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entagonica subcordicollis Bates (Coleoptera, Carabidae, Lebiinae), New to Korea

        박종균,정종국,이훈복,백종철,박진영,Park, Jong-Kyun,Jung, Jong-Kook,Yi, Hoon-Bok,Paik, Jong-Cheol,Park, Jin-Young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2010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9 No.4

        본 연구를 통한 한국산 육모먼지벌레속의 한국미기록 1종, Pentagonica subcordicollis Bates[빛나육모먼지벌레(신칭)],을 보고한다. 본 연구를 통해서 한국산 육모먼지벌레속은 3종으로 정리된다. 한국산 육모먼지벌레속의 정확한 분류동정을 위해 종별로 분류학적 정보를 정리하였으며 종별 성충사진 및 생식기, 분류 key, 그리고 표본현황 등을 기술하였다. A Truncatipennes species, Pentagonica subcordicollis Bates is newly recorded in Korea. Here we provide a diagnosis and systematic accounts of P. subcordicollis. Consequently, a total of three species of Pentagonia have been recorded in the Korea, including the present species.

      • 대구 도심 녹지 공원의 곤충상에 관한연구(II)

        박종균,Park, Jong-Kyun 한국잔디학회 2010 한국잔디학회지 Vol.24 No.2

        본 조사에서는 대구광역시 녹지공원의 공원별 곤충의 출현정도를 알아보았고, 식생의 차이에 따른 곤충 발생 현황에 대하여 조사 하였다. 그 결과 종합적으로 9목 61과 93속 100종의 곤충이 조사되었고, 종 다양도는 연암공원이 35과 61종으로 가장 높은 다양성을 보였고, 봉무공원이 31과 43종, 범어공원이 29과 41종, 두류공원이 28과 35종, 국채보상운동공원은 2과 2종 순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활엽수림이 식재되어 있는 조사지에서 곤충 분포가 균일하였으며, 침엽수, 활엽수 혼효림에서는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공원 내 잔디지역에서의 곤충 다양도는 매우 낮게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know the insect fauna on the 5 green Parks areas of Daegu Metropolitan city. Materials were collected by net sweeping and pitfall trap of cup. As the result, 100 species of 93 genera belonging to 61 families in 9 orders were surveyed, among them, Yeonam Park showed highest insect occurrence as 61 species belonging to 35 families of 8 orders. The other side, lowest site was Gukchae-Bosang memorial Park as 2 species from 2 orders. There was more species in broad-leaf tree area than mixture area of broadleaf and needle-leaf trees. Turf grass areas in the Parks showed low insect diversities.

      • KCI등재

        A Truncatipennes Gound Beetle, Peliocypas miwai (Jedlicka) (Coleoptera: Carabidae), new to Korea

        박종균,박진영,변봉규,Park, Jong-Kyun,Park, Jin-Young,Byun, Bong-Kyu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2012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1 No.3

        Peliocypas miwai (Jedlicka)의 국내 분포를 처음 확인함으로써 동시에 Peliocypas 속 또한 처음 발견 되었다. 미기록 종의 외부형태적 특징 및 종 정보를 사진과 함께 간략하게 기술하였다. The genus and species, Peliocypas miwai (Jedlicka) are document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Diagnostic characters and habitus photograph are presented.

      • KCI등재

        Description of a New Subspecies Acoptolabrus mirabilissimus (Coleoptera, Carabidae) from Korean Peninsula

        박종균,Park, Jong-Kyun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2008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7 No.1

        한국의 일월산에서 채집된 멋조롱박딱정벌레중에서 신아종이 발견되어 Acoptolabrus mirabilissimus sangjuensis ssp. nov.로 명명하고 기재한다. 현재까지 한국산 멋조롱박딱정벌레의 하위분류군은 6아종이 기록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지종들에 대한 검색표, 신아종의 특징, 형태 사진 그리고 분포 등을 제시하였다. Acoptolabrus mirabilissimus sangjuensis ssp. novo from Mt. Ilweolsan, Korea is described new to science. Classificational key, photo of types and distributional map are provided herein.

      • KCI등재

        Dischissus japonicus Andrewes (Coleoptera: Carabidae), New to Korea

        박종균,박진영,Park, Jong Kyun,Park, Jinyoung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2013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2 No.1

        먼지벌레류 중에서 Dischissus japonicus (신칭: 작은털보먼지벌레)를 국내 첫 보고하며, 특이사항과 성충사진을 제공하고자 한다. Dischissus japonicus Andrewes is reported firstly in Korea. Diagnosis and photograph of adult are provided.

      • KCI등재

        악의 문제에 대한 실천적 대응 - 본회퍼와 아렌트의 악의 이해를 중심으로

        박종균(PARK Jong-Kyun)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20 장신논단 Vol.52 No.2

        정치철학자 아렌트와 신학자이자 목회자 본회퍼는 악에 대한 사유 방식을 달리하면서도 그것을 극복하기 위한 실천적 측면에서 대화의 단초가 마련될 뿐만 아니라, 오늘날 악이 주는 도전에 대한 건설적인 대응 측면에서도 그들의 통찰은 서로 협력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양자는 기존의 악의 이해를 변형시키는 것과 마찬가지로 기존의 자유에 대한 이해를 변형시킨다. 그들은 악의 이해에서 우리가 직면하는 한계가 그것의 이해에서의 한계, 즉 자유의 한계에 대한 모종의 제안을 제공해주고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양자는 악에 대한 인식론적인 겸허가 우리가 악과 부딪히면서 실현할 수 있는 잠재적인 선함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웅변해주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가 악에 직면하게 될 때 악에 대한 분석과 설명의 이론적인 자원만 가지고서는 오늘날 악의 도전에 대응하기 역부족이라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다. 이런 차원에서 본 연구자는 악의 이론에 대한 인습적인 접근에 대한 비판적 반성으로 본회퍼와 아렌트가 이론에 대한 최소화를 실천적으로 제안했던 바를 주목했다. 중요한 것은 양자는 현실 적합성을 결여한 이론적 이해 대신 실천적인 프로그램을 대안으로 제시한 것이다. 그들은 악의 문제에 실용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단서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개념적 분석과 같은 이론적 작업만으로는 불가능하다는 점을 피력했다 하겠다. 기본적으로 양자 모두는 현실적으로 경험되는 악은 인습적인 세계 이해의 차원에서는 도무지 파악되기 어려울 정도로 불합리하고도 모호한 것이라는 점에 동의하면서 악을 극복하는 방안을 나름대로 제시하고 있다. 본회퍼는 그리스도 안에 나타난 세계의 현실에 책임적으로 참여할 것을 주장하며 이에 비해 아렌트는 세계사랑의 실천을 제안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렌트가 정치적 세계에 대한 우리의 참여적 행위를 훼방하는 외적이고 공적인 악에 초점을 맞추면서 우리가 정치적으로 말하고 행위 하는 것을 통해 전체주의적인 악에 대해 저항했고, 본회퍼는 그리스도의 현실에 참여를 방해하는 거짓된 종교적 신앙과 그리스도의 타자를 위한 삶을 모방하고 세계 속에서 고난당하는 자에 대한 그리스도인의 책임을 훼방하는 전체주의 악에 저항했다는 점에서 양자는 악에 대한 투쟁에서 통일된 전선을 형성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Even though there are some different ways of thinking on evil between theologian and pastor Dietrich Bonhöffer and political philosopher Hannah Arendt, their insights do not only provide a starting point for dialogue in the practical sense, but also will likely seek cooperative relationships in constructive responses to today’s challenges of evil. Both transform the existing understanding of freedom, as well as the existing understanding of evil. They suggest that the limitations we face in the understanding of evil can make some suggestion about the limits of understanding, the limits of freedom. Both profess that the cognitive modesty of evil can be a potential goodness that we can realize in the face of evil. This study emphasizes the fact that when we face evil, the theoretical resource of analysis and explanation of evil is not enough to meet the challenges of evil today. In this sense, this author notes that Bonhoeffer and Arendt proposed practical minimization of theory as a resistance to the conventional approach to the theory of evil. The important thing is that both have transformed inappropriate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evil into practical programs. They pointed out that theoretical work alone, such as conceptual analysis of evil, would not be possible to provide clues to practically respond to the problem of evil. Fundamentally, as they agree that the evil experienced in reality is unreasonable and obscure, unsuitable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world, one proposes responsible participation in the reality of the world (Weltwirklichkeit) revealed in Christ and the other does practice of world-love (amor mundi) as a way to overcome evil. Arendt resisted totalitarianism’s evil through politically speaking and acting, focusing on external and public evil that undermines our participatory action into the political world, and Bonhoeffer resisted the false religious beliefs that hindered him from participating in Christ’s reality, imitating Christ’s life for others, and the totalitarian evil that undermined Christian responsibility for those who suffer in the world. It is in this regard that both can form a unified front in the struggle against evil.

      • KCI등재

        아우구스티누스와 아렌트의 악의 개념 비교연구

        박종균(PARK Jong-Kyun)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17 장신논단 Vol.49 No.2

        본 연구는 만약 아우구스티누스가 악에서 욕망과 쾌락을 사유했고 아렌트가 의지와 욕망을 구별했다면, 과연 아렌트가 『정신의 삶』과 판단력의 문제에서 드러내고 있는 개념적 틀을 아우구스티누스가 악을 쾌락적인 욕망(정욕 또는 지배하고 소유하려는 충동)으로 보는 관점을 설명할 수 있는가를 묻는다. 본 연구자는 한편으로 아우구스티누스적인 욕망은 성공적으로 정신적 능력의 영향력 아래 둘 수 있는 경우도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정신의 삶이 (인간 조건의 깊숙한 곳에 뿌리를 내린) 인간의 본능적인 욕망의 힘을 극복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는 점을 주장한다. 사실상 악의 충동은 정신의 힘의 통제를 빠져날 수 있다는 점에서 아우구스티누스의 견해에 동조하는 셈이다. 이는 악한 욕망이 정신적 삶의 힘에 모종의 제한을 가할 수 있다는 의미이며 이 점이 바로 아렌트의 악의 이해가 갖는 한계이기도 하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악의 이해는 그리스도인이냐의 여부와는 상관없이 인문적 관점에서도 정신적 능력의 한계에서 악을 해명하고, 인간 행위에서 비롯된 악을 이해 불가능하고 설명 불가능한 어떤 것으로 보는 설득력 있는 통찰을 제시해준다. In this study, if Augustinus thinks the relation of desire and pleasure in evil, and Arendt distinguishes will from desire, then this researcher asks the question of whether the conceptual frame that Arendt reveals in her Life of Mind and the question of judgment can explain the view of Augustinus that regards evil as a pleasurable desire(lust or impulse to dominate and possess). On the one hand, I argue that the Augustinian desire can be successfully placed under the influence of mental ability, but on the other hand there might be some cases life of mind can not overcomes the instinctive desire of man (rooted deep in human condition). In fact, I am sympathetic to Augustine’s view that the impulse of evil can escape the control of the power of the mind. This means that evil desire can impose certain limitations on the power of life of mind, which is the limit of Arendt’s understanding of evil. Even today the understanding of the evil of Augustinus reveals the problem of evil in the limits of mental ability from a human point of view, regardless of whether it is a Christian or not, and suggests a persuasive insight that sees evil from human action as something that is inexplicable and unexplainable.

      • KCI등재
      • KCI등재

        신학적 삶을 위한 급진적 종교개혁 ‐ 메노 시몬스를 중심으로

        박종균(PARK Jong-Kyun)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21 장신논단 Vol.53 No.3

        본 연구는 멜키오르 호프만과 그의 추종자들의 영향 하에 있던 네덜란드 재세례파가 평화주의적인 재세례파로 변화된 계기는 결정적으로 메노 시몬스의 종교개혁의 영향이라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그의 신학적 삶의 독특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첫째, 논자는 종교개혁운동에서 메노의 위상과 특징을 고찰하기 위한 사전 작업으로서 관헌적 종교개혁 운동의 교리 중심의 신앙과 인문주의 종교개혁의 실천적이고 윤리 중심의 신앙을 비교한다. 루터와 같은 관헌 주도적 개혁의 입장과 에라스뮈스 같은 기독교 인문주의적 입장의 차이는 유아세례와 관련하여도 두드러진 차이를 보이기에 이후 재세례에 대한 메노의 신학에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하겠다. 둘째, 논자는 메노가 속했던 네덜란드 재세례파의 평화주의로의 전환이 멜키오르파의 뮌스터 참극으로 인해, 그리고 운명적으로 평화적으로 전향할 수밖에 없었던 멜키오르파 형제들에게서 비롯되었다는 주장을 반박한다. 오히려 변화의 가장 큰 원동력을 에라스뮈스가 강조했던 “신학적 삶” 즉 “그리스도를 따르는 삶”에 대한 메노의 급진적 실천과 그의 회심의 체험에서 찾고 있다. 끝으로 본 연구는 재세례파의 세례 교리의 확고한 신앙적 확신과 제자도의 삶에 미친 에라스뮈스의 성서해석의 영향이 논구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uniqueness of Menno Simons’s theological life as the basis for supporting the argument that the cause of the change from the Dutch Anabaptists under the control of Melchior Hoffmann and his followers to the pacifist Anabaptists was decisively the influence of the Reformation led by him. First, as a preliminary work to examine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Menno in the Reformation movement, this researcher compares the doctrine-centered faith of the magisterial Reformation movement with the practical and ethical-centered faith of the humanistic Reformation. Becaus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osition of government-led Reformation like Luther and the that of Christian humanism like Erasmus is striking with relation to infant baptism, it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Menno’s theology of subsequent Anabaptism. Second, the author refutes the argument that the conversion of the Dutch Anabaptists, to which Menno belonged, to pacifism came from the Melchiorites’ tragedy in Münster and from the Melchiorite’ brothers who were destined to turn peacefully. Rather, the author finds the greatest driving force for change in Menno’s radical practice of the “theological life” that Erasmus emphasized, that is, the “life of following Christ,” and his experience of conversion. Finally, this study examines the firm religious conviction of the Anabaptist doctrine of baptism and the influence of Erasmus’s biblical interpretation on the life of disciple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