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유아교육과 재학생들이 경험하는 진로탐색장애

        김성연 ( Kim¸ Seongyeon ),송한민 ( Song¸ Hanmin ),정혜진 ( Jeong¸ Hyejin ) 한국영유아교육보육학회 2020 영유아교육.보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과에 재학중인 학생들이 진로탐색과 관련하여 겪는 어려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위치한 전문대학과 4년제 유아교육과에 재학중인 1∼4학년 학생 258명을 대상으로 진로탐색장애에 대한 설문지를 배포하고 수합하였다. 진로탐색장애 척도는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자기신뢰, 직업정보부족, 열등감, 흥미와 갈등, 경제적 어려움, 간섭과 불안, 미래불안 총 7개 하위요인으로 나뉘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력과 학년에 따라 진로탐색장애 중 ‘직업정보부족’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교육실습유무에 따라서는 ‘자기신뢰’, ‘직업정보부족’, ‘간섭과 불안’, ‘미래불안’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학생들이 경험하는 진로탐색장애에 대해 심층적으로 알아보고 효과적인 유아교사 양성과정을 마련하기 위한 교육정책에 시사하는 바를 가짐으로써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in relation to career exploration. To do this, the researchers distributed questionnaires to 258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who are studying at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collected them. A scale of a Career exploration disorder is performed by searching factor analysis, low-order factors are divided into self-reliance, lack of job information, feeling of inferiority, interest and conflict, economic difficulty, interference and anxiety, and future anxiety, and collected data by using SPSS 21.0 to perform independent sample T examination and unitary arrangement and distribut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cademic background and grade due to the lack of job information among the obstacles to career search. In addit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practical training in the areas of “self-reliance,” “lack of job information,” “interference and anxiety,” and “future anxiety.” These results are meaningful as an indication of educational policy to investigate in-depth the path search obstacles experienced by students in the infant education department and to establish effective infant teacher training courses.

      • 5G 및 수상드론을 통한 울산항 안전운항 관리 솔루션 및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김성연 ( Seongyeon Kim ),김연진 ( Yeonjin Kim ),김정수 ( Jeongsu Kim ),황준호 ( Jhunho Hwang ),김정민 ( Jeongmin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7 No.2

        전체 해양 사고 원인 중 선박 운항 부주의가 34%로 사고 발생 원인 중 대다수를 차지한다. 해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선박 운항자를 대상으로 효과적인 운항 교육 및 실시간 관제 시스템을 제공해 사고를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울산항만을 현실적으로 반영한 가상현실 시물레이션 및 5g 수상드론을 이용한 운항 교육 시스템과 모든 선박들이 사용가능한 실시간 관제 시스템을 연구하고 이를 울산 항만에 제공한다.

      • KCI등재

        코로나 위기로 인한 상가건물임차료 조정과 ESG 및 위험사회

        김성연 ( Kim Seongyeon ) 연세법학회 2021 연세법학 Vol.38 No.-

        코로나(COVID-19) 팬데믹은 우리의 경제생활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고 많은 경제주체들에게 위기상황을 초래하고 있다. 특히 자영업자의 경우 영업손실로 인하여 고정비 중 큰 비중을 차지하는 임대료 지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임대료 지급으로 인한 자영업자의 위기는 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저해할 수 있다. 이는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ESG의 관점이나 위험사회의 관점에서도 해결책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하여 상가임대차에서의 합리적인 임차료 조정을 위한 현행 법률의 합리적 해석과 입법론적 모색이 필요하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하여 임대인과 임차인 어느 누구의 책임으로 돌릴 수 없는 손실이 발생하고 있고 코로나 위기가 종식될 때까지 일시적으로 임차료 감액을 할 수 있는 법적 장치가 필요하다. 그러나 일방적으로 임차인의 임차료 감액만 인정할 경우 임대인의 희생을 강요하는 결과가 된다. 코로나와 같은 전염병 팬데믹 상황은 임대인과 임차인 어느 일방 당사자의 위험 영역이 아니다. 이러한 경우에 발생하는 위험을 합리적으로 분배할 수 있는 법제도와 법논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ESG의 측면에서도 사회·경제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하여 상가임대차에서 발생하는 위험을 적절히 배분할 수 있는 제도적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불평등을 초래하는 위험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측면에서도 코로나와 같은 전염병 팬데믹으로 초래되는 위험에 상가건물 임차인인인 자영업자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도록 임차료 조정 등을 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임차료 조정을 위해 우리 민법 제627조 및 제628조의 차임감액청구나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 제11조의 차임감액청구 등이 고려가 될 수 있으며 사정변경의 원칙도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각 규정의 해석론과 판례의 입장은 지금과 같은 상황에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특히 사정변경의 원칙의 경우 독일에서는 적용가능한 규정으로 여기고 있으나, 우리의 경우 입법의 미비와 법원의 소극적인 태도로 인하여 적용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독일민법 제536조와 제313조의 적용논의는 우리나라의 상가건물 임차료 조정 가능성에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사정변경의 원칙을 보다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법원의 전향적인 태도가 필요하며, 제도적인 보완으로는 코로나 팬데믹과 같은 상황에서는 일시적으로 임차료조정을 간이한 절차에 신속하게 가능하도록 하는 입법을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 등에서 규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민법에 사정변경의 원칙과 독일민법 제536조와 같은 규정을 도입하되 독일에서 논의되는 한계점을 인식하고 보다 발전적으로 도입할 필요성이 있다. 이와같이 코로나 위기와 같은 상황에서 임대인과 임차인 사이의 임차료 조정을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우리사회의 지속가능성의 관점에서도 바람직하다. The Corona (COVID-19) pandemic is affecting overall economic life and is causing a crisis for many economic units. In particular, the self-employed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paying rent due to operating losses. This lease crisis can undermin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society. It is necessary to seek a solution from the perspective of ESG or risk society, which has become an issue recently. For this, a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current law related to commercial rentals and a legislative search are necessary. Due to the corona pandemic, losses that cannot be attributed to either the lessor or the lessee are occurring. There is a need for a legal mechanism to temporarily reduce the rent until the corona crisis is over. However, if the lessee unilaterally accepts only the rent reduction, it will force the lessor to make sacrifices. A pandemic situation such as Corona is not an area of risk for either the landlord or tenant. It is thought that a legal system and legal logic that can rationally distribute the risks arising in such cases are necessary. In terms of ESG, institutional efforts are needed to properly allocate the risks arising from commercial rental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society and economy. In addition, in terms of solving the problem of a risk society that causes inequality, it must be able to respond to the risk of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rona. Efforts should be made to adjust the rent for commercial building leases. It would be desirabl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ustainability of our society to rationally settle the rent adjustment between the lessor and the lessee. Requests for rent reduction under Articles 627 and 628 of the Civil Code may be considered. In addition, a request for rent reduction in Article 11 of the Commercial Building Lease Protection Act may be considered. And the principle of clausula rebus sic stantibus can also be considered. However, the interpretation of each regulation and the position of precedents are difficult to apply to the current situation. In particular, the principle of change of circumstances, which is regarded as an applicable regulation in Germany, has limitations in its application in our case due to insufficient legislation and passive attitude of the courts. In this regard, the discussion on the application of Articles 536 and 313 of BGB in Germany can suggest implications in this regard. In conclusion, the court's forward-looking attitude is needed to more flexibly apply the principle of clausula rebus sic stantibus. From the institutional point of view, it would be desirable to stipulate legislation such as the Commercial Building Lease Protection Act, etc. that allows temporary rent adjustments to be made quickly in a simple procedure in situations such as the corona pandemic.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introduce regulations such as Articles 313 and 536 of BGB into the Korean Civil Law, recognizing the limitations discussed in Germany and improving it. As such, in a situation such as the corona crisis, it is desirable from the perspective of sustainability in our society to rationally settle the rent adjustment between the lessor and the lessee.

      • SCOPUSKCI등재
      • KCI등재

        Object Detection과 OCR을 활용한 다중 책 제목 검출 모델

        김성연(Seongyeon Kim),박진우(Jinwoo Park),김상민(Sangmin Kim),나융(Yung Na),장유진(Yujin Jang) 한국정보기술학회 2023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2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results of implementing a model that uses a combination of object detection and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OCR) to detect book spine and extract book titles when multiple books in a bookcase are plugged in, thereby confirming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book. The object detection process was divided into book spine detection and book title area detection, and two Yolov5 models were used to increase the performance of object detection. As an OCR result, pre-processing such as grayscale, resizing, and brightness adjustment was performed before entering images into OCR model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ext output. In the process of applying a model designed to compensate for the problem of slow OCR processing time to web applications, it has added a function that allows users to select the book they want. In addition, information such as author, publisher, price, and reviews can be confirmed through book titles extracted through object detection and OCR.

      • 폐타이어 재활용 처리를 위한 열분해 열병합 복합공정기술개발

        김성연(SeongYeon Kim),하만영(ManYeong Ha) 대한기계학회 2008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8 No.11

        The thermochemical recycling of waste tires by pyrolysis is studied to recover the value added three by-products; a pyrolytic carbon black, a pyrolytic oil, and a non-condensable gas. The exhausted energy from pyrolysis of waste tires is converted for electricity power and process steam in cogeneration system. The characteristics of the pyrolysis recovered by-products as alternative energy resource are investigated with the design of a demonstration and a commercialization plant including cogeneration system, as called integrated pyrolysis cogeneration system.

      • KCI등재

        어머니의 위험감수놀이 허용신념과 유아의 창의적 놀이행동 및 또래유능성의 구조적 관계 연구

        김성연(Kim Seongyeon),김윤희(Kim Yunhee)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2 어린이미디어연구 Vol.21 No.1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위험감수놀이 허용신념과 유아의 창의적 놀이행동 및 또래유능성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에 소재하고 있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4, 5세 유아 261명과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다. 어머니의 위험감수놀이 허용신념은 Hill과 Bundy(2012)가 개발한 평정척도를 수정·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유아의 창의적 놀이행동은 황윤세(2008)가 개발한 유아의 창의적 성향 놀이행동평가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또래유능성은 박주희와 이은해(2001)가 개발한 또래유능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AMOS프로그램을 활용한 구조방정식 모델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위험감수놀이 허용신념은 창의적 놀이행동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위험감수놀이 허용신념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직접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유아의 창의적 놀이행동은 어머니의 위험감수놀이 허용신념이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매개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위험감수놀이에 대한 성인의 이해와 허용신념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maternal belief in allowing risky play, creativity in children’s play, and peer competenc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61 children aged 4 and 5, who were enrolled in preschools and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Incheon, Gyeonggi-do, and their mothers. The maternal belief in allowing risky play was used by modifying and translating the mother’s tolerance to risk in play scale developed by Hill and Bundy (2012). The young children’s play assessment for creative disposition developed by Hwang(2008) was used to measure children’s creative play behavior, and peer competence developed by Park & Lee (2001) were used to measure children’s peer competenc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with the SPSS AMOS program to reveal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 of the key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aternal belief in allowing risky play had a direct effect on children’s creative play behavior and had a indirect effect on children’s peer competence through children’s creative play behavior.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children’s creative play behavior was likely to fu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ternal belief in allowing risky play and children’s peer competence. Based on the results, it was discussed that efforts are needed to enhance parental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beliefs and attitude about risky play.

      • KCI등재

        자동차사고와 과실상계

        김성연 ( Kim Seongyeon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17 法學硏究 Vol.27 No.4

        자동차가 증가한 만큼 자동차사고도 많이 증가하였고 자동차사고와 관련한 분쟁도 많이 발생하고 있다. 분쟁의 대부분은 과실비율과 관련한 것이다. 그런데 과실비율산정과 관련하여 불합리한 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현행 자동차보험제도상 교통사고에서 피해자가 더 큰 손해배상을 해야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는 것이다. 정서상 형사상 피해자임에도 불구하고 과실비율에 따라 가해자보다 더 많은 금액을 배상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현행 자동차사고로 인한 손해배상책임제도의 실무와 판례는 가해자에게 100% 과실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피해자에게 과실상계뿐만 아니라 가해자에 대한 손해배상책임을 인정하는 태도를 취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해자와 피해자 사이에 불공평한 상황이 발생하고 있어 문제가 된다. 이러한 태도는 결국 가해자의 불법을 방조하는 결과로까지 이어질 수 있어 교통사고를 감소시키고자 하는 도로교통법 등의 이상과도 맞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는 근본원인은 민사책임에 있어 특히 보험의 적용에 있어 가해자와 피해자를 구분하지 않는 점에서 기인한다. 교통사고가 발생한 경우 경찰조사를 받게 되면 가해자와 피해자를 확정하고 있으며, 보통 과실비율에 따른 배상을 인정하는 경우에도 가해자나 피해자라는 표현을 흔히 사용하고 있는 것과도 맞지 않는다. 따라서 먼저 자동차사고에 있어 가해자와 피해자를 구분하여야 할 것이다. 그 기준으로는 손해가 누구의 과실로부터 현저히 야기되었는지를 가지고 판단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손해발생에 중대하고 핵심적인 영향을 준 관여자를 가해자로 확정하여야 할 것이다. 가해자와 피해자가 확정되었다면 피해자의 과실을 고려하여 과실상계를 하여 가해자의 손해배상액을 조정하여야 할 것이다. 가해자의 손해에 대하여는 전적으로 가해자가 책임을 부담하여야 할 것이며 피해자에게 물적 손해든 인적 손해든 배상책임을 물어서는 안될 것이다. 가해자 자신의 손해는 보험제도를 통하여 해결하는 수밖에 없고, 그 위험은 가해자 자신과 가해자의 보험회사가 전적으로 부담하여야 할 것이다. 현재의 자동차사고로 인한 손해배상책임과 관련한 논의는 주로 합리적인 과실비율을 정하는 문제에만 집중되고 있다. 그러나 과실비율 논의 자체는 전제가 잘못된 것으로 민사책임 영역에서의 가해자와 피해자를 구분하는 논의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며, 그 이후 과실상계로서의 합리적인 과실비율을 정하는 점에 초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Most of the disputes about car accidents relate to the fault rate. However, unreasonable points regarding the calculation of the ratio of negligence are constantly being raised. The current car insurance system often causes victims to make more damages in traffic accidents. Despite the emotional injury, it is often necessary to compensate more than the offender by applying a mechanical fault rate. Except for the fact that the perpetrator has a 100% fault, the practice and the precedent of the liability system for damages caused by the current car accident are taking the attitude of acknowledging the responsibility of compensating the perpetrator as well as offsetting the fault to the injured party. As a result, there is an unfair situation between the perpetrator and the victim, which is a problem. This attitude can eventually result in aiding the illegal abuse of the perpetrator, which is not compatible with the ideal of the Road Traffic Act to reduce traffic accidents. The root cause of these problems arises from the fact that civil liability does not distinguish between the perpetrator and the victim, especially in the application of insurance. In the event of a traffic accident, a police investigation confirms the perpetrator and the victim, and even if the injunction is granted in accordance with the usual rate of fault, it is not consistent with the common use of the expression “perpetrator” or “victi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the victim from the perpetrator in the car accident first. As a rule, it seems to be judged by whose fault the damage was caused. It is necessary to confirm the person who has a major and critical influence on the occurrence of the damage as the perpetrator. If the perpetrator and the victim are confirmed, the damage compensation of the perpetrator should be adjusted by offsetting the fault considering the victim 's fault. The perpetrator shall be liable to the perpetrator for the damages of the perpetrator and shall not be liable to the victim for any loss of property or personal injury. The perpetrator's own damages must be solved through the insurance system, and the perpetrator and the perpetrator's insurance company shall bear the risk entirely. The current debate on liability for damages caused by car accidents is focused solely on the issue of determining reasonable ratios of negligence. However, the discussion of the ratio of negligence itself is wrong, and it should be preceded by a discussion to distinguish between the perpetrator and the victim in the area of civil liability, and thereafter the focus should be on determining a reasonable rate of error as an offsetting of the negligence. The root cause of these problems arises from the fact that civil liability does not distinguish between the perpetrator and the victim, especially in the application of insurance. In the event of a traffic accident, a police investigation confirms the offender and the victim. We also use the expression “abuser” and “victim” when recognizing damages based on the ratio of negligence. Practice does not match this reality. Therefore, in the case of a car accident, it is first necessary to distinguish the victim from the perpetrator. As a rule, it seems to be judged by whose fault the damage was caused. It is necessary to confirm the person who has a major and critical influence on the occurrence of the damage as the perpetrator. It may be an fault as a liability requirement that causes an accident in violation of a state's obligation, even though the accident may be foreseeable. If the perpetrator and the victim are confirmed, the damage compensation of the perpetrator should be adjusted by offsetting the fault considering the victim's fault. The perpetrator shall be liable to the perpetrator for the damages of the perpetrator and shall not be liable to the victim for any loss of property or personal injury. The perpetrator's own damages must be solved through the insurance system, and the perpetrator and the perpetrator's insurance company shall bear the risk entirely. The current debate on liability for damages caused by car accidents is focused solely on the issue of determining reasonable ratios of negligence. However, the discussion of the ratio of negligence itself is wrong, and it should be preceded by a discussion to distinguish between the perpetrator and the victim in the area of civil liability, and thereafter the focus should be on determining a reasonable rate of fault as an offsetting of the negligence. If the perpetrator and the victim are confirmed, the damage compensation of the perpetrator should be adjusted by offsetting the fault considering the victim's fault. The perpetrator shall be liable to the perpetrator for the damages of the perpetrator and shall not be liable to the victim for any loss of property or personal injury. The perpetrator's own damages must be solved through the insurance system, and the perpetrator and the perpetrator's insurance company shall bear the risk entirely. The current debate on liability for damages caused by car accidents is focused solely on the issue of determining reasonable ratios of negligence. However, the discussion of the ratio of negligence itself is wrong, and it should be preceded by a discussion to distinguish between the perpetrator and the victim in the area of civil liability, and thereafter the focus should be on determining a reasonable rate of error as an offsetting of the negligence.

      • KCI등재

        하자담보책임과 채무불이행책임의 관계에 관한 비교법적 동향

        김성연 ( Seongyeon Kim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16 法學硏究 Vol.26 No.2

        하자담보책임과 채무불이행책임의 관계에 관하여 국제적인 동향은 의무위반(채무불이행)을 중심으로 일원화하는 것이다. 이러한 태도는 CISG, EU소비재매매지침 등을 비롯한 국제적인 사법의 통일화 작업이 그 발단이지만 독일의 2002년 개정민법, 일본의 현재의 개정안 등으로 그 영향이 확대되고 있다. 비록 프랑스는 민법에 반영 은 안되었지만 별도의 소비자 법률로 반영이 되면서 일원화의 가능성은 열어두고 있다. 우리민법은 2009년 결성된 민법개정위원회의 민법개정작업에서 이러한 문제 의식을 바탕으로 심도있는 개정논의를 전개하였으나 2013년 민법개정시안으로 채택 되지는 못하였다. 즉 채무불이행책임의 손해배상의 요건으로서의 과실요구와 하자 담보책임의 전통적인 무과실책임론의 상충문제에 대한 논란으로 비록 입법안으로 나오지는 못했지만 그 논의과정 자체만으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비록 여전히 하자담보책임과 채무불이행책임의 관계에 관한 문제는 미해결인 상태로 남겨지게 되었지만 위와 같은 국제적인 일원화 경향은 우리민법의 나아가야 할 방향성으로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물론 우리민법의 현행체계로도 문제가 없으니 굳이 개정할 필요성이 없다는 견해도 있을 수 있지만, 이미 채무불이행책임설과 법정책임설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대립각 자체가 문제가 있다는 점의 반증이다. 또한 오늘날 사법영역에서의 각 국가의 고유성이 없어지는 시점에서, 특히 거래영역에서 인터넷 등의 발달로 국경이 무의미해지는 추세에서 우리만의 이원적인 법체계를 유지하는 것이 타당한지는 의문이다. 한편으로는 대륙법계의 고유성을 강조하여 굳이 영미법체계인 일원적인 태도를 수용할 필요가 있느냐는 주장도 가능하지만 하자 담보책임과 채무불이행책임을 이원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대륙법계의 고유성이라고 할 수 있는지도 의문이다. 따라서 2009년 민법개정위원회에서는 과실책임문제로 인하여 개정이 무산되었으나, 이 문제에 대한 심도있는 논의를 전개해나갈 필요성이 있고 궁극적으로는 국제적 인 추세에 부응하여 일원화로의 입법을 추진해나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Liability for Warranty Against Defects (hereinafter ``Warranty``) and Liability for Default of Obligation (hereinafter ``Default``) are becoming unified given weight to the Default around the globe. It derived from efforts to unify global civil laws, which shows its trigger effect in Germany, Japan, and France. The Korean Civil Act Revision Committee of 2009 had debated on the issue, but failed to submit a proposal for a revised bill. A key factor was how to resolve a conflict between their requirements, i.e. Default requires negligence while Warranty does not. One may argue there is no need to revise it which has no problem in the current Korean legal system. Another may argue there is no need to accept one of the Anglo-American legal system (hereinafter ``the Angle-American``), focusing on the Continental legal system (hereinafter ``the Continental``) accepted in the Korean legal system. I, however, wonder whether dualism which distinguishes between Default and Warranty shows the uniqueness of the Continental. I also wonder the Korean legal system should stick to the Continental in these times when each nation``s peculiarity is fading away especially in the field of civil law. The issue of unification of Default and Warranty should be debated in-depth, even though they failed to revise it in 2009, to revise to unify the liabilities to meet the global trend ultimat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