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캠퍼스 지도자들의 영성훈련을 위한 리더십 훈련의 한 모델 -한인 길벗교회(Korean Gillbott Church, UCC)의 "대나무 리더십 스쿨"(Bamboo Leadership School)을 중심으로-

        이승문 ( Seung Moon Lee ) 한국대학선교학회 2016 대학과 선교 Vol.30 No.-

        본 논문의 목적은 세계화에 따른 글로벌 리더십이 요청되는 시대에 대학 캠퍼스의 평신도 지도자들인 교직원과 기독학생 리더십들을 위한 통합적인 리더십 스쿨의 한 모델인 ‘대나무 리더십 스쿨’(Bamboo Leadership School)을 소개하려는 데 있다. 대나무 리더십 스쿨을 시행한 기관은 미국 뉴저지에 소재하는 길벗교회(Korean Gillbott Church, 이하 KGC)의 리더십 스쿨이다. KGC는 이 시대의 분명한 교회의 목적과 사명에 대한 인식을 갖고 실천하고자 몸부림치던 신앙공동체였다. KGC는 미주 지역에 발생한 카트리나, 일본의 대지진 등을 비롯한 세계의 환경재앙 등에서 드러나듯이, 환경재앙의 문제는 이제 더 이상 ‘한 지역’의 문제가 아니라 ‘온 세계’의 문제라는것을 통감하며 세계 도처에서 발생하는 재해 복구 후원금 지원에 과할 정도로 적극적으로 동참하였다. 이러한 후원에서 그치지 않고 KGC는 해당분야 전문가들이나 추천된 자료의 도움을 받아 환경재앙의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생활 속 ‘자연’에 대한 더 깊은 인식과 실천에 솔선하여 앞장서 나가야 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어 ‘에코 리더십 스쿨’(Eco LeadershipSchool)을 개강하였다. 더 나아가 KGC는 뉴욕에서 자행된 911 테러 이후 전 세계 유일한 분단국가인 한반도의 평화가 요청되고, 중동과 유럽을 비롯한 세계 곳곳에서 IS 등과 같은 극단적인 집단에 의해서 자행되는 테러가 여전한 이 시대에 절실히 요청되는 ‘평화 리더십 스쿨’(Peace LeadershipSchool)을 열었다. 이러한 활동을 가능케 하고 지속적인 원동력이 될 수있는 교회의 신앙공동체의 근간이 되는 ‘영성활동’을 학습하며 체득하는 통로인 ‘영성 리더십 스쿨’(Spiritual Leadership School)이 요구된다는 것을 인식하고 다른 리더십 스쿨과 병행하여 스쿨을 진행하게 되었다. 따라서 KGC에서는 이 리더십 스쿨을 1년 12개월 동안에 수료할 수 있도록 하기위하여 4개월 간격으로 3개의 스쿨, 즉 Eco Leadership School, PeaceLeadership School, Spiritual Leadership School을 순차적으로 열어 리더십훈련을 받도록 하였다. 이러한 3개의 스쿨을 통합하여 ‘대나무 리더십 스쿨’이라 명명하였다. 이를 통하여 결국 개인 자신과 자신, 자신과 자연, 자신과이웃, 자신과 하나님과의 관계를 회복하고 재정립함으로 이 땅에 크리스천된 각 개인을 신앙공동체로 부르신 하나님의 부르심과 사명을 발견하고 실천하는 삶을 살아가도록 돕고자 했다. 이러한 리더십 스쿨은 지역교회의 평신도 리더십이나 높은 신앙적 지성을 가지고 있는 대학 캠퍼스의 기독구성원들에게 매우 적절하다고 판단하여 본 논문에서는 필자가 직접 적용실천한 KGC의 실천적 모델을 제시하려 했다. This study, responding to the contemporary need of global leadership, is to introduce Bamboo Leadership School as a practical model of integrated leadership training, which is intended for college campus lay leaders such as school employees and Christian students. The given training program was implemented by Korean Gillbott Church, United Church of Christ (or KGC below). KGC was a faith-based community which had a clear understanding of its ecclesial purpose and mission and strove to put it into practice. It keenly realized the global dimension of environmental catastrophe; environmental disasters should be viewed in global, not regional, context as shown in such instances of Hurricane Katrina in USA and the severe earthquake in Japan (‘the tsunami-related nuke disaster in Japan’). With this realization, KGC actively participated in disaster recovery donations and stepped further to study causes of environmental catastrophes with helps of environmental experts and recommended references and to take practical measures to prevent such disasters in daily settings. This concern led the congregation into opening Eco Leadership School for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nature and actions for environmental crisis. Furthermore, KGC also opened Peace Leadership School, which KGC believed to be contributive for global peace in danger of threatening peace by, such as September 11 attacks, conflict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extreme terrorist activities in many places in the world. As continuing the given schools, KGC realized the significance of spirituality; spirituality serves as foundation of a faith community and enables church’s action for ecological concerns and global peace. Thus, KGC implemented another program, that is, Spiritual Leadership School, along with the aforementioned schools; the spiritual program was intended for learning of spirituality. KGC integrated all three schools into ‘Bamboo Leadership School.’ This integrated program had curricula cycle in order of Eco Leadership School, Peace Leadership School and Spiritual Leadership School; each school went on four months. This one year program was intended to assist Christians to restore and redefine their relationships with themselves, their neighbors, the nature and God and, thus, to recognize and practice God’s calling for each of them to church. The present author is assured that ‘Bamboo Leadership School’ can serve as an useful leadership training for lay leaders of local congregations and Christians members of colleges who strives for higher integrity of faith and intelligence. This article is to provide practical model which the present writer applied for leadership development of KGC members.

      • KCI등재
      • KCI등재

        기독교대학의 효율적인 선교를 위한 리더십 모델과 임파워링 리더십

        이승문 ( Seung-moon Lee ) 한국대학선교학회 2016 대학과 선교 Vol.32 No.-

        본 논문의 목적은 기독교대학 내 선교를 위한 효율적인 리더십 모델로 `임파워링 리더십`을 제시하려는 것이다. 각계각층의 리더십 부재에 대한 철저한 반성과 함께 리더십의 중요성을 공직자 등의 위치에 있는 교목과 같은 종교교육계 지도자들이 먼저 바로 깨닫는 것이 필요하다. 최근까지 「대학과 선교」학술지에 발표된 리더십 관련 연구들은 주로 `서번트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 `동반자적 리더십`과 `달란트 리더십`등이 소개되었다. 하지만, 다양한 리더십 이론 소개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점을 고려하여 먼저 전체적으로 간추린 최근의 리더십 연구사를 소개하였다. 더 나아가 기독교 대학조직 내 교목의 리더십에 적합하고, 일반 리더십 이론에서는 최근에 빈번하게 다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기독교 리더십과 연계되어 다루어지지 않은 `임파워링 리더십`을 면밀하게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사도바울의 임파워링 리더십이 교목의 리더십에 적합한 유형이라는 것을 제시 하였다. 달리 표현하면, 리더십 이론들 중에서 `임파워링 리더십`모델이 기독교 대학 내에서 설립정신 구현과 아울러 대학 공동체의 신앙 영역의 책임을 맡고 있는 교목을 맡고 있는 교수가 교목실의 소수의 인적 자원으로 대학내에서 대학 구성원인 교수와 직원과 학생들과의 관계 속에서 원활한 사역과 직무 수행을 위해 적합한 유형임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aims to suggest empowering leadership as an effective leadership model for mission in Christian universities. Along with the reflection on the absence of leadership in different spheres, it is necessary for university chaplains as public official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leadership. Recently, in the University and Mission, the following models of leadership have been discussed: `servant leadership,` `transitional leadership,` `companionship leadership,` and `talent leadership.` However, considering the fact that a variety of leadership theories have not introduced, this paper first summarizes the recent history of leadership studies. Furthermore, this paper introduces `empowering leadership,` which has not been adequately discussed, and critically examines whether this model of leadership would be appropriate for university chaplain`s leadership. In other words, this paper argues the following thesis given the study of Paul`s mission model: the model of empowering leadership is appropriate for university chaplains to (1) enact the foundational spirit of Christian universities and (2) serve their duties and missions in their relationships with other faculty members and students.

      • KCI등재

        베드로(마 16:16b-19)와 마태공동체의 제도화

        이승문(Lee, Seung Moon) 한국신약학회 2015 신약논단 Vol.22 No.4

        본고의 목적은 마태복음서에 나타난 베드로의 보도 중 논의의 쟁점이 되어왔던 소위 베드로의 신앙고백 단락(마 16:16b-19)을 중심으로 베드로의 상과 마태공동체의 정황의 관계를 고찰하려는 것이다. 특히 이 단락에서의 베드로의 상이 현격하게 부각되어 강조되는 이유와 예수가 베드로에게 위임하는 내용 곧, 베드로에게 부여된 칭호와 “매고 푸는” 권위에 대한 의미파악을 수반한다. 마태복음서에 나타난 베드로의 신앙고백 단락에서 베드로에게 부여된 칭호와 “매고 푸는” 권위에 대한 위임 속에는 마태공동체의 정황이 반영되어 있다. 마태는 베드로에게 부여된 칭호, 곧 교회의 ‘반석’과 ‘바요나 시몬’이라는 호칭 설정을 통하여 베드로에게 교회의 기초로서의 독특한 권위를 부여한다. 또한 “매고 푸는” 권위를 그에게 부여함으로 베드로를 가르침의 권위를 가진 자로 보도한다. 이는 제도화의 과정 속에 있는 마태공동체가 처해있는 전환기의 상황이 이와 같은 이상적인 전형을 요청하였기 때문이다. 곧 마태는 베드로를 마태공동체가 처해있는 제도화의 흐름 속에서 전형의 한 모델로 설정함으로 마태공동체의 “완전한 제도화”(P. L. Berger & T. Luckman)를 지향하고자 하였다. 마태는 예수께서 베드로에게 하신 것처럼, 구성원의 역할을 규정함으로 제도적 질서를 수립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요청되는 실제적인 작업은 교육인데 마태는 이것을 베드로에게 위임된 가르침의 권한보도를 통해 공동체가 교육의 과정을 통하여 “완전한 제도화” 과정을 수행하도록 독려하였다. This articles studies the relation of Matthew’s description of Peter and the Matthean community’s situation with respect to the passage of Peter’s confession (Mt 16:16b-19), which has been an issue in scholarly discussions of the given text. This research examines, especially, Matthew"s reason to accentuate Peter and the meaning of the authority upon him to bind and loose. The designations of Peter and Jesus’ commission to him in Mt 16:16b-19 both reflect the situation of the Matthean community. The evangelist records the designations Jesus used for Peter, that is, the rock and the son of Jonah. Through this, Matthew tells that special authority is given upon Peter as church"s foundation. Our evangelist, as placing the power of binding and loosing on Peter, also describes him as a teacher with authority. The Matthean community is in transition to institution and this situational need leads the gospel writer to stress Peter’s position and role. Matthew presents Peter as a model for his community which is in process of institutionalization; by doing so, he intends to complete the transition. Matthew, just as Jesus did, tries to establish order by defining roles of the community members. Education is the practical method for Matthew’s purpose. The evangelist, reporting the Jesus-given authority of teaching upon Peter, encourages his community to complete the transition to institution through education.

      • KCI등재

        갈라디아서 3:14a절의 ‘아브라함의 복’과 그리스도

        이승문(Lee, Seung Moon) 한국신약학회 2017 신약논단 Vol.24 No.4

        본 논문의 목적은 갈라디아서에서 바울이 ‘아브라함의 복’과 그리스도를 연관지어 언급하는 이유와 아브라함이 이방인들의 조상으로 강조되는 이유를 밝히려는 것이다. 갈라디아서에서 바울이 대적자들에 의해 제시된 바 있던 아브라함 모델을 제시하면서 그리스도를 연관을 지어 언급하는 이유는, 갈라디아 공동체 멤버들이 다른 복음에 대해 동조하는 상태에서 바울이 전한 복음으로 다시 회복되기를 희망한 것에 있다. 갈라디아서 3장에서 바울이 ‘아브라함’을 ‘이방인들의 조상’이라고 강조하는 것은 갈라디아 구성원들인 이방인 크리스천들의 경우 자신들이 아브라함의 자손이라는 정체성에서 흔들리고 있던 정황을 반영한다. 따라서 바울은 그 시점에서 이방인 크리스천들에게 그리스도 안에 있는 그들만이 아브라함의 자손이라는 점을 강조하여 인식시키려 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바울이 로마서 4장과는 달리 갈라디아서에서 아브라함의 자손의 대상에서 유대인 크리스천들을 언급할 필요가 없었던 것은 갈라디아 공동체의 멤버들 가운데 유대인 크리스천들이 포함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요컨대 바울은 갈라디아 공동체의 이방인 크리스천들이 아브라함의 자손이라는 정체성에 흔들리고 있는 것을 보고, 그들이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아브라함의 자손 곧, 아브라함이 이방인들의 아버지임을 거듭 강조하여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why Paul mentions the blessing of Abraham in relation to Christ and why Abraham is emphasized as the ancestor of the Gentiles in Galatia. Paul suggests the Abraham model, which is advocated by his opponents, in relation to Christ. I argue that it reflects his hope that the Galatian community would return from “another gospel” to “the gospel of Christ.” In Galatians 3 Paul stresses that Abraham is the ancestor of the Gentiles and points out that the Gentile Christians were confused in establishing and maintaining their own identity as the descendants of Abraham. Given this context, I argue that Paul seeks to strengthen the Gentile Christians’ identity by emphasizing that only those who remain in Christ are the descendants of Abraham. In other words, Paul responds to the identity crisis of the Gentile Christians in the Galatian community by stressing that they are indeed the descendants of Abraham in Christ.

      • KCI등재

        사도행전 1:6-8의 대위임 명령과 리더십 승계의 유형

        이승문(Lee, Seung Moon) 한국신약학회 2018 신약논단 Vol.25 No.2

        본 논문의 목적은 사도행전의 리더십 승계 유형에 대한 분석과 이상적인 모델 연구의 중점적인 핵심에는 〈예수그리스도-12사도(제자들)〉의 리더십 승계 유형이 있다는 것에 착안하여, 이를 위해 사도행전 1장 6-8절에 나오는 예수 승천단락에 반영된 예수-제자들의 리더십 승계 유형을 고찰하려는 것이다. 기존의 연구는 1장 6-8절 단락에 대한 종말론적 접근이나 기독론적 접근 등과 같은 신학적인 접근에 머물러 있다. 하지만 누가는 이 단락을 통해 예수의 대위임 명령 유형(type)을 누가공동체의 리더십을 승계하는 모델로 설정하여 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누가는 사도행전 1장 6-8절에서 증인이 되라는 선교위임을 통하여 리더십 승계가 예수로부터 제자들에게로, 더 나아가 제자들로부터 누가공동체 멤버들에게로 계속 승계가 이어지기를 기대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선교위임을 통하여 누가공동체는 먼저 예수의 하늘로의 여행으로 인하여 예수가 성령을 통하여 제자들에게 부여한 권능으로 리더십을 승계하였다는 것을 밝힌다. 더 나아가 누가는 누가공동체 구성원들이 제자들에게 부여된 권능과 리더십을 승계 받았기에 이제 누가공동체 멤버들도 스데반이나, 바울처럼 증인으로서의 여행을 시작해야 할 것을 시사한다는 것이다. This essay aims to read the ascension narrative of Jesus in Acts 1:6-8 from the perspective of leadership succession. While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theological and missiological significance of the narrative, I argue that the final words of the risen Jesus at his departure to the heaven demonstrate a type or a formula of leadership succession in the Lukan community. In other words, with the charge of becoming witnesses to Jesus’ resurrection, the disciples are now the next agents of God’s salvific ministry on earth. In turn, the authority and power of the first witnesses are expected to be transferred to the next generation of witnesses, i.e., the members of the Lukan community. Hence the double succession, once from Jesus to his disciples, and then from the disciples to the community of believers who heard from them. Figures like Stephen and Paul represent the second-generation witnesses, who are invited to embark their own journeys as witnesses and ultimately succeed their predecessors to the leadership of the church.

      • KCI등재

        갈라디아 공동체의 ‘그 영’[성령]의 경험과 ‘그 영’[성령]의 약속의 대상

        이승문(Seung Moon Lee) 한국신약학회 2012 신약논단 Vol.19 No.4

        본 논문은 갈라디아서의 ‘그 영’[성령]의 경험(3:2-5)과 ‘그 영’[성령]의 약속(3:14)의 대상에 대한 연구이다. 즉 이 연구의 주제가 사회학적 성서해석의 전망에서 바울과 갈라디아 공동체와 갈라디아 대적자들의 삼자간 역학관계 속에서 어떠한 의미를 갖고 어떠한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는지를 규명하려는 것이다. 바울은 갈라디아 공동체 멤버들이 ‘그 영’[성령]을 받은 그들의 경험을 통하여 아브라함의 복과 아브라함의 자손들과 그리고 아브라함의 약속의 대상이 될 수 있었음을 천명했다. 더 나아가 바울은 그들에게 성서의 약속을 상기시킴으로 복음의 진리 가운데 서도록 했다. 갈라디아서 3장에서 바울은 갈라디아 공동체가 ‘율법의 저주’의 대상이며, ‘아브라함의 복’의 대상일 뿐만 아니라 ‘그 영[성령]의 약속’의 대상임을 주장했다. 이와 같이 바울이 주장한 것은 갈라디아 공동체의 갈등을 해소하고, 그들을 대적자들의 ‘다른 복음’으로부터 바울이 전한 복음으로 회귀하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바울은 ‘그 영[성령]의 약속’과 ‘그 영[성령]의 경험’의 이야기를 통하여 ‘다른 복음’에 동조한 갈라디아 공동체 멤버들을 바울의 복음으로 옮기도록 유도했다. This study is a sociological approach to investigate the meanings and the social functions of ‘the experience in receiving the Spirit’ and ‘the promise of the Spirit’ that are dominant in Galatians 3:2-5, 3:14, and to articulate upon how they were interpreted in the interplay of Paul, the Galatian community, and the opponents of the Galatian community. Paul argued that the Galatian members could be the object of the blessings of Abraham, sons of Abraham, and joint heirs in the promises of Abraham through their experiences in receiving the Spirit. In addition to this, Paul helped to remind them about the promises of the Scriptures by which they could stand in truth of the Gospel. In Galatians 3:10-14, Paul asserted that the Galatian community was the object of ‘the promises of the Spirit’ as well as ‘the curse of the Law’ and ‘the blessings of Abraham.’ The intention behind this assertion was to resolve the conflict within the community, to help them to reject the opponents’ gospel, and conform to the gospel presented by Paul. In essense, Paul persuaded the Galatian members of the different gospel to transfer in his gospel through the Story of ‘their experience in receiving the Spirit’ and ‘the promises of the Spirit.’

      • KCI등재
      • KCI등재

        빌립보 교회를 위한 바울의 리더십 승계 전략 : 초기 그리스도교회와 사회 정치적 상황을 중심으로

        이승문(Seung-Moon Lee)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1 신학사상 Vol.- No.194

        본 논문의 목적은 빌립보 교회의 사회 정치적 상황을 사회 과학적 전망에서 재구성하고, 바울이 빌립보서를 저술한 목적과 빌립보 교회의 상황을 수습하기 위하여 동역자들을 어떻게 세우고자 했는지를 고찰하려는것이다. 빌립보 교회는 주로 루디아와 같은 하나님 경외자 출신을 포함한 이방인 그리스도인들로 구성되었다. 바울과 함께 빌립보 교회를 설립한 루디아 이후에 교회 내의 주요 리더십은 가정 교회의 지도자였던 유오디아와 순두게 등의 여성 리더들이 주도하였다. 루디아가 초기에 가졌던 리더십 이후 유오디아와 순두게의 리더십들이 서로 갈등 관계에 직면한 소식을 듣자 바울은 ‘카리스마적 교회’보다 더 안정적인 ‘직무적 교회’ 로의 전환을 위해 빌립보서를 기록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빌립보 교회는 교회 내의 리더십들 간 갈등으로 인하여 불안정한 상태였기에 바울은 자신의 중재에 의해 교회의 대표자였던 에바브로디도의 리더십에 권위를 더 강화하여 복귀시킨 후 빌립보 교회의 대표 동역자로서 교회를 직무적 교회로 전환하기를 희망하였기 때문이다. 이와 아울러 바울이 디모데를 빌립보 교회로 파송하지 않고 자신의 곁에 두고자 했던 것은 여러 정황상 옥중에서 자신의 임박한 죽음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었기에이를 대비한 자신의 리더십 승계가 긴요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reconstruct the socio-political context of the Philippian church from a social scientific perspective so that it can better examine the purpose of Paul’s Epistle to the Philippians and how Paul empowers his co-workers in order to deal with the conflict within the church. Gentile Christians, including God-fearing gentiles like Lydia, constitute the better part of the Philippian church. After Lydia co-established the Philippian church with Paul, women leaders such as Euodia and Syntyche played the main leadership roles within the church. However, when Paul heard about the conflict between women leaders, he wrote the letter to the Philippian church for transforming the church from a ‘charisma-oriented’ church to a ‘office-oriented’ church (Max Weber). For this purpose, he reinforced the leadership of Epaphroditus and sent him to the church as a mediator. In this process, since Paul anticipated the possibility of his death in the prison, he did not send Timothy and placed Timothy near him for the succession of his leader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