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내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거울치료 중재 적용 연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박주형 ( Ju Hyung Park ),강신욱 ( Sin Uk Kang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2012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4 No.2

        본 연구는 국내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거울치료 중재에 대해 검토해보고자 체계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2000년 1월부터 2012년 8월까지 한국교원학술정보원을 통해서 학위 논문 및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검색하였고 주요 검색용어로는 거울치료, 거울매개치료, 뇌졸중 등의 단어를 사용하였다. 각 연구의 참여한 연구대상자 측면에서는 각 군별 대상자 수가 20명 이상인 연구는 1편이었고 그 외 모든 연구들의 각 군 별 대상자 수는 20이하로 이루어져 근거 수준이 높지 않았다. 각 논문의 연구설계는 무작위비교실험설계(Randomaized trial) 연구는 전체 연구 중 7편이었고 그 외 3편은 비-무작위 비교실험설계(Non-RCT) 연구들이었다. 내적 타당도와 외적타당도 측면에서는 10편의 연구 모두 중등도의 내적 타당도와 외적 타당도를 보였고, 치료효과 측면에서는 총 10편 중 9편이 연구의 가설과 일치한 유의미한 효과를 얻은 것으로 확인 되었으나 1편의 연구에서 본래 설정된 가설인 상지 고유수용성 감각의 유의미한 변화를 얻지는 못하였다. 각각의 연구별 거울치료의 적용에 있어서도 얻어진 효과들로서 상지 운동기능 향상이 총 6편의 연구에서 언급되어 가장 많았고 일상생활수행능력의 향상이 4편으로 그 다음이었다. 그 외 언급되어진 거울치료의 중재 적용 효과로는 하지 운동기능의 향상과 편측무시의 감소, 근력 · 균형 및 보행능력의 향상이 각각 1편의 연구에서 언급되어졌다. 추후의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에 따라 보다 많은 수의 대상군의 확보와 추적조사를 통한 지속적인 치료적 효과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거울치료 중재의 보다 다양한 치료적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요청된다. This study was to be conducted to identify the mirror therapy meditation for domestic patients with stroke. From January, 2000 to August, 2012, we searched through KERIS the for essays post in doctoral thesis or academic magazine and mainly used vocabularies such as mirror therapy, mirror meditative therapy and stroke. In aspect of subjects that had participated in each studies, the study with more than twenty subjects was only one and the number of subject of all the other studies was less than twenty, which means level of reasonability was not so high. For research design of each thesis, randomized trial was seven among every research and the other three was non-RCT. In aspect of internal/external justifiability, ten studies were in the middle level of in/external justifiability, and in aspect of efficacy of therapy nine out of ten studies was confirmed to have gained meaningful effect because it matched hypothesis of thesis. However, one study did not gain meaningful change of proprioceptive sense of upper extremity function. The development of motor function of upper extremity had been mentioned in total six studies more than others as it was found efficacious and the development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was second. The other meditative application effect of mirror therapy that was once mentioned is development of motor function of lower extremity, of unilateral neglect, and of ability of muscle, sense of balance, and of walking. The future study is going to obtain more subjects according to such as result and to do some work about continuous medical effect through investigation. The more studies about various medical possibility other than mirror therapy meditation will be required.

      • 작업치료(학)과 대학생들의 전공 선택 동기에 따른 전공만족도와 전공성취도에 관한 연구

        박주형 ( Ju Hyung Park ),강신욱 ( Sin Uk Kang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2015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7 No.2

        서론: 본 연구는 현재 대학에 재학중인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전공 선택 동기에 따른 전공 만족도 및 전공 성취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작업치료과가 개설되어 있는 경북 도내에 소재해 있는 대학의 작업치료과 재학생들 7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전공 선택 동기에 따른 전공 만족도 및 전공 성취도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총 배부된 75부 중 정확히 기입된 66부를 가지고 비교 분석하였으며, 전공 선택 동기가 적성 및 흥미에의해서 일 경우 전공 만족도 및 전공 성취도는 높은 경향이 나타났으며, 취업 전망, 점수에 맞추어서, 타인의 추천 등으로 인했을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전공 만족도 및 전공 성취도가 나타났다. 결론: 전공 선택시 자신의 의한 능동적 선택시 보다 긍정적인 전공 만족도 및 전공 성취도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적은 대상군으로 인해 추후 연구에서는 이를 보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major selection motivation impact on the Major Satisfaction and Major Accomplishment of students who major in occupational therapy. Methods: Analyze survey of major characteristic from 75 students of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in KyungBuk region. Compare and analyze the major accomplishment and major satisfaction related on the major selection motivation. Results: Among a total of 75 questionnaires distributed, 66 copies that were answered properly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had a high tendency if their major selection motivation was based on their aptitude and interest, while their major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had a low tendency if their major selection was in accordance with the employment prospect, based on their entrance examination scores, or by others’ recommendations.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students had a positive major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when they actively selected the major by themselves, but it is considered that a further study is needed to complement the fact that there was a small control group in the current research.

      • KCI등재
      • KCI등재

        질환별 재활승마 중재 효과에 관한 체계적 고찰

        박주형 ( Ju Hyung Park ),이효정 ( Hyo Jeong Lee ),양영애 ( Young Ae Yang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11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5 No.1

        목적: 본 연구는 재활승마를 적용하였을 때의 질환별 중재효과에 대한 연구들의 체계적 고찰을 통하여 각각의 질환별 재활승마 중재효과를 검증하고 재활승마에 대한 연구경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2000년 1월부터 2011년 3월까지 Pubmed에서 hippotherapy, Equine-Assisted Therapy등의 단어를 검색어로 하여 체계적 고찰을 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의 질환으로는 뇌성마비(cerebral palsy) 가 총 4개 연구로 가장 많았고 척수손상(spinal cord injury)와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이 각각 1편이었다. 각 논문의 연구설계는 집단의 무작위 할당, 동일조건, 순차적 측정 등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유사 실험설계에서의 두 집단 간 비교 연구인 비-무작위 비교실험설계(Non-RCT) 연구가 총 6편 중 5편으로 가장 많았고 단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한 개별실험설계를 선택한 연구가 1편 포함되어 있었다. 치료효과 측면에서는 총 6편 중 5편이 연구의 가설과 일치한 유의미한 효과를 얻은 것으로 확인 되었으나 1편의 연구에서 보행 및 그 외 보행과 관련된 요소에서의 유의할만한 효과를 보지는 못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보다 다양한 질환 대상군과 재활승마 중재의 보다 많은 치료적 가능성을 연구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Objectiv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verify arbitration effects of horse riding for rehabilitation by each disease and examine the studying tendency of horse riding for rehabilitation through the systematic consideration on arbitration effects by each disease when applying hourse riding for rehabilitation. Method: Methods: The systematic consideration was conducted by making the words; hippotherapy, Equine-Assisted Therapy, etc. in Pubmed from Jan. 2000 to Mar. 2011. Result: For the disease of studying object, cerebral palsy was the most with 4 studies and spinal cord injury and multiple sclerosis were organized by one study. For the studying plan of each paper, Non-RCT studying, a comparative studying of two groups in similar experimental plan which can satisfy group`s random assignment, same condition, successive measure, etc. were the mostly with 5 studies among the whole 6. And it was included by one study which selected individual experimental plan progressed by singular object. For the aspect of treatment effects, it was confirmed that 5 studies of the whole 6 obtained the significant effects same as the hypothesis of studying. But, the remain one studying didn`t show the significant effects for walking and factors related with walking. Conclus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researchers should study more various diseases and more treatment possibilities of arbitration of horse riding for rehabilitation.

      • 국내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재활승마 중재 적용 연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박주형 ( Ju Hyung Park ),신중일 ( Joong Il Shin ),양영애 ( Yeong Ae Yang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2011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3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국내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재활승마 중재에 대해검토해 보고자 체계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2000년 1월부터 2011년 3월까지 국회도서관과 한국교원학술정보원를 통해서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검색하였고 주요 검색용어로는 승마운동, 승마재활, 장애아동, 재활승마 등의 단어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의 질환으로는 총 14개 연구 중 뇌성마비(cerebral palsy)가 8편, 정신지체(Mental retardation) 7편, 그 외 발달 장애 및 자폐는 1편이었다. 각 논문의 연구설계는 집단의 무작위 할당, 동일조건, 순차적 측정 등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유사 실험설계에서의 두 집단에서의 비교 연구인 비-무작위 비교실험설계(Non-RCT) 연구가 총 14편 중 6편으로 가장 많았고 단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한 비-무작위개별실험설계(NonpRCT)를 선택한 연구가 5편, 치료적 중재를 통한 단일 대상의 측정을 한 개별실험설계(Single-subject Design)를 선택한 연구가 3편이 포함되어 있었다. 치료효과 측면에서는 보행과 관련 된 자세 및 평형능력, 대동작 기능, 근력, 경직 등에서의 신체적 효과를 들을 보고한 연구들은 총 9편이었고 손기능 및 인지능력의 효과를 언급한 연구는 1편, 그 외 우울증, 사회성, 정서적 변화 등을 언급한 연구는 총 4편이었다. 결론: 이에 추후 연구에서는 뇌성마비, 정신지체외의 다양한 질환군과 재활승마 중재에서도 신체적 효과에 국한되지 않고 인지-지각적 등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근거의 수준에서도 보다 향상된 연구들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 This study conducted a systematic review for examining riding intervention for the rehabilitation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Korea. Methods: This author referred to the journal published through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and the Korea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Conference from February of 2000 to March of 2011, and used the major search terms such horseback riding, riding for the disabled, children with disability and riding for the rehabilitation. Results: This article used the diseases for studying, which 8 of total 14 researches are cerebral palsy, 7 are mental retardation, other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1 is autism. It found that the research design is Non-RCT where 6 of 14 journals had chosen for planning quasi-experiment in which it doesn`t satisfy the randomly assigned group, the same condition and the sequential measurements, which was the highest rate of the journals, including Non-RCT where 5 of them had chosen for single subject, Single-subject Design where 3 of them had chosen for measuring single subject through therapeutic intervention. On the therapeutic efficacy, total 9 of them reported the physical efficacy in such as the posture related with walking & the balance capability, gross motor function, muscle strength and rigidity, 1 of them indicated the result of hand function and cognitive function, and 4 of them showed other depression, sociality and emotional shift. Conclusion: For this, this article suggested that further research has to study the population with various diseases, other than cerebral palsy and mental retardation, as well as various aspects such as cognitive-perceptual aspects on riding intervention for the rehabilitation, not limiting to the physical efficacy, more improved studies on the evidence level additionally.

      • KCI등재

        클라이언트 중심 상상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 수행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박주형(Ju-Hyung Park),유찬욱(Chan-Uk Yoo)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11

        본 연구는 클라이언트 중심 상상훈련이 뇌졸중 환자들의 일상생활활동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경상북도 K병원에 내원한 뇌졸중 1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클라이언트 중심 상상훈련은 전 · 후 평가를 제외한 총 4주 동안 주 5회 30분씩 실시하였다. 평가도구는 기능적 독립척도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FIM)와 뇌졸중 특이 삶의 질 척도(Stroke Specific Quality of Life: SS-QOL)이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클라이언트 중심 상상훈련 실시 전에 비하여 실시 후 만성기 뇌졸중 환자들의 FIM 점수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고, SS-QOL값에서도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클라이언트 중심 상상훈련이 뇌졸중 환자들의 일상생활활동 및 삶의 질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lient-centered mental practice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with stroke. For 16 persons with stroke, we executed Client-centered mental practice for 4 weeks, five times per week, and 30 minutes each time. Before and after the Client-centered mental practice, the patients were tested with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FIM) and Stroke specific quality of life(SS-QOL). After the Client-centered mental practice, the subjects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the score of FIM and SS-QOL(p<0.05).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Client-centered mental practice for persons with stroke is a useful therapeutic approach by enhancing through improving their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 국내 치매환자 대상으로 한 회상치료 적용 연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박주형 ( Ju Hyung Park ),용미현 ( Mi Hyun Yong ),조미림 ( Mi Lim Cho ),강신욱 ( Sin Uk Kang ),양영애 ( Yeong Ae Yang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2013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5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국내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진 회상치료 프로그램을 중재 적용한 연구에 대해 검토해보고자 체계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2000년 1월부터 2013년 9월까지 한국교원학술정보원를 통해서 확인되는 논문을 검색하였고 주요 검색용어로는 치매, 회상치료, 회상 등의 단어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분석 결과 총 10편의 논문이 선정되었으며 선정된 연구에서의 회상치료는 모두 집단 회상치료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세부 중재 형태는 의사소통 중심 회상치료, 작업 중심 회상치료 크게 2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었다. 치매 환자 대상의 회상치료의 효과는 인지기능 유지 및 향상, 우울감소, 의사소통 및 사회적 상호작용 향상, 삶의 질 및 생활만족도 향상 등 총 5가지 효과가 보고되었으며, 연구의 질적인 측면에서는 적은 대상군, 짧은 연구기간, 제한된 연구 환경으로 인해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의 내적, 외적 타당도를 보였다. 결론: 추후의 연구에서는 보다 많은 수의 대상군의 확보와 추적조사를 통한 지속적인 치료적 효과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치매환자 대상의 다양한 형태의 회상치료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This study has been considering systematically to analyze the research which has been applying reminiscence therapy program into intervention. Methods : From January, 2000 to September, 2013, we have been searching for essays through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and using dementia, recollection therapy or recollection as keyword. Results : As the result, in total the tens of essay were selected and all the reminiscence therapies in study that was selected has been progressed as group reminiscence therapy. They could be divided into the reminiscence therapy focused on communication and work. There have been five effects reported: maintenance and improvement of function for recognition. reduction of depression,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and social interaction, of quality of life and satisfaction with lifestyle. In the qualitative aspect of research, it showed comparatively low level of in/external validity because of a few comparisons, short term for research and restricted environment. Conclusion : In future research, we would have to obtain more comparisons and perform the research on constant therapeutic effects through the investigation and on many forms of reminiscence therapy for patients with dement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