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간의 행정학: 정부경쟁력제고를 위한 연구의제 탐색

        임도빈 ( Tobin Im )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6 行政論叢 Vol.54 No.4

        최근 사회 발달, 기술 발달 등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공간은 단순히 지리적, 인위적 공간 등 물리적 공간의 맥락을 넘어서 가상적 공간 등을 포함하는 심리적 인식 맥락으로 확장되었다. 본 연구는 그동안 행정학에서 소홀히 다루었던 `공간(space)`에 대한 중요성을 부각시켜 행정학의 이론성을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나아가서, 행정학에서 다루어야 하는 향후 공간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행정활동은 이미 다양한 공간적 제약 및 잠재가능성을 바탕으로 이루어지고 정책의 공간적 범위는 정책의 실효성을 좌우하는 중대한 요소가 되므로 각 나라 정부경쟁력의 결정적 요소가 된다. 여러 공간관련 학문의 행정/정책적 연구를 바탕으로 행정학적 공간 개념을 도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건축학, 도시 및 지역계획학 등 분야에서 사회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변화해 온 연구추이를 살펴보고, 향후 행정학에서 다뤄야할 공간의 차원들을 탐색한다. The research area of space has been dominated by the context of physical space such as artificial and geographical space. However, the concept of the space has recently been expanded to virtual space, including psychological recognition, due to transformied social development and technological improvemen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theory of public administration by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space,` since space has been neglected in the past. Furthermore, this study attempt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research into space in the future that should be dealt with in public administration. Administrative activities are already based on various spatial constraints and potentialities. The boundary of space is a crucial factor that determines the effectiveness of policy that is a decisive factor in the competitiveness of government in each country. The concept of space in public administration is derived based on public administrative / policy research from various spatially-related discipline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development of research about space in the fields of architecture and urban and regional planning, and discusses the dimensions of space to be dealt with in public administr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성숙한 대의민주주의를 위한 조건 : 행정부-의회의 관계를 중심으로

        임도빈 ( Tobin Im ) 한국행정연구원 2018 韓國行政硏究 Vol.27 No.2

        최근 전 세계는 기존 정치체제인 대의민주주의에 대한 불신이 높아지고, 이를 대체 혹은 보완하기 위해 ‘성숙한 민주주의’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성숙한 대의민주주의를 위해 현재 우리에게 필요한 의회-행정부 관계는 어떠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퍼지셋 연구방법론을 활용하여 OECD 내 28개국을 비교·분석하였다. 정부경쟁력과 의회경쟁력을 기준으로 4가지 이념형을 도출하여 28개국을 분류하였으며, 필요충분조건 검정을 통해 성숙한 대의 민주주의를 위해 어떠한 조건이 선행되어야 하는지 살펴보았다. 퍼지셋 분석 결과에 의하면, 한국은 행정부경쟁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의회경쟁력이 낮은 국가군에 속하였다. 성숙한 대의민주주의를 위한 조건으로 입법부 효과성을 높이거나, 행정부 통제의 수준을 합리적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치권력이 대의민주주의를 자의적으로 활용하는 것으로부터 의회와 행정부가 스스로 벗어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조건이 선행되어야만 관료제가 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다양한 국민의 요구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 결국 정치환경의 변화에 따라 대의민주주의 체제를 새롭게 이해하는 과정을 통해 의회와 행정부 간 관계가 선순환 구조로 전환될 것이다. The world is replete with voice that laments the crisis of representative democracy. Public mistrust towards representative democracy, the default political system of the contemporary era, has been rapidly escalating, and countries have witnessed increasing demands for a more “matured” form of democracy to supplement (or even substitute) the current system. In this sense, the present research originates from the question of “what would be the desired end-state of legislative-administrative relations for enabling the advancement of representative democracy?” In order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 I conduct a fuzzy-set comparative analysis on 28 OECD member-states through which the countries are categorized into four different ideological dimensions that are based on the criteria of government competitiveness and legislative competitiveness. Aimed at identifying potential antecedents of a more matured form of representative democracy, the result demonstrates that countries may find the aforementioned objective attainable through either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their legislative bodies or coordinating the level of control over the administrative branches, so that both entities can be ensured of autonomy from governing political power making arbitrary interventions upon their domains. In addition, the analysis of necessary-and-sufficient conditions reveals that the Republic of Korea belongs to the group of countries that have lower levels of legislative competitiveness when compared with those of the government. These are the critical factors only through which the bureaucracy can effectively perform its duties and functions, thereby efficiently responding to the continuously diversifying needs of the public. In sum, we expect that the legislative-administrative relations will undergo a transition to the structure of virtuous cycles when the country is faced with changing political environment, followed by the process of facilitating a new understanding towards representative democracy

      • KCI우수등재

        한국 행정관료제의 조직운영 원리에 관한 연구

        임도빈(Tobin Im) 한국정치학회 2001 한국정치학회보 Vol.35 No.1

        본 연구는 한국의 행정조직의 특성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는 도청조직이 가지고 있는 특징이 무엇인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청 공무원들이 일상적으로 누구와 어떻게 협력하여 업무를 수행하며, 업무수행상 나타나는 행위의 규칙성에 대하여 행위체제론적으로 해석하는 것을 시도하고 있다. 비교적 폐쇄체제라고 할 수 있는 도청체제 내에서 일하는 공무원들이 갖고 있는 목표, 제약, 자원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직원 간 협조관계는 수평적인 관계에 비하여 수직적인 관계가 과도하게 발달하여 있다. 도청 직원 간 행위게임의 내용은 개혁성향이 강한 지사와 이에 부응하지 못하는 일반 직원간의 적응게임으로 요약하여 설명할 수 있다. 개혁과 보수의 간격을 메우는 장치는 품의제도와 함께 나타나는 세 가지 역설적 결과(비밀주의, 형식주의, 기초자치단체에 대한 자율권 제약)들인데 결과적으로 도지사의 의도나 지방자치 실시의 목적과는 달리 관료제적 역기능을 강화시키게 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operating system of Prefecture A, one of the most important local bureaucracies in Korea. One remarkable phenomenon of this system is the prevailance of vertical interactions over horizontal ones among civil servants. This often results in internal confrontations between the reformist (the prefect and his immediate collaborators) and the resistants. Few conflicts, however, are observable between these two opposing groups mainly because of the Poomyi system, one of the most influential decision-making systems in Korean bureaucracy, and the 'new iron triangle.' However these two mechanisms, while preventing conflict, are responsible for three kinds of dysfunctions: secret-seeking, formalism and centralization over the lower-level local governments.

      • KCI등재

        정책결정 소요시간에 관한 연구

        임도빈(Im Tobin),이시원(Lee See-Won),김준기(Kim Jun-Ki),정준금(Jung Joon-Keum) 한국정치학회 2008 한국정치학회보 Vol.42 No.3

        본 연구는 주요정책이 의제설정에서부터 행정부내부의 최종 의사결정에 이르는 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19개 주요정책을 대상으로 소요시간을 측정한 결과 평균 371일 정도가 소요되었다. 정책특성별로는 법제화가 요구되느냐 여부, 예산이 소요되는 정책이냐 여부, 신규사업이냐 여부가 소요시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행정부 내부 의사결정의 각 단계별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한 다음, 정책결정 소요시간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을 판별하였다. 이를 토대로 정책유형별 혹은 부처별정책소요시간에 미치는 요인들의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정책대응의 소요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처방을 제시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time horizon aspects in the study of public policy. By analyzing 219 major policies that have become law in the past Administration, we found that, on average, it took 371 days for a presidential agenda to finally become a proposed bill. By employing various statistical techniques on policies that went through various stages of internal government process, we found that the requirement for a policy to get enacted as a separate bill, the need to acquire separate budget, and the need for a policy to be introduced as a new project all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the duration of the process. We also analyzed ministry-specific and policy-specific factors that influenced the duration of the process and came up with policy recommendations that are likely to help policy makers to more adequately manage the internal policy making process.

      • KCI등재

        행정학의 사회과학화를 위한 하나의 도전?

        임도빈(Im, Tobin),정지수(Jeong, Ji-Su) 서울행정학회 2014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4 No.4

        한국정부의 경쟁력을 올리기 위한 학문으로서 행정학 연구의 이론화를 위한 길은 무엇인가? 한국 행정연구의 이론화는 새로운 이론의 개발을 통해서 이뤄져야 할 것이다. 한국에서 행정학에 대한 인접학문의 인식이 정부용역학이라는 오명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은 공공부문이라는 고유한 연구영역은 존재하지만 나름의 이론을 개발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인한다. 이론화는 분명 쉬운 것이 아니지만 이론화를 위한 시도가 전혀 없지 않았으며, 그 결실(기여)도 존재한다. 이 글은 행정학의 사회과학화에 대한 시도로서 시간적 접근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먼저 시간연구가 사회과학의 정상적이 과학으로 도약하는 방법을 논하고, 시간연구의 역사에 대한 고찰을 통해 본격적인 시간연구가 시작된 2002년 이후의 연구의 흐름을 분석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정책과 정책과정, 조직과 관료, 행정환경 및 제도, 행정과 사회로 분류하여 연구를 분석할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지금까지 연구된 내용과 결과를 분석하며 시간연구의 기여와 함의를 찾고, 향후 연구 방향의 내용과 조건에 대해서 논의를 진행할 것이다. What is the best way to theorize researches of public administration, a study of enhancing government competitiveness?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es should go along with solid theories from a science point of view. In Korea, lacking of theoretical foundation on public sector researches, public administration is in the identity crisis. This study shed light on the possibility of upgrading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to a normal social science in terms of T. Kuhn’s framework. Specifically, this paper mainly focus on the contribution of time study. Firstly, it will discuss about how time study can be regarded as a social science and analyze trends of time study researches since 2002. Four categories of classification will be explored; policy and policy procedure, organization and bureaucracy, administration environment and institution, public administration and society. Then, this paper will try to find contributions and implications, also indicate the future directions of time study.

      • KCI등재

        관료제 개혁에 적용한 신공공관리론, 무엇이 문제인가

        임도빈(Tobin IM) 서울행정학회 2010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1 No.1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validity of government reform programs introduced to the Korean central government over the last two decades. These reforms can be identified collectively as "New Public Management" which is an imported concept from western countries by many Korean scholars and practioners who tend to extol western theories. Reforms based on marketization, distinction, and incentive systems which are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NPM resulted in serious negative effects on the Korean bureaucracy. These kinds of reforms are erroneous in understanding correctly the true problems of the bureaucracy, which led to a wrong prescription. This paper proposes the new direction of reforms by elaborating a Korean model of bureaucracy(the "K model") to cure these errors and dysfunction of the bureaucracy.

      • KCI등재후보

        정책과 문화예술의 관계: 코로나19 이후의 변화를 중심으로

        임도빈 ( Tobin Im ) 상명대학교 글로벌문화예술교육연구소 2021 문화예술융합연구 Vol.2 No.1

        코로나19는 우리에게 ‘비대면’이라는 새로운 삶의 방식을 요구하고 있고, 그로 인해 가장 커다란 변화를 맞이하게 된 분야 중 하나가 문화예술 분야다. ‘대면’과 ‘접촉’을 온전히 제외하기 어렵다는 점을 고유한 특성으로 가진 문화예술 분야에 위기를 노정하고 있다. 본 글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해 국가정책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시간적 측면에서 조명하고, 문화예술계는 코로나19로 인해 어떠한 위기상황에 직면했는지를 검토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이후에 펼쳐질 근미래에 문화예술계와 정책이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지를 제언한다. 구체적으로, 문화예술의 기능을 재구조화, 플랫폼을 활용한 문화예술 콘텐츠의 공유, 문화예술활동에 대한 일반대중의 참여 및 연결성 강화, 교육과의 연계, 그리고 문화예술활동의 사회적 가치 입증의 필요성 등 5가지 측면을 중심으로 논의한다. COVID-19 is demanding a new “contactless” lifestyle. As a result, the Arts and Culture sector is experiencing colossal changes due to its sectoral characteristics that intrinsically require certain levels of human contact. Focusing on the temporal dimension, this paper sheds light on how culture and art-related policies on a national level changed after the pandemic, and examines the ongoing crisis that the sector is facing. Based on the analysis, this paper makes suggestions on how policies related to the Arts and Culture sector should change in the post COVID-19 era. Specifically, future policies must attempt to restructure the functions of arts and culture, share cultural and artistic contents through online platforms, encourage participation of the general public, strengt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public and arts and cultural activities, link arts and culture with education, and emphasize the necessity of highlighting the social value of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