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Bakers' Yeast를 이용한 m-Bromonitrobenzene 및 Nitrosobenzene의 환원반응

        김경순,백운필,오성환,Kim, Kyungsoon,Baik, Woonphil,Oh, Sunghwan 대한화학회 1995 대한화학회지 Vol.39 No.10

        방향족 니트로 화합물을 선택적으로 환원시켜 치환체가 있는 아닐린을 생성하는 것은 산업적 측면에서 볼때 의미있는 반응이다. 본 연구에서는 Bakers' Yeast-NaOH의 환원작용에 의하여 m-Bromonitrobenzene 의 니트로기가 선택적으로 빠르게 환원되어 치환체가 있는 아닐린 화합물이 형성됨을 확인하였고 특히 Nitrosobenzene이 수산화 나트륨이 없는 조건에서 Bakers' Yeast만의 작용에 의해 환원되어 아닐린을 생성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Nitrosobenzene의 Bakers' Yeast 환원에 미치는 저해제들의 효과 및 온도, pH의 영향 등을 조사하였다. Rapid and selective reduction of aromatic nitro compounds is of important for the preparation of amino derivertives in organic synthesis, particularly when a molecule has other reducible substituents. While Bakers' Yeast has been used for the enantioselective reduction of carbonyl compounds,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reduction of aromatic nitro compounds with Bakers' Yeast. Nitro group of m-bromonitrobenzene was selectively and rapidly reduced to corresponding amino derivative in good yield by Bakers' Yeast in basic solution. Furthermore, nitrosobenzene was rapidly reduced to aniline in good yield by Bakers' Yeast under neutral condition. In this paper, we wish to report a rapid and simple reduction of m-bromonitrobenzene and nitrosobenzene to the corresponding amino derivatives using Bakers' Yeast. And the effects of various agents, temperature and pH on the reduction will be discussed.

      • SCIESCOPUSKCI등재

        괄루인 렉틴의 특성

        김경순,최근호,박종옥 ( Kyungsoon Kim,Gunho Choi Jong Ok Park ) 생화학분자생물학회 1994 BMB Reports Vol.27 No.5

        Trichosanthis fructus Lectin (TFL) was partially purified by ammonium sulfate fractionation, heat treatment, DEAF-Sephadex ion exchange chromatography and Sephadex G-200 gel chromatography. The molecular weight of TFL was estimated by gel filtration and SDS-PAGE. The Molecular size of the lectin was determined to be 67,000 dalton, which was composed of two subunits having molecular weights of 34,000 and 35,000 dalton, respectively. The effect of sugars and metal ions on the hemagglutinating activity of lectin was also examined. The hemagglutinating activity of the lectin was inhibited by some sugars (β-Lactose, α-Lactose, D-(+)-Galactose) and metal ions (Hg^(2+), Cu^(2+), Mg^(2+), Ca^(2+), pb^(2+)).

      • KCI등재

        이청준 연작소설의 치유적 읽기(2)

        김경순(Kim Kyungsoon)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7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8 No.3

        본 논문의 목적은 이청준 소설의 문학치료학적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려는 시도이다. 문학치료는 언어라는 매체를 통해 치유에 이르는 작업이다. 치료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스스로 만들어 낸 ‘형상화된 언어(Gestaltete Sprache)’를 통해 치료는 시작되기 때문이다. 이청준은 이 타락한 시대에 타락한 언어로 과연 진정한 소통이 가능한가를 스스로에게 묻고 있으며, 그 대안적인 언어로 우리의 ‘소리’를 제시하고 있다. 그는 끊임없이 자신에게 질문한다. 왜 글을 쓸 수밖에 없는가? 우리는 어떤 것에 심정적인 동의가 될 때, 보다 더 가까움을 느끼고 신뢰하게 된다. 왜냐하면 어떤 ‘느낌’은 상호작용하는 맥락을 가지기 때문이다. 본 연구자의 경우 이청준의 작품을 읽다 보면 많은 부분 심정적으로 동의가 된다. 예컨대 ‘말이 회복된 세계로의 지향’ 같은 것이 그것이다. 그리고 그의 ‘말(언어)’에서 떨림과 울림을 느낀다. 이 심정적인 동의와 ‘공명의 느낌(Resonanz)’이 이청준 소설로 논문을 쓰게 한 동력이 되었다. 이청준은 한 산문에서 “우리의 삶과 세계를 바라보는 자신의 눈을 언제나 새롭고 자연스럽게 지니는 길이 문학의 길”이라 말하고 있다. “우리의 눈을 편견과 아집에 사로잡히지 않게, 또 이미 드리워진 편견의 장막으로부터 자신의 시선을 보다 넓고 맑고 자유롭게 해방시키려는 노력을 다해야 함”을 말한다. “문학이 삶과 세계를 총체적인 넓이로 바라보고 경험하게 함으로써 모든 사람의 삶을 그 삶 본래의 모습으로 자유롭게 되돌아가 살게 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한 문학에 있어서 언어가 본질적 조건임은 말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언어의 본질을 잃어가고 있는 이 시대에 끊임없이 언어에 천착하는 이청준의 소설을 분석하고 그 소설 속에서 치료적 대안을 모색하려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 될 것이다. 이청준의 많은 작품들은 훼손된 말이 순결한 말로 부활하는 길을 찾고 있다. 작가는 남도사람 연작물에 대해, 조직적이고 공리적인 언어질서의 폭력에 대항하면서, 말과 삶의 창조적 자유를 회복해 나가는 문학적 탐험의 과정이라고 말한다. 인간내부의 사상(事像)을 내적 삶의 율동에 실어 노래로써 말을 한다면, 그 노래는 인간의 말 가운데서 가장 아름다운 말 형식이 되지 않겠느냐고 반문하고 있다. 또, 남도소리는 한의 마디를 풀어내는 삶의 한 지혜로운 양식이라고 생각하며, 흥이나 말의 자유, 혹은 우리 삶에 대한 사랑의 한 양식이라고 반복해서 말한다. ‘말’의 회복은 곧 ‘삶’의 회복이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literary healing value of Lee Cheong-Jun novels. Literary healing is the healing work through the medium of language. This is because people, engaging in healing, begin to be healed by their own formed language Gestaltete Sprache). Lee Cheong-Jun throws a question of in this corrupt age, true communication can be possible only through incorrupt language, and presents our ‘sori’ as an alternative language. He continually asks himself: Why should I write? When we psychologically agree to something, we will feel closer to it, and more trusty. This is because feeling has an interactive context. This author, when reading Lee Cheong-Jun works, psychologically agrees a lot with them. One example is the orientation to the world where words are recovered. And, in his words language), shaking and resonation are felt. This feeling of psychological agreement and resonation powered this author to write a thesis on Lee Cheong-Jun novels. Lee Cheong-Jun says in one of his proses, “The way that renewing and naturally holding the eye of watching our life and the world is the way of literature. This means: “We should protect our eyes from being occupied by prejudice and bigotry, and should endeavor to liberate our eyes from the already established tent of prejudice so as to broaden our horizons freely and clearly. It further means: “Literature should make us comprehensively look at our life and the world and experience them, enabling all people to return to their original life freely and live that life.” In such literature, needless to say, language is the essential condition. Thus, it would be meaningful to analyze Lee Cheong-Jun novels - which continue to delve into language - in this age of losing the linguistic essence, and to explore alternative healing solutions in those novels. Many Lee Cheong-Jun works involve a journey which revive the already damaged words into pure words. The serial work People of Namdo is said by the novelist to resist the violence of organized, utilitarian linguistic order, and to be the literary exploration process for recovering words and creative freedom. If humans’ internal images by the internal life rhythm are sung and spoken, that song would be the most beautiful of human languages, the novelist suggests. Also, the sori of Namdo is considered a life wisdom of releasing the oppressed vengeance psychology, and it is repeatedly mentioned as the freedom of fun and words, or a style of love for our life. The recovery of words is the recovery of life.

      • KCI등재후보

        러시아의 공세적 대외안보정책과 함의

        김경순 ( Kim Kyungsoon ) 한국민족연구원 2017 민족연구 Vol.0 No.70

        이 글은 최근 푸틴 대통령의 공세적인 대외안보정책을 고찰하고자 한다. 최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와 시리아 군사개입과 대외적 강경정책은 국제적 우려를 낳고 있다. 2014년 3월 크림병합은 서방의 강도 높은 제재를 불러일으켰고, 러시아-서방간의 관계 악화를 초래했다. 이러한 크림합병이라는 도발적 정책을 푸틴대통령이 갑작스럽게 결정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우크라이나사태와 크림합병은 러시아가 강대국의 지위를 회복하고 국제적 영향력을 회복하는 주요한 전략이다. 푸틴은 전통적 영향권역인 탈소련방 지역을 재통합하는 전략을 구사하는 한편 군사력 강화를 토대로 서방과 반발하는 주변국에 대해서 공세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푸틴의 최근 공세정책은 주변국의 움직임을 면밀히 검토하고, 그에 따른 위험 부담을 계산한 대외정책의 변화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러시아 대외안보정책의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지도자 개인의 특성과 신념, 국민의 지지, 그를 뒷받침할 수 있는 역량, 외부 변수 등을 종합적으로 이해해야 한다. 이 글은 근래에 발표된 안보문건과 발표자료를 중심으로 러시아 공세적 대외정책의 배경과 현황 및 특성을 분석해본다. This article examines Putin`s aggressive external security policy. The latest Russian military actions over Ukraine and Syria surprised many with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reinforced growing concerns about an assertive Russia. In March 2014, the Crimea annexation triggered western sanctions, resulting in deteriorating relations between Russia and the West. It is hard to see President Putin`s sudden decision to make such a provocative policy. The Ukrainian Crisis and Crimean annexation were the culmination of Russian strategy for reviving great power status and acting an influential player in the world. Putin has sought to improve the national status through Russia`s integration effort with the former Soviet Union as a traditional `sphere of influence` as well as an aggressive policy towards the West and recalcitrant neighbours. Putin`s recent offensive policy can be seen as a foreign policy change that closely examines the movements of the post-Soviet states and calculates the resulting risks. Therefore, in order to understand the Putin`s foreign policy changes, it is necessary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character and beliefs of the leader, the support of the people, the capacity to be backed up, and the external variables. This work analyses the external security policy by reviewing Russia`s security documents and Putin`s addresses, etc.

      • KCI등재

        오숙재 송익흠의 “문묘 종향” 관련 한글편지해독 고찰

        김경순 ( Kyungsoon Kim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학연구 Vol.53 No.3

        이 논문은 인문학의 기초자료인 寤宿齋 宋益欽(1708~1757)의 難解한 한글편지를 解讀하고, 기존과 다르게 判讀한 구체적인 근거 제시와 干支를 推定하였다. 송익흠의 한글 필사성향은 초성, 중성, 종성으로 나누어 특징을 정리하였다. 송익흠의 한글편지에 나타난 ‘文廟 從享’과 관련하여 이것이 지니는 가치에 대하여 논하였다. 송익흠이 부인 여흥민씨에게 보낸 한글편지 15편 중에서 ‘문묘 종향’과 내용의 연관이 있는 <선세언독 39>, <한글간찰 50>, <한글간찰 51·51-1>, <한글간찰 53>, <한글간찰 54>, <한글간찰 62> 6편을 살펴보았다. 해독에서 원문도판을 실었으며, 이견이 있는 부분은 글자를 굵게 써서 밑줄을 그었으며, 판독내역에서 이견이 있는 글자를 비교하였고, 간지를 추정하였다. 해석에서는 정정한 것을 토대로 현대어로 썼다. 송익흠의 한글편지 6편은 干支가 모두 없었으나, 확인 결과 편지 내용이 영조 32년(1756) 2월 15일 우암 송시열과 동춘당 송준길을 ‘문묘 종향’하고 반포한 교문과 연관되어 있었다. ‘문묘 종향’과 관련된 <39>는 1756년 2월 10일, <50>은 1756년 2월 13일, <51·51-1>은 1756년 2월 6일, <53>은 1756년 2월 9일, <54>는 1756년 2월 3일, <62>는 1756년 2월 11일에 쓴 것으로 추정하였으며, 편지를 보낸 순서는 <54>→ <51·51-1>→ <53>→ <39>→ <62>→ <50>이었다. 송익흠의 필사성향은 난해하므로 학제간 교류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었다. 이 편지가 지니는 가치는 “문묘 죵향”을 올바로 판독함으로써 송시열과 송준길의 문묘 종향은 1756년 2월 14일 9~11시 사이에 거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송준길과 송시열의 諡號인 文正公은 1756년 2월 13일에 받은 역사적인 사실로 당시의 풍습과 생활상을 알 수 있었다. 한글편지 내용의 연결 순서와 시기도 추정할 수 있었으며, 오독으로 인해 논문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었다. This paper deciphers Ohsukjae Song Ik-heum(1708~1757)’s difficult Hangeul Letters, basic materials of humanities, presents specific reasons why those letters are read differently in this study from existing researches and estimates the sexagenary cycle. Song Ik-heum’s Hangeul transcription propensity is analyzed by dividing into initial, medial and final sounds and examining their special characteristics. This paper also discusses on the value of Song Ik-heum’s Hangeul Letters regarding ‘Munmyo Jonghyang,’ one of important topic shown in those letters. This study reviews <Seonse Eonjeok 39>, <Hangeul Ganchal 50>, <Hangeul Ganchal 51·51-1>, <Hangeul Ganchal 53>, <Hangeul Ganchal 54> and <Hangeul Ganchal 62>, 6 letters out of a total 15 Hangeul letters sent by Song Ik-heum to his wife Yeoheung Minssi, whose contents are related to ‘Munmyo Jonghyang.’ In the deciphering, the original illustrations are contained and some controversial parts are highlighted by bold fonts and underlines and in the reading breakdown, controversial characters are compared each other and the sexagenary cycle is calculated. The interpretation is written in modern language based on corrections. There is no sexagenary cycle in all of Song Ik-heum’s six Hangeul letters but,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the contents of those letters are related to the ordinance proclaimed to conduct ‘Munmyo Jonghyang’ for Uam Song Si-yeol and Dongchundang Song Jun-gil on February 15, 1756 (Yeongjo 32). It is estimated that <39> related to ‘Munmyo Jonghyang’ was written on February 10, 1756. <50> was written on February 13, 1756, <51·51-1> was written on February 6, 1756, <53> was written on February 9, 1756, <54> was written on February 3, 1756 and <62> was written on February 11, 1756 and letters were sent in order of <54>→ <51·51-1>→ <53>→ <39>→ <62>→ <50>. Since Song Ik-heum’s transcription propensity is difficult to understand, it is needed to activate interdisciplinary researches. As the value of these letters, it is verified through reading “Munmyo Jonghyang” properly that Song Si-yeol and Song Jun-gil’s Munmyo Jonghyang was held between 9:00 and 11:00 on February 14, 1756. In addition, with a historical fact that Mujeonggong, the posthumous epithet of Song Jun-gil and Song Si-yeol was granted on February 13, 1756, those days’s custom and life could be assumed. It is also possible to estimate the connection sequence and time of the contents in those Hangeul letters and to prevent in advance any possible mistake this paper may make due to misinterpretation.

      • KCI등재

        경제와 성

        김경순(Kyungsoon Kim) 19세기영어권문학회 2014 19세기 영어권 문학 Vol.18 No.2

        This paper considers the social and economic concerns motivating the mid-Victorian foregrounding of the image of the improperly public woman who resembles the prostitute. It examines the connection between the economic and the erotic in mid-Victorian discussions of Prostitution in Gaskell`s and Dickens`s novels of the mid-1850. It maps out the ideological space in which the body of the prostitute becomes the meeting place of Eros and commerce. The interconnection of the economic and the erotic in the rhetoric of prostitution provides a means for managing mid-century, middle-class anxieties regarding class conflict. The novels discussed in this paper represent but also function to screen a crucial contradiction in mid-nineteenth-century attitudes toward property-owning. While laissez-faire economic philosophy invited all to own property, the middle classes feared the working-class desire to become property owners alongside them. Mid-nineteenth-century discourse about prostitution removed the potential threat of working-class desires to own property both by defining some desires to possess property as stealing or appropriation. Dickens`s and Gaskell`s novels conclude by allowing the body of the “fallen” or potentially “fallen” women to become the center of the reader`s attention. This attention directed at the woman serves to displace all questions concerning class inequality.

      • KCI등재
      • KCI등재

        송병하의 <한글간찰 22> 고찰

        김경순 ( Kim Kyungsoon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학연구 Vol.60 No.4

        동춘당 송준길 후손 집안에 전하는 135편의 한글 편지 중에서, 한국정신문화연구원과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송병하의 장모 안동 권씨의 수신은 <한글간찰>에 1편도 없는 것으로 정리되었으나, 본고는 1편을 밝혀냈다. 조선시대에 쓴 필사체 <한글간찰 22>의 수신자는 장모 안동 권씨임을 밝혔다. 두 책에는 <22>의 판독, 주석, 현대어역, 참고에서 필자와 다른 부분이 있었다. <22> 편지 장법에서 대두법은 세 번, 격간식은 두 번 나왔다. 이것으로 미루어 보면 사위 송병하는 장모에게 격식과 예의를 다하여 편지를 썼음을 알 수 있었다. “장□날”은 송병하의 처 외조부 권순창이 타계하여 장례를 모시는 날로 밝혀냈다. 또한, 필사체를 운필할 때 장모의 건강을 걱정하는 “긔운”보다 처 외조부 권순창의 타계 이후 장사를 하는 “장□ 날”을 조금 더 높인 것은 송병하가 장모보다 처 외조부 권순창에게 더 높여 존경을 표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송병하가 편지를 쓴 날이 1687년 8월 18일임을 감안하여 유추해 보면, 처 외조부가 타계한 지 약 3개월이 지나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당시 조선시대에 사람이 죽은 지 석 달 만에 지내는 장례문화인 졸곡제의 한 단면을 엿볼 수 있었다. “□냐”는 송병하가 벼슬이 바뀌어 1686년 겨울부터 3년간 덕산현감을 지냈음을 알 수 있었다. “뎐□(轉傳)”은 사위 송병하의 편지가 “여러 사람의 손을 거쳐서 전해지는 것”이었다. 발신자 “□”은 사위 송병하가 장모에게 자신을 낮추어 편지를 적은 것이었다. <22>의 앞면 한글 편지 간지는 1687년 정묘년이다. 뒷면 한문 편지는 1689년 己巳년인 듯하다. Both the Korea Institute of Spiritual Culture and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reported that none of 135 Hangul letters transmitted in the descendent families of Dongchundang Song Jun-gil were written to Ms. Gwon of Andong that was Song Byeong-ha's mother-in-law in the Hangul Ganchal, but this study found out one of them was written to her. In this study,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script Hangul Ganchal 22 was written to Ms. Gwon of Andong in Joseon. Two books contained different information about 22's decoding, annotation, translation into modern language, and reference from the investigator's findings. In the letter's Jangbeop, Daedubeop and Gyeokgansik were used three and two times, respectively, which shows that Song Byeong-ha fulfilled his formality and etiquette in writing the letter to his mother-in-law. “장□날” turned out to be the funeral day of Gwon Sun-chang, his wife's maternal grandfather. Writing the script, Song Byeong-ha used a higher honorific form for “장□날” when the funeral of his wife's maternal grandfather was held than “긔운” that reflected his concern with the health of his mother-in-law, which shows that he used a higher honorific form for his wife's maternal grandfather than his mother-in-law out of his greater respect for him. He wrote the letter on August 18, 1687 about three months after his wife's maternal grandfather passed away, which shows an aspect of Jolgokje, the culture of holding a funeral three months after the death of a person in Joseon. ‘냐’ shows that Song Byeong-ha's government post was changed and that he served Deoksan as Hyeongam for three years starting in the winter of 1686. “뎐□(轉傳)” meant that his letter was transmitted "through the hands of several people." The sender mark “□” was used by him to lower himself before his mother-in-law. The front page holding the Hangul letter 22 shows that the sexagenary cycle was the Jeongmyo year of 1687, and the back page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was sent in the Gisa year of 1689.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