seems to occur in Korea to provide support for childcare, particularly for employed women. More scholarly and policy related attention are need to the issue of transnational family network and transnational grandparenting

      • KCI등재후보

        외모지향의 연령파괴: 중·노년 여성들의 외모 가꾸기

        송유진 ( Yoo Jean Song )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2012 한국사회 Vol.13 No.2

        이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몸과 외모에 대한 연구가 젊은 여성들에 국한되었다는 점에 착안하여 출발하였다. 평균수명이 길어지고 고령 인구가 늘어가는 현실을 감안할 때 중·노년 여성들의 외모 가꾸기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젊은 여성들의 외모가꾸기와는 다른 각도에서 접근하고 이해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기존 연구가 부족한 초기 단계의 연구라는 특성상, 외모 가꾸기를 활발히 수행할 것으로 생각되는 집단을 선별하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서울 강남 지역에 거주하는 중산층 이상의 40대 이상 여성들 30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한 결과, 중·노년 여성들도 외모 지향적인 사회에서 더 이상 예외적인 존재가 아니라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는 ``나이 드는 것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성별에 따라 차별화된 사회적 기대’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즉 성별과 연령의 이중 잣대가 적용되는 현실을 반영한다. 가족주기, 생애주기, 연령에 따라 실제적인 행동에는 차이가 있지만 한국 사회에서 나이든 여성으로 살아간다는 것은 끊임없이 외모에 대하여 평가받는 것이다. 더불어 팽창하는 미용 산업, 매스미디어, 소비 자본주의가 중·노년 여성까지도 외모를 가꾸도록 조장하고 있다. 연령의 경계를 뛰어넘은 외모지향성에 순응하는 것은 남성 중심주의와 연령차별주의를 심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기 때문에 비판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후속 연구들을 통하여 보다 심도 있는 논의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challenges previous studies regarding body and adornment in Korea are limited to young women. Given that increasing numbers of aging population, understanding adornment of middle-aged and elderly women and approaching the phenomenon with different perspectives from that of young women is needed. Based on focus group interviews with 30 women over 40s living in Gang-nam area in Seoul, Korea, it is observed that middle-aged and elderly women are engaged in diverse activities regarding beauty care, although actual behaviors are different by family life cycle, age, and life cycle. It reflects double standard of age and gender in Korea. Living in Korea as an aging woman means that her appearance and body is continuously scrutinized and evaluated. Expansion of aesthetic industry, mass media, and consumption oriented capitalism also encourage women`s engagement in appearance, which in turn strengthen male-centered ideas and ageism.

      • KCI등재

        한국과 중국 도시가족에서의 성역할 분담 비교연구

        송유진(Yoo-Jean Song) 한국사회학회 2005 韓國社會學 Vol.3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중국 가족에서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를 비교하는 것이다. 사회주의 국가인 중국과 자본주의 국가인 한국의 도시가족을 비교함으로써, 국가정책이 가족 내에서의 성역할 분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양적 방법과 질적 방법을 통합하여 수행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도시가족 아버지들의 자녀양육 참여율이 한국 도시가족 아버지들보다 높다. 둘째, 중국의 경우는 어머니의 취업이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한국의 경우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셋째, 포커스 그룹 인터뷰의 응답자들은 중국과 한국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율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원인으로 여성의 취업률 차이, 노동시간의 차이, 전통적인 성역할 분리가치관의 차이, 그리고 중국의 한 자녀 정책의 영향력을 제시했다. This paper examines the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care activities both in Chinese and in Korean families. Based o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this study has several findings. First, Chinese fathers are more likely than Korean fathers to share childcare responsibilities. Second, women's employment exerts a positive effect on the father's involvement in childcare in China, but has no significant effect in Korea. Third, focus group interviews suggest four plausible reasons to explain different rates of paternal participation in childcare activities between China and Korea: different rates of women's employment; different attitudes toward traditional gender roles; different labor hours; and one-child policy in China.

      • KCI등재

        서민 귀속의식의 결정요인

        송유진(Song, Yoo-Jean)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5 비판사회정책 Vol.- No.49

        서민이라는 용어는 다양한 용례로 대중매체에서 빈번하게 사용되지만 실제로 누가 서민인지, 스스로를 서민으로 인식하는 사람들은 어떤 특성을 지녔는지, 서민 귀속의식을 지닌 사람들은 누구인지에 대한 논의는 이루어진바 없다. 따라서 이 논문은 전국 규모의 설문조사와 소규모 심층면접 자료를 바탕으로 위의 질문에 답하고자 시도하였다. 더불어 서민을 정의하는 객관적 기준과 주관적 계층의식은 일치하는지, 만일 차이가 있다면 무엇이 영향을 미치는지도 살펴보았다. 주관적인 계층의식은 스스로를 서민으로 인식하는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으며 따라서 집단 내에는 다양한 특성을 지닌 사람들이 혼재한다. 서민을 정의하는 객관적인 기준과 주관적인 인식의 차이를 야기하는 요인으로는 경제적인 소득이 가장 중요하지만 교육수준과 직업도 여전히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현재의 소득수준이 높고 주택을 소유하였다 하더라도 부채가 있거나 소득보다 지출이 많으면 주관적인 계층의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계층 귀속의식은 주관적이고 상대적이며 변화할 수 있지만, 개인의 만족감과 행복, 장기적으로는 사회적 안정감을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 서민과 주관적 계층의식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who is Seo-Min, who identifies themselves as Seo-Min, and what characteristics influence individuals’class identity. Based on the national level of survey and small-scale in-depth interviews, I find that the majority identify themselves as Seo-Min. Therefore, Seo-Min can be composed of people with divers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The difference between individuals’objective living circumstances and subjective class identity are influenced by income, educational level, and occupation. Those who have debts including mortgage and spend more expenses than income tend to identify themselves lower than their objective socioeconomic circumstances. Although a subjective class identity is relative and viable, it is important for individuals’life satisfaction which lead to social stability. Further research and discussion on Seo-Min as well as subjective class identity should be conduct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일본, 중국의 부모와 성인 자녀의 지원교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인 자녀의 혼인상태에 따른 비교

        송유진(Yoo-Jean Song) 한국아시아학회 2022 아시아연구 Vol.25 No.4

        이 연구는 2016년 동아시아 사회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한국, 일본, 중국의 30세~55세의 남녀를 대상으로 혼인상태에 따른 부모와의 지원교환 관계를 비교하였다. 부모와 성인 자녀의 지원교환은 경제적 지원과 일상생활 및 돌봄 지원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한국과 중국은 자녀가 부모에게 경제적 지원과 일상생활 지원을 더 자주 제공하는 ‘상향형’이고 일본은 부모가 자녀에게 경제적 지원과 일상생활 지원을 더 자주 제공하는 ‘하향형’이다. 전반적으로 미혼 자녀가 기혼 자녀에 비해 부모와 경제적 자원과 일상생활 및 돌봄 지원을 더 많이 교환한다. 부모에게 경제적 지원을 제공하는 경우에는 성인 자녀의 취업 여부와 주관적 계층의식, 동거하는 부모 수가 정적인 연관성을 보인다. 혼인상태에 따라 비교하면 한국과 일본의 경우, 미혼 응답자들은 취업이 중요하고 기혼 응답자들은 주관적인 계층의식이 중요하다. 중국은 취업과 주관적 계층의식의 효과가 모두 기혼 집단에게만 나타난다. 부모로부터 경제적 지원을 받는 경우에는 연령의 부적인 효과와 동거하는 부모 수의 정적인 효과가 관찰된다. 성인 자녀와 부모의 일상생활 및 돌봄 지원교환 관계에서는 혼인상태나 국가 차이가 약하다. 전반적으로 딸이 부모에게 돌봄 지원을 더 자주 제공하고 부모와 동거상황이 중요하다. 부모로부터 돌봄 지원을 받는 경우에는 일본은 기혼 여성이, 중국은 기혼 남성이 부모로부터 일상생활 및 돌봄 지원을 더 많이 받는다. 한국, 일본, 중국은 결혼의 보편성이 여전히 남아있기 때문에 계속 미혼으로 남아있는 성인이 소수에 불과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혼연령이 높아지고 결혼의 보편성이 약해진다면, 부모와 성인 자녀의 지원교환 관계에도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 앞으로 부모와 성인 자녀의 지원교환 관계를 다각적으로 살펴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This paper examined the effect of support exchanges between adult children and their parents in Korea, Japan, and China, focusing on differences by marital status of adult children. Using EASS 2016, it limited to adults aged 30 and 55. Overall, adult children tend to provide more support to parents in Korea and China, while parents tend to provide more support to adult children in Japan. Support exchanges are more frequently occurred between unmarried children and their parents than between married children and parents. Regarding adult children’s provision of economic support to parents, working status,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and the number of coresding parents are important. In particular, in Korea and Japan, working status is significantly related with unmarried children whereas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is significantly related with married children. In China, effects of working status and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are only observed for married children. With regard to parental economic support to adult children, age is negatively related and the number of coresding parents are positively related. The negative effect of age is only observed in married children in Korea and Japan. As for exchanges of care-giving in daily life, differences by country or marital status of adult children are not distinct. In general, daughters provide more care-giving to parents in daily life than sons. In terms of receiving care-giving support from parents, daughters receive more than sons in Japan, while sons receive more than daughters in China. Korea, Japan, and China have undergone demographic changes regarding marriage and life expectancy, which may lead to changes in intergenerational exchanges and relationships. More scholarly attentions should be paid to bidirectional exchanges of support and possible differences by marital stat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