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The Clinical and Electroencephalographic Characteristics of Hypomotor Seizures in Children

        Hee Hwang(황희),Ji Eun Choi(최지은),Jong Hee Chae(채종희),Ki Joong Kim(김기중),Yong Seung Hwang(황용승) 대한소아신경학회 2006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4 No.1

        목 적 : 저운동성 경련(hypomotor seizure)은 경련의 양상을 서술하는 점에서 유용하나, 임상양상 및 발작기 뇌파의 특성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저자들은 저운동성 경련의 임상 및 전기 생리학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에서 시행한 394명의 장시간 비디오 뇌파 검사를 검토하여 42명으로부터 329회의 경련을 연구에 포함하였다. 남자 27명, 여자 15명이었으며, 경련 발생의 평균 연령은 1.9세였고, 장시간 비디오 뇌파 당시의 평균 연령은 4.5세였으며, 평균 추적 기간은 3.9년이었다. 결 과: 13명(31%)에서 전신 발작 소견을, 29명(69%)에서 부분 발작 소견을 보였다. 23명(54.8%)의 환자에서 뇌 자기공명영상 검사 상 이상소견을 보였다. 발작간기 간질파의 양상과 경련과의 상관 관계는 29%였다. 8명의 환자에서 저운동성 경련 외에 다른 경련이 동반되었다. 전신 발작(1군)과 부분 발작(2군)을 비교하여 보았을 때, 두 군 사이에 임상지표 상의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1군의 발작기 뇌파 상 8명에서 diffuse spike and wave discharges, 2명에서 rhythmic beta, 1명에서 semirhythmic theta, 1명에서 배경파의 diffuse attenuation이, 1명에서 양측성 beta가 관찰되었다. Diffuse spike and wave discharges를 보이지 않은 5명의 환자 중 4명이 3세 미만의 환자였다. 2군의 발작기 뇌파를 분석한 결과, 24명(82.8%)의 환자에서 rhythmic ictal pattern을 보였으며, 3명(10.3%)의 환자에서는 irregular pattern, 2명(6.9%)의 환자에서는 semirhythmic pattern을 보였다. 2군 환자에서 발작기 뇌파의 주파수 분포는 10명(34.5%)에서 theta, 5명(17.3%)에서 반복적인 spke or sharp wave discharges, 4명(13.8%)에서 delta, 4명(13.8%)에서 beta, 3명(10.3%)에서 alpha, 3명(10.3%)에서 spike and wave pattern으로 나타났으며, rhythmic beta 양상은 posterior quadrant로 국소화 되는 경향을 보였다. 결 론 : 저운동성 경련은 전신 발작과 부분 발작 모두에서 보일 수 있는 경련의 양상이며, 이를 예측할 수 있는 임상 지표는 발견하지 못하였다. 3세 이하의 소아에서 보이는 전신성 저운동성 경련의 다양한 발작기 뇌파 소견은 결신 발작과는 다른 기전을 시사하는 소견이며, 부분성 저운동성 경련의 rhythmic beta 양상은 특정 피질 영역으로의 국소화를 시사하는 소견일 수 있다. 장시간 비디오 뇌파를 통한 저운동성 경련의 감별은 치료 방침을 정하는 것에 도움을 줄 수 있다. Purpose : A hypomotor seizure is a useful descriptive terminology, but its clinical and ictal characteristics are not fully understood. We investigated the clinical and electro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hypomotor seizures in children. Metho ds : We reviewed 394 video-taped recordings, performed between Dec. 1994 and Feb. 2003., to select patients of hypomotor seizures. Exclusion criteria were as follows; i) hypomotor seizures accompanied with other types of seizures in a single event, ii) patients without neurocognitive dysfunctions who were older than 3 years old, iii) non-convulsive status epilepticus, iv) poor video quality. A total of 329 hypomotor seizures from 42 patients (M : F=27 : 15) were included. The mean age of onset was 1.9 years old, the mean age at the monitoring 4.5 years old, and the mean duration of follow-ups 3.9 years. Results : Thirteen patients (31%) showed generalized onset, hypomotor seizures while 29 patients (69%) showed partial onset hypomotor seizures. 35 patients (83.3%) had neurocognitive deficits. Significant abnormalities in the on brain MRIs were revealed in 23 patients (54.8%). The concordance rates of interictal epileptiform discharges were 29.0%. In 8 patients, (hypomotor seizures were separately accompanied by other types of eizures (19.0%)). Comparing generalized seizures (group 1) with partial seizures (group 2),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linical parameters between the two groups. In brain MRIs, group 2 tended to have focal lesions. On the analysis of ictal rhythms in group 1, diffuse spike and wave discharges were noted in 8 patients, rhythmic beta in 2 patients, semirhythmic theta in 1 patient, diffuse attenuation of the background in 1 patient, and bilateral beta in 1 patient. Among 5 patients with ictal rhythms other than diffuse spike and wave discharges, 4 patients were younger than 3 years old. On the analysis in group 2, rhythmic ictal patterns were noted in 24 patients (82.8%), seimirhythmic in 2 patients (6.9%), and irregular in 3 patients (10.3%). The distribution of ictal frequencies was as follows : alpha in 3 (10.3%), beta in 4 (13.8%), theta in 10 (34.5%), delta in 4 (13.8%), repetitive spikes or sharp waves in 5 (17.3%), and spikes and waves in 3 (10.3%). Rhythmic beta patterns tended to be localized into the posterior quadrant. Conclusion : Hypomotor seizures consist of generalized-onset (31%) and partial-onset (69%). No clinical parameters can predict the ictal patterns. Various patterns in patients with generalized onset hypomotor seizures under 3 years old may suggest different mechanisms of generalized hypomotor seizures from absence seizures. Rhythmic beta patterns from the posterior quadrant may suggest the localizationspecific ictal patterns.

      • KCI등재
      • SMN2 유전자 복제수가 척수성 근위축 환자의 표현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우승(Seung Woo),고영준(Young Jun Ko),김수연(Soo Yeon Kim),최선아(Sun Ah Choi),유일한(Il Han Yoo),김헌민(Hun min Kim),임병찬(Byung Chan Lim),황희(Hee Hwang),채종희(Jong Hee Chae),최지은(Ji eun Choi),김기중(Ki Joong Kim),황용승(Yong Seu 대한소아신경학회 2015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3 No.2

        목적: 척수성 근위축은 SMN1 유전자 기능이 소실되면서 운동 신경이 퇴행하여 발생하는 질환이다. SMN2 유전자는 SMN1 유전자와 구조가 상당히 비슷한 유전자인데, 그 복제수에 따라서 척수성 근위축 환자들의 중증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한국 척수성 근위축 환자들에게서 SMN2 유전자 복제수에 따른 유전형과 표현형의 상관관계 및 임상적인 질병의 경과를 조사해 보았다. 방법: 서울대 어린이 병원에 방문한 척수성 근위축 환자들을 대상으로 SMN2 유전자 복제수와 중증도 지표들(생존 유무, 호흡 보조기 사용 유무, 독립 보행 유무)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총 60명의 환자들(남자 29명, 여자 31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고 이들의 평균 추적관찰 시간은 3.5년(0.2년­16.7년)이었다. 한 명의 환자가 1개의 SMN2 유전자 복제수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 환자는 호흡 보조기를 사용하고 있었다. 20명의 환자가 2개의 SMN2 유전자 복제수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중 19명의 환자가(95.0%) 제 1형 척수성 근위축 그룹에 속해있었고 11명이(55.0%) 호흡 보조기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이 환자들 중 사망한 수는 4명 이었다. 37명의 환자가 3개의 SMN2 유전자 복제수를 가지고 있었는데, 그 중 36명은(97.3 %) 제 2형 척수성 근위축 그룹에 속해 있었고 3명의(8.1%) 환자가 호흡기 보조기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17명의(45.9%) 환자가 보행 경험이 있었다. 2명의 환자가 4개의 SMN2 유전자 복제수를 가지고 있었는데 이들은 각각 제 1형, 제 3형 척수성 근위축 그룹에 속해 있었다. 또한 3개의 SMN2 유전자 복제수보다 2개의 SMN2 유전자 복제수가 사망률 및 조기 호흡 보조기 사용률과 더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결론: 이번 연구는 한국 척수성 근위축 환자들에게서 시행된 첫 번째 SMN2 유전자 복제수 분석 이었다. 연구를 통해서 SMN2 유전자 복제수가 작을수록 더 심한 임상 경과를 갖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각 아형 내에서 보다 정확한 예후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인자들을 포함한 광범위한 코호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Purpose: Spinal muscular atrophy (SMA) is degenerative disease of motor neuron caused by loss of survival motor neuron (SMN )1 gene. SMN2 gene is highly homolo­gous to SMN1 and is known to influence disease severity according to its copy num­ber. Our purpose was to investigate genotype­phenotype correlation between the SMN2 copy number and the clinical course in spinal muscular atrophy patients. Methods: The correlation between SMN2 copy number and clinical severity (sub­type, ventilator support, mortality and independent walking) was analyzed. Results: The SMN2 copy number was analyzed in 60 SMA patients (male 29, female 31). The average follow­up duration was 4.0 years (0.2 to 16.7). One patient had 1 SMN2 copy and was on ventilator support. In 20 patients who had 2 SMN2 copies, 19 (95.0%) were type I and 11 (55.0%) were on ventilator support. There were 4 mor­talities in these patients. In 37 patients who had 3 SMN2 copies, 36 (97.3%) were type II. The 3 patients (8.1%) were on ventilator support and 17 (45.9%) could walk independently. The two patients had 4 SMN2 copies, each patient was type I and III. Two SMN2 copi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arlier ventilator dependence and higher mortality than three SMN2 copies. Conclusion: This is the first report that compared the relationship between SMN2 copy number and clinical phenotype in Korean SMA patients. The lower SMN2 gene copi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evere clinical outcomes of SMA. However, additional biomarkers capable of predicting more detailed clinical outcomes within subtypes need to be further determined in an extended cohort.

      • Facial Nerve Paralysis with Brain Stem Cavernous Hemangioma in 1-month-old Infant

        우승(Seung Woo),고영준(Young Jun Ko),김수연(Soo Yeon Kim),최선아(Sun Ah Choi),유일한(Il Han Yoo),김헌민(Hun min Kim),임병찬(Byung Chan Lim),황희(Hee Hwang),채종희(Jong Hee Chae),최지은(Ji eun Choi),김기중(Ki Joong Kim),황용승(Yong Seu 대한소아신경학회 2015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3 No.2

        안면신경 마비는 7번 뇌신경의 기능장애로 발생하는 질환이다. 안면신경 마비는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 특별한 원인이 발견되는 경우는 많지 않고 별다른 치료 없이 증상이 호전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뇌 안쪽의 병변이나 안면신경 핵 주변의 병변을 원인으로 증상이 발생한 경우 다른 신경학적 증상이 동반되기도 하는데, 이런 경우 진단과 치료가 초기에 이루어 지지 않으면 생명에 지장을 줄 수도 있다. 우리는 이번 증례에서 좌측 눈이 감기지 않고 빠는 힘이 약해진 1개월 된 환자에게서 좌측 안면마비 증상을 발견하였고 영상 검사 후 뇌교의 해면 혈관종과 이와 동반된 급성 뇌출혈을 발견하였다. 이 환자는 증상이 발생한 나이가 어렸고, 산모의 주산기 문제 및 외상이나 감염의 병력이 없었다. 증상 발생 전 보챔과 삼킴장애가 있었다는 점, 빠는 힘이 약했다는 점이 전형적인 안면신경 마비 증상과 차이가 있었다. 매우 드물지만 안면신경 마비의 원인이 본 증례와 같이 치명적인 원인에 기인할 수 있기 때문에, 비전형적인 임상양상을 보이는, 12개월 미만의 안면마비 환자들에게서는 추가적인 영상검사를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Facial nerve paralysis is a disease caused by dysfunction of the seventh cranial nerve. It can be caused by numerous conditions, but in most cases there is no specific iden-tifiable cause of facial nerve paralysis and symptoms improve without treat ment. Moreover, when we encounter patients with both upper and lower facial paralysis, clinicians usually suspect peripheral type facial nerve paralysis. But, Facial nerve paralysis caused by a lesion of an intracranial or perifacial nerve nucleus may have accompanying neurological symptoms. In such cases, lack of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could lead to permanent neurological damage or result in life threatening situations. We report a case of cavernous hemangioma with acute hemorrhage in a 1-month-old infant who came to our outpatient clinic presenting with left side facial paralysis.

      • KCI등재후보

        Duchenne형 근이양증에서 PCR을 응용한 Dystrophin 유전자 변이 분석

        한승규(Seung-Kyoo Han),김종욱(Jong-Wook Kim),손병관(Byong-Kwan Son),채종희(Jong-Hee Chae),황용승(Yong-Seung Hwang) 대한소아신경학회 2000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8 No.2

        목적 : Duchenne형 근인양증에서 나타나는 돌연변이는 유전자 결실 65%, 중복 5%, 그리고 점돌연변이, 다형성, 뉴클레오타이드 소변이 등의 미세병변 30%로 알려져 있다. 유전자 결실은 multiplex PCR이나 Southern blot을 이용하여 검출할 수 있으나, 미세병변은 검출을 위한 여러 연구가 시도되고 있지만 아직 뚜렷한 정론이 내려져 있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환자의 말초 혈액을 채취하여 게놈 DNA를 분리한 후, PCR과 관련된 분자 진단법을 이용하여 유전자 변이 분석을 하였다. 방법 :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과에서 근육 조직 검사에 의하여 Duchenne형 근이양증으로 확진된 환자 중 외래 추적 관찰이 가능한 환자 5례와 그 환자의 모친 혹은 자매 7례 즉 총 12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로 부터 말초 혈액을 채취하여 게놈 DNA를 분리하였다. 총 28쌍의 시발체를 이용하여 multiplex PCR을 시행하였다. Exon 중복을 분석하기 위하여 multiplex PCR과 겔밀도측정법을 시행하여 부모와 다음 세대간의 띠강도를 비교하였다. 결실이 발견되지 않은 군은exon 각각에 대한 SSCP 분석과 직접 염기 서열분석을 하였다. 결과 : 혈액 1mL로 부터 게놈 DNA 12-2O㎍을 추출할 수 있었으며 크기는 5kb 이상이었다. 게놈 DNA를 이용하여 muitiplex PCR을 수행하였고 최고 9개의 PCR 산물을 얻을 수 있었다. 유전자 변이는 5례의 환자 중 4례에서 관찰되었다. 결실은 2례에서 관찰되었으며, 위치는 각각 exon 45, 47-53, 그리고 exon 47-49, 53이었다. 중복은 1례에서 관찰되었으며, exon 43에 위치하고 있었다. 결실이나 중복이 관찰되지 않았던 1례에서 미세병변이 관찰되었으며, exon 43의 A 염기 결실과 Intron 49의 C→G transversion 변이가 관찰되었다. 결론 : 저자들은 침습적 기법을 필요로 하는 근육 조직이 아닌 가장 손쉽게 얻을 수 있는 말초 혈액을 채취한 후, PCR, SSCP, 겔 밀도측정법, 직접 염기 서열 분석법 등의 방법을 체계적으로 이용하여 Duchenne형 근이양증에서 나타나는 여러 종류의 유전자 변이를 분석할 수 있었으며, 좀더 많은 증례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Purpose: Large rearrangements in the dystrophin gene is detected in about 65-70% of patients by multiplex PCR or Southern blot, although detection of point mutations and microlesions is currently in progr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rry out mutation analysis of the dystrophin gene by application of PCR-related molecular diagnostic methods in Duchenne muscular dystrophy(DMD). Methods: Five patients diagnosed as a DMD by muscle biopsy, and their first-degree relatives and mother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genomic DNA was extracted from the peripheral blood lymphocyte. We used a total of 28 pairs of primers including Beggs´ and Chamberlain´s primers. The multiplex PCR was performed in 4 groups; 5´Rxn2, 3´Rxn2, Rxn2, and CRxn2. For exon duplication analysis, multiplex PCR and gel densitometry were carried out by comparing the band intensities among individual bands. For groups with no detectable deletion, single strand conformation polymorphism(SSCP) analysis and direct DNA sequencing method were performed with individual PCR of candidate exons. Results: About 12-20μg of genomic DNA was extracted from 1mL of blood, and the size of DNA was over 50kb. Up to 9 PCR products were made from multiplex PCR using the genomic DNA. Among 5 families with DMD, No. 6 had about 240kb DNA deletion from exon 45 and 47-53, and No. 11 had about 130kb deletion from exon 47-49 and 53. No. 1 showed duplication of exon 43 when the multiplex PCR products were analyzed by a densitometer. When the deletion/duplication negative No. 3 was analyzed by SSCP method, exon 43 and 49 showed abnormal band patterns. The abnormal band pattern of exon 43 was caused by deletion mutation of A residue, which resulted in pretermination of dystrophin synthesis, meanwhile exon 49 showed transversion mutation of C→G at intron 49.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methods of multiplex PCR, SSCP and direct sequencing of PCR products made it possible to analyze several types of mutation of DMD.

      • KCI등재후보

        MELAS의 유전적 특성에 따른 임상 양상

        황희(Hee Hwang),채종희(Jong Hee Chae),김기중(Ki Joong Kim),황용승(Yong Seung Hwang) 대한소아신경학회 2003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1 No.1

        목적 : MELAS는 대표적인 사립체 질환의 하나로, 다양한 임상 증상 및 유전적 배경을 가지는 질환이며, A3243G 점 돌연변이는 MELAS에서 가장 흔히 발견되는 사립체 DNA의 이상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들을 본원에서 MELAS로 진단받은 환자 중 A3243G 점 돌연변이의 빈도를 알아보고 양성군과 음성군의 임상 및 검사 상의 차이를 비교하여, 양성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 임상 변수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방법 : 1993년 1월부터 2002년 8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어린이병원에서 임상적 진단 기준을 만족시키는 31명의 MELAS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의무기록 조사를 시행하였다. 남녀 비는 17:14였으며 평균 발병연령은 7.66세였고, 평균 추적관찰기간은 4.8년이었다. 모든 환자에서 뇌자기 공명 영상을 시행하였으며, 모두 11명에서 근육 생검을 시행하였다. MtDNA 분석은 혈액 혹은 근생검 조직의 DNA로 PCR/RFLP 방법을 이용, A3243G 점 돌연변이에 관한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 31명의 환자 중 15명(48.4%)에서 A3243G 점 돌연변이 양성을 보였으며, 5가계 11명의 환자가 가족성 발병을 보였고, 이들 중 A3243G 점 돌연변이 양성률은 63.7%였다. 전체 환자를 A3243G 점 돌연변이 양성군과 음성군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발병 연령은 A3243G 점 돌연변이 양성군에서 10.52세(표준편차 3.26년)였고, 음성군에서 4.77세(표준편차 4.23년)였다. 2) 환자들의 임상 양상을 비교하였을 때 경련이 최초 증상으로 발현한 경우가 양성군에서는 1례(6.7%), 음성군에서는 7례(43.6%)였고(P value, 0.018), 편두통의 병력이 있었던 경우는 양성군에서 8례(53.3%), 음성군에서는 2례(12.5%)였으며(P value, 0.015), 뇌졸증이나 일시적 허혈성 발작이 재발한 경우는 양성군에서 10례(83.3%), 음성군에서 4례(40.0%)였다(P value, 0.02). 최초 임상 증상으로 뇌졸증 혹은 일시적 허혈성 발작이 나타난 경우나, 병력 상 저신장, 당뇨를 보인 경우가 양성군에서 많았고, 발달 지연 혹은 퇴행이나 심근병증의 경우 음성군에서 자주 보였으나 통계적인 의미는 없었다. 3) 환자의 혈액 혹은 뇌척수액에서 시행한 lactate 검사의 참고치 상한가 대비 배수(fold)는 양성군에서 평균 2.39배(표준편차 0.73배), 음성군에서는 평균 1.42배(표준편차 1.14배)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환자의 뇌자기 공명 영상 검사상 두 군 사이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양성군에서는 기저핵에 비해 후두부 피질에 신호 변화를 보이는 경향이 있었다. 5) 근육 조직 검사상 Ragged red fiber를 보이는 경우는 양성군은 6례 중 4례, 음성군은 5례 중 3례였고, 전자 현미경상 사립체의 구조적 변화를 보인 경우는 모든 예에서 관찰되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MELAS의 유전적 원인으로 A3243G 점 돌연변이가 차지하는 비율은 48.4%(15/31)로 타 연구에 비해 다소 낮았다. 높은 발병연령, 편두통을 포함한 반복되는 뇌졸증 유사 증상의 병력, 정상 상한치의 2배 이상인 혈청 및 뇌척수액의 lactate 농도는 A3243G 점 돌연변이 양성을 시사하는 소견이라고 생각된다. 아울러 유전적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MELAS에 대한 다양한 진단적 접근 및 추적관찰이 필요할 것이다. Purpos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imate the frequency of mitochondrial DNA (mtDNA) A3243G point mutation in MELAS(mitochondrial encephalomyopathy, lactic acidosis and stroke-like episodes) of our population and to identify the clinical or laboratory variables suggesting MELAS with mtDNA A3243G tRNA mutation. Methods : Thirty-one patients were included, diagnosed with MELAS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between Jan. 1993 and Aug. 2002. Seventeen males and fourteen females were included. Mean age of onset was 7.66 years old and mean duration of follow-up was 4.8 years. Brain MRI was performed in all and muscle biopsy was performed on eleven cases. A3243G point mutation was analyzed by PCR/RFLP using DNA from blood and/or muscle tissue. Results : A3243G point mutation was detected in 15(15/31, 48.4%). Mean age of onset was 10.52 years old in A3243G (+) group, and 4.77 years in (-) group. Eight in A3243 (+) group and 2 in (-) group revealed the history of migraine(53.3%, 12.5%, respectively, P value, 0.015). Ten in (+) group and 4 in (-) group experienced recurrent attacks of stroke or transient ischemic attack(TIA)(83.3%, 40.0%, P value=0.02). The lactate level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2.39 (+) group, 1.42 in (-) group. Additionally, stroke or TIA as an initial symptom, a history of diabetes or hearing impairment was frequently associated in A3243G (+) group. In brain MR, A3243G (+) group tended to be more frequently involved at posterior cerebral cortex than at basal ganglia. On muscle biopsy, ragged red fibers were detected in 4 patients (4/6) in A3243G (+) group, and 3 (3/5) in (-) group. Conclusion : In our populations, A3243G mitochondrial tRNA mutation was responsible genetic defect in 48.3% of MELAS patients, less frequent than other populations. On clinical point of view, older age of onset, recurrent TIA including migraine and lactate concentration higher than 2 times of upper margin of reference value were highly suggestive of A3243G point mutation. MELAS is characterized by various clinical or genetic heterogeneity, so further large scale prospective study will be needed to identify the other genetic causes of them.

      • KCI등재후보

        소아 난치성 부분 간질 환자의 수술적 치료

        황 희(Hee Hwang),권영세(Young Se Kwon),이종화(Jong Hwa Lee),이란(Ran Lee),채종희(Jong Hee Chae),김기중(Ki Joong Kim),황용승(Yong Seung Hwang),조병규(Byung Kyu Cho) 대한소아신경학회 2001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9 No.2

        목 적 : 난치성 부분간질 환자에서 수술전 진단 방법들의 가치 및 정확도, 수술적 치료의 결과 및 효율성, 병리조직학적 특성 등을 정리하여 적절한 수술적 치료의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 법 : 간질 수술을 시행한 소아 난치성 부분간질 환자 4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 26명 여자 21명이었고, 평균 발병 연령 6년 2개월, 수술시 평균 연령 9년 1개월이었으며, 수술 후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29개월이었다. 수술전 평가로 발작간기뇌파, 발작기 뇌파, 뇌 MRI, FDG-PET과 발작간기 및 발작기 SPECT 등을 시행하였다. 간질은 측두엽 간질, 전두엽 간질, 두정엽 간질, 후두엽 간질로 구분하였다. 수술 후 결과는 Engel 분류에 따랐다. 결 과 : 1) 47명 중 28명이 측두엽, 8명이 전두엽, 8명이 후두엽 간질이엇고 3명이 두정엽 간질이었다. 28명은 측두엽 절제술을 19명은 측두엽외 절제술을 시행 받았다. 2) 병리검사상 측두엽 간질 28명 중 피질 이형성증 5례, 해마 경화증 8례, 경화증과 피질 이형성증의 공존 8례, 피질 이형성증과 종양의 공존 4례, 피질 이형성증, 종양, 해마 경화증의 공존 1례, 종양 2례였다. 측두엽외 간질환자 19명 중 피질 이형성증이 16례, 종양 2례, 이소성 신경원증 1례였다. 3) MRI, 발작간기 및 발작기 SPECT, FDG-PET의 검사 양성률은 각각 78.7%, 35.3%, 77.3%, 95.7%로 FDG-PET이 가장 높았다(P value<0.05). 4) 영상 검사상 양성과 발작기 뇌파와의 국소화 일치도는 MRI 86.5%, 발작간기 SPECT 83.3%, 발작기 SPECT 70.6%, FDG-PET 72.7%로 MRI의 일치도가 가장 높았다(P value<0.05). 5) 수술 후 결과는 Engel 분류 class Ⅰ 34례(72.3%), class Ⅱ 4례(8.5%), class Ⅲ 3례(6.4%), class Ⅳ 6례(12.8%)였다. 6) Favorable outcome은 측두엽 절제술 82.1%, 측두엽외 절제술 73.7%에서 있었다(P value>0.05). 7) 수술 후 부작용으로 시야결손 4례, 두개강내 농양 1례, 일시적 반신마비 3례 등이었다. 결 론 : 소아 난치성 부분 간질의 수술적 치료는 발작의 조절에 있어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향후 더 세밀하고 개별적인 수술전 평가, 수술후 관리, 장기적 인지기능 발달 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Purpose : Few studies have been performed on the value and efficacy of presurgical evaluation methods, postoperative outcomes and characteristic pathologic features in the children who underwent epilepsy surger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mmarize experiences of epilepsy surgery in children with intractable partial epilepsies. Methods : Forty-seven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ll had medically intractable partial epilepsy and underwent epilepsy surgery after meticulous presurgical evaluation including interictal and ictal EEG, MRI, interictal and ictal SPECT and FDG-PET. Results : Out of the 47 patients, 28 had temporal lobe epilepsy, 8 frontal lobe epilepsy, 8 occipital lobe epilepsy, and 3 parietal lobe epilepsy. Pathologic findings were as follows: cortical dysplasia in 21, hippocampal sclerosis in 8, cortical dysplasia combined with hippocampal sclerosis in 8, cortical dysplasia with tumor in 4, and cortical dysplasia, hippocampal sclerosis and tumor in 1, tumor in 4, heterotopia in 1. FDG-PET was the most sensitive imaging modality. MRI showed the highest specificity in terms of concordance with ictal EEG finding. Postoperative outcome was as follows: Engel class I in 34, class II in 4, class III in 3, and class IV in 6.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postoperative outcome between the temporal and the extratemporal resection group. Postoperative seizure outcome was not correlated with MRI or pathologic finding. Conclusion : Epilepsy surgery seems to be an effective and safe therapeutic choice in children with intractable partial epilepsies regardless of the location of epileptogenic zone. Further study is necessary on the efficacy of each imaging modality, postoperative quality of life and the effect on long-term neurocognitive function.

      • KCI등재후보

        결절성 경화증에서의 간질성 발작의 유형 및 경과

        김기중(Ki Joong Kim),황용승(Yong Seung Hwang) 대한소아신경학회 1995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 No.2

        연구배경 : 결절성 경화증 환자에서 여러 가지 형태의 간질성 발작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으나, 간질성 발작의 특성에 따른 경과 및 예후에 대한 연구는 국내에서는 드물므로, 자자들은 결절성 경화증에서 나타나는 간질성 발작의 형태 및 이의 임상적 결과를 조사하였다. 방 법 : 1989년 1월부터 1994년 6월 까지 5년 5개월간 서울대학교병원 소아과에 내원 또는 입원하여 결절성 경화증으로 진단 받았던 환아중 간질성 발작이 있었던 57명(남아 42, 여아 15)을 대상으로 하여 발병 연령, 발작의 형태, 뇌파 소견, 정신 지체의 동반 여부 등을 살펴보았고, 추적 관찰 기간이 1년 이상이었던 환아들을 대상으로 발작의 경과를 조사하여 예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결 과 : 전체 환아 67명중 간질성 발작이 있었던 환아는 57명으로 85.1%에서 간질성 발작이 있었다. 발작의 형태는 강직-간대성, 강직성 또는 간대성의 전신발작 19례(33.3%), 영아 연축 14례(24.6%), 단순 부분 발작 10례(17.5%), 복합 부분 발작 9례(15.8%)순이었다. 뇌파 소견은 10례(17.5%)에서 정상이었으며, 배경의 이상만 있는 경우가 3례(5.3%), 발작파만 있었던 경우가 26례(45.6%), 발작파와 배경의 이상이 모두 관찰된 경우가 18례(31.6%)였다. 추적 관찰 기간이 1년 이상 가능했던 50명중 단순 부분 발작 62.5%, 영아 연축 46.2%, 전신 발작 35.3%, 복합 부분 발작이 25.0%에서 발작이 소실되었다. 뇌파상 전반적인 발작파를 보였던 12명 중 2례(16.7%), 국소적 발작파를 보였던 17명중 7례(41.2%), 다발성 발작파를 보였던 9명중 5례(55.6%), 발작파가 없었던 12명중 8례(6.7%)에서 발작의 소실을 보였다. 결 론 : 결절성 경화증에서 나타나는 간질성 발작은 영아 연축을 위시한 전신 발작과 복합 부분 발작일 경우 발작의 조절이 어려울 가능성이 높으며, 또 뇌파상 전반적인 발작파를 보이는 경우에 예후가 불량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It is well known that various types of epilepsy can occur in the patients with tuberous sclerosis. We reviewed the clinical features and outcomes of epileptic seizures in the children with tuberous sclerosis. Method : Medical records of the 57 epileptic patients (male 32, female 15) among the 67 children with tuberous sclerosis were reviewed in regard to seizure types. age at onset of seizure, electroencephalographic finding, clinical course and outcome. Result : Of the 33 patients with generalized seizure, 19 showed tonic or clonic seizure and 14 manifested infantile spasm. Of the 19 patients with partial seizure 10 showed simple and 9 showed complex partial seizure. Eletroencephalographic findings were normal in 10. generalized epileptiform discharges in 13, focal epileptiform discharges in 21, and mutifocal epileptiform discharges in 10. After the administration of appropriate antiepileptic drugs, 22 became seizure-free. The responserates according to seizure type were as follows: simple partial seizure 62.5%, generalized seizure 35.3%, infantile spasm 46.2%, and complex partial seizure 25.0%. The response rates according to the EEG findings were 41.2% in focal. 55.6% in multifocal and 16.7% in generalized epileptiform discharges. Conclusion : It is concluded that the patients with complex partial seizure or generalized seizure and the patients who showed generalized epileptiform discharges were less responsive to the medical treatment.

      • KCI등재후보

        영아 연축에서 ACTH의 치료 효과

        김기중(Ki Joong Kim),황용승(Yong Seung Hwang) 대한소아신경학회 1995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 No.2

        연구배경 : 영아 연축은 기존의 항경련제에 잘 반응하지 않는 난치성 간질의 하나로, ACTH가 영아연축의 치료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투여 용량에 대해서는 이견이 많다. 본 연구는 영아 연축에서 연축의 조절 및 장기적이 경과에 있어 ACTH고용량 요법과 저용량 요법간에 차이가 있는 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방 법 : 1992년 3월부터 1994년 10월까지 2년 8개월 동안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과에 영아 연축으로 진단 받고 입원하여 ACTH를 투여 받았던 환아중 선발 기준을 만족시키는 73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고용량 투여군과 저용량 투여군별로 ACTH에 대한 반응 유무 및 시기, 부작용 여부를 조사하였다. 또한 퇴원후 외래에서 추적되고 있는 환자중 관찰 기간이 12개월 이상 경과한 38명을 대상으로 장기적이 경과를 살펴보았다. 결 과 : 증상성군 41명중 28례(68.3%)와 잠복성군 32명중 27례(88.4%)에서 반응을 보였으며, 고용량 투여군 43명중 33례(76.6%)와 저용량 투여군 30명중 22례(73.3%)에서 반응을 보였다. ACTH 투여와 관련된 부작용은 22명(30.1%)에서 나타났으며, 고용량군 17명(39.5%)에서 19건, 저용량군에서 5명(16.7%)에서 6건이었다. 반응이 있었던 37례중 22례(59.5%)에서 발작의 재발이 있었다. 추적 관찰 기가니 12개월 이상 가능했던 38명중 고용량을 투여했던 29명중 10례(34.5%)와 저용량을 투여했던 9례중 5례(55.6%)만이 재발이 없었다. 결 론 : 연축의 조절에 있어서는 고용량 투여와 저용량 투여 요법간의 의미 있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ACTH와 관련된 부작용은 고용량 투여시 많았으므로 고용량 투여시에는 부작용에 대해 주의해야 할 것이다. 장기간 추적 관찰이 가능했던 38중 고용량 투여군에서 재발률이 낮지 않으므로 부작용이 많은 고용량 투여보다는 저용량 투여가 권장할 만 하다고 사료된다. Background : Although it is well known that ACTH is effective in the cessation of spasm in the patient with infantile spasm, there are disagreements and controversies concerning the dosage and duration of the treatmen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differential effects in the response and long term course between the high-dose versus low0dose ACTH therapy. Method : The medical records of the 73 patients with infantile spasm who met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were reviewed. The responses, relapses, side-effects and long-term courses between the high-dose and low-dose group were compared. Result : Of the 41 symptomatic and of the 32 cryptogenic patients, 28(68.3%) and 27(84.4%) responded respectively. Of the 43 patients treated with high-dose therapy, 33(76.6%) responded: of the 30 patients treated with low-dose therapy, 22(73.3%) responded. The side-effects, especially hypertension and infection, occurred more frequently in the high-dose group. Conclusion : We concluded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ponse rate between the high-dose versus low-dose group in the treatment of infantile spasm. But care should be taken for the occurrence of the side-effects when treating infantile spasm patient with high-dose ACTH regimen.

      • KCI등재후보

        피질 이형성증을 동반한 제1형 신경섬유종증 1례

        이진숙(Jin Sook Lee),김승효(Seung Hyo Kim),김헌민(Hun Min Kim),박수연(Su Yeon Park),이지훈(Ji Hoon Lee),채종희(Jong Hee Chae),김기중(Ki Joong Kim),황용승(Yong Seung Hwang),김인원(In-One Kim) 대한소아신경학회 2005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3 No.2

        저자들은 발작을 주소로 내원한 3개월 여아에서 제1형 신경섬유종증에 동반된 피질 이형성증을 보인 매우 드문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Neurofibromatosis type 1(NF1) is the most common neurocutaneous syndrome which has an autosomal dominant pattern of inheritance. The NF1 gene is located on chromosome 17q11.2 and encodes for neurofibromin known as tumor suppressor protein. The disorder affects almost every organ and shows neurologic manifestations such as tumors, mental retardation and epilepsy. Epilepsy associated with NF1 occurs in about 4% and is known to have relatively good prognosis. Malformations of cortical development are less common in patients with NF1 than in other phakomatoses. To our knowledge, no report on NF1 with cortical dysplasia has been published in Korea. We report a child with NF1 associated with extensive cortical dysplasia, who presented initially infantile spasms and in the following months developed tonic seiz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