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작약(Paeonia lactiflora) 뿌리 추출물의 대식세포에서 p62/SQSTM1 증가를 통한 자가포식 유도

        정진부,Jin Boo Jeong 한국자원식물학회 2023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36 No.4

        본 연구에서 우리는 작약 뿌리 추출물이 TLR4/PI3K/Nrf2 신호전달을 통해 p62/SQSTM1을 증가시켜 대식세포에서 자가포식을 유도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대식세포의 자가포식 유도는 선천성과 적응성 면역 반응 간의 연결을 강화해 백신 보조제 개발에 있어서 중요한 표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작약 뿌리 추출물은 백신개발에 필수적인 백신보조제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대두 추출물 LES가 DNCB로 유도된 랫드의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에 미치는 영향

        Jeong Sook Kim(김정숙),Young Mi Park(박영미),Jin Boo Jeong(정진부),Jae Hwan Lim(임재환),Hyung Jin Jeong(정형진),Eul Won Seo(서을원) 한국생명과학회 2011 생명과학회지 Vol.21 No.5

        본 연구에서는 대두 추출물인 LES가 DNCB에 의해 인위적으로 접촉피부염을 유발시킨 랫드의 피부 회복능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알레르기 접촉피부염이 유발된 피부에 LES 17.6 ㎎/㎖를 3-5회 도포하여 피부 표면을 조직학적 분석하여 본 결과 각질이 제거된 깨끗하고 매끄러운 상태로 되었으며, 비후화된 표피층의 두께도 점차 정상군과 같은 두께로 회복시키는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LES는 체내 지질함량을 낮춰 정상수준으로 회복시키는 지질함량의 개선에 효과적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혈장 내 IgE의 수준도 정상군 수준으로 감소시키고 있으며, LES에 의해 염증 반응과 관련된 iNOS와 COX-2의 활성도 감소되어 피부의 과민반응 해소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LES에 포함된 주 성분 중 하나인 lunasin은 세포 침투와 함께 핵 내로 이동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전체 유전자 또는 일부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데 관여할 것으로 추측된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LES는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에 매우 효과적인 치료 효과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기존의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 치료제를 대체할 수 있는 제제로서 응용이 기대된다. In this study, we evaluated whether Lunasin Enriched Soybean (LES) suppressed 1-chloro-2,4-dinitrochlorobenzene (DNCB) induced allergic contact dermatitis in vivo. In the group treated with DNCB alone, erythema and hemorrhage in the skin were observed, while the application of LES after DNCB treatment modulated erythema and hemorrhage similar to the untreated group. In histopathological analysis of the skin, DNCB-treated groups showed increased skin thickness compared to the untreated groups, while the treatment of LES dose-dependently modulated skin thickness. Also, hypertrophy and hyperkeratosis of the epidermis, intracellular edema and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were observed in the group treated with DNCB alone, while treatment of LES inhibited these inflammatory changes. DNCB also induced a significant up-regulation of iNOS and COX-2 expression, as compared to the untreated groups. However, the treatment of LES significantly decreased the down-regulation of iNOS and COX-2 expression, as compared to DNCB-treated groups. Also, LES reduced the IgE level in DNCB-stimulated groups. And lunasin from LES translocated the nucleus of the cells in the skin of Sprague-Dawley rats. Taken together, it is thought that LES has the potential to be used as an alternative treatment for allergic contact dermatitis.

      • KCI등재후보

        차광재배가 눈개승마(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의 성분 및 항산화 특성에 미치는 영향

        권정우(Jeong Woo Kwon),박재호(Jae-Ho Park),권기수(Ki Soo Kwon),김대섭(Dae Seup Kim),정진부(Jin Boo Jeong),이희경(Hee Kyung Lee),심영은(Young Eun Sim),김미숙(Mi Suk Kim),윤지용(Ji Young Youn),정규영(Gyu Young Jeong),정형진(Hyung Jin J 한국자원식물학회 2006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19 No.1

        눈개승마의 총 엽록소, 총 카로테노이드 함량은 무차광에 비하여 차광율이 높을 수록 높았다. 지방산함량은 무차광 재배에 비하여 차광 재배 및 식용 가능시기간의 생육 후기에 감소되었다. 식용가능시기에서의 지방산 종류간의 함량은 oleic acid, palmitc acid, linoleic acid, stearic acid 순으로 높았으며, 무차광에 비하여 차광율이 높을 수록 낮았다. 특히 linoleic산의 함량은 타 지방산에 비하여 차광정도에 따른 함량의 감소율이 매우 높았다. 차광율 및 수확시기간의 휘발성 정유성분의 함량은 차광율이 높을 수록 증가하였고, 초기수확이 높았다. DPPH 소거활성은 6.64-14.49(IC50:㎍/㎖로 항산화 활성이 매우 높게 나타났고 차광정도가 높을 수록 낮았고, 조기 수확 할 수록 높았다. POD 및 SOD 활성은 식물체에 비하여 종자가 매우 낮았고, 무차광에 비하여 차광 재배 시에 증가하였다. POD활성은 식용가능시기의 생육 초기에 비하여 후기에 높았으나, SOD활성은 감소되었다. POD Isozyme band 수는 이식묘의 종자, 잎 및 줄기에서 각 각 6개의 밴드를 나타내었으나, 뿌리에는 없었다. SOD Isozyme band는 송자와 잎에 비하여 뿌리에서 뚜렷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chemical compounds and antioxidant in Aruncus dioicus. Further, effects of cultural practices such as the shading conditions on the general compounds, essential oils and antioxidants. The chemical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edible extracts on the shading cultivation and harvesting time were measured by crude fiber, pigments, higher fatty acids, essential oils an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bility and activities of SOD and POD in edible shooting parts of Aruncus dioicus. The contents of crude fiber, total chlorophyll and total carotenoids in extracts of edible shooting by shading cultivation and later harvesting were higher than those of non-shading cultivation and early harvesting. Phenolic compounds such as benzoic acid were identified as the aromatic compounds in the edible extracts of Aruncus dioicus. The contents of azulene, benzaldehyde and linalool among those compounds on the cultivation conditions increased in shading cultivation. IC50 values of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high from 6.644 to 14.499m㎍/㎖ in extracts of edible parts and those of edible shooting parts was high such as edible shooting cultivated by 60% shading, 30% shading and non-shading, respectively. The activity of POD and SOD in seeds was lower than that of edible shooting and that by shading cultivation was high in extracts cultivated by non-shading. POD activity of extracts on harvesting time was high in earlier harvesting but SOD activity was low. The numbers of isozyme pattern of POD and SOD in seedling showed 7 bands and 3 bands, respectively, especially, bands of POD and SOD in the first year-growing plant did not show and show a difference according to plant positions, respectively.

      • KCI등재

        연꽃의 산화적 DNA 손상 억제 활성 및 항염증 효과

        정형진 ( Hyung Jin Jeong ),박연경 ( Yeon Gyeong Park ),장태원 ( Tae Won Jang ),김도완 ( Do Wan Kim ),정진부 ( Jin Boo Jeong ),박재호 ( Jae Ho Park ) 대한본초학회 2017 大韓本草學會誌 Vol.32 No.3

        Objective : Nelumbo nucifera , its rhizome and semen have been used as a traditional medicine which was studied on antioxidant, hepatoprotective effect, anti-obesity and the others. However, Nelumbinis Flos have not studied. We investigated protective effects on oxidative DNA damag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Nelumbinis Flos. Methods :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conducted by 1,1-diphenyl-2-picryl hydrazyl (DPPH) radical, 2, 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 sulfonic acid) diammonium salt (ABTS) radical scavenging assay and reducing power assay. Total phenolic content was analyzed. Also, phenolic compounds were detected by HPLC/UV. The inhibitory effect on oxidative DNA damage was determined using ΦX-174 RF I plasmid DNA cleavage assay.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Nelumbinis Flos was measured by the amount of nitric-oxide (NO) produced and protein levels of iNOS, and COX-2 in LPS induced RAW 264.7 cells. Results : The results of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t 200 ㎍/㎖ of extraction were 97.02±0.88% and 96.42±0.25%. Reducing power (fold of L-ascorbic acid as control) was 100.14±0.31 at 200 ㎍/㎖. Total phenol content was 8.70±0.02 ㎎/g. Chlorogenic acid, catechin and epicatechin were found by HPLC. Nelumbinis Flos has inhibitory effect in dose-manner against oxidative DNA damage. In addition, it show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 by suppression of NO production as well as protein levels of iNOS, and COX-2. Conclusion : This study suggested that Nelumbinis Flos showed potential antioxidant and suppression activities of various factors were related in NO produced. Therefore, Nelumbinis Flos as natural plant resources that may help reduce inflammation and alleviate DNA damage.

      • KCI등재

        상동나무(Sageretia thea) 가지추출물의 대장암세포에서 NF-κB 신호전달 활성화를 통한 세포사멸 유도활성

        김정동(Jeong Dong Kim),박수빈(Su Bin Park),어현지(Hyun Ji Eo),박광훈(Gwang Hun Park),정진부(Jin Boo Jeong)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33 No.5

        본 연구에서 상동나무 가지 추출물(STB-E100)은 대장암 세포에서 세포사멸을 유도하여 세포생육을 억제하였다. 또한 Iκ B-α인산화를 통한 IκB-α단백질 분해를 유도하며 이로 인해P65 핵내 전이를 유도하여 NF-κB 신호전달을 활성화시킨다. NF-κB 신호전달 활성화는 GSK3β활성화를 통해 P65 핵내 전이를 유도에 의한 것이지만 IκB-α분해는 GSK3β의존성이 아니다. 상동나무 가지 추출물은 이러한 신호전달 활성화를 통해 세포사멸을 유도하여 대장암의 세포생육을 억제한다. 본 결과를바탕으로 상동나무 가지가 암 예방 및 치료를 목적으로 한 표적요법에서 항암제 개발의 잠재적 활용 소재로서 이용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그러나 대장암 세포에서 상동나무 가지 추출물에의해 유도된 NF-κB 신호전달 작용기전을 좀더 구체적으로 구명할 필요가 있고 대장암에 대한 세포사멸과 작용기전의 정확한 관련성을 조사하기 위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inhibitory effect against cell growth and potential molecular mechanism of 100% ethanol extracts of branch from Sageretia thea in human colorectal cancer cells, HCT116. Ethanol dose-dependently extracts of STB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growth of HCT116 cells through apoptosis. STB activated NF-κB signaling pathway through IκB-α proteasomal degradation and inducing p65 accumulation in nucleus. The inhibition of GSK3β by LiCl didn’t affect STB mediated degradation IκB-α but STB mediated p65 accumulation in nucleus. In addition, STB phosphorylated GSK3β. Based on these findings, STB may be a potential candidate for the development of anti-cancer agents for human colorectal cancer.

      • SCOPUSKCI등재

        매실 와인의 제조공정에 따른 아미그달린(amygdalin) 함량의 변화와 품질 특성

        조정원(Jeong-Won Cho),김병용(Byung-Yong Kim),최수진(Soo-Jin Choi),정진부(Jin Boo Jeong),김현석(Hyun-Seok Kim) 한국식품과학회 2019 한국식품과학회지 Vol.51 No.1

        매실청을 제조한 후 매실을 제거하지 않은 매실청(MW1)과 매실을 제거한 매실청(MW2)을 발효하여 매실 와인을 제조하였다. 매실청은 당침 기간이 증가하면서 아미그달린 함량은 증가하였다. 매실 와인 제조과정별 아미그달린 함량을 비교하면, MW1이 MW2보다 모든 과정에서 높은 수준의 아미그달린을 함유하고 있었다. 매실청의 희석부터 효모의 첨가까지는 아미그달린 함량의 변화는 유의적이나 공정별 차이는 미미한 수준이었다. 그러나 MW1의 경우 1차 발효 후 아미그달린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한 후 2차 발효와 병입까지 유의적인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MW2는 효모 첨가 후 1차와 2차 발효를 거쳐 병입될 때까지 미미하지만 유의적으로 아미그달린 함량이 감소하였다. 완성된 매실 와인의 숙성기간이 증가할수록 아미그달린 함량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고, MW1이 MW2보다 아미그달린 함량에 있어 빠른 감소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조된 매실 와인들의 알코올 함량은 숙성 초기에 10.11-10.94%이었으며, 3개월 숙성 후 9.87-10.30%를 나타내었고, 처리군들 사이에서 또는 숙성기간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또한 pH와 적정산도는 숙성기간이 연장되면서 유의적인 변화가 없거나 소폭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MW2에 비해 MW1의 pH는 낮고, 적정산도는 높았다. 색 특성은 숙성기간이 증가하면서 명도는 감소하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증가하는 공통적인 양상을 보였지만, MW1이 MW2 보다 밝은 색 특성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낮은 도수의 술을 선호하는 소비자들의 최근 술 소비 패턴과 최소한의 아미그달린 함량을 고려할 때, 전통적으로 높은 알코올 농도의 담금주에 매실을 재어 침출하는 침출주 형태보다는 효모에 의해 매실청을 발효시켜 제조하는 매실 발효주(와인)이 매실주로서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mygdalin content, alcohol content, pH, titratable acidity, and color of maesil wine prepared with two different manufacturing processes. Maesil wine was made from maesil chung, and maesil was preserved (MW1) or removed (MW2) before fermentation. During aging, amygdalin content in all the wines was gradually reduced, and the content of MW2 was less than that of the other. The alcohol content, pH, and titratable acidity ranged from around 9.87-10.94, 3.57-3.80, and 8.89-10.68%, respective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samples was not significant. For color, MW1 had lower L and higher a and b values than MW2. In this study, the difference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maesil was not significant, indicating no degradation of the quality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es. However, the MW2 showed a reduction in amygdalin contents.

      • KCI등재

        도깨비부채 잎 추출물의 NF-κB 활성화를 통한 대장암 세포 HCT116에 대한 세포생육 억제활성

        김정동(Jeong Dong Kim),정진부(Jin Boo Jeong)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33 No.5

        본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도깨비부채 잎(RPL)은 GSK3β활성화를 통해 IκB-α를 인산화시켜 단백질 분해를 유도하고 Iκ B-α분해로 인해 p65 핵내 전이를 유도하여 NF-κB 신호전달을활성화?시킨다. 이러한 NF-κB 신호전달 활성화를 통해 대장암의 세포생육을 억제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본 결과는 도깨비부채 잎을 소재로 항암을 목적으로 한 천연치료제 및 대체보완소재 개발에 활용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도깨비부채 잎의대장암에 대한 세포생육 억제와 작용기전의 정확한 관련성과세포생육 억제활성 물질 분석을 위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anti-cancer activity and potential molecular mechanism of 70% ethanol extracts of leaves from Rodgersia podophylla against human colorectal cancer cells, HCT116. RPL dose-dependently decreased the cell viability through RPL-induced apoptosis in HCT116 cells. RPL induced inactivation the nuclear factor κB(NF-κB) through blocking IκB-α degradtion and P65 nuclear accumulation. The inhibition of GSK3β by LiCl attenuated RP-L-mediated NF-κB signaling inactivation. In addition, RP-L induced GSK3β activ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RPL may be a potential candidate for the development of chemopreventive or therapeutic agents for human colorectal cancer

      • KCI등재

        인가목(Rosa acicularis Lindl.) 잎 추출물의 대식세포에서 자가포식 유도활성

        최정원,정진부,Jeong Won Choi,Jin Boo Jeong 한국자원식물학회 2023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36 No.4

        Autophagy contributes to enhancing the immune system (innate and adaptive immune system) against foreign pathogens. Autophagy of macrophages is used as a major indicator for developing vaccine adjuvants to increase the adaptive immune response. In this study, water extracts from Rosa acicularis leaves (RAL) increased the production of immunostimulatory mediators and phagocytic activity in RAW264.7 cells. RAL increased p62/SQSTM1 expression. Inhibition of TLR4, JNK, and PI3K/AKT blocked RAL-mediated increase of p62/SQSTM1. RAL activated JNK and PI3K/AKT signaling. RAL-mediated activations of JNK and PI3K/AKT signaling were reversed by TLR4 inhibition. Taken together, it is believed that RAL-mediated autophagy may be dependent on activating via TLR4-dependent activation of JNK and PI3K/AKT signaling in macrophages.

      • KCI등재

        산돌배(Pyrus ussuriensis var. hakunensis (Nakai) T.B. Lee) 열매의 대식세포 활성화 유도 활성

        금나경(Na Gyeong Geum),정진부(Jin Boo Jeong) 한국자원식물학회 2021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34 No.4

        이상의 연구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산돌배 열매추출물은 대식세포에서 TLR2와 TLR4를 자극하여 MAPKs 신호전달을 활성화하여 NO, iNOS, IL-1β, IL-6 및 TNF-α와 같은 면역증진 인자의 생성을 유도하고, 대식세포의 포식작용을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산돌배 추출물은 대식세포의 활성화를통해 인체의 면역시스템을 강화할 수 있으므로, 향후 면역 보조제나 면역증진을 위한 기능성 식의약품 개발을 위한 소재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in vitro immunostimulatory activity of fruit extracts from Pyrus ussuriensis var. hakunensis (Nakai) T.B. Lee (PUF) using mouse macrophage RAW264.7 cells. PUF increased the production of immunostimulatory factors such as NO, iNOS, IL-1β, IL-6 and TNF-α, and phagocytic activity in RAW264.7 cells. The inhibition of TLR2 and TLR4 blocked PUF-mediated production of immunostimulatory factors in RAW264.7 cells. In addition, the inhibition of MAPKs signaling pathway reduced PUF-mediated production of immunostimulatory factors. From these results, PUF may have immunostimulatory activity via TLR2/4-mediated activation of MAPKs signaling pathway. Therefore, PUF expected to be used as a potential immune-enhancing ag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