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르주 바타유의 비정형 개념을 통한 물의 디지털이미지 정형화 연구

        염동철 ( Dong Cheol Yoem ),오태원 ( Tae Won Oh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조르주 바타유의 ‘비정형’ 개념을 디지털이미지에 도입해 물이라는 소재가 정형화될 수 있는지 그 가능성과 작품사례를 통해 분석해 본 연구이다. 논리적 근거를 제시하기 이전에 바타유 사상의 기저가 되는 유물론과 거기에서 연결되는 비정형의 작동기제 중 ‘저급유물론’과 ‘엔트로피’의 속성을 바타유의 비정형 개념으로 타진해 보았다. 바타유의 비정형 개념은 부아와 크라우스의 「비정형: 사용자 안내서」에 수록된 내용과 크라우스의 해석, 그리고 바타유의 철학적 사유와 함께 분석해 보았으며, 바타유에 의하면 비정형이란 현실을 추상적 개념들에 따라 재조직하고 작은 의미의 단위들로 분해하는 범주들과 형태적 경계들을 파기해버리는 것이며, ‘의미 없는 비개념’이 곧 비정형이다. 따라서 비정형은 스스로는 아무 의미도 갖지 않으면서 기존하는 형태들이 지닌 의미들, 형식적 범주들의 작동을 와해시키는 ``임무``만을 가진 개념이다. 그러한 분석으로 비정형 개념은 디지털이미지와 자연스럽게 연결되고 구동될 수 있는 개념이다. 이러한 비정형의 물은 정형의 대상이 아니므로 디지털매체를 통해 정형화될 수 있는 소지를 내포하고 있는 소재이며, 디지털이미지작업을 통해 독창적인 형태를 구현할 수 있다. 그 예로 작품분석을 통해 각각 획득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위해 일련의 설정된 환경과 정형화된 도구들을 수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으며, 오태원의 미리 계획된 실험을 통해 투명한 수조와 LED조명이라는 정형화된 도구 사용이 물의 디지털이미지 형태를 훨씬 선명하게 하며 물 이미지를 더욱 부각 시킬 수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가 기존의 디지털 아트 작업을 통한 이미지는 유동적, 가변적, 비정형적일 것이라는 관념을 깨고 오히려 비정형의 매체를 통해서 비정형의 소재가 정형화된 형태를 구축할 수 있다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A Study on Digital Image Formalism of Water Through the Formless Concept of Georges Bataill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formless`` concept of Georges Bataille to digital images and formalizing water as a material, based on the cases of related works. Prior to presenting a logical basis, materialism, which is a base of Bataille thoughts, and the properties of ``base materialism`` and ``entropy`` out of the formless mechanisms connected with materialism were considered as formless concepts. Bataille``s formless concept was analyzed along with the concepts included in the 「Formless: A User’s Guide」 written by Bois and Krauss, Krauss``s interpretation and Bataille``s philosophic thoughts. According to Bataille, ``formless`` is to re-organize the reality depending on abstract concepts and to destroy the categories and morphological boundaries subdivided into small semantic units, and ``meanless non-concept`` is exactly formless. Thus, formless does not have any meaning itself and its concept only performs the ``duty`` to collapse the meanings of the existing forms and the operation of formal categories. Based on that analysis, the formless concept can be naturally interlinked with digital images and operated. In other words. This formless water is not subject to formalism and thus this contains the possibility of being formalized through digital media and can create its own unique form through digital imaging. As an example, it was found that for images to obtain, individual works accepted a series of set environments and standardized tools, and Oh, Tae-won``s previously planned experiment showed that using the standardized tools like transparent water tank and LED lighting could make the digital image of water much clearer, or emphasize the image of water more. In conclusion, this study breaks the idea that digital art images would be fluid, variable and formless and presents a new paradigm that formless materials can create formalized forms through formless media.

      • KCI등재

        니꼴라 부리오의 관계미학 관점에서 본 현대예술의 상호작용성

        오태원(OH, Tae Wo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8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3 No.-

        최근 현대예술은 예술과 공학의 기술이 만나 이루어 낸 첨단 미디어와 기술에 의한 작품들이 많이 등장하고 있으며, 우리는 그러한 작품들에 적지 않은 호기심과 함께 주목하게 된다. 본 연구는 현대예술에서 인터미디어아트의 장르에 속하는 작품사례들을 중심으로 니꼴라 부리오의 ‘관계미학’의 관점에서 상호작용적 예술에 대해 고찰해 본 연구이다. ‘관계미학’의 관점에 대한 정의는 니꼴라 부리오 (Nicolas Bourriaud) 의 저서 ‘관계미학’, 「Esthetique relationnelle, 1998」의 내용을 기반으로 하였다. 현대예술의 사용 매체들이 변화하는 과정에서 인터미디어아트에서도 매우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는 점은 상호작용과 소통일 것이다. 이들의 공통점은 관람자 (사용자)와 작품과의 양방향 소통이다. 이를 연결시켜 주는 도구와 기능 또한 매우 중요한 관계적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현대예술의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가 ‘관계적 예술’이라 칭할 수 있다. 관계적 예술에 대해 부리오의 이론을 바탕으로 기술하였으며, 그러한 예로 부리오가 ‘관계미학’에서 손꼽는 ‘관계미학’의 패러다임을 제시한 대표적인 작가들의 작품들을 살펴보았고, 상호작용성의 예로 ‘관계미학’의 소통을 주제로 한 작품사례들을 2011년 국립현대미술관(덕수궁미술관 분관)에서 소개되었던 작가들의 작품과 최근 미디어예술 작품사례 등을 차례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작가와 작품, 관객의 상호작용적인 관계를 요구하는 인터미디어아트는 관계적 예술의 범주로 볼 수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관계미학’의 특징과도 매우 밀접한 연관을 지님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인터미디어아트의 상호작용성 또한 ‘관계미학’의 정의로 포괄될 수 있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향후 ‘관계미학’의 관점으로 다양한 장르의 예술의 특성 등을 분석할 수 있는 기초가 되길 기대한다. Contemporary art has recently seen a surge of works that combine high-tech media and technology, where art meets engineering. Such works of art have drawn quite a lot of curiosity and interest from the public. This study is the study of interactive art from the perspective of ‘relational aesthetics’ (esthétique relationnelle) by Nicola Bourriaud, focusing on works of art belonging to genre of intermedia art in contemporary art. The definition of relational aesthetic used in this study was based on that given by Nicolas Bourriaud in his book 「Esthetique relationnelle, 1998」.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will be very important in intermedia art in the changing medium of use of contemporary art. The common thread is the interaction that occurs between the work and the viewer (user). Tools that connect the two parties, too, take on a very important relational status. From this perspective, one of the most distinct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art can be referred to as ‘relational art’. I have described the relational arts based on Bourriaud’s theory. I have looked at the works of representative artists who have presented the paradigm of Relational Aesthetics, which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relational aesthetics’ by Bourriaud. For example, In 2011, the works of the artists that were introduced at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Deoksugung Art Museum) and recent media art works. Through analysis of these works, Inter media art, which requires interaction between artists, works and audiences, can be seen as a category of relational art, and has a close relatio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relationship aesthetics. Therefore, This study have concluded that the interactivity of intermedia art can be included by the definition of ‘relational aesthetics’. As a follow-up study, characteristics of various genres of art will b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relational aesthetic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차 과학기술 융합의 시대에 법정책학의 역할과 방향

        강태우 ( Kang Tae-woo ),허동혁 ( Heo Dong-hyuk ),오태원 ( Oh Tai-won ) 한남대학교 과학기술법연구원 2024 과학기술법연구 Vol.30 No.1

        근대 사회가 발전하면서 제도적 기반으로 법과 실행의 기반으로 정책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였다. 이런 과정에서 법과 정책은 별개의 영역으로 독자적인 기능이 있다고 인식하였다. 법은 사회 발전과 안정성 확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강제력을 가진 규범으로, 정책은 이러한 법의 목표와 이념을 달성하기 위한 행정력을 기반으로 한 수단으로 인식되었다. 농경사회를 거쳐서 근대 산업사회에 이르기까지 사회분업이 명확하였고, 사회 구조가 비교적 단순하여 이런 법과 정책의 분리와 개별 활동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21세기 현재 우리 사회는 첨단과학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사회 구조가 매우 복잡해지고 있으며, 20세기 기준으로 구분이 가능하였던 영역이 상호 혼합되며 새로운 영역을 만들어 내고 있다. 이런 환경 변화에 따라서 법과 정책도 이분법적 사고에서 하나의 개념으로 인식되기 시작하였으며, 법과 정책이 순환 작용으로 사회 기제의 한 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법과 정책의 새로운 인식에 따라 이를 ‘법정책학’이라고 한다. 과거 입법론을 중심으로 발전되어 온 법정책학은 법의 목적을 구현하고 이를 우리 사회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정책과의 상관관계를 과학적으로 탐구하는 분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는 법률 제정하고 시행함에 있어 정책적 요소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으며, 또한 정책집행의 근거가 되는 법 제정의 올바른 방향 설정과 입법에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법정책학이 주목받는 이유는 과학기술 변화로 인한 급속한 사회 변화에 선제적이고 능동적으로 대응함을 요구받고 있기 때문이다. 기후변화, 자연재해 등 이제까지 겪어보지 못한 새로운 위협에 대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파생되는 새로운 문제를 막기 위해서는 법과 정책을 통해서 강하게 대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인공지능과 신경과학의 융합 등 과학기술이 이종 기술 간 융합으로 새로운 학제 간 연구가 대두됨에 따라 이런 과학기술이 올바르게 촉진하고 사용될 수 있도록 법정책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런 과학기술의 변화는 다시 법정책에 영향을 미쳐 우리사회가 보다 올바른 방향으로 발전할 수 있는 근간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As modern society has progressed, policies have played a crucial role as the foundation of laws and enforcement based on institutional frameworks. In this process, laws and policies have been recognized as distinct realms with independent functions. Laws are norms with coercive power aimed at achieving societal development and stability, while policies are perceived as means based on administrative power to achieve these goals and the ideals of laws. From agrarian societies to modern industrial societies, the social division of labor has been clear, and societal structures have been relatively simple, allowing for the separation and individual activities of laws and policies. However, in the current 21st century, our society is becoming increasingly complex due to the rapid advancement of cutting-edge science and technology. Areas that were distinguishable by 20th-century standards are now intermixed, creating new domains. In response to these environmental changes, there has been a shift in perceiving laws and policies from a dichotomous perspective to a unified concept, where laws and policies are entrenched as elements of societal governance through cyclical interactions. This new understanding of laws and policies is referred to as 'legal-policy stuies'. Evolving from a focus on legislative theory, legal-policy studies have established itself as a field that scientifically explor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objectives of laws and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policies in our society. This is because policy-making cannot disregard the policy-oriented aspects in enacting and implementing laws and also influences the proper direction setting of legislative activities. The recent attention towards legal-policy studies is due to the demand for proactive and adaptive responses to rapid societal changes caused by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transformations. To address new threats such as climate change and natural disasters, as well as to prevent emerging issues, there is a strong need to confront them through laws and policies. Moreover, as interdisciplinary research emerges from the convergence of diverse technologies like artificial intelligence and neuroscience, legal-policy stuies must support the proper promotion and utilization of these technologies. Furthermore, these changes in science and technology will, in turn, influence legal-policy stuies, providing a foundation for our society to evolve in a more righteous dir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