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반진출 공급업체의 공급사슬진화에 대한 탐색적 사례연구

        오중산(Joongsan Oh),이승규(Seung-Kyu Rhee),김경태(Kyungtae Kim) 한국생산관리학회 2008 韓國生産管理學會誌 Vol.1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완성차업체와 북경에 동반 진출한 공급업체들을 대상으로 공급 사슬상ㆍ하류의 진화내용을 확인하고, 이러한 진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며, 전략적 역할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다. 공급업체의 해외진출이 활성화되는 시점에 공급업체 입장에서 동반진출과 해외생산법인의 공급사슬진화를 규명하는 것은 실무, 이론적으로 의미 있는 연구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사례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공급업체들은 초기에 품질안정화를 목적으로 공급사슬 상류를 구성하였고, 이후 원가절감을 위해 부품 및 소재의 현지화 비율을 높이고 있다. 둘째, 공급사슬 하류에서는 대부분의 공급업체들이 여전히 동반 진출한 완성차업체와 전속 거래하지만 일부 업체는 점차 거래기업을 다변화하고 있다. 셋째, 공급사슬상ㆍ하류가 변함에 따라 업체별로 차이는 있지만 생산·구매·영업·연구개발과 같은 관련 부문 기능들이 활성화되고 초기의 동반진출 성격이 희석되어 궁극적으로 공급 업체들의 전략적 역할이 변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volutionary process in the upstream and downstream supply chain of the suppliers, which have expanded with the automotive manufacturers into Beijing, China and to examine factors affecting the evolutionary process and how the strategic role has changed. Originally, suppliers have induced the second-tier suppliers for quality stabilization and thereafter increased the localization percentage of parts and materials by developing local second-tier suppliers for cost reduction. Upon the process above, three factors have lead to the changes in the upstream supply chain: first, internal capabilities of the suppliers that have accompanied manufacturers; second, support from the headquarters and the manufacturers; third, increasingly competitive environment in Chinese automotive market. Some suppliers have diversified their customer base through their local marketing capabilities built on their own or under the support of the headquarter, thereby was able to prepare against the potential risk from the manufacturer. On the other hand, suppliers lacking in experience of customer diversification, or highly depending their sales on the manufacturing company are in difficulty for customer diversification. Most suppliers have actively innovated on the manufacturing activities, however the degree of innovation effort for the marketing, purchasing or R&D activities varies in their functional diversification and activation in accordance with the suppliers. In addition, sometimes things happened that the original joint overseas expansion characteristic has been diluted over time. Some suppliers have appeared to aim at customer diversification or manufacturing cost reduction in related to entry purpose. As such, the strategic role of the suppliers has slowly changed along with the change of their local function and entry purpose.

      • KCI등재

        생산자원과 생산역량 및 성과 간의 인과관계: 자원기반이론에 근거를 둔 실증연구

        오중산(Joongsan Oh) 한국생산관리학회 2009 한국생산관리학회지 Vol.2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자동차 부품산업과 기계 부품산업 및 전자 부품산업을 대상으로 생산자원과 생산역량 및 성과 간의 인과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2차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생산자원은 인적자원 및 프로세스기술/설비자원과 같은 1차 요인들로 구성되며, 생산역량은 경쟁우선순위와 관련된 품질역량, 원가역량, 납입역량, 유연성역량과 같은 1차 요인들로 구성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생산자원과 생산역량은 2차 요인이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가설검정 결과, 생산자원은 생산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생산역량은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생산자원은 예상과 달리 성과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지 못하지만 생산역량을 매개요인으로 간접적으로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자원기반이론과 생산전략/생산경영 두 분야를 통합한 연구로서 기업의 자원/역량이 성과나 지속 가능한 경쟁우위의 원천이 될 수 있다는 자원기반이론의 명제를 생산이라는 구체적인 기능 분야에서 검증했다는 의의가 있다. This study proposes to verify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operations resources, operations capabilities, and performance, empirically targeting suppliers in the automotive, machinery and electronic parts industries. Through second-orde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t is confirmed that operations resource consist of human and process technology/equipment resources. In addition, operations capabilities can be subdivided into quality, cost, dependability, and flexibility capabilities that are relevant to competitive priorities. Therefore, it is entirely appropriate that operations resources and operations capabilities should be considered as second-order factor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 tested four hypotheses: operations resources and operations capabilities have positive influences on operations resources and performance respectively. Unexpectedly, operations resource can not influence performance directly. Instead, it can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performance through operations capabilities as an intermediator. Combining a resource-based view and operations strategy /operations management in the field of operations, this study examined the proposition that resources/capabilities can be sources of competitive advantages or out performance of firms.

      • KCI등재
      • KCI등재

        제조유연성과 제조성과 간의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오중산(Joongsan Oh) 한국생산관리학회 2012 韓國生産管理學會誌 Vol.2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서로 다른 층위에 속한 제조유연성들 간의 인과관계와 이러한 다양한 제조유연성이 기업성과가 아닌 제조성과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또한 수요불확실성이 이러한 인과관계에 어떤 조절효과를 미칠수 있는지 확인하는 것 역시 본 연구의 주요한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사업과 전기·전자 산업에 속한 부품협력사들을 대상으로 광범위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관련 연구가설들을 검정하였다. 그 결과, 기능유연성은 상품 관련 제조유연성인 물량유연성과 혼합유연성은 물론, 직접적으로 제조성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수요불확실성이 높아지는 상황에서는 기능유연성과 혼합유연성이 제조성과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이 더욱 강화된다는 사실도 확인하였다. 반면 예상과 달리 수요불확실성이 높아지면 물량유연성이 제조성과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이 억제된다는 사실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서로 다른 층위의 제조유연성을 동시에 고려하여 다차원적 속성을 측정하였으며, 수요불확실성이라는 조절변수를 감안하여 제조유연성과 제조성과 간의 인과관계를 종합적으로 규명했다는 의의를 지니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manufacturing flexibilities which belong to different levels an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manufacturing flexibilities and manufacturing performance. The examination of the moderating effect of demand uncertainty on this causality is also a main aim of this research. For these goals, we conducted survey research targeting parts suppliers in the automotive and electronics industries and then test several research hypothesis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 As a result, functional flexibility has a positive influence on not only two types of product-related flexibilities - volume and mix flexibilities - but also manufacturing performance directly. In addition, with increasing demand uncertainty, the positive impact of functional and mix flexibilities on manufacturing performance can be strengthened. Contrary to our expectation, in the state of high demand uncertainty, the positive impact of volume flexibility on manufacturing performance can be suppressed. In sum, considering several manufacturing flexibilities in different levels, this study measured multi-dimensional attributes of manufacturing flexibility and identified both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manufacturing flexibilities and manufacturing performanc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demand uncertainty.

      • KCI등재

        완성차업체-공급업체간 협력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기술불확실성의 조절효과 - 한국 자동차 산업을 중심으로

        오중산(Joongsan Oh),이승규(Seung-Kyu Rhee) 한국생산관리학회 2008 한국생산관리학회지 Vol.1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완성차업체-공급업체간 협력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영향에 대한 기술불확실성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다섯 가지 협력 유형 중에서 협력적 의사소통과 신차개발과정에서의 협력 및 전략적 구매는 완성차업체 성과에, 협력적 문제해결과 공급업체 개발은 공급업체 성과에 각각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양자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협력은 유형적 차이를 보일 뿐만 아니라, 활성화 정도에 있어서도 차이를 보이고 있다. 공급업체들은 전략적 구매가 가장 활발하다고 인식하는 반면, 공급업체 개발은 매우 저조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한편 신차개발과정에서의 협력이 완성차업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기술불확실성에 의해 억제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는 기술불확실성의 조절효과가 존재함을 의미하는데, 기술불확실성이 큰 경우에는 신차개발과정에서의 협력이 활성화되면 오히려 완성차업체 성과가 약화됨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협력 유형을 네 가지 기준에 의해 다섯 가지로 구분한 점과 기술불확실성을 조절변수로 고려하였다는 점 및 근래 양적·질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한국 자동차 산업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이다. 하지만 공급업체를 대상으로 주관적 인식지표를 활용한 점과 협력의 질적 차이를 고려하지 못했다는 점 및 표본이 아주 크지 않다는 점은 본 연구의 한계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car assembler-supplier collaboration and performance and moderating effects of technology uncertainty on such relationships. Of the five types of collaboration, collaborative communication, collaboration in new car development process, and strategic purchasing have positive influences on carmakers’ performance. Whereas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and supplier development positively affect suppliers’ performance. Suppliers perceive that strategic purchasing is the most vitalized collaboration type. In contrast, supplier development that is the factor affecting suppliers’ performance is considered as the least vitalized type. Of particular note is that the positive effect collaboration in new car development process has on carmakers’ performance is alleviated as technology uncertainty grows. This means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technology uncertainty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m exists. This research is one of the few studies which classify collaboration types according to some criteria and consider technology uncertainty as the contingency factor. In addition, this paper targets Korean automotive industry which has grown fast nowadays in terms of quality as well as quantity. However, we use subjective and perceptional measurement variables, which is the limitation in this study. It is also a pity that sample size is not large enough to generalize research results.

      • KCI등재

        인적자원, 전공, 산업융합의 구조: 비대칭 이분네트워크의 활용

        정동일,오중산,Jung, Dong-Il,Oh, Joongsan 대한산업경영학회 2021 산업융합연구 Vol.19 No.5

        산업융합의 거시적 양상을 다루는 기존 연구는 주로 지식과 기술이 구체화된 특허나 재화/서비스의 산업간 네트워크에 초점을 두었다. 이 논문은 지식과 기술을 체화한 인적자원이 산업과 직업의 융합을 주도하는 또 하나의 중요한 매개체라고 본다. 최근 5개년도 GOMS 자료에 나타난 대졸자 전공 및 일자리 정보를 활용하여 산업(직업)융합의 거시적 양상과 그 구조를 이해하기 위한 분석전략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전공과 일자리 정보를 토대로 전공↔산업(직업)의 비대칭 이분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산업(직업)의 적소범위, 관련 전공의 평균 적소범위라는 두 축을 교차하여 전문주의, 종합주의, 국지적 융합, 융합 등 총 4가지 산업(직업)군을 분류하였다. 융합산업(직업)은 특정 분야에서 국지적 융합성이 높은 다수의 전공으로부터 인적자원을 폭넓게 공급받는 산업(직업)이라고 볼 수 있다. 탐색적 분석결과를 토대로 함의를 도출하고 향후 과제를 제시한다. Prior research regarding the macro patterns of industry convergence has focused on the inter-industry patent network and cross-industry movements of products or services. This article provides a novel approach, according to which human resources embodying explicit and implicit knowledge and technologies are important media driving industry convergence. Drawing on GOMS data (2015-2019) and using information of university graduates' academic majors and their occupations, this article proposes an analytic strategy by which to understand the macro patterns and structural features of industry convergence. Specifically, we build unbalanced bipartite networks of major-industry (occupation) relations, and construct the measures of the industry's niche width and the measure of the average degree of convergence of majors that each industry is linked to. By crossing the two measures, we identify four groups of industries(occupations); specialist, generalist, partial convergence, and full convergence. The convergence group is composed of industries (occupations) that acquire human resources from a number of academic majors each of which plays a role of glue connecting several local industries.

      • KCI우수등재

        한국형 초국적 기업 해외생산 특성 분석

        김철식(Chulsik Kim),오중산(Joongsan Oh) 한국사회학회 2017 韓國社會學 Vol.51 No.1

        본 연구는 현대자동차그룹의 중부유럽 생산법인과 함께 동반진출한 한국 부품업체들의 현지생산네트워크 특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동반진출 현지법인들에 대한 설문조사와 대면조사를 통해, 국내에서 형성된 고유한 생산 네트워크 특성이 중부유럽 현지에서 어떻게 구현되는지 변용과 복제라는 차원에서 규명하였다. 본 연구에 따르면, 우선 완성차업체와 동반진출 부품업체로 구성된 현지 생산네트워크는 구성에 있어 큰 변화를 보이지 않고 있는데, 이는 현지 부품업체에 대한 높은 진입장벽 혹은 제한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중부유럽 진출 부품업체들은 생산에 필요한 원자재와 부품들을 대부분 한국에서 수입하거나 현지에 동반진출한 또 다른 부품업체들로부터 조달받고 있으며, 자신이 생산한 품목을 대부분 현지 완성차 생산법인인 HMMC와 KMS에 납품함으로써 높은 전속성을 보이고 있다. 마지막으로 기존에 국내에서 형성된 매출, 고용, 임금의 계층성이 현지에서도 재현되고 있다. 이렇게 완성차업체 중심의 제한적이고 계층적인 생산 네트워크가 해외에서 그대로 복제되어 지속된다는 특징은 동반진출을 먼저 시도한 일본 해외생산 사례와 구분되는, 한국형 초국적 기업 해외생산의 고유한 속성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production network of suppliers that accompanied Hyundai Motor Corporation Group in Central Europe. Through questionnaire surveys and interviews, we investigated how Korea’s unique features of domestic production networks is realized in the local soil of Central Europe in terms of modification and replica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 production network set out in Central European locals has not changed its configuration, compared to the ways in which it was organized in Korea. It means that there is a high entry barrier or limitations for the local suppliers to go into the Hyundai’s supply networks. Suppliers that accompanied Hyundai in Central Europe imports parts needed from HQs located in Korea or purchased them from other Korean suppliers nearby. They also supply their items to HMMC or KMS and thereby they are captive to Korean carmakers. In addition, the hierarchy of revenue, employment, and wage which were already secured in Korea was duplicated in Central Europe. Consequently, the oversea productions of Korean TNCs featuring its limited and hierarchical production network are contrary to that of Japanese TNCs.

      • 생산요소 관련 제조유연성이 제조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 연구

        최규상(Choi, Kyoosang),오중산(Oh, Joongsan) 한국경영교육학회 2010 한국경영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0 No.6

        본 연구는 자동차 부품산업과 전자 부품산업에 속한 제조업체들을 대상으로 생산요소 관련 제조유연성들(기능유연성, 기계유연성, 생산방식유연성) 간의 인과관계와 이들이 제조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기능유연성은 작업자들의 다기능숙련 정도로 측정되었으며, 기계유연성과 생산방식유연성은 범주·이질성·이동성·균일함과 같은 네 가지 차원으로 측정되었다. 공장을 분석단위로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모형을 추정한 결과, 기능유연성은 다른 두 가지 제조유연성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기능유연성과 생산방식유연성은 모두 제조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반면 기계유연성은 예상과 달리 제조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기업은 기능유연성이나 생산방식유연성과 같은 무형의 생산요소와 관련된 유연성을 제고함으로써 제조성과를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functional flexibility, machine flexibility, method flexibility and manufacturing performance. The data of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manufacturing companies operated in the automotive and electronic parts industries. Functional flexibility was measured by the degree of a worker's multi-skilling. Machine and method flexibilities were measured by four dimensions: range-number, range-heterogeneity, mobility and uniformity. The proposed relationships were tested at the factory level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s anticip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functional flexibility has a positive effect on other manufacturing flexibilities. In addition, both functional and manufacturing flexibilities have positive influences on manufacturing performance. However, the effect of machine flexibility on manufacturing performa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ompanies can improve their manufacturing performance by facilitating flexibilities ofintangible manufacturing resources such as functional flexibility and method flexibility.

      • KCI등재

        신상품 개발과정에서 공급업체 R&D 역량과 내부통합이 공급사슬 외부통합에 미치는 영향

        강아롬(Ahrom Kang),오중산(Joongsan Oh) 韓國生産管理學會 2011 한국생산관리학회지 Vol.22 No.4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부품산업과 전자 부품산업 및 기계 부품산업에 속한 공급업체들을 대상으로 공급업체의 R&D 역량과 두 가지 내부통합 및 공급업체와 구매업체 간의 외부통합 간의 인과관계를 SEM을 이용하여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그 결과, 공급업체의 R&D 역량은 자사의 내부통합(R&D-마케팅, R&D-생산)과 공급사슬 외부통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급업체의 R&D 부서-마케팅 부서 간의 내부통합 또한 공급사슬 외부통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R&D 부서-생산 부서 간의 내부통합은 공급사슬 외부통합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본 연구의 이론적 의의는 분석단위가 기업차원이 아닌 프로젝트 차원으로 진행되었다는 점, 구매업체가 아닌 공급업체 관점에서 진행되었다는 점, 역량과 내부통합 및 외부통합 간의 인과관계를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는 점에서 공급사슬통합 관련 연구를 실증적으로 보완·강화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또한 실무적으로는 공급업체의 R&D 역량과 R&D 부서와 마케팅 부서 간의 내부통합의 중요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R&D capabilities, two types of internal integration, and external integration between buying firms and suppliers targeting parts suppliers in automotive, electronics, and machinery industries.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e test several hypotheses. As a result, R&D capabilities of suppliers have positive influences on not only their own internal integration but also external integration in supply chain. Contrary to R&D-marketing integration, R&D-manufacturing integration doesn'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external integration. In terms of theoretical implications, the unit of analysis of this study is not a firm-level but a project-level. In addition, targeting suppliers, we considered both internal integration and external integration simultaneously. Finally, this research can empirically underpin the theories related to supply chain integration and relational view. In the perspective of practices, manufacturing firms should bear in mind that their R&D capabilities and R&D-marketing internal integration are important factors that affect external integration with buyers.

      • KCI등재

        GM과 현대자동차의 중국 내 합작 연구소의 기술적 능력에 관한 비교 연구

        황현일 ( Hwang Hyunil ),오중산 ( Oh Joongsan ) 한국산업노동학회 2018 산업노동연구 Vol.24 No.2

        본 논문은 GM과 현대차의 세계화 과정의 특징, 특히 중국 진출 과정에서의 특징을 합작 연구소를 통해 살펴본다. 중국의 대규모 시장과 50:50의 합작기업 형태로 인해 두 기업은 중국 정부의 연구개발 기능 현지화 요구에 어떤 형태로든 대응을 해야 했으며, 이들의 대응은 합작 연구소의 역할에 영향을 준다. 중국측이 초기에 합작을 통해 기대했던 기술적 능력의 개선은 두 합작기업 모두에서 잘 나타나지 않았지만, 북경현대의 합작 연구소에 비해 상하이GM의 합작 연구소에서 상대적으로 기술적 능력의 진전이 있었다. 이 논문은 동일한 합작기업 형태임에도 불구하고 나타나는 두 합작 연구소의 기술적 능력의 차이를 중국 파트너의 역량과 모기업의 글로벌 전략의 차이로 설명하였다. 상하이GM의 중국 파트너인 SAIC는 상위 기업으로서 합작 초기부터 GM에게 기술 이전을 강력히 요구했을 뿐만 아니라, 자체적으로 기술적 능력의 향상에 노력을 기울인 반면, 북경현대의 중국 파트너인 BAIC는 중위 기업으로서 기술 이전을 크게 요구하지 않았고, 또한 자체적인 연구 기반도 미흡했다. 모기업의 글로벌 전략과 관련해서는, 두 기업 모두 연구개발의 핵심 영역은 모기업에서 통제하였지만, GM의 경우 중국의 합작 연구소를 중국 현지 및 신흥국 차량을 개발하는 데에 활용할 것을 적극적으로 고려하는 반면, 현대차의 경우 중국 내 독자 연구소를 통해 기술유출을 막는데 보다 주의를 기울이면서 중국 정부의 현지화 요구에 대응하였다. 이상의 논의는 기업의 세계화 과정이 모기업의 정책이 일방적으로 관철되면서 모기업과 자회사의 조화와 협력이 원활하게 달성되는 과정이라기보다는 모기업의 글로벌 전략과 자회사를 둘러싼 이해관계자들의 요구가 충돌되고 타협되는 정치적 과정이라는 점을 보여준다. This study examines the features of globalization process in GM and Hyundai Motors, especially in the expansion into China auto market, through a joint venture(hereafter JV) research center. Due to the large scale market in China and the 50:50 JV, the two companies had to respond in some way to the Chinese government's request for localization of research and development functions, and their response affected the role of the JV research center. Even though the improvement in technological capability expected from the JV by the Chinese side did not appear well in the early stage in both JV, but relatively the Shanghai GM JV research center had a technological progress compared to the Beijing Hyundai JV research center. This paper explains the differences in the technical capabilities of the two JV research center, despite the same type of JV,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atus of the Chinese partner and the global strategy of the parent company. SAIC, a Chinese partner in Shanghai GM as a top-tier company, not only has been strongly demanding technology transfer from GM since the beginning of the JV, but has also made efforts to improve its own technical capabilities. Meanwhile, BAIC, a Chines partner in Beijing Hyundai as a mid-tier company, has not been strongly demanding technology transfer and lacked its own research base. Regarding the parent company's global strategy, although both companies controlled the core areas of research and development by their parent companies, GM actively considered using the Chinese RV to develop Chinese and emerging country vehicles. On the other hand, Hyundai Motors responded to the localization demand of the Chinese government while paying more attention to preventing technology leakage through its independent research center in China. The above discussion shows that the process of globalization of a company is a political process in which the global strategy of the parent company and the demands of the stakeholders surrounding the subsidiary are collided and compromised, rather than a process in which the harmony and cooperation between the parent company and its subsidiaries are smoothly achieved as the parent company's policies are unilaterally implem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