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폴란드 전통 의상 콘투쉬(kontusz)와 장신구 연구

        최성은(Choi, Sung-Eun)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3 동유럽발칸학 Vol.5 No.-

        17 , 18세기 폴란드의 관복으로 널리 알려진 전통적인 민족의상, 콘투쉬(kontusz)는 가깝게는 터키ㆍ페르시아ㆍ인도, 멀게는 중국의 영향을 받아 탄생했다. ‘콘투쉬’라는 어원은 헝가리어인 쾬퇴쉬 (kontös) ’에서 비롯된 것으로 ‘주판’ (zupan) 이라는 긴 가운 위에 덧입는 남성용 상의를 말한다. 콘투쉬는 일상복이 아니라 특별한 예식이나 잔치가 있을 때 착용하는 귀족들의 예복, 또는 관복이었다. 폴란드는 그 지정학적 위치로 인해 주변국의 끊임없는 침략과 간섭을 받으면서도, 외래 복식과 민족 복식이라는 이중 구조 속에서 나름대로의 독자적인 복식 형태를 지녀 왔다 동양과 서양의 다채로운 문화적 요소에다 고유의 전통적 감각을 결합시켜 독특한 폴란드적 정체성을 창출t~는데 성공했던 것이다 터키, 페르시아, 인도, 중국 등 ‘동양’의 민속 의상이 ’서양’에 속하는 폴란드의 전통과 역사에 절묘하게 융합되어, 하나의 문화적 징후로 확고하게 뿌리내리게 된 중요한단서가 바로 폴란드의 전통 의상 ‘콘투쉬’였던 것이다. 콘투쉬는 아시아 문화로부터 영감을 받아 탄생했지만. 200 여 년간의 토착화시기를 거치면서 폴란드 민족을 대표하는 전통 의상으로 자리 잡았다‘ 이후 폴란드가 러시아,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3국에 의해 분할 점령을 당하게 되면서, 슬라브와 서유럽의 침략에 맞서 민족의 자주성과 민족혼을 표현하는 상징적인 의미로 널리 인식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콘투쉬의 재료, 디자인, 색감, 문양, 장신구 등에 나타난 다양한 동양 모티브들을 살펴보고, 조선 시대 관복과의 유사점을 고찰해 보았다. 그 궁극적인 목적은 기독교와 이슬람의 충돌이 심각한 문제로 부상하고 있는 현실에서 동 서양의 의복이 공유하고 있는 보편적인 미적 감각을 강조함으로써 . 21세기 인류 문화의 화합적인 실마리를 찾을 수 있는 범세계적인 요소들에 대해서 진지하게 생각해보기 위한 것이다. 다분히 동양적인 정서를 대변하고 있는 콘투쉬가 폴란드 문화로 토착화된 사례는 동양과 서양이 미적 감각이나 취향에 있어 일맥상통하는 보편적인 요소를 공유하고 있음을 입증하는 하나의 단서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Kontusz was the traditional dress of Poland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which had been influenced by Turkey. Persia, India and remote China , The origin of the word ''kontusz'' comes from the Hungarian word. Kontos". which refers to men’s overcoats worn over long gowns. Kontusz was not everyday clothing but. instead. fancy dress garments worn by the nobility at balls and parties Due to its geographical location. Poland was continuouslY invaded and interfered with by surrounding countries. Despite this. it has succeeded in creating and keeping its own unique clothing style in a dual structure by combining the Polish traditional sense and diverse culture with foreign elements from the East and West. Oriental folk clothes from Turkey. Persia. India and China were exquisitely assimilated with Polish tradition along with Western history to firmly plant its roots as a cultural symbol in Poland today. Much important evidence of this assimilation can be discovered from a close examination of the Polish kontusz traditional clothing. Although kontusz was originally inspired by Asian culture. after 200 years of assimilation. it has become a traditional “national clothing exclusively representing Poland. After Poland was partitioned by the three nations of Russia. Prussia and Austria. the spirit of kontusz fought against these foreign nations. Because of this , kontusz eventuallY became widely recognized as an important Polish symbol of national independence. In this paper, various oriental motifs which appear on the material dealing with design , color, pattern and accessories of the kontusz are investigated. In the shadow of the current conflict between Christianity and Islam. the ultimate goal of this paper is to think seriously about reaching world peace in the 21st century by emphasizing the aesthetic sense that commonly exists in both Western and Eastern clothing. The assimilation of kontusz into Polish culture can be studied for important clues which may prove that there is a common thread running through the East and West involving the senses of beauty and good taste.

      • 알칼리 활성 슬래그 콘크리트를 사용한 RC 보의 전단거동

        최성,이광명,유성원,Choi, Sung,Lee, Kwang-Myong,Yoo, Sung-Won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2015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논문집 Vol.3 No.1

        현재까지 알칼리 활성화제를 사용한 무시멘트 콘크리트의 연구는 슬럼프, 강도 및 내구성 등 기본적인 재료성질에 대해서 주로 수행되어져 왔다. 그러나 알칼리 활성화제를 사용한 무시멘트 콘크리트의 구조부재에의 적용을 위해서는 탄성계수, 응력-변형률 관계 및 구조 부재 거동 등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50MPa급 알칼리 활성 슬래그 콘크리트를 사용한 철근콘크리트 보시험체 6개를 제작한 후, 전단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과 해석에 의해 얻은 공칭전단강도는 전단철근이 배치되어 있는 시험체에서는 최대 18% 정도의 차이를 보이나, 전단철근이 없는 시험체에서는 최대 31% 정도의 차이를 보였으며 또한 알칼리 활성 슬래그 콘크리트의 설계전단강도에 비하여 전단강도 실험값이 22~57% 정도 크게 나타나 전단설계식이 상당히 안전측임을 알 수 있다. Several researches on cement zero concrete using alkali-activators have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its fundamental material properties such as slump, strength and durability, however, research on the structural behavior of relevant members involving the elastic modulus, stress-strain relationship is essential for the application of this cement zero concrete to structural members. In this paper the shear behavior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using 50 MPa-alkali activated slag concrete was experimentally evaluated. To achieve such a goal, six reinforced concrete beam specimens were fabricated and their shear behaviors were observed. The maximum difference between test results and analysis results in crack shear stress for beam specimens without stirrups is 31%, while that for beam specimens with stirrup is 15%. Furthermore, it is also found that the shear strength of alkali activated slag concrete is by 22~57% greater than the nominal shear strength calculated by design code, implying that shear design equations would provide conservative results on the safety side.

      • KCI등재

        발레 무용수의 족저압에 따른 2nd Position 동작과 2nd Position Releve 동작의 비교분석 연구

        최성이(Sung Yi Choi) 한국무용과학회 2001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 No.-

        본 연구는 발레 무용수의 동작시 발가락에 가해지는 족저압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가장 기본적인 자세인 2nd Position 동작과 2nd Position Releve 동작에 따른 발가락 압력을 측정한 후, 이를 오른발가락과 왼발가락의 증족골부위와 지골부위로 구분하여 힘, 압력, 접지면적을 비교분석 함으로서 발레 무용수의 발가락에 가해지는 상해를 예방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피검자는 발레(Ballet)를 전공하는 S대 재학생 및 졸업생 22명으로, 경력은 3년에서 15년이었고, 연령은 22.5세, 신장은 161.5cm, 체중은 49.7kg이었다. 실험도구는 발바닥 압력 측정 시스템(EMED-SF Measurement System, Novel GMBH, 독일)을 사용했으며, 각 피검자의 동적인 상태에서의 오른발과 왼발에 가해지는 힘과 압력, 접지면적 등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자료를 Novel-win 08.7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고 이를 오른발가락과 왼발가락의 힘, 압력, 접지면적의 통계처리를 위하여 중족골과 지골 두 부위로 구분하여 SPSSPC+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 2nd Position 동작에 따른 오른발가락의 힘에 있어서 중족골의 평균은 5.70N이고, 지골의 평균은 1.85N이었고, 2nd Position Releve 동작에 따른 오른발가락의 힘에 있어서 증족골의 평균은 9.46N이고, 지골의 평균은 3.53N이었다. 또한 오른발가락의 중족골과 지골의 힘은 두 동작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2nd Position 동작에 따른 왼발가락의 힘에 있어서 종족골의 평균은 5.89N이고, 지골의 평균은 1.77N이었고, 2nd Position Releve 동작에 따른 왼발가락의 힘에 있어서 중족골의 평균은 10.29N이고, 지골의 평균은 3.10N이었다. 또한 왼발가락의 중족골과 지골의 힘은 두 동작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2nd Position동작에 따른 오른발가락의 압력에 있어서 종족골의 평균은 7.62N이고, 지골의 평균은 7.10N이었고, 2nd Position Releve 동작에 따른 오른발가락의 압력에 있어서 중족골의 평균은 18.38N이고, 지골의 평균은 14.32N이었다. 또한 오른발가락의 중족골과 지골의 압력은 두 동작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2nd Position 동작에 따른 왼발가락의 압력에 있어서 종족골의 평균은 6.58N이고, 지골의 평균은 6.62N이었고, 2nd Position Releve 동작에 따른 왼발가락의 압력에 있어서 중족골의 평균은 18.50N이고, 지골의 평균은 14.19N이었다. 또한 왼발가락의 중족골과 지골의 압력은 두 동작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2nd Position 동작에 따른 오른발가락의 접지면적에 있어서 종족골의 평균은 7.07N이고, 지골의 평균은 2.32N이었고, 2nd Position Releve 동작에 따른 오른발가락의 접지면적에 있어서 중족골의 평균은 4.12N이고, 지골의 평균은 2.90N이었다. 또한 오른발가락의 중족골과 지골의 접지면적은 두 동작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6) 2nd Position 동작에 따른 왼발가락의 접지면적에 있어서 종족골의 평균은 6.50N이고, 지골의 평균은 2.24N이었고, 2nd Position Releve 동작에 따른 왼발가락의 접지면적에 있어서 중족골의 평균은 4.13N이고, 지골의 평균은 2.74N이었다. 또한 왼발가락의 중족골과 지골의 접지면적은 두 동작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To identify the changes of ankle pressure affecting on phalanges in ballerina's movement, this study investigated differences in force, pressure and the osculating area of middle and distal phalanges between 2nd Position movement and 2nd Position Releve movement.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consisted of 22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ballet(Age M=22.5; Height M=161.5cm; Weight M=49.7kg). To measure the subject's force, pressure and osculating area, EMED-SF Measurement System(Novel GMBH, Germany) was used in this study. The obtain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Novel-win 08.7 and SPSSPC+ 8.0. Results revealed that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force of middle and distal phalanges of both feet between 2nd Position movement and 2nd Position Releve movement, In addition the study argu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ssure of middle and distal phalanges of both feet between 2nd Position movement and 2nd Position Releve movement. Further, the results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sculating area of middle and distal phalanges of both feed between 2nd Position movement and 2nd Position Releve movement.

      • 폴란드 상장례에 나타난 기독교와 민간 신앙의 영향 고찰

        최성은(Choi, Sung-Eun)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4 동유럽발칸학 Vol.6 No.-

        원시 시대부터 인류는 죽음에 상당한 의미를 부여했으며, 누군가 죽으면 반드시 공동체 구성원들이 함께 모여 죽은 자를 저 세상으로 보내는 경건하고 정성스런 의식을 치렀다. 상장례 풍속은 사자(死者)에 대한 공경과 두려움이 어우러져 시공을 초월하여 각 민족의 대표적인 전통 문화로 자리 매김하였고, 끈질긴 전숭력을 특정으로 하는 생활 관습이 되었다. 고대 슬라브인들은 영원 회귀에 대한 믿음을 바탕으로 ‘죽음’을 종말이 아니라 영속적이고 원초적인 세상으로 다시 돌아가는‘전환’의 단계로 인식 하였으며,'죽음’을 통해 시간의 순환적인 갱신을 이룰 수 있다고 믿었다. 따라서 적절하고 합당한 장례 의식을 거행하게 되면, 재생의 과정을 거쳐 영속적인 세계로의 이입이 가능하다고 굳게 믿었다. 이 시기에는 육체에서 분리된 영혼을 신봉하였기에 육신의 부활이나 시신의 중요성은 그다지 강조되지 않았다 . 따라서 장묘 방법에 있어서도 매장과 화장이 병행되었다. 966년 기독교의 수용과 함께 국가를 수립한 폴란드는 가툴릭의 예식과 관습을 근간으로 삼아 고유의 상장례 전통을 만들어가게 되었다. 예수의 부활과 최후의 심판을 강조하는 기독교의 교리에 따라 육신을 신성시하게 되면서 폴란드에서 화장은 점차 자취를 감추었고, 매장이 보편적인 장묘 방법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오늘날 폴란드의 상장례 의식은 임종을 준비하는 절차에서부터 시신 수습과 입관 예절, 장례식과 매장에 이르기까지 가톨릭의 의식에 따라 치러지고 있지만, 그 속에는 고대 슬라브의 원시 종교에서 비롯된 민속적인 요소와 민간 신앙에 따른 장묘 관습이 절묘하게 융화되어 있다. 망자에 대한 경의와 두려움에서 비롯된 다양한 주술적인 의례들과 정화 예식들, 죽음과 영혼을 소재로 한 갖가지 민담이나 설화들, 장례 풍속과 관련한 여러 가지 금기와 미신들이 그 예라고 할 수 있다. From ancient times, members of a community have got together to hold solemn funeral ceremonies for the passing of their loved ones. Funeral customs, which represent respect for the dead and the fear of death, have become an important tradition in every region and age. Indeed, funerals have the longest history among all human customs. Ancient Slavic people regarded 'death' not as an 'end' but as a 'transition' to the eternal world. Therefore, they believed that an appropriate funeral would prompt the dead person's smooth transition to the eternal world. Because they only believed in the soul that is separated from the body, they did not put emphasis on the resurrection of the dead body. That is why they allowed both cremation and burial. Since the old Polish dynasty accepted Christianity and laid the foundations of Polish statehood in 966, Catholic funeral and mourning rituals had become the basis of Polish funeral traditions. As a result, burial became the main method of disposing of bodies in Polish society as the Christian doctrine, which puts much emphasis on the Resurrection and Judgment Day, sanctified dead bodies and rejected cremation. While today's Polish funeral rites, from the preparation of death to placing a dead body in a coffin and to burial, are based on Catholic doctrines, many ancient Slavic elements and customs are included in funeral rituals in Poland. Typical examples are various incantations and purification rites, folktales and stories about death and spirits, taboos and superstitions about funeral customs.

      • 시인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작품세계 연구

        최성은(Choi, Sung-eun)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3 동유럽발칸학 Vol.5 No.2

        Karol Wojtyla, Polish, wanted to be a poet in his youth. He studied polish literature in Jagiellonian University. After that he went on the platform formally and published two collections of poems and several pieces of plays. In 1978, he was appointed as the Pope for the first time as a Slavs and after 465 years Hollander St. Hadrianus Ⅵ, non-Italian Pope, was appointed. After that, Pope John Paul Ⅱ put much effort into publishing encyclical. message, conversation, aphorism, preaching statement, meditation and etc. Giving up the his desperate dream of being a poet as a youth, he approached to the readers as the Pope not the writer. When counting the writings he has completed after being appointed as the Pope, the amount of it comes up to about 150 volumes of books. He, now, has published his first collection of poems, 『Roman Triptych 』, for the first time in 25 years. This collection of poems, simultaneously published in Italy and Poland, recorded sales over 300,000 copies in Poland alone and is being the talk of the world. Of course, poems and plays we previously wrote has been translated and published into various languages but this is the first time for him to publish the collection of poems with new poems after he was appointed as the Pope. In that this is the first poem he wrote as the Pope John Paul Ⅱ, it is getting huge interest and attention all around the world. In this research, I will sincerely look over the studies in work of poet Karol Wojtyła who has not been evaluated roperly just because he was the Pope, giving emphasis on the piece of work titled 『Roman Triptych』. 『Roman Triptych』 contains three poems by Pope John Paul II, the first ones written and published during his pontificate. The Holy Father chooses three stunningly powerful images from nature, art, and Scripture as the framework for this 『Roman Triptych』, a mountain stream, the Sistine Chapel, and the story of Abraham and Isaac. Throughout the trio of poems, he reflects on God as the origin and end point of human life and all creation. He also ponders the beginning and end of his own reign as pope. 문학도를 꿈꾸며 명문 야기엘론스키 대학교 폴란드어문학부를 졸업했고 정식으로 등단하여 두 권의 시집까지 출판했던 카롤 보이티와(Karol Wojtyła)는1978년이탈리아출신이아닌교황으로는네덜란드하드리아노 6세이후456년만에처음으로, 그리고슬라브인으로서는최초로교황의자리에올랐다. 이후교황요한 바오로2세는회칙과메시지, 담화문, 잠언, 설교문, 명상록 등의 집필과 출간에 힘써 왔다. 젊은 시절 그토록 염원했던 시인의 꿈은 고이 접어두고, 성직자로서의 본연의 임무에 충실하기 위해 작가카롤보이티와가아니라교황으로서독자들에게다가갔던것이다. 교황이 된이후 집필한 글을 책으로 따져보면 그 분량이 약 150권에 달한다고 한다. 그런 그가 25년 만에 첫 시집 『로마에서 온 세 폭의 성화』를 냈다. 물론 기존에 발표했던 시와 희곡들이 여러 언어로 번역・출판된 적은 있으나 새롭게시를 써서 작품집을 출간한 것은 교황이 된후처음 있는일이다. 교황요한 바오로 2세로서 집필한 최초의 시라는 점에서 이 작품은 전 세계의 뜨거운관심과주목을받고있다. 본논문은최근작『로마에서온세폭의성화』를 중심으로 그 동안 ‘교황’이라는 이유로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던 시인 카롤 보이티와의 작품 세계에 대해서 진지하게 고찰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예지 안제예프스키의 『천국의 문』연구 (1)

        최성은(Choi, Sung Eun)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03 동유럽발칸연구 Vol.12 No.1

        예지 안제예프스키(Jerzy Andrzejewski: 1909-1983)는 전후 폴란드 문학을 대표하는 소설가이다. 1960년에 발표된 소설 『천국의 문』은 한 때 사회주의 이데올로기를 적극적으로 지지했던 작가가 급변 하는 현대사의 질곡 속에서 좌절과 혼란을 거듭하다가 결국 체제 비판적인 방향으로 그 행보를 확고하 게 전환한 후에 집필했던 대표적인 작품이다. 비록 사회주의 정부의 엄격한 검열로 인해 과격한 현실비 판이나 강력한 저항의식이 드러나 있지는 않지만, 그 내부에는 인간의 도덕성을 마비시키는 이데올로기 에 대한 단호한 비판 의지를 발견할 수 있다. 세계 제 2차 대전, 나치에 의한 아우슈비츠 수용소의 유태인 대학살, 바르샤바 무장봉기, 사회주의 체 제로의 전환 등 역사적 격동기를 생생하게 체험했던 안제예프스키에게 있어 화려하게 포장된 이데올로 기는 그 이면에 감춰진 인간의 추악한 욕망을 충족시키기 위한 수단이자 지배자의 권력을 유지시키는 도구에 불과할 따름이다. 지극히 개인적이고 세속적인 욕망으로 절망하고 괴로워하는 ‘자아의 갈등’은 공동체가 추구하는 이상과 개인이 직면한 현실 사이에 가로놓인 괴리감으로 인해 ‘세계와의 갈등’을 양 산하게 된다. 결국 ‘개체’로써의 자아의 고유한 인성은 ‘체제’라는 거대한 질서 앞에서 무참하게 희생되고 마는 것이 작금의 현실인 것이다. 따라서 작가가 궁극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있는 문제는 이데올로기 자 체가 아니라 세속적인 욕망을 끊임없이 야기시키는 개인의 잠재적인 본성에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안제예프스키는 『천국의 문』에서 이데올로기의 노예로 전락하면서도 스스로 끊임없이 이데올로기를 필요로 하는 인간의 나약한 본성을 꿰뚫고 있다. 21세기를 살고 있는 오늘의 독자들이 1960년에 쓰여진 이 작품을 매개체로 하여, 중세 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는 ‘소년 십자군’의 모습에 자신이 속한 사회와 공간을 비추어 볼 수 있는 것은 바로 인류의 역사 속에서 반복되고 있는 고질적인 권력구조의 모순과 병폐적인 이데올로기의 맹목성 때문인 것이다. Jerzy Andrzejewski (1909-1983) is a typical novelist of the postwar Polish Literature. The『Gate of Heaven』was released in 1960 after writer, once supported the socialism ideology ardently, has converted his ideology to system Critique after getting severely skeptical about the restrain and contradiction of socialism. The radical critique of reality and stubborn resistance were not written on the book due to the strict censor of the socialism government. Although a will to criticize decisively about ideology paralyzing the human morality could be found in it. Andrzejewski is famous for reflecting his experiences in life such as the World War II and German's forcible occupation, the Jews massacre in Auschwitz proceeded by Nazis, transition to socialism directly after the war and so on to his literature work. For him, gorgeously wrapped ideology was just means to satisfy humans' abominable desires hidden on the other sides and also just an implement to maintain dominator's authority as well. 'Conflict of ego' despaired and suffered by personal and earthbound desires collide against an ideal pursued by the community and produces 'Conflict against the world'. Eventually, it is the reality that a peculiar humanism of an ego as an 'individual' is sacrificed ruthlessly for the huge order named 'Structure' Therefore, the ultimate issue that author concerns is not about the ideology itself but the original nature of individual's latent bringing earthbound desires constantly. In the 『Gate of Heaven』, Andrzejewski criticized on the feeble nature of human beings in which requires ideology ceaselessly for him even though he become as a slave of ideology. The reason that Korean readers living in 21st century can not help reminding the reality they belong to while reading the 『Gate of Heaven』, takes the middle age as a background, is due to the contradiction of chronic social structure and blindness of vicious ideology which repeats through the human history.

      • KCI등재

        『로스역』 신약 성서의 특징과 저본에 관한 소고

        최성일(Sung-il Choi)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10 Canon&Culture Vol.4 No.2

        『로스역』 신약 성서(1887년)는 1906년 『셩경젼셔』 신약 성서가 출판되기 전까지 한국 개신교의 형성에 큰 영향을 끼쳤던 유일한 성서였다. 『로스역』 중 누가복음은 제일 처음 1882년에 출판되었으며, 다음해에 약간 개정되어 재판되었으며, 또 다른 개정 작업을 거쳐 『로스역』에 합본되었다. 그러나 『로스역』이 가지고 있던 문제점 때문에, 한국의 선교사들은 『로스역』 신약 성서가 완간되던 해인 1887년에 새로운 성서의 번역을 결정한다. 새로운 번역에 착수하기 전 그들은 『로스역』의 유용성을 시험하기 위해 『로스역』의 누가복음과 로마서를 개정해서 1890년에 출판했다. 그러므로 누가복음은 『로스역』의 번역과 개정 작업을 조사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자료이다. 그런데 선교사들은 『로스역』의 평안도 방언, 어려운 한자어, 애매모호한 표현이나 오역 때문에 사용할 가치가 없으며 개정 작업도 시간 낭비라는 판단에 따라 새로운 성서 번역에 착수했다. 그러나 『로스역』의 결함이 『로스역』 폐기의 진정한 이유는 아니었다. 그것은 한국에서 사업의 주도권을 선점하려는 성서공회들 사이의 정치적인 결정에 의한 것이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그것은 『로스역』의 저본이 『흠정역』이 아니라 『개정역』이었다는 이유때문이었다. 로스는 초기 번역에서 주로 『대표자역 문리 성서??와 『흠정역』 헬라어 성서를 저본으로 사용했다. 그러나 1881년에 『개정역』 신약성서가 출판되자마자, 로스는 그것들을 번역과 개정의 저본으로 사용했다. 그 당시에 한국의 보수적인 선교사들은 『개정역』 신약 성서를 수용할 수 없었으므로, 『로스역』도 받아들일 수 없었을 것이다. Ross’ Version of the New Testament was the only Scripture which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of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prior to the publication of The Complete Bible in Korean 1906. The first book of Ross’ Version to be published was St. Luke: first published in 1882, it was revised slightly the following year and underwent another revision to be republished with other Scriptures in 1887. Due to some problems of this Version, however, missionaries in Korea decided to translate a completely new version of the Bible in 1887, the same year Ross’ Version was completed. Before starting anew, a revision of the Ross’ Version was done first in order to test its usefulness which resulted in a revised publication of St. Luke and Romans in 1890. Therefore St. Luke is the most important source to survey process of translation and revision of Ross’ Version. After this elective revision, missionaries concluded that Ross’ Version had no useful value because of its provincial dialects, difficult chinese characters, and ambiguous renderings or mistranslation, and that its revision would waste their time and instead started a completely new translation of the Bible. However, the reason to abandon Ross’ Version was not because of its defects. It was a political decision made by bible societies that sought to gain the upper hand in bible work in Korea. Moreover, it was because the source texts of Ross’ Version were not the Authorized Version but the Revised Version. Ross used mainly the Delegates’ Wenli in Chinese and the Authorized Version of Greek(Textus Receptus) as the source texts in his initial translation. But as soon as the Revised Version of Greek and English was published in 1881, he used them as the main sources of his translation and revision. At that time, because conservative missionaries in Korea did not accept the Revised Version of Greek and English, neither could Ross’ version be adop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