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70년대 저항문화 재현으로서 하길종 영화

        하정현(Ha, Jung-hyun),정수완(Jung, Soo Wan) 인문콘텐츠학회 2017 인문콘텐츠 Vol.0 No.46

        ‘영상시대’ 동인으로 1970년대 한국영화의 새로운 시대를 열었던 하길종은 총 7편의 작품을 남기고 이른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감독의 이른 죽음과 1970년대라는 시대적 상황에 대한 선험적 판단은 하길종 작품에 대한 신화화에 이바지했다. 〈바보들의 행진〉과 〈병태와 영자〉는 1970년대 대학생들이 주인공이며, 당시 청년문화의 면모와 청년들의 삶을 보여준다. 특히, <바보들의 행진〉은 한국영화사에서 리얼리즘을 표방한 하길종이 동시대 청년을 재현한 대표작으로 평가받는다. 하지만 속편 〈병태와 영자〉에 대한 평가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 연구는 그간의 하길종 연구에서 외면했던 〈병태와 영자〉를 전편인 〈바보들의 행진〉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새로운 해석을 시도한다. 이 논의의 중심에는 〈바보들의 행진〉과 〈병태와 영자〉가 배경으로 하는 1975년과 1979년의 문화사적 차이가 있다. 1970년대 전체를 청년문화의 전성기로 읽을 수 없고, 1970년대 중후반의 정치적 변화는 청년문화를 포함한 저항문화의 전략 변화를 촉구했다. 때문에 청년문화가 활기를 띄던 시기에 제작된 〈바보들의 행진〉과 청년문화에 대한 비판과 억압이 강화된 시기에 제작된 〈병태와 영자〉는 동일한 정치‧사회적 맥락에서 읽을 수 없다. 따라서 이 연구는 1970년대 청년문화에 대한 관점의 세분화와 이에 따른 저항문화의 전략 변화를 기반으로 두 영화를 해석한다. ‘청년문화 전성기의 보고서’ 〈바보들의 행진〉은 유신의 억압에 저항했던 청년문화의 경험을 통해 시대에 대한 비판의식을 보여준다. 〈병태와 영자〉는 1975년 이후 쇠퇴하고 변색된 청년문화와 저항의 힘을 잃은 젊음을 대학생 스스로 비판하며 각성을 요구하는 ‘청년문화의 좌절 이후 자기비판’이다. 〈바보들의 행진〉과 〈병태와 영자〉의 이러한 1970년대 저항문화 재현은 세 가지 측면에서 두드러진다. 첫째, 〈바보들의 행진〉과 〈병태와 영자〉의 오프닝 시퀀스에서 프리즈 프레임은 각 영화의 주제를 함축한다. 둘째, 〈바보들의 행진〉에서 보여 준 영철의 죽음이 본편과 속편의 서사연계를 통해 〈병태와 영자〉에서 병태와 영자의 심경과 태도변화에 작용한다. 마지막으로 두 영화는 젊음을 상징하는 달리기 장면에서 카메라 워크(익스트림 롱쇼트, 패닝, 트래킹)의 반복과 차이를 통해 의미구조를 생성한다. Ha Gil-jong directed seven feature films in mid to late 1970s, and died young. ‘The March of Fools’ and ‘Byung-tae and Young-ja’, as Korean University Cinema, show those days Korean Youth Culture and College-Life. In this study, I suggest that the two films ought to be reread with diachronic changes of strategies of Counter-Culture, which relates segmented point of view of Korean Youth Culture in 1970s. I compare ‘The March of Fools’ and sequel ‘Byung-tae and Young-ja’ through cultural gap in 1975 and 1979, that each cinema covered. Mid to late 1970s’s political alteration raise diachronic changes of strategies of Counter-Culture include Korean Youth Culture at the instigation of intellectuals. So that, ‘The March of Fools’, filmed in the heyday of Korean Youth Culture, and ‘Byung-tae and Young-ja’, filmed in the after of frustrate of Korean Youth Culture as Counter-Culture, do not share the same political and social contexts. ‘The March of Fools’ reveals criticism on society with experiences and symbols of Korean Youth Culture that resists oppression of Yushin Regime. ‘Byung-tae and Young-ja’, as self-criticism after frustrated Korean Youth Culture, strikes a note of awakening to youth about the same age and critics himself about faded Korean Youth Culture and youth itself which lost a power to will of resistance. Representation of 1970s Counter-Culture in ‘The March of Fools’ and ‘Byung-tae and Young-ja’ reveals especially in three specific points. First, in each film, freeze frame implies topic of the work. And secondly, Young-chul’s death in ‘The March of Fools’ affects Byung-tae and Young-ja´s change of attitude in ‘Byung-tae and Young-ja’ with narrative connection. Lastly, two film generate semantic structure through repetitions and variations of camera works —extreme long shot, panning and tracking shot— in Running scenes which are symbolizing youth and liberty.

      • KCI등재

        〈신들의 깊은 욕망〉이 표상하는 전후 일본 모더니티의 복잡성

        하정현(Ha, Jung-hyun) 한국영화학회 2018 영화연구 Vol.0 No.77

        이마무라 쇼헤이의 첫 번째 컬러 영화 〈신들의 깊은 욕망〉(1968)은 이전 영화들의 주제의식 및 작가적 태도를 관통한다. 그럼에도 〈신들의 깊은 욕망〉에 대한 그간의 평가는 ‘원 일본으로의 회귀’ 또는 ‘전전 제국주의에 바탕을 둔 일본적 내셔널리즘의 확인’차원에 한정되었다. 선행연구는 이마무라 전작에서 반복되는 소재들에 집중하는 반면 그 소재에 대한 이마무라의 시선 변화를 감지하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 전후 일본의 모더니티 재고에 대한 이마무라의 시각은 〈신들의 깊은 욕망〉을 전작과의 관계 속에서 해석할 때 발견할 수 있다. 이마무라는 〈신들의 깊은 욕망〉을 통해 전후 일본 모더니티에 비판적으로 접근한다. 전후 일본사회는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특수와 함께 정치·사회·문화의 총체적 변화를 경험하며 전후의 탈진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모더니티가 조성된다. 전후 일본 모더니티는 전범국가 일본의 형질전환과 함께 구축되었다. 이 과정에서 천황과 미국, 전쟁과 평화, 패전, 냉전의 문제 그리고 이에 따르는 계급, 세대, 젠더의 갈등 등 마이너리티의 목소리는 경제성장의 미명아래 비가 시화 되었다. 〈신들의 깊은 욕망〉은 〈일본곤충기〉(1963), 〈인간증발〉(1967)과 마찬가지로 마이너리티에 대한 이마무라의 관심과 전전에서 전후에 이르는 일본의 역사에 대한 재인식이 담겨있다. 또한 이마무라는 영화적 실험과 영화 제작에 대한 자전적 면모, 경제적 부흥과 전후에 대한 역사 인식에 지속적인 ‘재고’를 언급한다. 이는 현재의 정치적 현실과 그 정체를 규명하기 위해 역사의 루트를 살펴야 한다는 이마무라의 창작 방법론으로 이어진다. 〈신들의 깊은 욕망〉에서 이마무라는 인류학을 동시대 일본의 정체와 마주하는 태도이자 기록의 방법론으로 삼는다. 〈신들의 깊은 욕망〉은 종횡으로 가로지르는 카메라 워크와 그리드의 미장센, 음향의 충돌, 시점 쇼트 배제 등의 스타일과 함께 시대와 세대가 종횡으로 뒤얽힌 일본 전후 갈등의 복잡성을 표상하고 곧장 그 ‘틈새’를 파헤친다. 즉, 이마무라는 역사의 투명성을 의심하며 그 물질적 토대를 드러낸다. 나아가 액자구조의 엔딩에서는 이마무라의 자의식인 주인공 카메타로를 통해 모든 폭력이 공동체를 위한 일로 합리화되는 것에 비판적 시선을 표명한다. Shohei Imamura’s the first colour film <Profound Desire of the Gods>(1968) goes through the thematic consciousness and artistic attitude of his previous film. In spite of that, 〈Profound Desire of the Gods〉has been considered as ‘reversion to the Original Japan still intact’ or ‘confirmation of Japanese Nationalism that is based on Showa period’s imperialism’. Major researches have been focused on repetitive subject with whole Imamura’s films, while have not been perceived his alteration of vision. Considering 〈Profound Desire of the Gods〉 with all of his films, makes the possibility of Imamura’s reconsideration points about postwar Japanese modernity. Postwar Japanese society have been made of new modernity in the conquering postwar exhaustion with whole rapid changing of politic, society and culture through the Korean-War and the Vietnam-War. In the postwar Japanese modernity which had constructed with Japanese transformation from war criminal to advanced nations which incident to Tenno and America, the war and the peace, the war defeat, the Cold War problems, and in there, a minority’s voices as invisible history like class, generation and gender problems have been hidden under the name of rapid economic growth. Imamura approaches postwar Japanese modernity, critically through 〈Profound Desire of the Gods〉. 〈Profound Desire of the Gods〉 has a new understanding of Japanese contemporary history. Also Imamura reveals continuing interests of a point of ‘reconsideration’ about filmic experiments, an autobiographical aspects about film making and historicity of postwar. It leads to his method that is digging into the inside details of a route of History for investigate a political realities and its substance. Imamura takes an anthropologic as methods of recording and attitude. 〈Profound Desire of the Gods〉 represents complexity with postwar Japanese tangled, crisscrossed feud and digs the cracks of it directly with a vertically and horizontally criss-crossing camera work, grid mise-en-scéne, collision of sound, exclusion of point of view shot. Then, through a protagonist Kametaro, Imaura expresses critical view of the violence tending to justify itself.

      • KCI등재

        이장호 민중영화의 여성 재현

        하정현(Ha, Jung-hyun),정수완(Jung, Soo Wan) 인문콘텐츠학회 2017 인문콘텐츠 Vol.0 No.44

        이 연구의 목적은 현실 비판적 리얼리즘 영화로써 이장호의 민중영화가 1980년대의 민중을 젊은 하층계급 남성 유대로 한정짓기 때문에 여성이 하위주체로 재현되는 문제를 밝히는 것이다. 이 연구는 이장호가 1980년대 초반에 하층계급에 대한 관심에서 제작한 두 영화, <바람 불어 좋은 날>과 <바보선언>에 집중한다. <바람 불어 좋은 날>과 <바보선언>은 민중의 삶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며 민중문화예술운동과의 연관성을 보인다. 남성 주인공들은 지배계층, 상류층에 대한 대항으로 피지배계층, 하층민의 문화인 민중문화를 지향한다. 이들은 탈춤이나 마당극을 연상시키는 걸음걸이, 춤, 노래를 통해 부조리한 현실을 이겨낼 방편으로 하층계급 남성을 주체화한다. 그러나 이러한 이장호 민중영화의 특징은 남성에 한정된다. 이 연구는 저항문화의 주체인 1980년대의 민중이 1970년대 저항문화 주체와 계급적 차이가 있음에서 시작한다. 따라서 민중의 계급운동 언어로 민중문화예술과 민중영화의 전개를 살핀다. 이 과정에서 민중문화예술 전반이 사회 비판의 주체로 민중과 문화소비의 주체를 남성에 두는 전개방식을 연구의 문제의식으로 삼는다. 이장호의 민중영화 역시 남성 중심의 민중문화에 치중하여 여성의 발화를 제한한다. 이장호의 민중영화에서 여성은 남성에 의해 이분법적으로 ‘좋은 여성’과 ‘나쁜 여성’으로 대립된다. 그 중 ‘나쁜 여성’은 편집과 카메라, 음향에 의해 이름과 목소리가 제거되어 주체적이지 못한 인격으로 재현된다. 이것은 여성을 남성 중심 가부장 이데올로기에 종속시켜 개별적 자아와 꿈의 실현 불가능성을 성별에 의해 단정 짓는 결과이다. 결과적으로, 이장호의 민중영화 속 하위주체인 여성은 젊은 남성들의 유대로 인해 가부장 이데올로기에 종속되어 정형화된다. Lee Jang-ho created ‘Good Windy Day’ in 1980 and ‘Declaration of Idiot’ in 1983. These are called ‘MinJoong Cinema’. Minjoong Cinema was originated from the social and cultural movement of Minjoong-laborers and farmers as low-class- and was started out at the Realism that agonized over Minjoong’s social and political subjectivity. Minjoong Artists generally seek a new paradigm shift the laborers and farmers would dominate the intelligentsia. Lee Jang-ho also did. His Minjoong Cinema is based upon reality in the context of society. Then he regards ‘urban poor’ as Minjoong with his own aesthetic about having Korean Film Scene’s cinematic Realism restored. He put Minjoon Cultural Movement as cinema into practice through some features: Urban poor plays main character in cinema; Acting and Scene-directing which are suggestive of Korean Mask Dance and Madangguk-one of traditional Korean performance. But These are male-dominated representation. In ‘Good Windy Day’ and ‘Declaration of Idiot’, Women are still in patriarchical familism values. So I focused on representation that makes women can’t autonomous caused from homogenous Minjoong as male-dominated in Lee Jang-ho’s Minjoong Cinema. First, Women are categorized as ‘bad’ or ‘good’ by dichotomous valuation from men. Second, Feasibility of shared ideals rest on men’s will despite all of characters have a dream of setting up housekeeping. Third, Infeasibility of the dream, with Interpellation and denied voice, foreshadows women’s tragic ending. These are ways of making women subaltern as per strategy of otherization of male-dominated ideology.

      • KCI등재

        〈일본곤충기〉가 표상하는 전후일본의 ‘상상된 개인’-프리즈 프레임을 중심으로

        하정현(Ha. Jung-hyun),정수완(Jung Soo Wan)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19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17 No.-

        이 연구는 이마무라 쇼헤이의 〈일본곤충기〉가 전후일본사회를 살아가는 개인을 재현하는 방식으로 선택한 프리즈 프레임의 의미를 살핀다. 〈일본곤충기〉는 13번의 연도 자막과 뉴스릴 인서트를 통해 국가의 연대기와 개인의 일대기를 종횡으로 관찰한다. 관찰의 결과는 엔딩에서 전후 일본의 전형적 개인으로 표상된 도메를 거울삼아 관객이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장을 마련한 것이다. 〈일본곤충기〉는 국가와 개인, 가해와 피해를 필연성이라는 출구 없는 체제로 인식하는 개인과 공동체를 여러 차례 반복하여 보여준다. 더불어 그때마다 등장하는 프리즈 프레임은 도메의 태도를 객관적으로 관찰할 거리를 관객에게 부여한다. 특히 〈일본곤충기〉의 프리즈 프레임은 국가의 연대기와 개인의 일대기를 병치하는 플롯의 역할과 동시에 국가와 개인의 상호작용 또는 충돌의 순간을 포착한다. 그리고 프리즈 프레임의 44회 반복은 포착된 이미지들을 중첩시켜 ‘과거-현재-미래’를 함축한다. 따라서 〈일본곤충기〉의 프리즈 프레임은 재현의 맥락에서 지시가 아닌 인덱스로 관객의 사고에 회고적 회로를 작동시킨다. 이는 직접적으로 과거를 회피하고 민주주의의 미명으로 책임 없이 개인의 자유만을 쫓는 도메의 태도를 관객에게 강조한다. 1960년 안보투쟁의 실패로 전후 민주주의와 개인의 주체성에 대한 논의가 활발했던 당시로서〈일본곤충기〉에 도메로 대표된 개인은 패전 직후 정치체제로서의 전후 민주주의가 양산한 보편적 개인, 즉 구조에 의해 ‘상상된 개인’이다. This study looks at a meaning of freeze-frame which represents Postwar Japanese society and individual in The Insect Woman Shohei Imamura, 1963). The Insect Woman observes a chronicle of Japan and woman′s life story as individual from various angles, by the 13 times subtitle inserts which shows period and insert cuts of newsreel. As a result, in ending sequence, audience can have a critical thinking with the Tomé as a mirror which represents a typical Postwar Japanese individual. The Insect Woman shows repeatedly the same structure and agency which regards a relationship between the nation and the individual, and another relationship between the victim and the injurer as necessity like no exit system. In addition, the freeze-frame that appears each time, gives the audience an objective observation of the attitude of Tomé. And the 44 repetitions of the freeze-frame overlaps the captured images and implies "past-present-future" and then it activates retrospective evaluation. It highlights a Tomé as a ‘imagined individuality’ who has a problem with a peccant understanding of the individual liberty, which is undercover with name by democratic behaviors.

      • KCI등재

        이마무라 쇼헤이 ‘기민(棄民) 다큐멘터리’의 전후 일본 해부

        하정현(Ha, Jung-hyun),정수완(Jung, Soo Wan) 한국영화학회 2020 영화연구 Vol.- No.83

        이마무라 쇼헤이(今村昌平)의 다큐멘터리는 1968년 <신들의 깊은 욕망>과 1979년 <복수는 나의 것> 사이에 집중적으로 제작되었다. 이마무라는 7편의 다큐멘터리를 통해 고도성장과 전쟁 특수, 평화, 안보로 점철된 전후 일본을 해부한다. 더불어 미화된 전후 풍경에 안주하여 역사를 망각한 일본인의 자기반성적 시각을 요구한다. <호스티스가 말하는 일본 전후사>(1970)에서 <무호마쓰, 고향으로 돌아가다>(1973)까지 이마무라의 다큐멘터리는 공통적으로 기민(棄民)의 목소리를 담았다. 이마무라는 이를 “기민 시리즈”라 명명한다. 이 연구는 우선 그의 ‘기민 다큐멘터리’의 동시대적, 포스트 식민주의적 의의를 살핀다. 이에 더하여 일본의 아시아 침략과 (냉전)아시아 속 전후 일본의 연속성을 전제하는 이마무라의 관전사(貫戰史)적 시각을 그의 다큐멘터리를 통해 밝히고자 한다. 이마무라는 (냉전)아시아의 관점에서 국가를 해부하기 위해 기민의 월경(越境)상태를 초국가적 차원으로 상정한다. 그러나 그의 논의는 기민의 비화를 극대화하거나 재현하지 않는다. 특히 <미귀환 병사를 쫓아서>(1971) 연작이나 <무호마쓰, 고향으로 돌아가다>, <가라유키상>에서 이마무라는 국가에 의해 버려진 국민이 현재의 일본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과거 전쟁 책임에 대해 반성하는지 등을 질문한다. 이마무라와 기민의 대화에서 주목할 점은 국가에 대한 개인의 신념이다. 이마무라의 다큐멘터리는 일본 국경 밖에서 기민의 복잡한 역사와 그에 따른 다양한 월경을 통해 일본의 과거와 현재를 연결한다. 이것은 ‘(냉전)아시아’라는 동시대적 관점에서 근대화와 전쟁, 전후 평화와 냉전의 접점을 만들어 일국의 관점으로 점철된 국가의 당위성을 해체한다. 이를 위해 기민 다큐멘터리는 공식 역사와 개인의 이야기를 병치하고, 국가와 개인 사이에서 양편을 충돌시키는 이마무라의 내레이션을 통해 관객이 스스로 국가에 대한 허구적 관념을 비판적으로 사고해야 하는 순간을 만든다. 특기할 사항은 목소리와 달리 기민에 주목하지 않는 카메라의 시선과 영화 이미지다. 기민 다큐멘터리는 서사적 차원의 재현으로 개개인을 대상화하지 않고 이미지 몽타주를 통해 수직적 역사와 수평적 동시대의 차원을 교차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냉전)아시아와 초국가의 관점에서 이마무라의 ‘기민 다큐멘터리’의 사운드와 영화 이미지에 주목한다. The documentary of Shohei Imamura dissects a Postwar Japan, which has been dotted with rapid growth, special procurement, peace and security. Also It expects introspection of Japanese who have forgotten history by complacent about embellished Postwar landscape. From 〈History Of Postwar Japan As Told By A Bar Hostess〉(1970) to 〈Homecoming of MUHO-MATSU〉(1973), Imamura’s documentaries are commonly contained the voices of abandoned people. Imamura names this as “Kimin series”. First, this study looks significance of post-colonial point of ‘Kimin documentary’. In addition, based on his documentary, this study discusses Japan’s invasion of Asia and its continuity(with variation) of Postwar Japan in a sight of Cold War-Asia. To dissect a Postwar Jap an as Cold War-Asia, Imamura presupposes the immigration status of Kimin to a transnational dimension. But He does not maximize or reproduce the behind-the-scenes story of the Kimin. Through 〈In Search Of The Unreturned Soldiers In Malaysia, In Thailand〉(1971) series or 〈Homecoming of MUHO-MATSU〉, 〈The Making of a Prostitute International〉, he questions how those who are abandoned by the nation perceive a Postwar Japan and reflect on their past war responsibilities. Imamura’s documentary connect past and present of Japan with a transnational situation. And he dissects and reveals an interface between modernization and war, post-war peace and the Cold War through ‘Cold War-Asia’ as a sight. For this, Kimin documentary combines official history with personal stories, and through Imamura’s narration that clashes the two sides between the nation and the individual, the audience creates a moment when they must think critically of their fictional notions of the nation. What is specially noteworthy is eye’s of camera and image of film that does not pay attention to Kimin, unlike the voice. ‘Kimin documentary’ do not objectify individual with narrative but through image montage, intersects vertical history and horizontal simultaneous dimensions.

      • KCI등재

        재일조선인 표상과 시선의 주체: 이마무라 쇼헤이 〈니안짱〉(1959)을 중심으로

        하정현(Ha, Jung-hyun),정수완(Jung, Soo Wan)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22 씨네포럼 Vol.- No.41

        본 연구는 일본영화의 재일조선인 표상과 시선의 주체 문제에서 이마무라 쇼헤이의 〈니안짱〉이 원작과 다른 시선을 구축하는 것에 주목했다. 재일조선인 문학사적 관점에서 원작은 화자로서 재일조선인 아동의 주체성 문제와 일본 대중사회의 내셔널리즘적 소비의 문제가 있다. 이마무라의 〈니안짱〉은 원작의 이러한 문제와 거리를 두기 위해 가상인물들을 조형하여 원작을 재구성 및 재창조 했다. 이에 본 연구는 〈니안짱〉이 새롭게 조형한 일본인 복지사 가나코와 재일조선인 노파 사카다의 의의와 재일조선인 아동의 자의식 형성에 관계된 지정학적 조건을 살폈다. 〈니안짱〉이 탄생시킨 가상의 인물들은 원작의 재일조선인 아동 시선에서 구체화되지 못한 어른들의 문제, 즉 재일조선인을 둘러싼 일본사회의 차별적 시선을 담지한다. 〈니안짱〉은 가나코와 재일조선인, 가나코와 일본인 사이의 거리를 표상하여 재일조선인의 삶에 전제된 일본의 역사를 반추시킨다. 이때 가나코와 대조되는 사카다는 일본에서 살아남아야 하는 재일조선인의 역사를 직접적으로 표명한다. 〈니안짱〉은 재일조선인의 삶이 일본이라는 지정학적 조건에서 자유로울 수 없음을 사카다의 대사와 동선으로 보여준다. 이러한 재일조선인 1세의 삶에서 벗어나려는 다카이치의 의지는 보타산에 오르는 상승성을 통해 반복된다. 그러나 다카이치의 자의식에서 발생한 상승적 역동성은 일본인에 의해 저지되고, 회귀되기를 반복한다. 〈니안짱〉의 엔딩은 그럼에도 굴하지 않는 다카이치의 강인한 의지를 보여주는 동시에 그것을 일본사회가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지 관객에게 되묻는다. As a matter of the representation of Zainichi (ethnic minority in Japan) in Japanese cinema, This study focused on Shohei Imamura’s Second Brother (1959) bears a different perspective from the original work. There are several fictitious characters and new, related episodes in Second Brother. Following the difference, this study notices Kanako-Japanese social worker- and Sakada-old Zainichi woman- as fictitious characters and also surveys Japan as a geopolitical condition for Zainichi children’s identity. The fictitious characters from Second Brother connote Japanese ethnic discrimination or the perspective of the adult which cannot reveal itself because the original work had written by children. A gap between Kanako and Zainichi and between Kanako and other Japanese in Second Brother makes rumination on the history of Japanese imperialism that brings about the Zainichi and also there’s today. Sakada, another fictitious, expresses her stance directly as a Zainichi woman who has no choice but to live in Japan. And Takaichi, who is the second brother or the second generation of Zainichi, climbs Bota-Yama (slag heap of coal mine) repeatedly for the sake of getting over the closed conditions of selection. Whenever he expresses the will himself, the Japanese block him and sends him back to the place where they accord to Zainichi as implicit bias. Imamura asks back to Japan, how it is possible and what have to do now in the last scene.

      • KCI등재

        ‘전후 민주주의’에 대한 영화적 서술: 고도성장기 이마무라 쇼헤이 중희극(重喜劇)을 중심으로

        하정현(Ha, Jung-hyun),정수완(Jung, Soo Wan)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20 씨네포럼 Vol.0 No.37

        이마무라 쇼헤이 영화 전사를 관통하는 주제어는 일본의 ‘전후’이다. 그는 전시기 부터 현대사회로 이어진 전후 일본인의 왜곡된 신념과 비합리성을 기반으로 성립된 전후 일본 민주주의 사회의 폐쇄성을 해부한다. 본고는 특별히 고도성장기에 주목하여 이마무라의 극영화를 살펴본다. 그의 첫 작품은 1958년에 제작되었으며 약 10년 후의 그는 다큐멘터리를 제작했다. 이 시기는 일본의 고도성장기와 일치한다. 일본의 고도성장기는 전후와 냉전이라는 두 축이 응축된 결과물이다. 따라서 고도성장기는 아시아-태평양 전쟁의 여파와 체제로서 냉전의 관계를 말하지 않을 수 없다. 하지만 비약적 경제성장의 외피는 전쟁의 흔적을 지워 선진국 일본으로의 도약만을 표상한다. 이로써 전후 일본 영화에서 과거는 현재의 견고함을 말하기 위한 회상의 한장면으로 그려지거나, 전후 민주주의 안에서 미화되었다. 이러한 가운데 이마무라는 과거를 재고하는 비판적 시선을 말한다. 그는 이를 ‘중희극(重喜劇)’이라 제창했다. 따라서 본고는 고도성장기 이마무라 중희극의 의미와 영화 언어로서 중희극의 시각성을 살핀다. 이마무라 중희극은 경희극의 조어로 웃음의 무게, 무거움을 강조한다. 〈끝없는 욕망〉에서부터 이마무라의 영화에는 미래지향적 욕망을 추구하는 개인이 집대성된다. 그들의 욕망은 이마무라의 카메라에 의해 철저한 타자로 관찰 당한다. 개인의 욕망은 다른 욕망으로 파생하고 연쇄되길 반복한다. 이로써 욕망의 군상은 정밀화되어 공동체의 보편성을 해체한다. 중희극은 이와 같은 보편적이고 관습적인 인지에 비판적 시선을 생성한다. 여기서 중희극의 무게는 이마무라의 영화언어로서 그 시각성에 의해 비판적 시선의 주체를 관객으로 만든다. 이마무라 중희극은 영화의 매체성을 드러내어 전후 민주주의의 실체를 드러낸다. 이 과정에서 관객은 체제의 폐쇄적 구조와 집단 욕망을 정밀히 관찰하여 전후 민주주의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스스로 갖는다. The Japanese postwar as a thesis is common to Shohei Imamura"s all. He dissects Japan"s archaic closed-mindedness in the postwar democracy which has been established with distorted creeds and irrationality from the public. This study discusses Imamura"s fiction films during the high-growth period. In 1958, he made his first works. And after a decade, he plunged into the documentary film. It has been set in the high-growth period. The Japanese high-growth is the output of the postwar and the cold war. Thus, it has to be considered with the aftermath of the Asia-pacific war and the cold war system. But the guise of rapid and glossy progress has been a symbol as a leap of the ranks of the advanced nations by blocking certain memories and a trace about the war. In the Japanese films at this time, the close past of the Asia-pacific war has been represented for adamancy of growth or has been glossed over in order to the guise of postwar democracy. Among this, Imamura attempts to be ‘censorious’ for the reconsideration of the past as an inner part of reality. Imamura called this Jukigeki by himself. Following him, this study presents the implicit meaning of Jukigeki as an intrinsic property and treats the visuality of that as a film language. Imamura"s Jukigeki emphasizes the heaviness and seriousness of comedy as a coined word of light comedy. Since Endless Desire, Imamura"s film is a compilation of individuals who pursue future- oriented desires with the obscurity of the war. The desire is observed in the character of the otherness who is thorough with Imamura"s camera. Individual desires are derived from other desires and repeat in a chain. The group of desires is refined and dismantles the universality of the community. Jukigeki in it creates a critical discernment at such universal and customary cognition. The weight as the seriousness of the Jukigeki here is Imamura"s film language, and the host of the critical discernment is the audience due to its visuality. Jukigeki eliminates the lyricism from the films which tends to perceive postwar democracy as humanism in his period and appears a substance of that with a film"s medialitat. Along with, the audiences, themselves, generate the public sphere"s polyphonic for postwar democracy through a censorious observation about an exclusive structure of system and desire of community precisely.

      • 통증이 있는 이분슬개골의 제한적인 외측 지대 유리술 치료

        이승림,한성호,양보규,정선욱,하정현,안영준,정병준,전도환,빈성우,Yi Seung Rim,Hahn Sung Ho,Yang Bo Kyu,Chung Shun Wook,Ha Jung Hyun,Ahn Young Joon,Chung Byung June,Jeon Do Hwan,Bin Sung Woo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3 No.1

        목적: 슬개골 상외측부 통증을 동반한 이분슬개골의 치료로 시행한 제한적 외측지대 유리술의 단기 추시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1995년 1월부터 2002년 6월까지 통증을 동반한 이분슬개골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들 중 제한적인 외측지대 유리술을 시행받은 14명의 환자 1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는 전 예에서 남자였으며 평균 연령은 22.3세 (20$\~$44세)였고 방사선학적 검사상 이분슬개골은 Saupe 분류상 2형이 3예, 3형이 13예였다. 핵의학적 검사상 이분슬개골 부위에 동위원소 섭취증가의 소견을 보였다. 수술은 관혈적 방법을 이용하여 이분슬개골에 부착된 외측 광근건을 골막하에서 분리하였다. 임상적으로는 통증의 감소 여부와 활동정도, 방사선학적으로 이분슬개골편의 경사도(fragment tilting angle)와 이분슬개골편의 슬개골과의 간격 등을 술전과 후를 비교하여 평가하였고 평균 추시기간은 14개월 (12$\~$16개월)이었다. 결과: 제한적 외측지대 유리술 후 이분슬개골 부위의 통증을 호소한 예는 없었으며 임상평가상 전예에서 양호 이상의 결과를 보였다. 방사선학적 평가상 이분슬개골편의 경사도와 이분슬개골편과 슬개골과의 간격은 술전에 비해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감소의 소견을 보였다. 결론: 통증을 동반한 이분슬개골의 치료에 있어서 제한적인 외측지대 유리술은 보다 덜 침습적인 치료방법으로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가져와 상기 질환의 치료로서 우수한 치료방법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sults of limited vastus lateralis release for treatment of painful bipartite patella.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 1995 to Jun. 2002, we performed limited lateral retinacular release in 14 patients(16 cases) for treatment of painful bipartite patella. All patients were men and mean age was 22.3 years old. The opeative techique was that insertion of the vastus lateralis to the painful patellar fragment is detached subperiosteally. We evaluated the clinical results by degree of pain and level of activity. Also we analyzed the radiologic findings by measuring fragment tilting angle and gap between fragments. The mean follow up period was 14 months. Results: At final follow up, all of the patients showed pain relief and can be returned to more than recreational sports activity after the operation. On radiologic findings, fragment tilting angle and gap between fragments were reduced at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Conclusion: The limited lateral retinacular release for treatment of painful bipartite patella is one of good methods which is less invasive and shows good results in clinical and radiologic findings.

      • KCI등재

        AI Chatbot Providing Real-Time Public Transportation and Route Information

        So Young Lee(이소영),Hye Min Kim(김혜민),Si Hyun Lee(이시현),Jung Hyun Ha(하정현),Soowon Lee(이수원)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4 No.7

        As the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has developed recently, researches on chatbots that provide information and contents desired by users through an interactive interface have become active. Since chatbots require a variety of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ology and domain knowledge including typos and slang, it is currently limited to develop chatbots that can carry on daily conversations in a general-purpose domain. In this study, we propose an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that can provide real-time public traffic information and route information. The proposed chatbot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understand the intention and requirements of the user through the conversation on the messenger platform without map appl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