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월호의 복원성 논쟁과 재난 프레임

        황정하(Jungha Hwang),홍성욱(Sungook Hong) 한국과학기술학회 2021 과학기술학연구 Vol.21 No.2

        세월호 사고가 발생한 지 7년이 더 지났지만, 아직까지 침몰 원인에 대해 정부와 전문가들은 명확한 답을 내어놓지 못하고 있다. 2018년 여름, 정부가 처음으로 발간한 공식적인 국가보고서인 세월호 선체조사위원회의 종합보고서조차 사고 원인에 관해 내인설과 열린안의 두가지 설명을 제시했다. 세월호 침몰에 대해서는 사고 직후부터 그 원인과 관련된 다양한 가설과 이론들이 등장하고 대립했는데, 본 논문은 그중에서도 가장 첨예한 논쟁이 진행된 세월호의 복원성 문제를 다룬다. 본 논문에서는 사고 직후부터 선조위 보고서가 발간된 2018년 여름까지의 기간 동안 세월호의 복원성을 둘러싼 논쟁이 어떻게 진행되었고, 그러한 논쟁의 원인이 무엇이었는지를 추적한다. 세월호가 복원성이 불량한 배였다는 것은 각종 매체를 통해 보도되며 사실로 굳어지는 듯했지만, 이후 세월호의 복원성이 양호했다는 주장이 등장해 기존의 전반적인 합의에 균열을 일으켰다. 이런 주장은 세월호 사고에 관해 존재하던 각종 의혹과 관련을 맺었고, 선체조사위원회에서 하나의 심각한 가설로 고려되었다. 복원성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면서 선체조사위원회의 조사위원들은 상이한 복원성 수치에 대한 합의를 이루지 못한 채 조사를 종결하게 되었다. 세월호의 복원성 수치는 왜, 그리고 어떤 과정을 거치며 두 가지 값으로 발산했을까? 본 논문은 세월호 복원성 문제의 다양한 쟁점들에 대한 과학기술 전문가들의 견해를 검토하고 재구성하면서, 복원성을 나타내는 다른 숫자들 속에 세월호라는 재난을 바라보는 서로 다른 ‘재난 프레임’(disaster frame)이 담겨있었음을 드러내고자 한다. Seven years have passed since the Sewol ferry accident, but the government and experts have yet to come up with a clear answer to the cause of the sinking of the Sewol ferry. In the summer of 2018, even the comprehensive report of the Sewol Investigation Commission, the first official national report published by the government after four years and four months after the Sewol accident, presented two different hypotheses about the cause of the accident: an internal-cause theory and an open plan. As for the Sewol ferry accident, various hypotheses and disagreements about its cause appeared immediately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In this paper, we trace how the debate over the stability of the Sewol ferry developed from immediately after the accident to the summer of 2018 when the Sewol Investigation Commission’s report was published, and what was the cause of the interminable debate. The fact that the Sewol ferry was a ship with poor stability was reported through various media immediately after the accident and seemed to be a solid fact, but afterwards, claims that the Sewol ferry had good stability appeared, causing a crack in the existing general agreement. These arguments were related to the suspicions over external powers that hit and capsized the ferry. Such claims were considered by the Sewol Investigation Commission as one of the plausible hypothesis, and eventually, the commission concluded the investigation without reaching consensus on the stability of the ship. Why did the Sewol ferry"s stability diverge into two different values? This paper will review and reconstruct the opinions of experts on various issues of the Sewol ferry’s ship stability, and will explore what kinds of different “disaster frames” were incorporated in the different numbers representing ship’s stability.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따른 시각적 작동 기억 차이

        홍재란(Jaeran Hong),황정하(Jungha Hwang),김은정(Eunjung Kim) 한국방사선학회 2012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6 No.3

        작동 기억력은 학업성취도와 높은 상관을 보이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상 대학생중 학업성취도 상위군과 하위군 학생들이 시각적 작동 기억의 부호화와 인출과제를 수행함에 있어 대뇌 활성화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 지를 기능적 자기공명영상법을 이용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에 동의한 20명의 대학생들을 학업성취도 상위군 10명과 하위군 10명으로 나눴다. 십자가를 응시하는 휴지기와 도형을 기억하고 인출하는 활성기가 2번 반복되는 210초 프로토콜을 적용하였고, 유의수준 95%에서 두 군의 대뇌 활성화 차이를 알아보았다. 부호화의 경우 작동 기억을 담당하는 양측 배측 전전두엽(BA 46)과 주의력과 관련 있는 하두정엽과 시각 연합영역에서 상위군이 하위군에 비해 높은 활성화를 보였고, 인출의 경우 우측 배측 전전두엽(BA 44)과 모양의 판단과 관련 있는 우측 방추 상회와 설상회 등에서 우세를 보였다. 반면 하위군은 부호화의 경우 대상회에서 인출의 경우 시상과 기저핵 그리고 소뇌 등에서 상위군에 비해 높은 활성화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학업성취도 상위군이 부호화의 경우 작동 기억과 주의력에 관여하는 영역에서 인출의 경우 판단에 관련된 영역에서의 활성화가 높아 하위군에 비해 효과적인 작동 기억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It was well known that working memory highly rel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brain activation which visually evoked working memory(encoding and retrieval) through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fMRI) in Higher Academic Achievement Group(HAAG) and Lower Academic Achievement Group(LAAG) of college students. 20 assigned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fMRI studies. They underwent totally 210 seconds repeated paradigm. Stimulation paradigm composed with resting time and encoding and retrieval seeing the figures from the mirror with head coil. The brain activation maps and their quantification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parametric mapping(SPM99) program from level of significance 95%. HAAG was more significantly higher than LAAG in bilateral prefrontal lobe(brodmann 46) associated with working memory, inferior parietal lobe associated with attention, and visual association area in encoding figures test. Right dosoprefrontal lobe(BA 44), right fusiform gyrus associated with decision of figure and, lingual gyrus were more activated in retrieval test with HAAG. On the other hand, LAAG was more significantly higher than HAAG in cingulate gyrus during encoding test. Thalamus, basal ganglia, cerebellum were more activated in retrieval test. Consequently, We could guess from these results HAAG more effectively executed than LAAG in visual working memory test.

      • KCI등재

        툴루세 시대의 바이오아트

        황정하,홍성욱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2021 탈경계인문학 Vol.14 No.1

        How should we live in an era of crisis in the 21st century, when the extinction of species and climate change caused by human activities threaten the future of the planet? To these questions, a well-known feminist science studies scholar Donna Haraway presents the concept of the ‘Chthulucene’, which chooses to stay with troubles and imagines the future of tomorrow by shaping new kinds of relationships with various human beings, animals, and non-human beings. This paper tries to reinterpret three well-known bioart works by using an insight of ‘biophilosophy’ of the philosopher Eugene Thacker, which understands life as a process that constantly changes in a complex network, as well as the sympoietic view of life of the Chthulucene. This re-examination of bioart works will bring a richer and more practical interpretation of contemporary bioart. 인간의 활동으로 생물종이 멸종하고, 기후변화가 지구의 미래를 위협하는 21세기 위기의 시대를 우리는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가? 이러한 질문에 대해 페미니스트 과학기술학자 해러웨이(Donna Haraway)는 다양한 존재들과 새로운 종류의 관계 맺기를 통해 골칫거리들을 끌어안고 바로 내일의 미래를 상상해나가는 ‘툴루세’(Chthulucene) 개념을 그 답으로 제시한다. 본 연구는 생명을 복잡한 연결망 속에서 끊임없이 변화하는 과정으로 이해하는 철학자 태커(Eugene Thacker)의 바이오필로소피(biophilosophy)의 생명관과 이와 맥을 함께 하는 툴루세의 공동생성(sympoiesis)의 생명관을 통해 기존에 널리 알려진 바이오아트 작품 세 편을 재해석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바이오아트 작품들을 재조명해 보는 것은 바이오아트의 수행이 현대에 지니는 함의에 대한 더욱 풍부하고 실천적인 해석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