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현초엑기스의 실험적 위궤양에 미치는영향

        이명렬(Myung-Yul Lee),정명현(Myung-Hyun Chung) 한국생약학회 1980 생약학회지 Vol.11 No.1

        각지에 야생하는 숙근초이며 주로 탄닌을 함유한 현초의 실험적 위궤양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1) 현초엑기스는 시험관내의 펩신활성도 측정에서 펩신의 단백분해효소작용에 대한 저해효과를 나타냈다. 2) 유문부를 결찰시킨 쥐에서 펩신활성도 및 위산분비저해에 좋은 효과를 나타냈으나 위액량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3) 쉐이궤양에서 100㎎/㎏경구투여로 매우 좋은 궤양치유효과를 나타냈으며 또한 1g/㎏경구투여로 정상위와 비교하여 볼 때 아무런 차이를 발견치 못했다. 4) 초산궤양에서 500㎎/㎏경구투여시 체중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고 궤양치유효과가 있었다. 위와 같은 실험결과를 통하여 볼 때 현초엑기스는 실험적 위궤양에 대한 치유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어 이에 보고하고자 한다.

      • SCOPUSKCI등재

        토사자 추출물이 실험적으로 유발된 가토의 간장기능장애에 미치는 영향

        이명렬(Lee Myung Yul),전성주(Jun Sung Jo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8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18 No.3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effects of Cuscutae semen extract(C. S. E) on CCl₄-induced liver damage in rabbits and acute toxicity in mice.<br/> LD_(50)(㎎/㎏) of C. S. E. was 7.83g/㎏ by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in mice.<br/> C. S. E. groups were showed more rapid recuperation than the control group intoxicated by CCl₄ only.<br/> SGPT activity was lowered significantly in 800㎎/㎏ after 6 days.<br/> The levels of total cholesterol and total bilirubin and alkaline phosphatase were decreased apparently in 800㎎/㎏ from 6 days.<br/> It is suggested that C. S. E. can be administered not only as a therapeuticagent(such as liver tonics) but also a healthy food to shorten the recovery time in liver diseases.

      • SCOPUSKCI등재

        두릅나무抽出物이 Alloxan으로 誘發된 家兎의 高血糖에 미치는 影響

        이명렬(Myung-Yul Lee),이장순(Jang-Soon Lee),서화중(Hwa-Jong She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8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17 No.1

        Effect of Aralia elata extract on experimentally alloxan-induced diabetes in rabbits and toxicity of mouse were studied; LD_(50) of Aralia elata extract (A. E. E.) was 5.5g/㎏ intraperitoneally in mice. A. E. E. 800㎎/㎏ exhibited more excellent hypoglycemic effect after 6 days and 14 days in 200㎎/㎏,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br/> Blood urea nitrogen leve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6 days in 800㎎/㎏, and blood levels of total cholesterol and CPT activity were showed more significant decreasing effect in 800㎎/㎏ than 200㎎/㎏.

      • SCOPUSKCI등재

        부추녹즙이 사염화탄소 투여에 의한 흰쥐의 간손상에 미치는 영향

        이명렬(Myung-Yul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0 No.1

        부추녹즙이 사염화탄소 투여로 유발된 흰쥐의 간손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체중이 약 100 g정도되는 Sprague-Dawley계 웅성 흰쥐를 대조군, 부추녹즙 투여군, 사염화탄소 투여군 및 부추녹즙과 사염화탄소 병합투여군으로 나누어, 6주간 일정조건(20±2℃, 채광 12시간 주기)에서 기본식이와 물을 충분히 공급하면서 사육한 후 혈청중 GOT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GPT(glutamic pyruic transaminase)활성 및 간 중의 항산화 효소인 SOD, catalase 및 GSH-Px의 활성, lipid peroxide함량 및 glutathione함량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사염화탄소(50% 1 mL/kg, for 2 days, I.P.) 투여군의 혈청중 GOT 및 GPT의 활성도, 간중의 TBA반응생성물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증가되었으나, 사염화탄소 투여 후 6주간 부추녹즙( 8 mL/kg, b.w/day, P.O.)을 투여할 때 사염화탄소만을 투여한 군에 비하여 유의성있게 감소되었으며 대조군의 치에 근접하였다. 또한 유리계 해독계 효소인 SOD, catalase 및 GSH-Px의 활성도 사염화탄소 투여로 대조군에 비하여 모두 증가되었으나, 부추녹즙과 사염화탄소 병합투여로 SOD 및 GSH-Px활성은 사염화탄소 투여군에 비하여 유의한 감소효과를 나타냈으며, catalase의 경우 감소는 되었으나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 비효소적 항산화물인 glutathione 함량은 사염화탄소 투여로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됐으나 부추녹즙과 사염화탄소 병합투여로 사염화탄소 투여군에 비하여 많은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실험결과에서 사염화탄소 투여로 각종 효소 활성도 및 지질과 산화물이 증가되었는데 이는 사염화탄소 투여로 간세포에 손상이 유발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부추녹즙과 사염화탄소를 투여한 군에서 사염화탄소 투여로 증가된 각종 항산화 효소 활성, 지질과산화물함량 및 감소된 glutathione함량이 대조군의 치와 유사하게 변화되었음은 부추녹즙이 항산화 효소인 SOD, catalase 및 GSH-Px활성을 증가시키는 각종 free radical의 생성을 감소시키는 생리활성물질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또한 부추녹즙이 손상된 간기능을 회복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eek green juice on the damaged liver of CCl₄-treated rats, Sprague-Dawley male rats weighing about 100 g, were divided into 4 groups; control group (CON), leek green juice-administered group (LGJ), CCl₄-treated group (CCL) and leek green juice and CCl₄-treated group (LCL). After 6 weeks, the activities of sGPT and sGOT, and content of hepatic TBA-reactants, elevated by CCl₄ treatment, were markedly decreased by administering leek green juice, compared to CCL. It was also observed that activities of hepatic SOD and GSH-Px were elevated by CCl₄-treatment as compared to CON, but concomitant treatment of leek green juice and CCl₄ decreased those levels adjacent to CON, whereas catalase activity did not show significant decreasing effects compared to CCL. The hepatic content of glutathione, decreased by CCl₄, was more abundantly increased by leek green juice administration than by CCL. These results suggest that leek green juice is believed to be a possible protective effect for the carbon tetrachloride-induced hepatotoxicity in rat liver.

      • KCI등재SCOPUS

        Latobacillus plantarum AF1이 생성한 조항진균 물질의 흰쥐에 대한 반복투여독성

        이환 ( Hwan Lee Myung ),이명렬 ( Yul Lee Hae ),장해춘 ( Choon Chang Jae ),이재준 ( Joon Lee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구 한국농산물저장유통학회) 2013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20 No.3

        본 연구는 김치산막효모억제 유산균인 Lb. plantarum AF1이 생산한 조항진균 물질 부분 정제물을 SD계통의 흰쥐에게 4주간 반복 경구투여를 통하여 장기투여에 의한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암·수 흰쥐에 Lb. plantarum AF1이 생산한 조항진균 물질 부분 정제물을 0, 500, 1,000 및 2,000mg/kg/day의 용량으로 4주간 반복 경구투여한 후 사망률, 일반증상, 체중변화, 사료섭취량, 수분섭취량, 부검소견, 장기무게 변화, 혈액학적, 혈액생화학적 및 병리조직학적 검사를 실시하였다. 모든 시험군에서 전 시험기간 시험물질로 인한 임상증상 및 사망동물이 관찰되지 않았다. Lb. plantarum AF1이 생산한 조항진균 물질 부분 정제물의 경구투여 결과 체중이 4주간 지속적으로 증가되었지만 대조군과 유의성 있는 변화가 없었다. 또한 장기의 육안적 관찰, 장기 중량변화,혈액학적, 혈액생화학적 및 병리조직학적 검사에서도 모든 시험물질 투여군이 대조군과 유의성이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모두 정상 범위의 수치로 시험물질에 기인하는 이상 소견을 발견할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 4주 반복투여 독성시험 결과 Lb. plantarum AF1이 생산한 조항진균 물질 부분 정제물은 저독성의 안전한 물질로 판정되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four-week repeated-dose toxicity of the crude antifungal compounds produced by Lactobacillus plantarum AF1 (Lb. plantarum AF1), a lactic acid bacterium isolated from kimchi, in male and female rats. Sprague-Dawley male and female ra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with 10 animals in each group. The test article was administered once daily by gavage to rats at dosage levels of 0, 500, 1,000, and 2,000 mg/kg/day for four weeks. There were no test-article-related deaths or abnormal clinical signs in both the male and female rats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Furthermore, no differences in the body weight changes, food intake and water consumption levels of the control and treatment groups were found. The hematological parameters, serum biochemical analysis results,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results and all other findings also showed no significant or dose-dependent changes. There were also no changes in the organ weights upon the administration of the crude antifungal compounds produced by Lb. plantarum AF1.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oral administration of the crude antifungal compounds produced by Lb. plantarum AF1 had no adverse effects up to a dosage level of 2,000 mg/kg in both male and female rats.

      • KCI등재

        구운 마늘 분말이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체내 지질대사에 미치는 효과

        이은주(Oun-Ju Lee),이재준(Jae-Joon Lee),이명렬(Myung-Yul Lee),이현주(Hyun-Joo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1 No.1

        본 연구는 구운 마늘 분말의 혈청, 간 및 지방조직의 체내 지질대사 개선효과와 항비만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5주령된 흰쥐 수컷 32마리를 10일간 적응시킨 후 정상군(N),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군(대조군, C),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와 1.5% 구운 마늘 분말 첨가군(GPL) 및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와 3% 구운 마늘 분말 첨가군(GPH)으로 나누어 4주간 실시하였다. 체중증가량과 식이섭취량은 실험군들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식이효율은 고지방-고콜레스테롤을 급여한 군들(C, GPL, GPH)이 대조군(C)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체중 100 g 당 간조직 및 장간막지방조직의 무게는 구운 마늘 급여에 따른 유의차는 없었고, 부고환지방 조직의 무게는 구운 마늘 분말 1.5%와 3% 첨가군들(GPL, GPH)이 대조군(C)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인하여 혈청 ALT, AST, ALP 및 LDH 활성이 증가되었으나, 혈청 AST 및 LDH 활성은 3% 구운 마늘 분말 첨가로 유의하게 저하되었다. 혈청 중성지방과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 급여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구운 마늘 분말 첨가 수준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3% 구운 마늘 분말첨가군(GPH)은 대조군(C)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 급여로 감소되어진 혈청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구운 마늘 분말 첨가로 증가하였고, 혈청 LDL-콜레스테롤 함량, 동맥경화지수 및 심혈관위험지수는 구운 마늘 분말 첨가로 감소하여 동맥경화 및 심혈관 질환의 발병 위험률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로 간과 지방조직의 중성지방 및 총콜레스테롤 함량이 증가되었으며,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증가된 간조직과 장간막지방조직의 총콜레스테롤 함량, 부고환조직의 중성지방 함량은 구운 마늘 급여로 저하되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 구운 마늘은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혈청, 간 및 지방조직의 지질대사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체내 지질대사 개선과 심혈관계 질환 예방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baked garlic powder on the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a high-fat/highcholesterol diet for 4 weeks to induce hyperlipidemia.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assigned 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dietary fat, cholesterol and baked garlic powder levels.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normal diet group (N), a high-fat/high-cholesterol diet group (C), a high-fat/high-cholesterol diet with 1.5% baked garlic powder group (GPL) and a high-fat/high-cholesterol diet with 3% baked garlic powder group (GPH). The body weight gain, food intake and food efficiency ratio were similar in the experimental groups. The epididymal adipose tissues weight of the C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N group, whereas those of the groups fed baked garlic powder were decreased gradually. The ALT and ALP activities were similar in the C groups, but the serum AST and LDH activities elevated by a high-fat/high-cholesterol diet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by feeding a 3% baked garlic powder diet. The serum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levels as well as the atherogenic index and cardiac risk factor tended to decrease in the groups fed baked garlic powder than the C group, whereas the serum HDL-cholesterol level was lower in the C group and remarkably in groups fed baked garlic powder than the control group. The total cholesterol level in the liver and mesenteric adipose tissue and the triglyceride level in epididymal tissue were lower in the groups fed baked garlic powder than the C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baked garlic powder reduces the serum lipid components and improves the lipid metabolism in hyperlipidemic rats induced with a high-fat/high-cholesterol diet.

      • KCI등재

        매생이 추출물이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이정화(Jeong Hwa Lee),이유미(Yu Mi Lee),이재준(Jae Joon Lee),이명렬(Myung Yul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5 No.4

        매생이의 체내 지질대사 개선 효능을 구명하기 위하여 in vivo에서 콜레스테롤 식이로 유발된 고콜레스테롤혈증 억제효능 효과를 측정하여 검토한 결과, 고콜레스테롤 식이만을 급여한 HC군은 NC군에 비하여 높은 체중증가율을 나타내었다. 매생이 에탄올 추출물 투여군들은 HC군에 비하여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특히 매생이 에탄올 추출물 고용량 병합 투여한 HC-CFH군의 체중증가율이 HC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정상식이에 매생이 에탄올 추출물을 투여한 NC-CFL군과 NC-CFH군은 NC군에 비해 체중증가율이 저하되었으나 유의차는 없었다. 식이섭취량은 실험군들 간에 유의차가 없었다. 혈청 중 지질함량 변화는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한 HC군은 NC군에 비하여 중성지방과 총콜레스테롤 함량이 증가되었으며, 고콜레스테롤 식이와 매생이 에탄올 추출물을 병합 투여한 HC-CFL군과 HCCFH군의 경우 NC군에 가깝게 감소되었으나 유의차가 없었다. 혈청 인지질 함량은 NC군이 HC군에 비해 유의한 증가 효과를 보였으며, 고콜레스테롤 식이와 매생이 에탄올 병합 투여군들의 혈청 인지질 함량은 NC군 수준으로는 증가되지 않았지만 HC군에 비해서는 증가되었다. 정상식이와 매생이 에탄올 추출물을 투여한 NC-CFL군과 NC-CFH군은 혈청 중성지방 및 인지질 함량이 NC군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혈청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유의하게 저하되었다. 혈청 LDL-콜레스테롤과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정상식이 혹은 고콜레스테롤 식이와 매생이 에탄올 추출물을 병합 투여한 군들은 HDL-콜레스테롤 함량이 HC군에 비하여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유리콜레스테롤 함량은 유의하게 감소하는 효과를 보였다. 정상식이와 매생이 에탄올 추출물을 투여한 NC-CFL군과 NC-CFH군의 혈청 LDL-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및 유리콜레스테롤 함량은 NC군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혈청 LDL-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함량 또한 임상진단에서 순환계와 관련한 진단지수인 동맥경화지수와 심혈관 위험지수는 정상식이 혹은 고콜레스테롤 식이와 매생이 에탄올 추출물을 병합 투여한 모든 군들이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한 HC군과는 달리 유의적으로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NC군과는 비슷한 수준이었다. 간 및 신장 중중성지방 함량은 고콜레스테롤 식이 급여로 증가된 HC군에 비하여 매생이 고용량 병합 투여한 HC-CFH군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으며, 총콜레스테롤 함량도 매생이 에탄올 병합투여로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지방조직의 중성지방 함량은 정상식이 혹은 고콜레스테롤 식이와 매생이 에탄올 추출물을 병합 투여한 모든 군들이 HC군에 비해 유의하게 저하되었으며, NC군에 비해서도 유의차는 없었으나 저하되었다. 간과 신장의 총콜레스테롤 함량도 매생이 추출물 공급으로 감소하였다. 지방조직의 HR-LPL과 TE-LPL 활성 모두 NC군에 비해 HC군이 증가하였고, 매생이 에탄올 추출물을 경구투여한 모든 군들은 HC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나 NC군과는 비슷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실험결과 매생이 에탄올 추출물이 고콜레스테롤식이에 의한 체내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의 상승을 억제시키는 효과와 LPL 활성 저하효과가 있다고 사료되나 어떠한 성분의 작용기전에 의한 것인지에 대한 더욱 체계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psosiphon fulvescens (CF) extract on serum and liver lipid metabolism in rats.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administered 1% cholesterol and 0.25% sodium cholate to induce hypercholesterolemia and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Experimental groups were adminis? tered with following diets; normal diet group (NC), high cholesterol diet group (HC), normal diet and CF extract (200 ㎎/㎏) administered group (NC?CFL), normal diet and CF extract (400 ㎎/㎏) administered group (NC? CFH), high cholesterol diet and CF extract (200 ㎎/㎏) administered group (HC?CFL), and high cholesterol diet and CF extract (400 ㎎/㎏) administered group (HC?CFH). The body weight gain and feed efficiency ratio were increased by high cholesterol diet, but gradually decreased to the corresponding level of the normal diet group by administered CF extract. The serum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 of normal diet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NC?CFL group and NC?CFH group. The concentrations of serum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and triglyceride and the atherogenic index were tended to decrease in the CF extract administered groups compared with the high cholesterol diet group. However, HDL?cholesterol and phospholipid concentrations in serum decreased in the high cholesterol diet group and markedly increased by the CF extract administered group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concentrations of serum triglyceride, phopholipid, LDL?cholesterol, HDL?cholesterol and free cholesterol in normal diet groups. Concentrations of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in liver and kidney were also markedly decreased in the CF administered groups.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concentrations of adipose tissue in the CF administered groups were also decreased compared with the high cholesterol diet group. In addition,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concentrations of liver, kidney and adipose tissue total lipid,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in normal diet groups. The activities of heparin?releasable lipoprotein lipase (LPL) and total?extractable LPL in adipose tissue were increased in the high cholesterol diet group compared with the CF extract administered groups, but those of the NC?CFL group and NC?CFH group were similar to the normal diet group. Taken together, it is suggested that the extract of CF have an antiatherosclerotic effect by reducing cholesterol level of serum and liver. Furthermore, the extract of CF decreased LPL activity and triglyceride concentration, resulting in less lipid storage.

      • SCOPUSKCI등재

        Stevia의 항당뇨병 효과에 관한 연구

        정명현(Myung Hyun Chung),김영수(Yong-Soo Kim),문형희(Yong-Hee Moon),이명렬(Myung-Yul Lee) 한국생약학회 1981 생약학회지 Vol.12 No.1

        Stevia Ex, 및 stevioside의 alloxan負荷흰쥐에 對하여 blood glucose, cholesterol, G.O.T. G.P.T. 및 Blood urea-N에 미치는 影響은 다음과 같다. (1) Stevia Ex 및 stevioside는 正常動物群에서 blood glueose, cholesterol G.O.T. 및 G.P.T. 値에는 큰 變化를 보이지 않았다. (2) Stevia Ex. 및 stevioside는 alloxan 負荷 흰쥐에서 增加된 血糖値를 有意性있게 減少시켰다. (3) Stevia Ex. 및 stevioside는 alloxan 負荷 흰쥐에서 cholesterol値, G.O.T. 및 C.P.T.値를 減少시켰다. (4) Stevia Ex. 및 stevioside는 blood urea-N에는 別影響을 미치지 않았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참나물이 만성적으로 알코올 유도된 흰쥐의 간손상에 미치는 영향

        추명희(Myung Hee Choo),이재준(Jae Joon Lee),이명렬(Myung Yul Lee) 한국생명과학회 2007 생명과학회지 Vol.17 No.10

        본 연구에서는 참나물의 항산화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in vitro에서 Rancimat에 의한 항산화력 측정과 in vivo에서 Sprague Dawley 종 수컷에게 만성적으로 알코올 과량 섭취로 유도된 간조직의 산화적 스트레스가 참나물을 처리함으로써 간조직의 항산화 체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비교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실험군은 정상군(NOR), 대조군(CON, 35% 알코올 10 ㎖/㎏ of b.w../day), 참나물 에탄올 추출물 단독투여군(P1), 알코올과 참나물 에탄올 추출물 저용량(200 ㎎/㎏ of b.w./day) 병합투여군(P2) 및 알코올과 참나물 에탄올 추출물 고용량(400 ㎎/㎏ of b.w./day) 병합투여군(P2)의 5군으로 나누어 6주간 사육하였다. In vitro 연구 결과는 참나물 에탄올 추출물을 계통 분획하여 Rancimat에 의한 항산화지수를 측정하였는데, 분획 중 n-hexane의 항산화력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합성항산화제인 BHT와 항산화력이 비슷하였다. In vivo에서 항산화 효과를 측정한 결과는 정상식이만을 급여한 정상군과 정상식이와 참나물 에탄올 추출물을 단독투여 한 P1군 간에는 유의차가 없었으나, 알코올을 투여한 군(대조군, P2 및 P3)들간에는 유의차를 보였으며 특히, 고용량 병합투여 시 항산화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즉 만성 알코올 투여로 감소되어진 체중과 식이섭취량은 참나물 에탄올 추출물 병합투여로 정상식이군 수준으로 회복시켰다. 또한 참나물 에탄올 추출물병합투여 시 알코올 투여로 증가된 간조직의 유리기 해독계 효소인 XO, catalase 및 GSH-Px 활성 억제와 항산화작용을 나타내는 GSH 함량을 증가시킴으로서 지질과산화물에 대한 방어력이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 알코올과 참나물 에탄올추출물을 병행 투여함으로서 항산화 효소 체계가 향상되었으며, 참나물 에탄올 추출물은 알코올 섭취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와 알코올성 독성으로부터 간을 보호하는 항산화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thanol extract of Pimpinella brachycarpa(PBE) on chronically ethanol-induced hepatotoxicity in rat liver. Sprague-Dawley rats weighing 90-130 g were divided into 5 groups; normal group(NOR), ethanol(35%, 10 ㎖/㎏) treated group(CON), PBE 200 ㎎/㎏ treated group(P1), PBE 200 ㎎/㎏ and ethanol treated group(P2), and PBE 400 mg/㎏ and ethanol treated group(P3). PBE was also fractionated by the following solvent: n-hexane, chloroform, ethylacetate and n-butanol. The antioxidative capacity of the n-hexane fraction was the highest among fractions and was similar to that of butylated hydroxytoluene(BHT). The body weight gain and feed intake of the rats were decreased by ethanol administration, but were gradually increased to the similar levels of the NOR group by administering PBE. The AST activity in serum elevated by ethano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administering the high dosage of PBE, but exerted no significant change on serum ALT activity. It was also observed that the hepatic activities of xanthine oxide(XO), catal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GSH-Px) increased by ethanol were markedly decreased in the combined ethanol and PBE administered groups(P2 and P3), but not in the activity of superoxide dismutase(SOD) as compared with the CON group. The glutathione(GSH) contents were decreased by ethanol adminstration, however, increased after administering PBE. These results suggest that ethanol extract of Pimpinella brachycarpa has a possible positive effect on the liver function in hepatotoxicity-induced rats by ethanol administ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