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oT 기반 탄소중립 모듈형 스마트 온실 구현

        박석근(Seok-Keun Park),한길수(Kil-Su Han),이민순(Min-Soon Lee),신창선(Changsun Shin)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2023 스마트미디어저널 Vol.12 No.5

        최근 디지털 농업에 있어서 IoT를 기반으로 한 온실의 종류 및 활용이 확산되고 있으며, 온실의 현대화, 대형화와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공장화까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 온실에서의 데이터 수집을 위한 장비와 온실의 크기나 모양과 같은 형태에 따른 구체적 규격화 방안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즉, 온실의 규모에 따른 센서와 장비의 종류 및 개수, 작물 및 탄소중립에 부합하는 온실 시공 필름 종류와 자재 등 시설 설비를 위한 표준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수집을 위한 IoT 장비의 구현, 설치 및 수량의 적합성에 대하여 시험하였으며, 데이터 수집과 통신 방식의 구현을 통해 일부 표준 기술을 제시하였다. 또한, 기존 온실의 90%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PE, PVC, EVA에 대한 충격강도, 인장, 인열, 신장율, 광 투과성 및 수명 문제를 제시하였고, 필름으로 만들어지는 온실의 형태나 규모, 환경적 문제점을 본문에 제시하였다. 본 연구 논문에서는 온실 규모나 농가 작물의 형태, 온실 수명 및 필름의 환경적 문제의 해결책으로 나노 소재 필름을 활용한 규격화된 탄소중립 모듈형 스마트 온실을 구현하고 기존 온실과의 성능을 분석·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온실의 규모나 농가 작물의 형태에 구분이 없고, 수명이 연장되고 규격화되어 확장 및 축소가 자유로운 묘듈화된 온실을 제안한다. 최종적으로 기존 PE, PVC, EVA 필름을 사용한 온실의 평균적 특성과 새로운 탄소중립형 나노 소재를 사용한 온실의 특성을 비교 검토하고, 탄소중립을 지원하는 확장 가능형 IoT 온실의 구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Recently, in digital agriculture, the types and utilization of greenhouses based on IoT are spreading, and greenhouses are being modernized, enlarged, and even factoryized using smart technology. However, a specific standardization plan has not been proposed according to the equipment for data collection in the smart greenhouse and the size or shape of the greenhouse. In other words, there is a lack of standard data for facility equipment, such as the type and number of sensors and equipmen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greenhouse, the type of greenhouse construction film and materials suitable for crops and carbon neutrality. Therefore, in this study, the suitability of the implementation, installation and quantity of IoT equipment for data collection was tested, and some standard technologies were presented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data collection and communication methods. In addition, impact strength, tensile, tear, elongation, light transmittance, and lifespan issues for PE, PVC, and EVA, which account for about 90% of existing greenhouses, were presented, and the shape, size, and environmental problems of greenhouses made of films were presented. presented in the text. In this research paper, a standardized carbon-neutral modular smart greenhouse using nano-material film was implemented as a solution to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greenhouse size, farm crop type, greenhouse lifespan, and film, and its performance with existing greenhouses was analyzed and presented. Through this, we propose a modularized greenhouse that can be expanded or reduced freely without distinction in the size of the greenhouse or the shape of farmhouse crops, and the lifespan is extended and standardized. Finally, the average characteristics of greenhouses using existing PE, PVC, and EVA films and the characteristics of greenhouses using new carbon-neutral nanomaterials are compared and reviewed, and a plan to implement an expandable IoT greenhouse that supports carbon neutrality is proposed.

      • 곤충 스마트팜 체계 구축에 관한 기초 연구

        노시영 ( Si Young Rho ),이재수 ( Jae Su Lee ),김국환 ( Gook Hwan Kim ),이현동 ( Hyun Dong Lee ),김성현 ( Seong Hyun Kim ),석영식 ( Young Seek Seok ),한길수 ( Kil Su Han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8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3 No.2

        곤충 스마트팜의 발전 및 체계 구축을 위하여 단계별 곤충 스마트팜 구축이 필요하다. 1세대 곤충 스마트팜에서는 환경 정보 수집 및 제어, 생육 기초 데이터 수집에 목적을 두고 있는 단계 이다. 곤충 생육에 필요한 환경 요소를 제어 장치를 통하여 최적의 생육 환경을 조성하고 차후 심층적인 분석을 위한 생육기초 데이터 수집을 하는 단계이다. 2세대 곤충 스마트팜에서는 1세대에서 수집된 생육 기초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육과정을 분석하여 최적의 생산량 확보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며 영상 분석을 통해 병해충 정보를 분석하여 감염에 취약한 곤충 사육 환경에 도움이 될 것이다. 3세대에서는 곤충 산업 확장 및 안정화를 위한 곤충 산업 유통망을 구축하여 연간 필요 수량을 분석하고 곤충 판매 단가를 예측하여 곤충 농가의 수익 향상 뿐만 아니라 소비자와 유통인이 원하는 안전한 곤충생산이력 및 품질 유지를 위한 실시간 유통정보 등이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이러한 곤충 스마트팜에 대한 사육 시스템 구성은 환경 정보, 생육 정보, 외부 환경 정보로 구성되어 있으며 환경 정보는 온습도 센서, 토양 센서, 조도 센서 등 생육에 필요한 환경 센서 정보를 수집 및 제어하여 곤충 사육의 최적의 환경 구성에 목적을 두고 있다. 생육 정보는 곤충의 사육단계 별 무게 정보, 영상 생체정보 등을 수집하여 생육 상태 및 병충해 감염을 확인하여 적절한 사육 상태를 점검하고 병충해에 대한 조기 진단에 목적을 두고 있다. 외부 환경 정보는 사육장 외부 온습도, 조도, 강우량 등을 측정하여 내부 환경 정보와 비교를 통해 적절한 환경 제어에 목적을 두고 있으며 계절별 곤충 사육 분석 및 연간 생산량 분석 등의 곤충 스마트팜 고도화의 중요 자료로 활용된다.

      • 스마트축산 사양관리 장치 표준화 연구

        노시영 ( Si Young Rho ),이재수 ( Jae Su Lee ),김국환 ( Gook Hwan Kim ),한길수 ( Kil Su Han ),이현동 ( Hyun Dong Lee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8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3 No.2

        스마트축사는 가축의 사육 과정에 IT 기반의 기자재를 사양관리에 이용하여 개체별 관리 또는 군집 관리에 대한 편이성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개발된 새로운 개념이다. 통신과 정보관리 기능이 포함된 사양관리 장치에 대한 표준 규격 없이 제조사별 개발된 장치의 호환성 확보가 어렵고, 스마트 축산을 도입한 농가에서 축사규모를 확장할 때 장비의 유지보수가 필요할 때 어려움을 격고 있어 스마트 축산 확대 보급을 위해 사양관리 장치에 대한 표준화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현재 스마트 축산을 도입하고 있는 한우, 낙농, 양돈, 가금 분야에 적용 되고 있는 사양관리 장치에 대한 표준화 제정을 추진하였으며 축종별 공통 규격으로 일반규격, 센서 인터페이스 결선 방식, 사양관리 통신 방식 3종과 대가축(한우, 낙농)의 경우 군사식 자동급이기, 송아지 자동포유기, 스마트 우유 냉각기, 사료잔량이 측정 가능한 사료빈, 스마트 체중계, 생체정보 수집장치 6종, 중가축(양돈)의 경우 자동급이기, 돼지 무게 선별기, 사료잔량이 측정 가능한 사료빈, 스마트 체중계, 영상을 이용한 생체정보 수집장치 5종, 가금류의 경우 가금 음수관리기, 계란 선별기, 파각란 검출기, 사료잔량이 측정 가능한 사료빈, 영상을 이용한 생체정보 수집장치 5종의 사양관리 장치에 대한 산업체 단체 표준 고시를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이용하여 스마트축산 사양관리 장치에 대한 단체표준이 제정되고 국산 사양관리 장치 제조업의 활성화 및 경쟁력 강화를 이룰 수 있으며 축산 농가에서는 사후관리가 용이해져 스마트축산도입을 촉진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인공광 식물공장내 광질 제어가 방풍나물 생장에 미치는 영향

        허정욱 ( Jeong Wook Heo ),김동억 ( Dong Eok Kim ),한길수 ( Kil Su Han ),김숙종 ( Sook Jong Kim ) 한국환경농학회 2013 한국환경농학회지 Vol.32 No.3

        BACKGROUND: Plant factory system of an artificial light type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s), fluorescent light, or metal halide lamp instead of sun light is an ultimated method for plant production without any pesticides regardless of seasonal changes. The plant factory is also completely isolated from outside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a light, temperature, or humidity compared to conventional greenhouse. Light-environment control such as a quality or quantity in the plant factory system is essential for improving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plant species. However, there was little report that the effects of various light qualities provided by LEDs on Ledebouriella seseloides growth under the plant factory system. METHODS AND RESULTS: Ledebouriella seseloides seedlings transplanted at urethane sponge were grown in the plant factory system of a horizontal type with LED artificial lights for 90 days. Yamazaki solution for hydroponic culture of the seedlings was regularly irrigated by the deep flow technique (DFT) system on the culture gutters. Electrical Conductivity (EC) and pH of the solution was recorded at 1.4 ds/m and 5.8 in average, respectively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Number of unfolded leaves, leaf length, shoot fresh and dry weight of the seedlings were three times measured in every 30 days after beginning of the experiment. Blue LEDs, red LEDs, and fluorescent lights inside the plant factory were used as light sources. Conventional fluorescent lamps were considered as a control. In all the treatment, light intensity was maintained at 100 μmol/㎡/s on the culture bed. Fresh weight of the seedlings was 3.7 times greater in the treatment with the mixture radiation of fluorescent light and blue+red LEDs (1:3 in energy ratio; Treatment FLBR13) than in fluorescent light treatment (Treatment FL). In FLBR13 treatment, dry weight per seedling was two times greater than in FL or BR11 treatment of blue+red LEDs (1:3 in energy ratio; Treatment BR11) during the culture period. Increasing in number of unfolded leaves was also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FLBR13 treatment comparing with BR11 treatment. CONCLUSION(S): Hydroponic culture of Ledebouriella seseloides seedlings was successfully achieved in the plant factory system with mixture lights of blue, red LEDs and fluorescent lights. Shoot growth of the seedlings was significantly promoted by the FLBR13 with the mixture radiation of fluorescent light, blue, and red LEDs under 1:3 mixture ratio of blue and red LEDs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compared to conventional light condition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참깨 콤바인 수확 효율 증진을 위한 건조제 선발

        원옥재(Ok Jae Won),서은지(Eun Ji Suh),박재성(Jae-Sung Park),홍서연(Seo-yeon Hong),박진기(Jin-Ki Park),류종수(Jong-Soo Ryu),한원영(Won-Young Han),한길수(Kil Su Han),송득영(Duk Young Song),정태욱(Tae Wook Jung),김성우(Sung Woo Kim),배진우 한국잡초학회·한국잔디학회 2021 Weed & Turfgrass Science Vol.10 No.1

        본 연구는 참깨의 수확 효율 개선을 위한 건조제의 선발 및 안전사용법 확립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참깨 수확 20, 15, 10, 5일전에 건조제로써 비선택성 제초제인 글루포시네이트 암모늄 액제, 글루포시네이트-피 액제, 플루티아셋메틸 + 글루포시네이트 암모늄 액제, 티아페나실 미탁제를 처리한 결과, 지상부의 건조효과는 티아페나실이 가장 빨랐다. 건조제 처리에 따른 꼬투리의 열림은 수확 15일과 20일전 처리시 각각 50%와 90% 내외로 나타났다. 참깨의 수확량은 수확 10일전 처리에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은 수확 15, 5, 및 20일전의 순이었다. 천립중은 수확 5일전 처리부터 15일전 처리까지 유사하였다. 수확된 종자의 발아율은 수확 5일전과 10일전 처리에서 90% 이상을 보였다. 참깨 종자의 잔류 분석 결과, 공시된 여러 건조제 중 티아페나실 처리에서만 해당 성분이 기준량 이하로 검출 되었으므로 참깨 수확기 건조 제로는 티아페나실이 가장 적합할 것으로 향후 적용을 위해서는 작물잔류 시험과 후작물 시험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lect a desiccant improving the harvesting efficiency of sesame seeds and establishing a safe use method. Non-selective herbicides such as glufosinate ammonium SL, glufosinate-P SL, fluthiacetmethyl+glufosinate ammonium SL, and thiafenacyl ME were used as a desiccant 20, 15, 10, and 5 days before sesame harvesting. The drying effect of the above-ground part of sesame was fastest in Tiafenacil treatment. The opening of the pods was around 50% and 90% in the desiccant treatment 15 and 20 days before harvesting, respectively. The yield of sesame seeds was highest 10 days before harvesting, followed by 15, 5 and 20 days before harvesting. Thousand-grain weight in the treatment 5 days before harvesting was similar to the treatment 15 days before harvesting. The germination rate of seeds was more than 90% in the treatment 5 and 10 days before harvesting. As a result of residual analysis of sesame seeds, it was predicted that Tiafenacil would be the most suitable desiccant in sesame because the corresponding component was detected below the standard amount only in the treatment of Tiafenacil among several tested desicc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