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소아청소년 간질 환자에서 ADHD 치료 실태에 대한 다기관 공동연구

        은소희(So-Hee Eun),권순학(Soonhak Kwon),권영세(Young Se Kwon),김성구(Sung Koo Kim),김원섭(WonSeop Kim),남상욱(Sang-Ook Nam),심지윤(Gi Youn Sim),백린(Baik-Lin Eun),이준화(Jun Hwa Lee),허윤정(Yun Jung Hur),황태규(Tae Gyu Hwang),주찬웅(C 대한소아신경학회 2011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9 No.2

        목적 : 소아청소년기 간질 치료는 단순히 경련 조절뿐 아니라 간질과 흔히 동반될 수 있는 인지장애 및 정신신경 질환 유무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동반치료가 필수적이다. 특히 소아 간질 환자의 16-77%에서 동반하는 ADHD에 대한 치료가 성장기 소아환자의 장기 예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 소아간질 환자에서 ADHD 치료 실태에 대한 보고가 미미한 상태로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고자 한다. 방법 : 규격화된 설문지를 전국 대한소아신경학회원에게 배포하여 참여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 조사하였다. 실험 대상으로 2005년 1월부터 2010년 6월까지 간질로 진단 받고 치료중인 만 4-20세 환자에서 DSM-IV 기준으로 ADHD에 합당한 소아청소년 간질 환자를 조사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2005년부터 2010년 6월까지 매년 각 기관에서 치료 받고 있는 등록된 소아 및 청소년 간질 환자의 수를 파악하여 간질 환아에서 ADHD 유병률, 치료 실태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결과 : 총 10기관 178명의 환자 설문지를 얻을수 있었으며, 이중 불충분한 자료를 보인 4명을 제외하고 174명(남:녀=139:35, 평균나이 12.2±3.3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이중 부분 간질 환자는 125명(복합부분발작 102, 이차전범화발작 8, 단순부분발작 3, 로란딕 간질 13), 전신발작 40명(특발성 29, 결신발작 11), LG 증후군 8명이었다. 간질발생 나이는 평균 5.69세, 간질 치료 나이는 6.52세때 치료를 시작하였다. 동반질환으로 66명(37.9%)에서 정신지체를, 66명(37.9%)에서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정신-신경 질환을 동반하였다. 112명에서 DSM-IV를 기준으로 진단하였으며 이중 80명이 ADHD-combined 형태였다. 174명 중 162명에서 ADHD 약물 치료는 받았으며 ADHD 치료율은 평균1.9% (기관별 0.3-8.9%)을 보였다. ADHD 평균진단 나이는 8.94세, 치료 시작 나이는 9.26세였으며 평균 21개월 동안 약물 치료를 받았으나, 51명에서 6개월 미만의 단기 유지율을 보였다. 92명에서 concerta, 66명은 methyphenidate를 사용하였다. 완전 조절 18명 등 130명(80.2%)에서 치료 효과를 보였다. 9명에서 발작 증가, 17명에서 식욕감퇴를 보이는 등 총 48명(29.6%)에서 부작용을 보였다. 18명은 부작용으로, 18명은 효과가 없어 중단하였고, 39명(24.1%)에서는 보호자 임의로 중단하였다. 결론 : 간질을 동반한 ADHD 아동에게 현재 시행되고 있는 치료방법 및 치료 효과는 간질을 동반하지 않은 ADHD 아동과 비슷하다. 간질과 ADHD를 가진 아동의 많은 수가 다른 정신신경계 질환을 동반하고 있어 이에 대한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하다. 특히 본 연구의 간질 환자에서 ADHD 치료률은 다른 보고와 비교 할 때 매우 낮은 수치를 보여 간질환자에서 ADHD에 대한 적극적인 치료가 요구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current therapeutic status of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in children with epilepsy. Methods : A cross-sectional survey of 178 patients aged 4-20 years from ten pediatric neurology clinics in eight cities in South Korea from January 2005 to July 2010 was used to assess clinical characteristics of ADHD patients with epilepsy and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ADHD. Results : A total of 178 pediatric epileptic patient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One hundred seventy-four subjects' (M:F=4:1, mean age: 12.2±3.3 yrs old) records were evaluated excluding four patients due to incomplete data. One hundred twentyfive of 174 patients (71.8%) had partial epilepsy and 45 had generalized epilepsy. Eighty of 112 patients showed ADHD combined type from the DSM IV. The mean prevalence rate of ADHD treatment among the epileptic patients was 1.9%. Over 45 % of patients showed complete or persistent symptoms without difficulties in school life with CNS stimulants. Adverse reactions were reported in 19.8% of patients who received ADHD medication, and 18 patients discontinued ADHD medication due to severe adverse effects such as aggravated seizures (5.6%) or ADHD symptoms (3.7%). About 60% of children with ADHD and epilepsy had psychiatric comorbid disorders. Conclusion : The results indicate that ADHD treatment in epilepsy patients is safe and effective. However, these data also show that ADHD in pediatric epilepsy patients in Korea is under-diagnosed and under-treated.

      • KCI등재후보

        뇌세포 이주장애에 의한 소아 간질환자의 임상적 특성과 치료 전략

        은소희(So Hee Eun),소희(So Hee Chung),이문향(Munhyang Lee),주찬웅(Chan-Uhng Joo),조수철(Soo-Chul Cho),김선준(Sunjun Kim) 대한소아신경학회 2000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8 No.2

        배경 : 뇌 영상기법의 발달과 간질의 수술적 처치가 이루어지면서 신경세포의 형태적 이상이나 중추신경계의 기저질환이 알려지고 있다. NMD는 신경세포 이주 과정 중 뇌의 허혈, 저체온, 특정약물 등으로 인해 초래되는 질환군이다. NMD의 경우에는 대부분 뇌성마비, 정신지체, 발달지연, 간질 등을 동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간질은 77-90%의 동반률을 보이며, 대부분은 난치성 간질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발표된 연구는 대부분 간질 수술을 받은 성인 연령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기 때문에 소아 연령에서 진단된 환자의 정확한 간질의 경과 및 예후를 알 수 없었다. 이에 소아 연령의 NMD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병변 분류, 임상특징, 뇌파소견 치료 및 경과 등을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방법 : 1993년 3월부터 2000년 6월까지 전북대학교병원과 삼성의료원 소아과에 내원하여 MRI 또는 간질 수술 후 조직학적으로 NMD로 확진 된 5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병록지를 통한 후향적인 방법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결과: 전체 57명 중 피질이형성증이 26례로 가장 많았고, 활택뇌증 9례, 다소뇌회증 7례, 분열뇌증 6례, 일측성 거대 뇌증 4례, 이중 피질 2례 등이었다. 가장 흔한 임상증상은 간질발작으로 54례(94.7%)에서 있었고, 전반적인 발달지연 19례(33.3 %)였다. 간질발작 시기가 가장 빨랐던 경우는 활택뇌증 환아로 생후 4일째에 발작이 시작되었으며, 활택뇌증, 분열뇌증, 일측성 거대뇌증엔서 비교적 조기에 간질이 시작되었다. 뇌파소견상 발작파가 57례 중 51례(89.5%)에서 나타났고, 비정상 비발작파는 35례(61.4%)에서 나타났으나 정상적인 소견을 보인 경우도 있었다. 항경련제에 대한 간질발작 조절 효과는 약물요법으로만 경련을 조절한 경우는 41례(75.9%)이며, 반응이 좋은 경우가 31례(57.4%)이었다. 수술적 치료를 실시한 경우는 전체 중 14례였고, 피질이형성증에서 10례로 가장 많이 실시하였다. 병변의 완전절제를 실시한 경우에는 발작 없이 관찰 중이나, 부분절제를 실시한 경우에 지속적인 발작의 양상을 보였다. 결론 : NMD의 임상소견 중 간질발작이 가장 흔하였고 기타 다른 신경증상은 활택뇌증에서 좀 더 흔하게 보였지만 특징적인 소견은 아니었다. NMD 환자의 발작이 난치성 간질을 보이는 확률이 높지만 본 연구에서는 57.4%에서 약물치료에 간질이 조절되었다. NMD 진단 후 조기 수술을 시행하기 보다는 합리적이고 적극적인 약물요법을 충분히 실시하는 것이 타당하리라 생각된다.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e the clinical features, natural histories, and results of medical and surgical treatment of NMD in patients who were diagnosed during childhood.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analysis of medical records of 57 patients with NMD who were newly diagnosed by MRI or pathologically in epilepsy children since March 1993 to June 2000. Results: These 57 patients with NMD consisted of 26 with cortical dysplasia, 9 with lissencephaly, 7 with polymicrogyria, 6 with schizencephaly, 4 with hemimegalencephaly, 3 with heterotopias, and 2 with double cortex. Clinically, 94.7% of these patients showed seizures, 33..3% with developmental delay, 21.1% mental retardation, 15.8% cerebral palsy, and 7.0%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Their response to antiepileptic drugs was good to 31 patients(75.6%), moderate to 3(7.3%), and poor to 7(17.1%). Twelve patients were completely seizure-free after receiving medication for at least 15 months. Seventeen patients tolerated with monotherapy with antiepileptic drugs. Fourteen patients underwent surgical resection. The results of operation were highly correlated with the complete removal of epileptic focus. Six patients who underwent complete resection were seizure-free after operation. On the other hand, Eight patients who had incomplete resection of the epileptic focus showed poor outcome. Conclusion: Most of previous reports suggested that NMD is associated with refractory to medical treatments, and early surgical operation has been recommended. Our study demonstrates remarkably good responses of NMD patients with medical treatment only.

      • KCI등재후보

        비전형적 급성 시신경염 2례

        은소희(So Hee Eun),하기수(Ki Ssu Ha),신동한(Dong Han Shin),이기형(Kee Hyeong Lee),백린(Baik Lin Eun) 대한소아신경학회 2006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4 No.1

        저자들은 각각 불분명한 시력감소를 동반한 심한 안구통증과 안구통증을 동반하지 시력감소를 주소로 내원하여 안저검사, 시각유발검사 및 자기공명영상촬영 검사에서 정상소견을 보였으나, 경과관찰 중에 시신경장애 증상이 관찰되어 고용량의 스테로이드 투여 후 회복한 비전형적인 시신경염 환아들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Optic neuritis refers to any inflammatory disorder of optic nerves, but it usually denotes an acute or subacute disease of optic nerves attributed to inflammation associated with demyelination. The diagnosis of optic neuritis is usually made on a clinical ground. The condition usually presents as a painful subacute unilateral loss of vision, which progresses over a few days to 2 weeks. The pain varies in severity, although it typically does not interfere with sleep. We report 2 cases of atypical optic neuritis rapidly recovered by the administration of high doses of steroid that presented with severe eyeball pain accompanied by vague visual loss and painlessly insidious onset of visual loss respectively, with normal findings in fundoscopic examinations, visual evoked potentials and orbital MRIs.

      • KCI등재후보

        고위험 신생아를 위한 조기 신경발달검사의 유용성

        이경(Kyoung Eun Lee),우정희(Jung Hee Woo),신정희(Jung Hee Shin),최의경(Eui Kyung Choi),최성(Sung Eun Choi),김지연(Ji Yeon Kim),최병민(Byung Min Choi),은소희(So-Hee Eun) 대한소아신경학회 2018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6 No.3

        Purpose: To identify the significance of the 12-month developmental assessment in high-risk neonates by comparing their 12 month and later childhood development.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records of high risk neonates admitted to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of Korea University Ansan Hospital for ten years. Data of 146 patients, who underwent the Bayley test at 12 months of age and retook the same test at 24-36 months, was analyzed. Changes in mental developmental index (MDI) and psychomotor developmental index (PDI) were assessed and <85 scores of indices were defined as abnormal. Results: At 12 months of age, 35 (24.0%) had normal development, 45(30.8%) had psychomotor developmental delay (MDI≥85, PDI<85), 7(4.8%) had mental developmental delay (MDI<85, PDI≥85), and 59(40.4%) had global delay (MDI & PDI <85). At 24–36 months of age, 52(35.6%) had normal development, 10(6.8%) had mental delay, 16(11.0%) had psychomotor delay, and 68(46.6%) had global delay. Out of 35 patients with normal development at 12 months, 27(77.1%) showed normal development after that, and 46(78.0%) of 59 patients with global delay showed a global delay. All 7 patients who had delayed mental development at 12 months showed global delay at 24–36 months of age (P<0.01). The 12-month development of high-risk neonates was associated with later developmental status. Conclusion: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early intervention for delayed development, the 12-month Bayley test of high-risk neonates may be useful for prediction of later developmental progress.

      • KCI등재

        알레르기질환을 가진 소아청소년의 수면 장애 연구

        오은민 ( Eun Min Oh ),은소희 ( So Hee Eun ),박수화 ( Su Hwa Park ),서영실 ( Yeong Sil Seo ),김지현 ( Ji Hyun Kim ),서원희 ( Won Hee Seo ),안강모 ( Kang Mo Ahn ),정지태 ( Ji Tae Choung )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2015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Vol.3 No.1

        Purpose: Although allergic disease has been recognized as a common chronic disease related to the sleep disturbance of children, studies on sleep disturbance in children with allergic disease are scanty in Kore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leep disturbance of children with allergic disease. Methods: Children aged 2 to 12 years were assessed using the sleep questionnaires. From July 2011 to June 2012, surveys were conducted on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allergies in 3 general hospitals and in an elementary school in Seoul and the capital area. The analysis was done in 3 groups according to age. Results: The sleep questionnaires of 1,174 children were evaluated. Children with allergic disease were 341 (209 males and 132 females) and those in the control group were 833 (428 males and 405 females). Parasomnia symptoms were common in young children (ages 2 to 5 years) than in the control group (P<0.05). Symptoms of sleep-disordered breathing were more common in early adolescent children (ages 11 to 12 years) than in the control group (P<0.05). The presence of allergic rhinitis, gender, and body mass index did not correlate with a sleep disturbance in children with allergic disease. Conclusion: To our knowledge, this study was the first report of sleep disturbance in children with allergic disease in Korea. This study suggests that children with allergic disease from early children may have poor sleep quality than those without. Therefore, proper treatment of and great interest in sleep disturbance are required for children with allergic disease.

      • SCOPUSKCI등재

        급성 홍역 뇌증 환아들의 뇌 SPECT 소견과 유용성

        김정철,정주미,은소희,이대열,김정수,Kim, Jung Chul,Choung, Ju Mi,Eun, So Hee,Lee, Dae-Yeol,Kim, Jung Soo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2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5 No.11

        목 적 : 홍역은 전염력이 매우 높은 급성 유행성 전염병으로 감염 후 뇌척수염, 홍역 봉입체 뇌염 그리고 아급성 경화성 전뇌염의 3가지 신경계 합병증을 일으킨다. 본 연구에서는 홍역 후 급성 뇌염이 발생한 환아들의 임상 양상, 경과 및 결과와 뇌 SPECT의 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방 법: 2000년 10월부터 2001년 1월까지 4개월 동안 홍역 후 의식저하, 경련, 마비 등의 특징적인 뇌염증상을 보여서 전북대학교병원 소아과에 입원한 11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뇌척수액 검사, 홍역 특이항체 검사, 뇌파검사, 뇌 SPECT와 뇌 자기공명영상을 실시하였다. 결 과: 11명의 대상 환아들의 남녀 비는 남아 4명, 여아 7명으로 여아가 많았으며, 연령은 18개월에서 14세까지로 평균 연령은 10.5세였고, 8세 이상의 연장아가 10명(90.9%)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홍역 예방접종은 11명 중 10명은 1차 예방 접종을 실시했으며 1명은 실시하지 않았고, 2차 예방 접종을 실시한 환아는 없었다. 뇌척수액의 백혈구는 $158{\pm}157/{\mu}L$이었고 단백은 $124{\pm}60mg/dL$이었다. 홍역 특이항체는 혈청에서는 IgG/M이 10명에서 양성이었고 1명은 모두 음성이었으며, 뇌척수액에서는 9명에서 IgG가 양성이었고 1명에서는 IgM이 양성이었다. 11명에서 실시한 뇌 SPECT는 모두 비정상 소견을 보였고 뇌 자기공명영상은 7명에서 비정상 소견을, 4명에서는 정상 소견을 보였다. 뇌 SPECT에서 혈류 감소는 전두엽(9명), 측두엽(9명), 두정엽(8명), 시상(8명) 부위가 많았고 이외에 기저핵(5명), 후두엽(4명), 소뇌(2명)에서도 혈류감소가 관찰되었다. 결 론: 홍역과 홍역의 심각한 신경계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2차 예방 접종을 시행하여야 하고 홍역에 대한 감시체계의 확립 및 홍역 유행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요구된다.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정상인 4명 모두가 SPECT에서는 혈류 감소가 관찰된 점으로 미루어 보아 보이지 않은 뇌의 손상이 있었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으며, 감염후 뇌염이 발생한 환아의 뇌 손상 여부를 평가하는데는 뇌 자기공명영상보다 뇌 SPECT가 보다 예민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Acute measles encephalitis(ME) is characterized by an abrupt onset of fever and obtundation, frequently accompanied by seizures and multifocal neurological sign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clinical manifestation, progression and the brain SPECT patterns in patients with acute ME. Methods : This study included 11 children with acute ME admitted to Ch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en patients received a first dose of measles vaccine, one patient did not receive a first dose, and no patients received a second dose. ME was diagnosed based on characteristic clinical pictures, measles antibodies by ELISA and abnormal CSF findings. Brain MRI and brain SPECT were performed in 11 patients with acute ME. Results : There were four males and seven females whose ages at onset ranged between 18 months and 14 years(mean : 10.5 years). The main clinical neurologic pictures were loss of consciousness( 10) and seizure(five). The titer of IgG and IgM antimeasles antibodies in serum were positive in 10 patients. In CSF, nine patients had IgG antibodies and one patient had IgM antibodies. The concentration of protein(mean : $124{\pm}60mg/dL$) and WBC counts(mean : $158{\pm}157/{\mu}L$) in CSF were elevated in all patients. In electroencephalographic examination, nine patients showed increased slow waves. Seven of 11 patients(63.6%) revealed high signal intensity on the brain MRI. In contrast, all patients showed hypoperfusion in brain SPECT examination. According to brain SPECT, the perfusion deficits were frequently observed in the frontal lobe(nine), temporal (nine), parietal(eight) and thalamus(eight). Conclusion : Brain SPECT is more sensitive than MRI for the evaluation of brain damage in early stages of acute ME.

      • 반복되는 두통으로 내원한 소아청소년 환자의 임상양상과 뇌파검사

        편정(Jung Eun Pyun),변정혜(Jung Hye Byeon),은소희(So Hee Eun),김건하(Gun Ha Kim),백린(Baik Lin Eun) 대한소아신경학회 2014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2 No.3

        Purpose: We compared clinical findings of headaches to find out important characteristics for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headaches. We tried to find out specific electroencephalogram (EEG) findings according to the types of primary headach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EEG findings by analyzing EEGs of migraine. Method: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analysis by reviewing medical records of 275 patients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Pediatrics of Korea University Guro Hospital from November 2010 to October 2013. The headach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Headache Disorders-II (ICHD- II). EEG was analyzed in relation to the type of headache. Results: 245 (89.1%) were primary headache patients, and 30 (10.9%) were secondary headache patients.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frequencies of abnormal EEG findings according to the type of primary headache (P=0.855), and epileptiform discharge was most common abnormal EEG finding in the primary headache. Comparing the patients with epileptiform discharges to the patients with normal EEG finding in migraine, the patients showing epileptiform discharge were younger (P=0.035) and presented with occipital and atypical (i.e., not pulsating or pressing) headache (P=0.005). Conclusion: History and physical examination are the most important in the diagnosis of headache in childre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EG findings among the different types of primary headaches.However, we could find a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features of the migraine and its epileptiform discharge, so more studies correlating EEG findings to clinical features are needed in the future.

      • SCOPUSKCI등재

        전라북도 아동의 예방접종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정주미,김정철,은소희,황평한,김정수,Choung, Ju Mi,Kim, Jung Chul,Eun, So Hee,Hwang, Pyoung Han,Nyhambat, B.,Kilgore, P.,Kim, Jung Soo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2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5 No.10

        목 적: 전라북도지역의 어린이 예방접종의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문제점을 알아보고 예방접종률과 접종 시기의 적절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방 법: 2000년 3월부터 6월까지 전북지역의 5세 이하의 소아 85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방법은 보호자의 면담과 예방접종수첩 등 의무기록을 근거로 이루어 졌다. 예방접종 종류에 따른 접종여부, 접종시기와 횟수, 접종장소에 대해 조사하였다. 결 과 : 1) 조사방법은 전체 850명 중 362명(43%)은 예방접종수첩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488명(57%)은 보호자의 기억을 통한 면담으로 이루어졌다. 2) 전체 예방접종의 50.4%는 보건소에서, 44.3%는 개인의원에서, 5.3%는 대학병원과 종합병원에서 이루어졌다. 기본접종인 BCG(49%), B형 간염(47%), DTaP(61%), MMR(55%), 일본뇌염(73%)은 보건소에서 주로 접종되었고, 수두(62%)와 Hib백신(88%)등 선별접종은 개인의원에서 더 많이 이루어졌다. 3) 예방접종률은 BCG는 99.2%, B형 간염은 93.5%, DTaP & TOPV는 96.1%로 비교적 접종률이 높았으나, 선별접종인 MMR은 83.7%, 수두는 72.5%, 일본뇌염은 50.2%, Hib는 15.8%로 낮은 접종률을 보였다. 4) 예방접종 시기의 적절성은 B형간염은 88.4%, DTaP는 72.8%, 일본뇌염은 18.5%로 각각의 접종률인 93.5%, 94.6%, 50.2%와 큰 차이를 보였다. 결 론 : 1세 미만에 실시하는 예방접종들의 접종률은 비교적 높았으나 1세 이후에 실시하거나, 여러 차례 추가접종이 필요한 경우는 접종률과 적절성이 모두 낮았다. 특히, MMR, 수두, 일본뇌염, Hib 백신의 경우 지역사회에서의 유행을 예방하기에는 아직 낮은 수준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예방접종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부모들의 백신 접종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고, 예방접종기록을 표준화하고 전산화하며, 예방접종 기록을 초등학교 입학시에 제출하는 것을 의무화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예방접종 사업에 대한 평가와 이를 환류 할 수 있는 감시체계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the vaccination rate and age appropriateness of vaccination in children under five years of age in Jeonbuk province. Methods : Eight hundred and fifty infants and children were enrolled in this study. Vaccination rate(Number of vaccinees/Number of subjects), places of vaccination, age appropriateness of vacination were examined by either vaccine record review or interview with parents or guardians. Results : The salient features of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 All subjects were aged under five and mostly under two years of age(68.8%). Places of vaccination were health centers or subcenters( 50.4%), private clinics(44.3%), and general hospitals(5.3%). Routine vaccinations such as BCG, hepatitis B vaccine(HBV), diphtheria, tetanus, acellular pertussis(DTaP) and Trivalent Oral Polio Vaccine(TOPV), measles, mumps, rubella(MMR), and Japaneses B encephalitis(JBE) were vaccinated mostly in health centers or subcenters, while chickenpox(CHP) and haemophilus influenzae vaccines(Hib), which are not routine in Korea, were vaccinated in private clinics. The vaccination rates of BCG(99.2%), HBV(93.5%) and DTaP(96.1%) were very high. But those of MMR(83.7%), CHP(72.5%), JBE(50.2%), and Hib(15.8%) were lower than expected. Considering the age appropriateness of vaccination, some infants and children were not appropriately vaccinated(vaccination rate/age appropriateness of vaccine; HBV, 93.5%/88.4% : DTaP, 94.6%/73.1% : JBE, 50.2%/ 18.5%). Conclusion : The vaccination rate of BCG, HBV, DTaP and TOPV was very high, but MMR, CHP, JBE, and Hib vaccination rate was not high enough to be able to protect against epidemic. We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vaccinating children, and there is a need for a program that will enhance coverage for vaccines.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