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istribution of Aquaporins (Water Channels) in the Rat Salivary Glands

        정지연(Ji-Yeon Jung),한창룡(Chang-Ryoung Han),정연진(Yeon-Jin Jeong),오원만(Won-Mann Oh),김미원(Mi-Won Kim1),김선헌(Sun-Hun Kim),김옥준(Ok-Joon Kim),김현진(Huyn-Jin Kim),고정태(Jeong-Tae Koh),최홍란(Hong-Ran Choi),김원재(Won-Jae Kim) 대한해부학회 2002 Anatomy & Cell Biology Vol.35 No.3

        침샘은 하루 1.5 l의 침을 분비하며, 일반적으로 침샘에서 수분이동은 능동적 염분 이동에 따른 삼투현상에 의해 일어난다. 따라서 침샘에서 높은 수분투과성으로 인해 수분통로 단백인 aquaporin (AQP)들이 풍부하게 존재할 수 있다. 지금까지침샘에 4가지 형태의 AQP이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침샘에서 정확한 위치와 수분 이동에 대한 각 AQP들의 역할은 아직 확실치 않다. 본 연구는 300 g 정도의 흰쥐를 pentobarbital sodium (50 mg/kg, IP) 마취하에서 carbarchol (10 μg/kg)을 복강 내 투여한 후 AQP들의 역할과 분포를 면역조직화학방법으로 조사하였다. AQP1은 침샘의 미세혈관의 내피세포와 샘세포와 샘관 주위에 존재하는 근육상피세포에 존재하였다. AQP4는 침샘관의 마지막 부위인 배출관에 존재하였다. AQP5는 주로 장액세포의 바닥가쪽과 세포사이 분비소관을 포함한 세포꼭대기쪽막 에 존재하였으며 콜린성 분비 자극으로 세포꼭대기쪽막으로 이동되어 밀집되었다. AQP5는 모든 침샘의 사이관과 줄무늬 관에도 존재하였으며 점액세포는 약하게 존재하였다. AQP8은 AQP5처럼 장액세포의 바닥쪽막과 세포사이 분비소관을 포함한 세포꼭대기쪽막에 존재하였으며 콜린성 침분비 자극으로 세포꼭대기쪽막쪽으로 이동되어 밀집되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는 AQP5와 AQP8이 장액세포에서 일차 침 형성시 일어나는 수분이동의 주된 통로임을 시사하였다. The salivary glands produce 1.5 l of fluid per day. As in other organs, the general paradigm in the salivary glands is that water movement occurs secondary to osmotic driving forces created by active salt transport. Therefore, high water permeability in salivary glands is expected to need a variety of aquaporin (AQP), a water channel. Although four AQPs have been known to reside in salivary glands, the precise location and roles of AQPs have been not well examined. This study is aimed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AQPs in 3 major salivary glands and their changes after cholinergic stimulation using immunohistochemical study in Sprague Dawley rats weighing 300 g under pentobarbital sodium anesthesia. AQP1 was localized in the endothelial cells of all salivary capillary vessels and the myoepithelial cells. AQP4 was demonstrated in the epithelium of the excretory ductal cells of all salivary glands. AQP5 and 8 were abundantly present in the basolateral membrane and apical membranes of the serous acini including intercellular secretory canaliculi, whereas AQP5 was weakly present in mucous acini. In addition, AQP5 was found in the epithelium of the intercalated and striated ducts. Upon stimulation of carbachol (10 μg/kg, I.P). AQP5 and 8 tended to translocate from basolateral membrane to the apical membrane, appearing as clusters of do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QP5 and 8 are the candidate molecules responsible for the water movement in salivary acinar cells.

      • KCI등재

        인태아 측두하악관절의 발생에 관한 형태학적 연구

        김선헌(KIM Sun Hun),이은주(Lee Eun Joo) 대한체질인류학회 1992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5 No.2

        저자들은 좌고(태령 8주)에서 좌고(태령 30주)까지의 인 태아와 성인사체를 대상으로 측두하악관절의 발생과 이 소골과의 관계를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형태학적 결과를 얻었다. 태령 10주경에 하악과두와 관절원판의 원기가 처음 출현하였고 외측익돌근이 과두의 내측에 연결되어 있었으며 11주경에는 원기를 형성한 간엽세포를 밀집대는 과두연골로 분화하였다. 태령 13주경에 측 두골과 관절원판 사이에는 상관절강이 처음 형성되기 시작하였고 하관절강은 17주경에 관절원판과 과두연골 사이에 원판 후 조직으로부터 혈관이 침입되어 형성되었다. 태령 12주와 13주경에 원판추골인데(discomalleolar ligament)가 처음 출현하였으며 원판추골인대는 관절원판의 후 내면에서 추체고실렬을 통해 추골에 연결되어 있었다. 태령 16주경에 원판추골인대 및 주위조직은 관절원판후조직으로 대치되었으며 관절원판후조직에는 많은 신경과 혈관을 함유하고 있었다. 관절원판후조직은 태령 17주경까지 추골에 부착되어 있었으나 측 두골이 성장함에 따라 추골과의 연결부는 소실되었다. 성인 사체에서 관절원판후조직은 대부분 추체고실렬 주위의 측 두골에 부착되어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악관절의 운동과 이소골의 무관함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후보

        침샘에서 Nitric Oxide Synthase의 면역조직화학 연구

        김원재(Won-Jae Kim),윤영수(Young-Su Yun),김민석(Min-Seok Kim),김선헌(Sun-Hun Kim),최홍란(Hong-Ran Choi),오원만(Won-Man Oh),이은주(Eun-Joo Lee),안규윤(Kyu-Yun An),유선열(Sun-Yeol Yu) 대한해부학회 2000 Anatomy & Cell Biology Vol.33 No.4

        산화질소는 침샘에서 침분비 및 샘혈류 조절에 관여함이 알려져 있다. 한편 nitric oxide synthase (NOS)로서 지금까지 endothelial NOS (eNOS), neuronal NOS (nNOS), inducible NOS (iNOS) 등 세 가지 동위효소가 알려져 있으나 침샘에서 이들의 분포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다. 저자는 침샘에서 이들 NOS 동위효소들의 분포를 구명하기 위하여 흰쥐에서 면역조직 화학적 검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eNOS에 강한 양성 면역반응을 보인 부위는 혈관의 내피세포층이었으며, 침분비관들인 줄무늬관과 턱밑샘의 과립성 곡 세관에서는 증등도의 양성 면역반응을, 턱밑샘과 혀밑샘의 사이관 및 혀밑샘의 꽈리세포에서는 약한 양성 면역반응을 보 였다. 턱밑샘 신경절, 자율신경 신경절이후섬유, 턱밑샘과 귀밑샘의 꽈리세포, 각 침샘의 배출관과 귀밑샘 사이관은 eNOS 면역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nNOS에 강한 양성 면역반응을 보인 부위는 턱밑샘 신경절이었으며, 자율신경의 신경절이후섬유, 줄무늬관과 턱밑샘의 과립성 곡세관에서는 중등도의 양성반응을, 턱밑샘과 혀밑샘의 사이관에서는 약한 양성 면역반응을 보였다. 반면, 각 침샘의 꽈리세포, 배출관, 귀밑샘의 사이관 및 혈관내피층에서는 nNOS에 대한 면역반응을 관찰할 수 없었다. iNOS에 대한 면역반응은 3대 침샘에서 모두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실험결과는 침샘의 자율신경 신경절 및 신경절이후섬유, 과립성 곡세관, 사이관, 혈관내피세포에 eNOS 및 nNOS 가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음을 보여줌으로서 침샘의 혈관긴장 조절, 침분비관의 내강 크기 및 이온이동 조절에 산화질소 함유신경이 관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Endogenous nitric oxide (NO) has been known to regulate the salivary secretion and glandular blood flow. However, nitric oxide synthase (NOS) responsible for NO synthesis has not been well studied in salivary glands.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nitric oxide synthase isoforms (endothelial, neuronal, and inducible NOS). Immunohistochemistry, using monoclonal mouse anti-endothelial NOS, anti-neuronal NOS, and anti-inducible NOS, was performed in 3 major salivary glands of the rat. Endothelial NOS (eNOS)-positive immunoreactivity was observed in arterial endothelium, striated duct, granular convoluted duct of the submandibular gland, intercalated duct, and mucous acinar cells of the sublingual gland. eNOSpositive immunoreactivity was most prominent in the arterial endothelial layer and that of the striated and granular convoluted duct was well concentrated in columnar epithelial layer. However, eNOS-positive immunoreactivity of the intercalated duct and mucous acinus was weak. Neural NOS (nNOS)-positive immunoreactivity was seen in submandibular ganglion, autonomic postganglionic fiber, striated duct, granular convoluted duct, and intercalated duct. nNOS-positive immunoreactivity of the submandibular ganglion and autonomic postganglionic fiber was most prominent and that of the ductal system was well concentrated in epithelial layer. eNOS or nNOS-positive immunoreactivity was not detected either in excretory ducts or in serous acinar cell. Inducible NOS-positive immunoreactivity was not seen. There results reveal the presence of eNOS and nNOS in the salivary gland, which may be related with regulation of the glandular secretion and blood flow.

      • KCI등재

        임플랜트 지대주 재료에 대한 치은 섬유아세포의 반응

        임현필,김선헌,박상원,양홍서,방몽숙,박하옥,Lim Hyun-Pil,Kim Sun-Hun,Park Sang-Won,Yang Hong-So,Vang Mong-Sook,Park Ha-Ok 대한치과보철학회 2006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44 No.1

        Purpose: The biocompatibility and bio-adhesive property of a dental implant abutment are important for proper soft tissue healing and maintenance of osseointegration of implant. However, studies of soft tissue healing and mucosal attachment of various materials of implant abutment other than titanium are still needed. In this study, cell attachment, proliferation, cytotoxicity of human gingival fibroblast for ceramic, gold alloy, Ni-Cr alloy and, commercially available pure titanium as a control were evaluated, using MTS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Materials and Methods: Specimen was designed to disc, 4mm diameter and 1mm thickness, made of ceramic, gold alloy, Ni-Cr alloy and commercially available pure titanium. Primary culture of human gingival fibroblasts were grown in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with 10% fetal bovine serum and 1% antibiotics. Cells were inoculated in the multiwell plates placed the specimen disc. Cell Titer 96 AQucous One Solution Cell Proliferation Assay were done after 1hour 3hours, 24hours, 3days, 5days of incubation. The discs were processed for scanning electron micrography to evaluate cell attachment and morphologic change. Results: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ellows. 1. The ceramic showed high cell attachment and proliferation and low cytotoxicity, which is as much bioadhesive and biocompatible as titanium. 2. The gold alloy represented limited proliferation of human gingival fibroblast and the highest cytotoxicity among tested materials (p<0.05). 3. The Ni-Cr alloy limited the proliferaion of the human gingival fibroblast compared to titanium(p<0.05) but cytotoxicity on the bottom of well was not so considerable, compared to titanium. 4. On the scanning electron micrographs , the ceramic showed good attachment and proliferation of human gingival fibroblast, which was similar to titanium. But gold alloy and Ni-Cr alloy showed the shrinkage of gingival fibroblast both after 24 hours and 3 days. On 5th day, small amount of the human gingival fibroblast proliferation was observed on the Ni-Cr alloy, while the shrinkage of gingival fibroblast was still observed on the gold alloy.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eramic abutment is as biocompatible as titanium to make proper mucosal seal. The gold alloy has a high cytotoxicity to limit proliferation of gingival fibroblast, which suggest limited use on the anterior tooth where soft tissue healing is recommeded.

      • KCI등재

        연골성 및 막성 탈회골기질과 탈회상아질기질에 의한 골유도 과정에 대한 연구

        류선열(Sun Youl Ryu),신형철(Hyung Chul Sin),김선헌(Sun Hun Kim),김백윤(Baik Yoon Kim)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1995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Vol.21 No.2

        Bony tissue develops via two different preocesses : endochondral ossification and intramembanous ossification. This study tests the hypothesis that each type of bony tissue contains unique inducing factors for the promotion of cartilage and direct bone formation. Previous studies suggest that both of implants of intramembranous and endchondral bone matrix can induce bone formation through endochondral bone formation, which means that the bone growth properties of the bone matrices are similar. This study was done to know whether the osteoinductive property of intramembranous bone matrix is identical to that of endochondral matrix and that property of demineralized dentin matrix. Endochondral and intramembranous demineralized bone matrices and demineralized dentin matrices were implanted in pectoral muscles of rats. At the 5 days of implantation many spindle shaped mesenchymal cells aggregated around 3 kinds of the matrices. At the 10 days of implantation osteoid tissue formed adjacent to the matrices. At the 14 days implants of endochondral bone and dentin matrices induced bone formation via endochodral and intramembranous ossification in contrast to implsants of intramembranous bone matrix which did not induce endochondral ossification. At the 60 days of implantation, the matrices were absorbed and mature bone formation with trabeculae was proceeded. The matrices were aborbed by macrophages and multinucleated giant cells and osteoclasts which resorb the calcified bone at the same tim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ndochondral ossification is not a necessity in the processes of bone formation by demineralized hard tissue matrix and the matrix of endochondral bone differs qualitatively from that of intramembranous bone.

      • KCI등재

        개에서 임프란트의 골유착에 미치는 탈회상아질기질의 영향

        류선열(Sun Youl Ryu),박석인(Suk In Park),김선헌(Sun Hun Kim)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1996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emineralized dentin matrix on osseointegration of implants. Seven mongrel dogs of either sex, weighing about 15kg, were used. The lower 1st, 2nd, 3rd, and 4th premolars of both sides were extracted under general anesthesia. Implants were inserted 3 months after extraction of the teeth. In the control group, socket wall around the implant was sutured without any graft material.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into the two : the DDM group was filled with demineralized dentin matrix into the hole of the implant and the DDCM group filled with demineralized dentin and collagen matrix. The animals were killed 1, 2, 4, 8, and 12th weeks after the implantation. Tissue specimens obtained were processed for light and fluorescent microscopic examination.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At one week after the implantation fibrous connective tissue from the surrounding periosteum was observed at the superior portion of the alveolar bone-implant interface and blood clot was formed within the hole of the implant in control group. Endosteal proliferation from the cut surface of the compact bone was observed in the both experimental groups. 2. At two weeks after the implantation the interspace between the alveolar bone and implant became narrow, and endosteal proliferation and woven bone formation from trabecular bone was blended with demineralized dentin matrix in the both experimental groups. 3. At four weeks after the implantation some fibrous tissues were still observed in the interspace between the alveolar bone and implant in control group. However, with osteoinduction and osteoconduction by demineralized dentin matrix, osseointegration without intervening of fibrous tissue was observed in the both experimental groups. 4. At eight and twelve weeks after the implantation a complete osseointegration was noted and demineralized dentin matrix was almost resorbed in all groups. 5. By fluorescent microscopic examination, bone formation and osseointegration were noted earlier in the experimental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 6. Bone healing of the DDCM group was similar to that of the DDM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demineralized dentin matrix can be used as a useful material for early fixation of implants by promoting new bone formation and osseointegration of implants.

      • KCI등재후보

        치과용 순수 티타니움 임플란트의 표면 특성에 따른 뼈모세포의 초기 분화와 부착

        김병수(Byung-Soo Kim),김현진(Hyun-Jin Kim),김선헌(Sun-Hun Kim) 대한해부학회 2006 Anatomy & Cell Biology Vol.39 No.6

        치과용 임플란트에서 뼈와 임플란트 표면 사이에 뼈 형성에 의한 긴밀한 초기 접촉이 성공적인 임플란트를 위하여 중요하다. 임플란트 주위에 뼈가 형성되는 과정에는 재료의 성질 외에 임플란트 자체의 표면 특성, 즉 표면거칠기 및 형태는 세포 반응에 영향을 미친다. 뼈모세포 또는 뼈모세포계열의 세포와 임플란트 표면과의 특이 반응은 궁극적으로 세포 표현형의 변화를 수반하게 된다. 본 연구는 뼈모세포주에서 서로 거칠기를 달리하는 순수 티타니움 임플란트 재료에서 세포 분화와 형태 변화를 세포증식법, 주사전자현미경 및 중합효소 반응을 이용하여 구명하고자 시도되었다. 배양접시의 polystylene well 표면과 매끈한표면 티타니움(smooth surface titanium)과 거친표면 티타니움(rough surface titanium)의 표면거칠기 Ra 값은 각각 0.16±0.03 μm, 0.24±0.04 μm, 2.93±0.21 μm로 각 군간에 유의하 게 차이가 있었다. 배양 18시간과 5일 모두에서 거친표면 티타니움의 세포 수는 매끈한표면 티타니움에 비하여 유의하게 세포수가 적었다(p⁄0.01). 주사전자현미경적 소견에서 매끈한표면 티타니움의 세포는 방추형으로 거친표면 티타니움에 비하여 세포 경계가 매끈하고 티타니움 표면에 납작하게 부착되어 있었다. 거친표면 티타니움의 세포는 매끈한표면 티타니움에 비하여 세포경계가 비교적 거칠고 외형은 티타니움 표면의 돌출부와 함몰부 사이를 따라 굴곡을 보였으며, 세포 윤곽이 비교적 뚜렷하였다. 검사한 유전자 중 배양 18시간에서 erk2의 발현이, 배양 5일에서 erk1과 type I collagen 유전자의 발현이 거친표면 티타니움에서 증가되어 있었다(p⁄0.05). 이상의 결과는 매끈한표면 티타니움(Ra=0.24±0.04 μm)에 비교하여 거친표면 티타니움(Ra=2.93±0.21 μm)에서 세포는 증식보다는 분화를 보이며, 이 과정에 erk1과 erk2가 관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Early bone formation and close contact between dental implant and tissue bed are important for successful osseointegrated dental implants. Surface characteristics of implant materials such as roughness and topography have effects on peri-implant tissue reaction in addition to chemical properties of dental implants. The specific reactions of osteoblasts or their lineages to implant surface accompany changes of their phenotyp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unravel cell differentiation and functional changes, responding to different implant surfaces characteristics. Cell proliferat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RT-PCR analyses for COX-2, ERK-1, ERK-2, Type I collagen, β-catenin, PLC-γ2, β-actin were carried using MG 63 preosteoblastic cells at 18 hours and 5 days of culture in vitro. The number of attached cells on rough surface titanium (Ra=2.93±0.21 μm) was less than that on smooth surface titanium (Ra=0.24±0.04 μm) at both 18 hours and 5 days of culture (p⁄0.01). Cells on smooth surface titanium were flat and spindle-shaped and their margin was smooth. In contrast, cells on rough surface titanium seemed to be thicker and shaped following pits and projections of the surface and their margin was irregular with many processes. At 18 hours of culture, erk2 mRNA expression in rough surface titanium was more than that in smooth. Similarly at 5 days of culture, erk1 and collagen I transcriptions were more than those of smooth surface titanium (p⁄0.01 and p⁄0.05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rough surface titanium directs preosteoblasts toward differentiation rather than proliferation, comparing smooth surface titanium, and genes such as erk1 and erk2 would be involved in the cellular changes.

      • KCI등재

        DISTRIBUTION OF NITRIC OXIDE SYNTHASE ISOFORMS IN PERIORAL EXOCRINE GLANDS IN RATS

        정종철(Jong Cheol Jeong),김선헌(Sun Hun Kim),유선열(Sun Youl Ryu)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2000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Vol.26 No.3

        내인성 산화질소는 산화질소 합성효소에 의하여 합성되며 여러 분비선에서 다양한 기능을 하리라 추측되고 있다. 구강주위 외분비선은 형태적으로 유사하나 분비물의 성분과 분비량은 서로 달라 이들 조직에서 산화질소 동위효소의 분포와 기능을 추론함은 흥미 있는 일이다. 또한 구강주위 외분비선과 분비선의 지배신경의 산화질소동위효소의 분포에 관한 보고는 희박하다. 본 연구는 흰쥐 구강 주위 외분비조직, 즉 3대 타액선, 혀의 소타액선, 누선 그리고 구강점막의 피지선과 지배신경 및 신경절에서 eNOS와 nNOS의 분포를 면역조직화학 방법에 의하여 관찰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nNOS는 악하선신경절, 대타액선의 분비도관 주위의 신경절후신경섬유, 혀의 소타액선 주위의 신경절후섬유, 누선에서 강한 양성반응을 보였다. nNOS는 대타액선과 근상피세포에서 중등도의 양성반응을 보였고 이중 이하선에서 반응이 가장 약하였으며, 피지선의 분비관에서 약한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상교감신경절과 삼차신경절, 소타액선의 분비관 및 대,소 타액선의 선포에서는 반응이 매우 미약하거나 관찰되지 않았다. eNOS는 혈관의 내피세포와 대타액선의 분비관, 누선의 분비관 및 선포에서 강한 양성 반응을 보였고, 근상피세포에서 중등도의 반응을, 피지선에서 약한 반응을 보였다. 모든 신경절과 신경섬유에서 eNOS의 반응은 음성이었고 타액선의 일부 선포에서는 미약한 면역반응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 eNOS에 의해 합성된 NO는 악안면영역의 외분비선에서 혈류량의 조절과 분비도관의 기능 조절에 관여하고, nNOS에 의한 NO는 외분비선의 자율신경계에서 신경전달물질로의 기능과 분비도관에서의 분비기능 조절에 관여함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

        전남 함평군 월야면 월계리 석계마을에서 출토된 인골에 관한 체질인류학적 연구

        곽상현(KWAG Sang-Hyun),김선헌(KIM Sun-Hun),김백윤(KIM Baik-Yoon) 대한체질인류학회 1992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5 No.2

        전라남도 함평군 월계리 석계마을 석실분에서 출토된 5세기말 또는 6세기 초로 추정되는 인골 5례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인골의 수는 두개골로 보아 5구로 추정되며 뼈의 위치가 일정치 않고 사지골의 말단은 모두 부식되어 신장의 추정은 불가능하였다. 2. 5례의 구성원은 50대 남자, 40대 여자, 8세경 어린이, 그리고 성별이 확실하지 않은 어린이와 노년여성으로 추정되었다. 3. 50대 남자와 40대 여자의 두개골의 장폭비의 형태는 mesocephalic형이고 노년 여성의 경우 dolichocephalic형이었다. 4. 50대 남자의 두개골의 길이-높이의 비 및 너비-높이의 비는 각각 orthocephalic형과 metricephalic형이었다. 5. 50대 남자의 입 천장지수 외 임천장높이의 지수는 brachystaphalic형과 orthostaphalic형이었다. 6. 성인 치아의 구 치부 교합 면은 심한 마모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백제 고분내에서 최초로 발굴된 인골의 예이기 때문에 추후 다른 인골이 발견된다면 체질인류학의 비교 연구에 참고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KCI등재

        Variations in the Cusps of Mandibular Molars in Koreans

        Hong-Il Yoo(유홍일),Ji-Hye Kim(김지혜),Sun-Hun Kim(김선헌) 대한체질인류학회 2014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7 No.3

        본 연구 목적은 한국인 아래턱큰어금니 hypoconulid와 관련된 각 교두의 크기 및 형태적 특징 및 성별차이와 아래턱큰어금니 사이의 크기 및 형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조사 대상은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남학생 78명, 여학생 32명이었으며, 평균연령은 30세였다. 대상자의 치아모형을 제작하여 아래턱첫째 및 둘째큰어금니의 최대 안쪽-먼쪽너비, 볼쪽-혀쪽너비, 5개 교두(protoconid, metaconid, hypoconid, entoconid, hypoconulid)의 개별면적, 총교두면적, 교합상면적을 측정하였다. 성별 차이와 아래턱첫째 및 둘째큰어금니 간의 차이 및 상관성에 관해서는 paired t-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남녀 모두 아래턱큰어금니의 안쪽-먼쪽너비, 볼쪽-혀쪽너비, 총교두면적, 교합상면적 측정값은 첫째큰어금니가 둘째큰어금니보다 크게 나타났다. 아래턱첫째 및 둘째큰어금니 모두 protoconid 면적이 가장 크게 나타났고, hypoconulid 면적이 가장 작게 나타났다. 아래턱큰어금니 5개 교두 중 크기 및 형태 변이가 가장 큰 것은 hypoconulid였으며, hypoconulid 발현빈도는 아래턱첫째큰어금니가 둘째큰어금니보다 더 높았다. 모든 측정값은 남자가 여자보다 더 크게 나타났으며, 아래턱첫째큰어금니 entoconid (p=0.06)와 둘째큰어금니 hypoconulid (p=0.24)면적을 제외한 나머지 측정값들은 모두 남녀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은 남녀 모두 다른 인종에 비해 전반적인 치아 크기(너비, 면적)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자 치아 크기가 여자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늦게 발생이 일어나는 치아일수록 치아크기는 작고 변이는 더 큰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제일 늦게 발생하는 hypoconulid 변이 정도가 제일 크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한국인 아래턱큰어금니의 비교치아 형태학 자료를 제공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usp size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ermanent mandibular molars in Koreans with reference to the hypoconulid,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and correlations between both sexes as well as between first and second mandibular molars. We obtained data from dental casts of 110 adults (78 males and 32 females). Mesiodistal and buccolingual diameters of first and second mandibular molars, the area of five cusps (protoconid, metaconid, hypoconid, entoconid, and hypoconulid), as well as the total cusp area and occlusal table area were measured. Paired t-test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morphological differences between first and second mandibular molars and the sex differences between both sexes using SPSS program. Crown diameters and cusp areas of mandibular first molars were larger than those of mandibular second molars in both sexes. The hypoconulid was the most variable in size and morphological pattern among the five cusps, and the first molars showed a higher incidence of hypoconulid than the second molars. Except for the entoconid area of the first molar (p=0.06) and the hypoconulid area of the second molar (p=0.24), all other mean values were larger in males than in females, demonstrating a significant sexual dimorphism. These data suggest that the teeth which develop late in ontogeny tend to be smaller in size and more variable i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