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국내산 해면 Spirastrella abata로부터 Sterol Peroxide 유도체의 분리

        광식,남경,심정자,정지형,Im, Kwang-Sik,Nam, Kyung-In,Sim, Chung-J.,Jung, Jee-H. 한국생약학회 2000 생약학회지 Vol.31 No.4

        Marine sponges are known to be a source of diverse sterols. In our study on the cytotoxic components of the marine sponge Spirastrella abata, $5{\alpha},8{\alpha}-epidioxy\;{\Delta}^6$ sterols (1-5) and $5{\alpha},8{\alpha}-epidioxy\;{\Delta}^{6,9(11)}$ sterols (6-7) were isolated. The structure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analyses of $^1H-NMR,\;^{13)C-NMR$, and MS data. These compounds were assayed for cytotoxicity against 5 human solid tumor cell lines including A549, SK-OV- 3, SK-MEL-2, XF498, and HCT15.

      • SCOPUSKCI등재

        한약재 추출물의 조골세포 분화 및 파골세포 형성에 미치는 영향

        임남경(Nam-Kyung Im),김현정(Hyun-Jeong Kim),김미진(Mi-Jin Kim),이은주(Eun-Ju Lee),김혁일(Hyuk-Il Kim),이인선(In-Seon Lee) 한국식품과학회 2010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2 No.5

        천연물 유래의 생약에서 조골세포 증식을 높이면서, 파골세포의 분화 억제에 효과가 있는 시료를 검색하고자 15종의 한약재 추출물의 효과를 검토해 보았다. Mouse calvaria 유래의 osteoblastic cells를 이용하여 세포 생존률 및 ALP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또한 마우스 골수 세포를 이용하여 M-CSF와 RANKL을 처리하여 파골세포의 분화를 유도한 후, 세포 생존율과 TRAP효소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두충, 곽향, 개다래, 형개, 정공등 추출물은 조골세포 증식 및 ALP 활성를 증가시켰으며, 파골세포 활성을 나타내는 TRAP활성이 억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 추출물들은 조골세포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파골세포의 기능을 억제하여 골 흡수와 관련된 질환과 함께 골 질환 예방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Bone is continuously remodeled by osteoblasts and osteoclasts.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edicinal herbs, which act on bone metabolism. Fifteen kinds of medicinal herb extracts were screened for bone formation activity with osteoblastic cells, and MC3T3-E1 and bone resorption were screened with osteoclasts derived from mouse bone marrow macrophages. Among these samples, Actinidia polygama, Eucommia ulmoides Oliv., Schizonepeta tenuifolia, Sorbus commixta, and Zingiber officinale Rosc. extracts showed strong bone-forming activity accompanied with osteoblast proliferation and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In addition, these extracts decreased 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activity against osteoclast differentia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se medicinal herb extracts can potentially prevent bone-related diseases such as osteoporosis by increasing osteoblast differentiation and reducing osteoclast activity.

      • KCI등재

        아보카도 과육, 과피 및 씨 추출물이 조골세포 분화 및 파골세포 형성에 미치는 영향

        김미진(Mi-Jin Kim),임남경(Nam-Kyung Im),유미희(Mi-Hee Yu),김현정(Hyun-Jeong Kim),이인선(In-Seon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7

        본 연구에서는 아보카도가 골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아보카도 과육, 과피 및 씨로 나누어 각각 메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여 osteoblastic MC3T3-E1 cells을 이용한 골 형성능과 마우스 골수 세포로부터 유래된 파골세포를 이용한 골 흡수능을 측정하였다. 아보카도 과육 추출물을 제외한 과피 및 씨 추출물은 조골세포의 증식 및 ALP 활성을 증가시켰으며, 파골세포에 대해서는 아보카도 과육 및 과피 추출물에서 세포독성 없이 TRAP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아보카도 과피의 핵산 분획은 조골세포의 증식 및 ALP 활성을 크게 증가시켰으며, 아보카도 과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은 파골세포의 분화지표인 TRAP 활성을 크게 억제하였다. 따라서 아보카도 과피는 조골세포의 증식과 파골세포의 억제에 관여할 수 있는 우수한 소재로 향후 골다공증의 치료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가진 천연물소재로 생각된다. Avocado (Persea americana Mill., Family Lauraceae) is an important subtropical crop in the Americas where it has been cultivated for several thousand years. To investigate the bioactivities of avocado, which acts on bone formation, we prepared methanol extracts from the sarcocarp, peels, and seeds of avocado. The methanol extracts of peels and seeds showed higher bone-forming activity than avocado sarcocarp extracts accompanied by MC3T3-E1 osteoblast proliferation and alkaline phosphatase (ALP) activity. Additionally, the extracts of sarcocarp and peel from avocado also decreased 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TRAP) activity against differentiation of osteoclasts, derived from mouse bone marrow macrophages. The hexane fraction from avocado peels showed strong bone-forming activity accompanied by osteoblast proliferation and ALP activity (1 7 0 .7 ± 8.4%), and the ethyl acetate fraction from avocado peel decreased TRAP activity (5.2±0.3%) and differentiated osteoclasts at 50 ㎍/㎖. Therefore, avocado is expected to be a natural source for developing medicinal agents to prevent bone-related diseases, such as osteoporosis, by increasing osteoblast differentiation and reducing osteoclast activity.

      • KCI등재

        독활의 항혈소판 및 항산화 효과

        양선아(Seun-Ah Yang),임남경(Nam-Kyung Im),지광환(Kwang-Hwan Jhee),이인선(In-Seon Lee) 한국생명과학회 2008 생명과학회지 Vol.18 No.3

        독활 메탄올 추출물과 그 분획의 항혈전 및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ADP를 이용하여 혈소판 응집억제효과를 탐색하고 DPPH 및 ABTS-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여 항산화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독활, 특히 EtOAc 분획은 ADP에 의해 유도된 혈소판응집과 트롬빈에 의한 혈소판 부착에 대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높은 폴리페놀 함량과 가장 높은 라디칼 소거능을 통하여 독활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독활 EtOAc 분획의 높은 DPPH 및 ABTS radical 소거능이 항혈소판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The dried roots of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is known to have the potential for anti-inflammation and anti-rheumatic, but their effects on thrombosis are not clear.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anti-platelet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A. continentalis Kitagawa. Methanol extract and its various fractions of A. continentalis Kitagawa inhibited ADP-induced platelet aggregation, and EtOAc fraction showed strongest inhibition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with a IC?? value of 217.7 ㎍/ml. Moreover, the EtOAc fraction contained 77.7% of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nd 43.1% of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scavenging activity at 0.1 ㎎/ml. In addition, the methanol and EtOAc fraction dose-dependently inhibited thrombin-stimulated platelet adhesion to collagen or fibrinogen. Coll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olyphenol-rich EtOAc fraction from A. continentalis Kitagawa can reduce platelet hyperactivation by scavenging free radicals. Thus, the EtOAc fraction of A. continentalis Kitagawa is a potential source for inhibition of platelet-dependent thrombosis.

      • SCOPUSKCI등재

        단삼 메탄올 추출물의 항혈전 및 항산화 효과

        양선아(Seun-Ah Yang),임남경(Nam-Kyung Im),이인선(In-Seon Lee) 한국식품과학회 2007 한국식품과학회지 Vol.39 No.1

        단삼 메탄올 추출물의 항혈전 및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혈소판의 응고 억제효과, 혈장응고시간의 연장, 혈전용해 활성으로 항혈전 효과를 고찰하였으며 DPPH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여 항산화 효과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단삼의 메탄올 추출물은 항혈전과 항산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추출물은 혈소판응고 억제, 혈액응고시간 연장 및 혈전용해 활성에 모두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폴리페놀 함량이 높고 DPPH radical 소거능도 매우 좋았다. 이로서 단삼의 높은 DPPH radical 소거능이 항혈전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되며, 정확한 효과 및 혈소판의 기능을 조절하는 기전에 대한 연구는 이 결과들을 바탕으로 현재 진행 중에 있다. Salvia miltiorrhiza Bunge is known to potentially prevent arteriosclerosis and hypertension, but its effects on platelet function are not clear.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in vitro antithrombotic activities of the edible plant extract. Methanol extract of S. miltiorrhiza Bunge exhibited about 70% fibrinolytic activity compared to the plasmin control, and inhibited ADP- and collagen-induced platelet aggregation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with IC?? values of 0.42 and 0.07 ㎎/㎖, respectively. S. miltiorrhiza Bunge extract significantly prolonged the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 and prothrombin time (PT) compared with control. Moreover, 0.05 ㎎/㎖, S. miltiorrhiza Bunge extract contained 87.3% 1, 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y. In conclusion, S. miltiorrhiza Bunge seemed to enhance antithrombotic activity due to i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Based on these data, further examination is required to determine the mechanism of platelet-dependent antithrombosis and the effect of polyphenols on platelet function.

      • KCI등재

        라벤더, 실버퍼, 그레이프후룻 정유 흡입이 마우스의 구속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양선아(Seun-Ah Yang),전상경(Sang-Kyung Jeon),이은정(Eun-Jung Lee),임남경(Nam-Kyung Im),심창현(Chang-Hyun Shim),이인선(In-Seon Lee) 한국생명과학회 2010 생명과학회지 Vol.20 No.8

        천연 허브에서 추출된 정유의 스트레스 완화능이 알려지면서 화장품, 식품 산업뿐 아니라 다양한 기능성 제품에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유 향 흡입의 스트레스 완화 효과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를 마련하기 위하여 마우스의 구속 스트레스에 대한 3가지 정유의 흡입 효과를 비교 하였다. 마우스를 1시간 구속한 경우 혈청 코티졸 농도의 유의적인 상승, 체온의 저하 및 혈중 중성지질의 상승을 확인하였으며, 10% 라벤더 오일을 30분간 흡입 한 경우, 혈청 코티졸 농도 상승 및 체온 저하가 유의적으로 억제되어 스트레스 완화 효과가 가장 좋았다. 한편 혈중 중성지질의 증가 억제효과는 실버퍼 오일 흡입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폭넓게 사용되는 정유를 이용하여 정유 향 흡입의 스트레스 완화 효과를 측정 함으로서 앞으로의 연구와 활용에 대한 기본적인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The effects of inhaling three essential oils (lavender [Lavendular angustifolia], silver fir [Abies alba], and grapefruit [Citrus paradise]) against restraint stress were investigated in mice. Serum cortisol leve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1h-restraint group. Also, silver fir and grapefruit oils prevented the elevation of cortisol levels under experimental conditions. Inhalation of 10% lavender oil for 30 min before inducing stress significantly inhibited restraint-induced hypothermia. We also investigated the effects of restraint stress on triglycerides, total cholesterol, and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t was found that the concentration of triglycerides in the serum samples increased after restraint stress. Silver fir essential oil inhibited elevation of triglyceride levels. Taken all together, the correlation of herb essential oil inhalation against restraint stress in animals can partly be explained.

      • SCOPUSKCI등재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항고혈압 활성

        유미희(Mi-Hee Yu),효권(Hyo-Gwon Im),임남경(Nam-Kyung Im),황은영(Eun-Young Hwang),최준혁(Jun-Hyeok Choi),이은주(Eun-Ju Lee),김종부(Jong-Boo Kim),이인선(In-Seon Lee),서화정(Hwa-Jeong Seo) 한국식품과학회 2009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1 No.4

        본 연구에서는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이 ACE 억제효과와 본태성 고혈압쥐의 혈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배양액 및 lysozyme법, sonication법, solvent extract 법으로 균체를 추출하여 ACE 억제효과를 살펴본 결과, 배양액 보다는 균체를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에서 공시균주에 비해 ACE 억제효과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균체 추출시료 중 LG 7, 8, 42가 전반적으로 높은 ACE 억제효과를 나타내어 이들의 균체를 본태성 고혈압쥐(SHR)에게 4주간 투여한 결과, WKY 대조군(I)이 4주간 81 g 정도의 체중 증가를 보인 반면, SHR 대조군(V)은 52 g 정도의 체중 증가를 보여 정상혈압 쥐에 비해 고혈압 쥐의 체중의 증가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산균의 장기투여가 고혈압 쥐의 체중 및 장기무게에 유의적인 영향을 주지 않았다. 혈청 중 총 콜레스테롤 농도와 중성지질 농도는 SHR 대조군(V)에 비해 유산균 투여군(X, XI)에서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는 아니었으며, SHR에 LG 42 유산균을 섭취시킴으로서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의 농도는 감소하고, HDL 콜레스테롤의 농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산균 투여 후 4주째의 최종 혈압을 비교한 결과, LG 42를 투여함에 따라 기준혈압에 비해 농도 의존적(1×10sup{7}, 1×10sup{9} cfu/mL)으로 각각 12, 27% 감소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nti-hypertensive effect of Lactobacillus sp. isolated from Kimchi by examining its effects on renal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y activity, lipid components and blood pressure using the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 (SHR) system. Most Lactobacillus sp. extracts (lysozyme, sonication and ethyl acetate extracts) showed higher capacities for the inhibition of ACE activity than those of cultured media. Particularly, LG 7, 8 and 42 of Lactobacillus sp. showed the strongest inhibitory activity among the Lactobacillus sp. extracts. The concentrations of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s in the serum were lower in the Lactobacillus sp. administration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 but these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The HDL-cholesterol concentrations of the LG 42 administration groups (IX, X)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t 4 weeks, the systolic blood pressure (SBP) in the LG 42 Lactobacillus sp. (1×109 cfu/mL) group (XI) was about 27%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V). No adverse effects were observed on the liver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nd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values among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long term consumption of LG 42 Lactobacillus sp. may be beneficial to the prevention of high blood pressure.

      • KCI등재

        Bioactivity and Chemical Composition of the Essential oil of Tea Tree (Melaleuca alternifolia)

        Seun-Ah Yang(양선아),Sang-Kyung Jeon(전상경),Eun-Jung Lee(이은정),Nam-Kyung Im(임남경),Ji-Young Jung(정지영),In-Seon Lee(이인선) 한국생명과학회 2008 생명과학회지 Vol.18 No.12

        티트리 에센셜 오일은 호주 원주민들의 전통적인 피부 소독제나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항균효과와 주요성분 등 많은 보고가 있으나 추출 방법이나 사용 부위 등에 따라 효능의 차이를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아로마테라피 등에 현재 많이 이용되고 있는 시판 티트리 오일의 성분과 효능을 평가하여, 다른 에센셜 오일과의 비교 이용을 용이하게 하고자 하였다. 티트리 오일의 주요성분은 GC-MS 분석에 의하여 β-terpinene (20.87%), α-pinene (17.60%), p-cymene (11.23%), 3-carene (10.40%), trans-anethole (8.47%), limonene (4.65%)으로 밝혀졌으며, 5% 이하의 농도에서 3시간 미만까지는 피부세포에 독성이 없었다. 오일의 라디컬 소거능을 알아본 결과, DPPH와 ABTS의 양라디컬에 대하여 강한 소거능을 나타내어 강한 항산화능을 시사했다. 또한, 오일의 direct contact와 vapor-phase의 항균활성을 disc diffusion법으로 스크리닝 한 결과, direct contact 활성의 경우 그람음성균에 대하여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vapor는 S. aureus에 대하여 강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실제 많이 사용되는 티트리 오일의 성분과 생물활성을 측정함으로써 허브 오일들의 정확한 선택과 활용을 위한 기본적인 결과를 얻었다. The essential oil of tea tree (Melaleuca alternifolia) is widely used in traditional Australian medicine for skin lesions and infected injurie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chemical composition, cytotoxicity and its biological activities. The composition of the oil was analyzed by GC-MS. β-Terpinene (20.87%), α-pinene (17.60%), p-cymene (11.23%), 3-carene (10.40%), trans-anethole (8.47%) and limonene (4.65%) were the major components in the oil. The results tested by MTT assay indicated that the oil showed no cytotoxic effect, at concentrations up to 5%, for less than 3h. The antiradical capacity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scavenging activity of the essential oil on the 2,20-diphenylpicrylhydrazyl (DPPH) and 2,2'-azino-bis 3-ethyl 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s. The oil was able to reduce the both radicals dose-dependently, and the concentration required for 50% reduction (RC??) against ABTS radicals (1.6±0.02%) was slightly lower than DPPH radicals (2.6±0.29%). The direct contact and vapor-phase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oil were also evaluated using disc diffusion method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Streptococcus mutans, Listeria monocytogenes, Acinetobacter baumannii, Escherichia coli, and Vibrio parahaemolyticus. All the Gram-negative bacterial strains tested showed more sensibility to the oil than the Gram-positive strains when compare to the effect of gentamycin. On the other hand, the vapor phase of the essential oil against S. aureus exhibited strongest inhibitory effect.

      • SCOPUSKCI등재

        소리쟁이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이를 첨가한 양념돈육의 품질특성

        김현정(Hyun-Jeong Kim),황은영(Eun-Young Hwang),임남경(Nam-Kyung Im),박수경(Soo-Kyoung Park),이인선(In-Seon Lee) 한국식품과학회 2010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2 No.4

        소리쟁이 주정추출물은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각각 108.24±3.29 ㎍/㎎, 33.06±2.24 ㎍/㎎이었고, 환원제로 작용하며 DPPH 소거활성을 가지는 높은 항산화능을 보였다. 소리쟁이 추출물을 첨가한 양념소스에서도 시료첨가량이 증가할수록 DPPH 소거능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소리쟁이 추출물을 첨가한 양념 돈육을 제조하여 4℃에서 21일간 저장하면서 품질 특성을 검토한 결과, 소리쟁이 첨가 양념돈육은 0.1% BHA 처리구와 유사하게 대조구에 비해 총세균수 및 지방산패도가 감소되었으며, 대장균군은 검출되지 않았다. 특히 소리쟁이 추출물을 1% 첨가한 양념돈육은 대조구보다 냄새, 다즙성, 연도에서 높은 관능값을 보였다. 따라서 우수한 항산화능을 가진 소리쟁이 추출물은 양념 돈육에서 저장성 및 품질특성의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소재라고 여겨진다.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of Rumex crispus (RC) were investigated in vitro. Contents of total polyphenols and total flavonoids in RC ethanol extracts were 108.24±3.29 ㎍/㎎ and 33.06±2.24 ㎍/㎎, respectively. The antioxidant capacities of RC extracts were high. The RC extracts were capable of directly scavenging DPPH free radicals by acting as reducing agents. This study was also conducted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asoned pork treated with RC extracts during storage at 4℃ for 21 days. Seasoned pork was produced containing 0, 1, and 3% RC extracts and 0.1% BHA. The DPPH scavenging effect of the seasoning sauces was increased by the addition of RC extracts. The total bacteria and TBARS values of seasoned pork with RC extracts were decreased compared to control, whereas coliform bacteria were not detected after longer storage periods. With regards to sensory evaluation, seasoned pork treated with 1% RC had stronger odor, juiciness, and tenderness compared to seasoned pork.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seasoned pork with RC extracts for the improvement of shelf-life and quality.

      • KCI등재

        Lactobacillus spp. 이용 발효 붉나무의 기능성물질 검색에 대한 연구

        Dong-Sung Lee(이동성),Min-Su Kang(강민수),Youn-Chul Kim(김윤철),Nam-Kyung Im(임남경),Hyun-Su Kim(김현수),Gil-Saeng Jeong(정길생) 한국생명과학회 2013 생명과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에서는 한약재를 Lactobacillus속 균주로 발효시켜 기능성물질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선별한 발효에 사용한 10가지 한약은 100% methanol로 추출하여 Lactobacillus속 균주와 MRS배지를 첨가하여 사용하였고 발효 후 ethyl acetate로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10가지 중 붉나무를 Lb. brevis KCTC 3498로 발효하고 ethyl acetate로 추출한 추출물에서 마우스 해마 유래 세포주인 HT22 세포에서 glutamate로 유발된 산화적 손상으로부터 세포 보호효과가 우수했으며, 이는 heme oxygenase-1 단백질 발현에 의한 것 임을 밝혔다. 또한, 뇌세포 보호에 heme oxygenase-1 발현의 주요 기전인 Nrf2 핵 내의 전사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붉나무의 발효 전과 후의 항균, 항산화 효과 비교 실험에서는 붉나무를 Lb. plantarumsubsp . plantarumKCTC 3108, Lb. fermentum KCTC 3112, Lb. brevisKCTC 3498 균주로 각각 발효한 한약재는 발효 전보다 항산화 활성이 높아지거나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Lb. plantarumsubsp . plantarum KCTC 3108 , Lb. casei KCTC 3109로 발효한 붉나무 발효액과 ethyl acetate 여액층은 Bacillus subtilis PCI 219, Escherichia coli KCTC 1682, Shigella flexneri KCTC 2517, Vibrio parahaemolyticus KCTC 7471, Pseudomonas aeruginosa KCTC 2004에 모두 항균활성을 보였다. 붉나무를 Lb. brevis KCTC 3498로 발효하여 ethyl acetate로 추출한 추출물은 B. subtilisPCI 219, E. coliKCTC 1682, S. flexneri KCTC 2517, V. parahaemolyticus KCTC 7471 균주에서 발효한 추출물이 단순 붉나무 추출물보다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To determine the potential function of Rhus javanicain Korean medicine, it was fermented with each strain of Lactobacillus spp. Each strain of Lactobacillus spp. was inoculated in lactobacilli MRS broth, and 5 ㎎/㎖ of methanol extract of Rhus javanicawas added. In mouse hippocampal HT22 cells, ethyl acetate extract of R. javanica fermented with L. brevis KCTC 3498 induced heme oxygenase-1 expression and showed a significant cytoprotective effect on glutamate-induced oxidative damage. The cytoprotective effect was related to the transcription of the nuclear factor E2-related factor2 (Nrf2), which is responsible for the induction of heme oxygenase-1 within the nucleus. The antimicrobial, antioxidant, and heme oxygenase-1 expression activities of fermented R. javanica were measured after extraction with ethyl acetate. R. javanica fermented with L. plantarum subsp. plantarum KCTC 3108, L. fermentum KCTC 3112, and L. brevis KCTC 3498 had higher antioxidant activity than nonfermented R. javanica.The fermented R. javanicawith L. plantarumsubsp. plantarumKCTC 3108, L. caseiKCTC 3109 after ethyl acetate extraction showed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Bacillus subtilisPCI 219, Escherichia coli KCTC 1682, Shigella flexneri KCTC 2517, Vibrio parahaemolyticus KCTC 7471, and Pseudomonas aeruginosa KCTC 2004. An ethyl acetate extract of the fermented R. javanica with Lactobacillus brevis KCTC 3498 exhibited stronger antibacterial activity than a nonfermented one against strains of B. subtilis PCI 219, E. coli KCTC 1682, S. flexneri KCTC 2517, and V. parahaemolyticus KCTC 747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