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花史>의 문제의식과 의식지향

        송주희(Ju hee Song) 어문연구학회 2015 어문연구 Vol.84 No.-

        본고에서는 임제의 한문소설 중 비교적 길이가 길고, 꽃의 의인과 더불어 사서(史書)의 서술기법을 도입하여 흥미를 유발하며, 작가의 목소리가 작품에 충실히 투영된 <화사(花史)>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우선 2ㆍ3장에서는 <화사>의 창작 방식에서의 특징과 문제의식이 구현되는 양상, 사평을 통한 작자의 의식지향을 살펴보았다. <화사>를 의인과 편년체의 서사 기법 면에서 살펴보고, 주요 사건의 말미나 각 왕조가 멸한 후에 붙은 사신의 논평을 통해 작자의 의식이 지향하는 바를 파악하고자 했다. 그 결과 도나라의 열왕만이 끝까지 덕치를 베푼 군주였고, 이후의 왕과 왕조들은 그렇지 못하여 망국으로 치닫게 된다. 이러한 내용을 통하여 임제가 생각한 이상적 정치와 군주상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가 현실에서 고민하고 좌절한 정치상황이 어떤 것인지 알 수 있었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초창기의 한문소설로서 <화사>가 지니는 몇 가지 의미를 찾아보았다. 서사 기법 면에서 가전소설에서 주로 사용하는 의인체를 원용하였으나 가전(假傳)보다는 왕조사를 다루었고, 인간의 역사가 아닌 꽃의 역사를 사서(史書)의 편년체로 서술하였다. 이러한 창작 방식은 현실에 직면한 정치 문제 등의 문제의식을 날카롭게 드러내기 위한 것이라 하겠다. 따라서 <화사>는 의인체 서사의 전통을 수렴하여 독특한 서사기법을 통해 사회비판적인 작자의식을 적절히 투영하여 소설장르적인 정체성을 강화하고, 그것을 조선후기의 의인체 소설에 넘겨준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Hwasa (History of Flowers)>, in which the author's voice is faithfully projected, which attracts interest by adopting the narrative technique of a history book and personification of flowers, and which is a relatively long novel among the novels written in Chinese letters by Imje. First of all, Chapters 2 and 3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writing method of Hwasa, identified the method by which a critical mind is realized, and examined the consciousness of the author through a method of commenting on history.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Hwasa> based on the aspect of personification and narrative skills in a chronological form and to understand the consciousness of the author through the comments of the historical record which was attached after the the destruction of each dynasty or at the end of each major event. As a result, the King Yeoul of the Do Dynasty was the only monarch that ruled based on virtue to the end, and the kings and dynasties afterwards were different, which headed towards a ruin. Through such stories, we can know what Imje thought of as ideal politics and figure of a monarch, and what political situations he was concerned of and was frustrated with in reality were.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s, this study sought to find several meanings of <Hwasa> as an early novel written in Chinese letters. Regarding the narrative technique, the personification prose mostly used in personified biographical novels was incorporated, but the story dealt with the history of dynasties rather than personified biography, and described the history of flowers, and not human beings, in a chronological form of a history book. Such writing method can be said to sharply reveal the critical mind of the political issues in reality. Thus, Hwasa can be said to have strengthened the identity of a novel genre by adequately projecting the socio-critical consciousness of the author through a unique narrative technique by gathering the tradition of personification narrative, and to have handed over such feature to the personification novels in the latter period of Joseon.

      • KCI등재

        <쳥암녹>의 다층적 폭력 양상과 의미 분석

        송주희(Song Ju-hee) 어문연구학회 2018 어문연구 Vol.96 No.-

        In this article, the meaning of violence was expanded from the dictionary definition which is physical measures used to suppress someone to direct and indirect use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power to overwhelm or incapacitate the other person. Also, in previous studies, the violence pattern has been limited to men using violence against women within the family, with which the discussion began to expand its meaning. The main narrative structure of Cheongamnok has turned out to be about main characters achieving love, where the villain of an absolute power abducts the female character who tries to escape. As it showed various patterns of violence, Cheongamnok proved suitable for analyzing multi-layered violence and its meaning. In Cheongamnok, the patterns of violence and suffering are shown in not one but multiple aspects. The violence in it is not only used by an aggressor against a victim, but also by an individual against an individual, by an individual against a group, by a group against an individual, by a group against a group, both instantly and consistently. This multi-layered violence was classified into four patterns based on the narrative structure. First, violence as an obstacle to marriage. The problem that main characters are third cousins is easily resolved and the story easily flows into the wedding. However, when the villain suddenly appears and abducts the bride, their marriage is faced with difficulties. The violence, so unexpected that no one could easily act upon, hinders two characters love and marriage and changes the lives of those around them, acting as the main narrative drive throughout the story. Second, violence disguised as love. It begins when the general , the head of the pirate groups, abducts the lady Choi using violence under the pretense of love between individuals. What he chooses as a means of keeping her close to him is a forcible abduction. Whatever the reason is and whatever consequences it brings, what he does is an undeniable violence. He abducts her against her will using physical force as a means of coercive union, making her suffer in captivity for a long time and even attempt suicide. Third, invisible violence in family and society. It shows that invisible violence in family and society against an individual, as well as repressive violence between individuals, is also a form of violence. The parents from the two families use violence to their son and daughter respectively, sitting by when their child is in suffering and repress them psychologically. When their children reunite with all those sufferings and safely come back home, they oppress them for the reason of filial piety instead of comforting them. Fourth, never-ending violence by the absolute evil. The so-called pirate group or general group uses violence against the two victims and their families, leaving deep scars to them. The evil coerces a woma into his own world out of her own, abducting her by using physical force. This indiscriminate violence inspires much terror in that it is not confined to the main characters of Cheongamnok but is boldly repeated against unspecified individuals later on. What is more terrifying is that the governmental forces try to subdue the group but find no trace of it, leaving the image of never-ending violence by the absolute evil. As such, the meaning of this novel can be explained by multi-layered violence. First of all, the story unfolds in an interesting way by modifying the marriage obstruction. The marriage obstruction is a kind of rite of passage that makes hard the uniting of the main characters. In general, marriage obstruction includes the difference in social classes between characters, the difficult of union between the alive and the dead, and the adversarial relationship between two families from their ancestors. However, although the main characters are close relatives (third cousins, in this case), which seems like an obstruction to marriage throughout the 본고에서는 폭력의 의미를 상대를 제압할 목적으로 쓰는 물리적인 수단을 가리키는 사전적 의미에서 확장시켜, 직 간접적인 완력으로 상대를 압도하거나 무력화하는 정신적이고 심리적인 것 모두를 폭력이라고 전제하였다. 그리고 그간 고전소설의 연구에서 폭력 양상이 가정이라는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남성이 여성을 대상으로 한 폭력에 한정하고 있어 그 시각을 넓히는 데에서 논의를 시작하였다.<쳥암녹>의 서사 구조를 살펴보며 절대적 힘을 가진 악인이 여성 주인공을 납치하는 혼사 장애요소와 여기서 벗어나고자 하는 주인공들의 애정 성취 과정이 이 작품의 주요 서사임을 확인하였다. 이 과정에서 다양하게 드러나는 폭력의 양상을 담고 있기에 <쳥암녹>이 고전소설 안에 그려지는 다층적 폭력 양상과 의미를 파악하기에 적합한 작품이라고 판단하였다. <쳥암녹>에서는 폭력과 고난의 양상이 단선적으로 그려지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측면으로 나타나고 있다. 한 가해자가 한 피해자에게 가하고 있는 폭력만이 아니라 개인이 개인에게, 개인이 집단에게, 집단이 개인에게, 집단이 집단에게 때로는 순간적으로 때로는 지속적으로 폭력을 행사하는 바가 드러난다. 서사의 주요 골자를 중심으로 이러한 다층적 폭력 양상을 네 가지로 구분하여 면밀히 살펴보았다. 첫 번째, 혼사장애로 작용한 폭력이다. <쳥암녹>의 혼사장애는 집안의 반대가 있을 법한 요소인 남녀주인공이 삼종의 친족지간이라는 문제는 오히려 가볍게 해결이 되고 혼인까지 막힘없이 전개된다. 그러다 급작스레 등장한 괴한, 그리고 그에 의해 신부가 납치되는 초유의 사건이 주인공의 결연을 방해한다. 예상할 수 없었기에 쉽사리 대응할 수도 없는 폭력은 두 주인공의 애정과 혼사는 물론이거니와 이들의 주변 인물들의 삶까지도 송두리째 흔드는 것으로, 작품 전반에 걸쳐 가장 주요한 서사동인으로 작용한다. 두 번째, 애정으로 둔갑한 폭력이다. 이는 개인이 개인에게 가하는 사랑을 빙자한 폭력으로, 해적 무리의 수장인 ‘장군’이 최 소저를 납치하며 시작된다. 장군이 최 소저를 가까이 두기 위해 취한 방법은 무력을 이용한 강제적 탈취이다. 이유가 무엇이었고 이후에 어떤 결과를 가지고 왔는가와 무관하게 그 자체가 엄연한 폭력이다. 상대의 의사에 반하여 물리 적힘을 동원한 강제적 결합의 수단으로 납치를 하고, 이로 인하여 최 소저는 긴 시간 감금에 가까운 생활을 하며 스스로 목숨을 끊을 시도를 하는 등 극한의 고통 속에 살아간다. 세 번째, 가정과 사회의 보이지 않는 폭력이다. 이는 개인 대 개인의 억압적 폭력만이 아니라 개인에게 가해지는 가정과 사회의 보이지 않는 폭력 역시 실체가 있는, 폭력 그 자체임을 보여준다. 유 박사 부부는 아들 유생에게, 최 한림 부부는 그 딸 최 소저에게 부모로서 자식들이 가장 힘든 상황에 있을 때 이를 방관하거나 정신적으로 억압하는 형태로 다양한 폭력을 행사한다. 두 집안의 부모는 자식들이 어려운 처지 속에서 재회하여 무사히 귀환한 현실 앞에서 그들을 위로하고 감싸는 대신 효열 사상을 이유로 들어 오히려 그들을 옥죈다. 네 번째, 끝내 척결하지 못하는 절대악의 폭력이다. 해적 무리, 장군 무리 등으로 칭해 지는 이들 일당은 폭력의 당사자와 그 가족에게 씻을 수 없는 상처를 남기며 폭력을 행사 한다. 여성을 그녀가 머물던 세계에서 자신의 세계로 끌어들이는데, 이 과정에서 무력을 사용한 탈취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무차별적인 무력의 행사는 <쳥암녹>의 주인공에게 뿐만 아니라 이후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더욱 대담하게 재생된다는 점에서 큰 공포를 자아낸다. 더욱 두려운 것은 이들 일당의 진압을 위해 공권력이 투입 되지만 그 흔적도 찾지 못하여 여전히 진행 중인 절대악의 폭력을 여운으로 남긴다. 이렇게 다층적으로 그려진 폭력을 통하여 작품의 의미를 찾아보았다. 먼저 혼사장애의 변주를 통하여 흥미로운 서사를 이끌었다는 점이다. 혼사장애는 남녀 주인공의 결연 과정을 어렵게 하는 통과의례의 성격을 지닌다. 두 주인공의 신분의 차이, 산자와 죽은 자의 결합, 선대의 원수 등으로 인하여 합치할 수 없는 집안의 문제 등이 혼사장애를 이루는 주요 원인인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 작품에서는 삼종지간이라는 친족혼이 작품 전반에 혼사장애인 듯 보이나 오히려 양가 부모가 적극 나서 결혼을 허락하며 무리 없이 혼인이 이루어진다. 숨겨진 혼사장애의 장치는 결혼 첫날 밤 급작스런 괴한의 습격으로 신부가 납치되며 그 이후 강제 분리된 두 주인공이 다시 합치에 이르기까지의 험난한 과정 속에 온갖 폭력적 요소가 이를 방해한다. 이렇듯 기존의 고전소설에서 그려지는 것과 변주된 양상으로 작용한 혼사장애가 작품을 관통하며 흥미롭고 다채로운 서사를 가

      • KCI등재

        세장방추형 ‘홍로’ 사과나무의 수관 부위별 수광상태와 잎 및 과실의 특성

        송주희(Ju-Hee Song),강인규(In-Kyu Kang),최동근(Dong Geun Choi) 한국원예학회 2014 원예과학기술지 Vol.32 No.4

        ‘홍로’/M.9 세장방추형 수형에서 수관위치에 따른 광환경과 잎과 과실의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관을 상부와 하부, 그리고 내부와 외부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수관상단의 외부가 투광량이 가장 높았고, 광합성속도는 수관하단의 내부보다 약 4.5배 높게 나타났다. 잎의 생장은 수관 내부 잎이 외부 잎보다 더 넓고 얇았으며, 잎의 책상조직 첫번째 층의 두께는 수관외부(110.3㎛)가 수관내부(68.5㎛)보다 두꺼웠다. 과중, 가용성 고형물 함량 및 착색도는 투광률이 높은 수관외부의 과실이 내부보다 높았다. 과실의 가용성 유리당 함량은 수관외부 과실이 내부보다 높았다. 수관내부의 과실은 숙기가 지연되었다. 과피는 수관내부 과실에서 더 두꺼웠고 왁스층의 발달도 많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수관내부의 광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과 수관 부위별로 숙기에 따른 분할 수확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For this analysis, canopies of slender-spindle ‘Hongro’/M9 apple trees were divided into 4 positions: upper, lower, exterior, and interior parts. The photosynthetic rate was highest in the external part of the upper canopy of the tree, where it was 4.5 times higher than in the internal part of the lower canopy. This difference was closely associated with differences in light penetration based on canopy position. Analysis of leaf growth characteristics showed that the leaves situated in the internal part of the canopy were larger and thinner than those in the external part of the canopy. The difference in leaf thickness was mainly due to thickness of the primary layer of palisade tissues (68.5 and 110.3 ㎛ for internal and external leaves, respectively). Fruit weight and quality were closely related to the extent of light penetration. Fruit weight, soluble solid content, and red skin color were higher in the fruits from the external part of the canopy. Thus, fruit maturity was delayed in the internal part of canopy. The fruit skin and wax layer were thicker in fruits from the internal canopy than in those from the external canopy. Therefore, our results indicate a need for improved light penetration in internal parts of the canopy and for split harvesting depending on maturity at different canopy positions.

      • KCI등재

        <이해룡전>의 탕재(蕩財) 양상과 그 의미

        송주희(Song Ju-hee) 어문연구학회 2016 어문연구 Vol.88 No.-

        본고는 <이해룡전>의 표면적 주제인 효 사상 이면에 감추어진 당대의 현실 문제를 ‘탕재(蕩財)’에 주목하여 살펴보았다. 효행을 위해 가산을 탕진하는 이유, 작품에 나타난 탕재의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작품 서사가 갖는 한계점과 문학사적 의미를 조명해보았다. 첫째, 탕재의동인을제도와경제면으로나누어살펴보았다. 먼저제도적동인은조선이 백성에 대한 교화를 목적으로 유교를 국가의 기틀로 삼으면서 효행을 제도로 강제하여 자발성보다는 의무적으로 실천하도록 했다. 국가의 강령 때문에 살아생전의 섬김은 물론이고 사후의상제에서도책임을면치못하여가진모든것을다투자하여효를실천하는것이필연적․당위적 현상으로 자리잡았다. 다음은 경제적 동인이다. 자본이곧 힘인 경제원리를 부정하며, 특권의식만을믿다가사회적으로도태된양반이많았다. 양반은현실을걱정하면서도 부모 봉양과 장례, 제사를 신앙처럼 떠받들어 경제적 한계에 부딪히는 일이 빈번했다. 신분이나 체면 때문에 경제활동을 등한시하여 스스로 위기상황에 봉착한 것이다. 둘째, <이해룡전>의 탕재 양상을 관념적인 효행과 형식적 상제례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맹목적이라할 만큼 효를강조하고, 실제로도 그것의 실천을위해 현실적인 삶이 버거울수도있었다. 이작품에서도효를위해가진것을모두탕진하고도고난이끊이질않는다. 그래서 주인공 이해룡의 삶을 통해 관념적인 효행과 형식적 상제례의 폐단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삶의 가치관이 현실적이지 못하고 오직 효의 실천이 전체를 지배하고 있다. 이는 모두 중세적인 효를 강조하며 빚어진 결과로, 시대의식과는 상당한 거리가 있다. 셋째, <이해룡전>이 갖는 서사의 한계와 문학사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조선 중․후기에 근대적세계관이유입되어민중의삶도실리를 추구하게되지만, 이작품에서는현실의 경제논리를 부정한채오로지주자학적인중세의 효행만을강조하고있다. 관념적인효행 뒤에 큰 보응이 있을 것이라는 것을 우연적인 사건으로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현실은 개인화되면서 경제적인 이익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었다. 그래서 작품에서 추구한 내용과 현실이 배치될 수밖에 없다. 문제를 알고 있지만 해결을 위한 처방이 현실적이지 않아 공허한 결말을 맺는다. 이는 이 작품이 갖는, 또는 고전소설이 갖는 서사적 한계이다. 그런데 역설적이게도 이 점이 <이해룡전>의 문학사적 의의를 드러내는 부분이기도 하다. 갈등과 조화를 모색하던 조선 후기의 시대상황을 적절히 포착해 놓았기 때문이다 In this paper, practical issues in Lee Hae-ryong Jeon, which are hidden under the typical theme “Hyo (filial piety),” are studied by focusing on the spending of a family fortune in those days. The subjects, such as why the hero of the novel spends the family fortune to fulfill his filial duties and how he spends it, have been examined in detail to shed light on the limitation of a literary work and its meaning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Firstly, reasons for the spending are examined from systematical and economic aspects. Having Confucianism as the national principle, Joseon systematically forced the people into filial piety to reform them. Because of the nation’s doctrine, it was taken for granted that people should do everything to fulfill filial duties, and they were not free from the duties even after the deaths of parents. Then, there is an economic aspect. The power of capital in the economy system was negatively considered, and many “Yangban (people of noble birth)” just held on to the social status and degenerated in the end. As they had to keep spending on filial duties, funerals and memorial services, they often had serious money issues. By neglecting their economic situations, they caused the crisis by themselves. Secondly, the spending in Lee Hae-ryong Jeon has been studied in ideological and ritual aspects. Filial piety was emphasized unreasonably, which made people suffer from fulfilling it. The hero in this novel also spent all he had for the duties and suffered from it, which shows the negative effects of the ideology and formal rituals. The thought of value, dominated by “Hyo,” was not realistic. The crisis was resulted by forcing the medieval idea of “Hyo,” and it was different from what people believed. Thirdly, the limitation of the narrative of Lee Hae-ryong Jeon and the meaning of it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have been examined. As modern ideas were introduced in the middle and end of Joseon dynasty, people started to show practical interest, but this novel denied the new values, and emphasized the medieval filial piety of Chu-tzu. The novel shows that a big reward will be given for the filial piety with an unlikely event. But interest in money and individualism are being widely accepted. So the idea of the novel is in disagreement with the reality. The ending is hollow because the solution is not practical. This is the limitation of narratives of classical literature. Paradoxically, however, the limitation shows the significance of Lee Hae-ryong Jeon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as it properly reflects the end of Joseon dynasty that tried to find a balance in confli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