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두려움의 시대, 사람의 마음 : 마가의 문제의식: 마가복음 3:1-6의 번역과 해석

        강현석(Hyun-Suk Kang)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1 신학사상 Vol.- No.193

        “COVID-19가 수백 년간 지속된다면 사회는 어떻게 변해있을까?” 마가복음 2장 1절에서 3장 6절이 이러한 문제의식에 대한 범위를 형성하고 있다. 수천 년 전 고대 이스라엘은 악성 피부병에 대한 위생학적 병리적 차원의 대응이 정결법이라는 이름으로 존재했었다. 예수 시대에 이르러 사람들은 이러한 정결법 아래 부정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구분하고 정결법을 지키는 것이 당연시되는 사회에 살고 있었다. 그런데 마가는 이스라엘이 당면한 문제의 본질이 정결법에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 정결법이 예수를 죽음에 이르게 했다고 기술한다. 왜 마가는 이 모든 이스라엘 문제의 본질이 율법, 즉 정결법에 집중되어 있다고 생각했을까? 마가복음 3:1-6에는 이러한 마가의 문제의식이 집약되어 있다. 본고의 목적은 마가복음 3:1-6을 번역하고 해석하는 데 있다. 그리고 이러한 번역과 해석은 이제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해석 방법론에 대한 필요를 제기한다. 특히 마가는 단어의 축약과 생략, 특유의 문장 배열을 통해 자신의 의도를 강하게 전달하는데, 이러한 마가복음의 번역과 해석을 위해서는 가장 우선적으로 ‘저자 마가’의 존재를 인정해야 한다. 그리고 동시에 단어와 문장, 배열에 담긴 표현의 에너지를 이해하려 노력해야 한다. 마가복음 3:1-6의 번역과 해석을 통해 마가가 전하려 했던 정결법 논쟁의 핵심이 무엇이고, 적대자들의 실체가 무엇인지가 적나라하게 드러날 것이다. 그리고 마가복음 전체를 관통하고 있는 마가의 문제의식을 통해 지금 우리와 세계가 당면한 문제를 통찰해 볼 것이다. Mark 2:1-3:6 forms the scope of this subject. Thousands of years ago, in ancient Israel there was a hygienic and pathological response to malignant skin diseases including leprosy under the name of the Laws of purity. By the time of Jesus, people were living in a society where it was taken for granted that people naturally distinguish between what is unclean and what is not under this law of purity and obey the laws of purity. However, Mark insists that the essence of the problem facing Israel was in the laws of purity themselves. The Gospel of Mark states that these are the reason Jesus was brought to death. Why did Mark think that the essence of all these Israeli matters was concentrated in the laws, such as the chastity law? Mark 3:1-6 summarizes Mark’s view regarding of this problem.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ranslate and interpret Mark 3:1-6. It will further suggest the need for a new hermeneutical methodology.. Mark strongly conveys his intentions through abbreviations and omissions of words, and a unique arrangement of sentences. In order to translate and interpret Mark’s Gospel, the existence of the “author Mark” must first be acknowledged. And at the same time, we must try to understand the energy of their unique expressions. Through the translation and hermeneutics of Mark 3:1-6, the essence of the debate on the laws of purity that Mark tried to convey, and the identity of Jesus’s enemies, will be revealed. And through Mark’s subjective view that runs through the entire Gospel of Mark, we will be able to gain insight into the problems that we and the world are facing now.

      • 서포트 벡터 머신 기반 비디오 데이터 분류

        강현석(Hyun-suk Kang),이영석(Young-seok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 No.-

        파일, 정보공유 사이트가 급속도로 발전하고 늘어나면서 BitTorrent 같은 프로토콜도 등장하였다. BitTorrent는 저작권이 있는 영화, 음악, 소프트웨어 등이 불법으로 유통, 확산 되면서 사회적으로 큰 손해를 주고 있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저작권이 있는 파일들이나 네트워크 상의 정상적인 파일공유를 유지하기 위한 기술적 방법을 논의했다. Support vector machine (SVM)은 패턴인식 분야에 여러 방면으로 사용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SVM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포맷의 비디오의 분류 성능을 향상시키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서로 다른 포맷의 비디오 파일들은 서로 강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 그리하여 각 포맷의 비디오 파일을 Histogram과 differential 후 SVM을 적용하여 비디오 포맷의 분류성능을 향상시킨다. 또한 SVM 분류기를 학습시킬 때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적용되는 기법과 다르게 제안되는 기법은 SVM 분류기 특성상 2차원의 분류가 아닌 multisvm 즉, 3차원을 SVM 분류한다는 점이다. SVM 분류기를 통하여 각각의 비디오 파일 포맷을 분류하여 분류 정확도를 나타냈다.

      • KCI등재

        마가복음 결말의 ‘세 여자 이야기’와 여자 제자 집단 ― 마가복음 15:40-16:4과 사복음서 비교

        강현석(Hyun-Suk Kang)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8 신학사상 Vol.0 No.182

        지금까지 대부분의 신약 학자들은 마가복음 결말의 주제를 예수의 고난과 죽음, 그리고 부활에 관한 것으로 생각해 왔다. 이러한 생각은 여자들의 침묵과 두려움으로 마무리되는 마가복음의 종결이 문법적으로 특이하며, 문체적·내용적으로는 갑작스럽다는 생각으로 이어졌고 수백년간 많은 논쟁을 생산해 왔다. 그리고 결말의 핵심 인물인 세 여자는 예수의 부활 소식을 베드로와 제자들에게 전하지 않은 부정적인 인물로 해석 되어 왔다. 그러나 마가복음 결말에 해당하는 15장 40절에서 16장 8절에 등장하는 주인공은 세 여자이고 주요 사건과 서사 또한 세 여자를 중심 으로 전개되고 마무리 된다. 즉 마가복음 결말의 주제는 세 여자 이야기 이다. 마가복음 결말의 주제를 어떻게 바라보느냐에 따라 결말의 사건과 메시지는 다르게 수용된다. 특히 주목할 것은 마가복음의 결말에서 예수 죽음의 유일한 목격자이자 부활 소식의 최초 전승자로 묘사되는 세 여자 들이 개인이 아닌 다른 여자들의 ‘집단’과 함께 소개된다는 점이다. 그리고 이 세 여자의 집단성에 대한 강조는 사복음서 중 마가복음에서만 두드러진다. 즉 마가는 다른 복음서와는 달리 ‘세 여자 이야기’라는 주제를 통해 여자 제자 집단의 존재와 상황을 드러내고 마지막에 이르러 어떠한 메시지를 독자들에게 전달하고자 한다. 본고는 이 여자 제자 집단이 처했던 상황과 행동이 가장 집약적으로 드러나 있는 마가복음 15:40-16:4 를 연구의 범위로 삼는다. 그리고 이들의 핵심 인물인 세 여자에 대한 서술을 나머지 세 복음서의 병행 구절과 비교함으로써 이들이 처했던 상황과 여자 제자 집단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한다. Until now, most New Testament scholars have considered the theme of the ending of Mark’s gospel to be about Jesus passion, death, and resurrection. This also led to the idea that the conclusion of Mark, ending in the silence and fear of the women, was grammatically peculiar and abrupt in terms of style and narration, and has produced many arguments over the centuries. In addition the three women, who are the key to the ending, have been interpreted negatively as people who did not tell Peter and the disciples of Jesus about the resurrection. However, the main character from 15:40 to 16:8, which is the ending of Mark, is the three women, and the main events and narrative also play out and finish with the three women. That is the theme of the ending of Mark’s gospel is the story of Three women. The reader receives the final events and message of Mark differently depending on how he or she views the subject of its ending. Noteworthy in particular is that the three women, who are described as the sole witness of the Crucifixion of Jesus and the first transmitter of the news of the Resurrection in the end of Mark, are introduced not as individuals but with the another ‘women’s group’. Moreover the emphasis on the group-ness of these three women stands out uniquely in Mark as opposed to the other gospels. In short, Mark, unlike the other gospels, reveals the existence and situation of a group of women disciples through the theme of The Story of Three Women, and at the end, it intends to deliver a certain message to the reader. This paper examines the situation and behavior of a group of female disciples, symbolized by the three women in Mark’s Gospel, by comparing the chapters of the other three gospels which reveal the women’s story most intensively. The specific scope of the study is Mark 15:40-16:4.

      • KCI등재

        주행로봇 제어를 위한 험지의 최대마찰계수 추정

        강현석(Hyun-Suk Kang),곽윤근(Yoon Keun Kwak),최현도(Hyun-Do Choi),정해관(Hae-Kwan Jeong),김수현(Soo-Hyun Kim)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8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논문지 Vol.14 No.10

        When mobile robots perform the mission in the rough terrain, the traversability depended on the terrain characteristic is useful information. In the travers abilities, wheel-terrain maximum friction coefficient can indicate the index to control wheel-terrain traction force or whether mobile robots to go or not. This paper proposes estimating wheel-terrain maximum friction coefficient. The existing method to estimate the maximum friction coefficient is limited in flat terrain or relatively easy driving knowing wheel absolute velocity. But this algorithm is applicable in rough terrain where a lot of slip occurred not knowing wheel absolute velocity. This algorithm applies the tire-friction model to each wheel to express the behavior of wheel friction and classifies slip-friction characteristic into 3 major cases. In each case, the specific algorithm to estimate the maximum friction coefficient is applied. To test the proposed algorithm’s feasibility, test bed(ROBHAZ-6WHEEL) simulations are performed, And then the experiment to estimate the maximum friction coefficient of the test bed is performed. To compare the estimated value with the real, we measure the real maximum friction coefficient.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proposed algorithm has high accuracy in estimating the maximum friction coefficient.

      • KCI등재

        서포트 벡터 머신 기반 비디오 조각파일 분류

        강현석(Kang, Hyun-Suk),이영석(Lee, Young-Seo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1

        BitTorrent는 다수의 파일 공유자들로부터 조각파일을 전송 받아 하나의 완전한 파일을 완성할 수 있는 파일 공유 및 전송과 관련된 혁신적인 프로토콜이다. 그러나, 불법 또는 저작권과 관련된 비디오 데이터들이 임의로 배포되는 범죄행위가 발생하는 것이 현실이다. BitTorrent 상에 데이터에 대한 저작권 단속의 어려움은 데이터의 전송형태가 완전한 파일 형식이 아닌 조각 파일 형태로 전송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BitTorrent에서 얻어진 조각파일에서 디지털 콘텐츠를 복원하고, 저작권 위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콘텐츠의 파일 형식에 대한 분류 과정이 선행 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파일의 형식을 분류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조각파일의 히스토그램 차분을 특징 벡터로 하는 SVM 분류기를 제안 하였다. 제안한 분류기는 3종류의 비디오 파일 형식에 적용하여 분류율로 성능을 평가하였다. BitTorrent is an innovative protocol related to file-sharing and file-transferring, which allows users to receive pieces of files from multiple sharer on the Internet to make the pieces into complete files. In reality, however, free distribution of illegal or copyright related video data is counted for crime. Difficulty of regulation on the copyright of data on BitTorrent is caused by the fact that data is transferred with the pieces of files instead of the complete file formats. Therefore, the classification process of file formats of the digital contents should take precedence in order to restore digital contents from the pieces of files received from BitTorrent, and to check the violation of copyright. This study has suggested SVM classifier for the classification of digital files, which has the feature vector of histogram differential on the pieces of files. The suggested classifier has evaluated the performance with the division factor by applying the classifier to three different formats of video files.

      • KCI등재

        [난구 해석] “그 여자애가 있다아이가, 나이 열둘이었어”입말 표지 ἦν γὰρ 연구를 통한 마가복음 5장 42절의 번역과 해석

        강현석(Hyun-Suk Kang)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9 신학사상 Vol.0 No.187

        Western scholars have identified the Koine Greek γάρ with causal conjunctions such as English ‘because’ or ‘for’. But this kind of translation of γάρ leads to a myriad of difficult sentences that are not properly interpreted. I argue in my doctoral dissertation that γάρ was a colloquial marker used primarily in spoken language, such as in people’s conversational situations, rather than a causal conjunction used in written sentences. In Mark, this γάρ is often combined with the εἰμι verb in the form of εἰμι γάρ. And this combination of εἰμι γάρ is a unique word choice and intentional expression of Mark. It is used exclusively in Mark’s Gospel and is not present in other Gospels. This paper analyzes the meaning of εἰμι γὰρ and interprets Mark 5:42, as an example of a typical difficulty in translating γάρ, and how it has affected its audience. εἰμι γὰρ engages the listener outside the sentence, not within the sentence. And Mark’s εἰμι γὰρ is both Mark’s voice and Mark’s tone of speaking directly to the listener. It is Mark’s personal voice signature. Εἰμι γὰρ is the voice of the here and now to the listeners alerting them to the next story, focusing on the story. It is not the narrative and dry description of a person or event. Mark expresses in his words εἰμι γὰρ the extreme feelings of sadness and joy in the event of a 12-year-old little girl who was supposed to be dead but suddenly stood up. And the use of these colloquial markers create a reaction and effect for the audience, which raises the need for a new hermeneutic methodology for Mark. 서구 학자들은 그동안 코이네 그리스어 γάρ를 영어의 because나 for와 같은 인과 접속사와 동일시 해왔다. 그러나 γάρ의 의미를 이렇게 옮길 때 해석되지 않는 무수한 난구들이 존재하게 된다. 필자는 γάρ가 문어체 문장에서 사용되는 인과 접속사가 아니라 사람들의 대화 상황과 같은 입말체에서 주로 사용되는 입말 표지(Colloquial Markers)라는 것을 박사 논문에서 논증했다. 마가복음에서는 이러한 γάρ가 εἰμί 동사와 결합하여 εἰμι γὰρ의 형태로 자주 사용된다. 그리고 이러한 εἰμι γὰρ의 결합 형태는 다른 복음서들이 병행 구절에서 그 단어를 삭제하는 모습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마가의 독특한 단어 선택이자 의도된 표현이라고 볼 수 있다. 본고는 이 εἰμι γὰρ의 의미 규명을 통해서 대표적인 γάρ 난구 중의 하나인 마가복음 5장 42절을 해석하고 그것이 청자들에게 어떤 효과를 가져왔는지 규명한다. 결과적으로 εἰμι γὰρ는 문장 안에서가 아니라 문장 밖에서 상대방에게 직접적으로 기능하며, 마가복음의 εἰμι γὰρ는 모두 마가의 목소리로만 사용되었다는 점에서 청자들을 향해 직접 말을 건네는 마가의 목소리이자 마가의 말투이다. 또한, εἰμι γὰρ는 개념적이지 않으며, 문장 간의 관계를 통해 유추, 정의할 수 있는 단어가 아니라, 화자의 감정과 뉘앙스, 의도, 대화 상황의 맥락 등을 고려해 파악해야 하는 입말 표지이다. 이러한 입말 표지는 한국 사람들에게 익숙한 ‘말귀’라는 용어로 이해 가능하다. 즉, 대화 상황에서 청자를 향해 직접적으로 말하는 입말표지이며 다음 이어질 이야기를 예비하고 관심을 집중시키는, 화자의 목소리가 바로 εἰμι γὰρ의 의미이자 알아들어야 할 ‘말귀’인 것이다. 마가복음 5장 42절은 오랫동안 학자들에게 난구로 여겨져 왔다. 마가는 이 구절에서 열두 살의 작은 여자 아이가 죽은 줄 알았는데, 다시 살아난 사건에 대한 애틋함과 기쁨을 자신의 말투인 ἦν γὰρ에 실어 청자들에게 전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입말 표지 ἦν γὰρ의 사용은 청자의 반응과 효과를 즉각적으로 불러일으키게 되는데 이는 마가복음에 대한 새로운 해석학적 방법론의 필요를 제기한다.

      • KCI등재

        Efland의 Lattice 모형이 교육과정 설계에 주는 시사점 탐구

        강현석(Hyeon-Suk Kang),이자현(Ja-Hyun Lee) 한국미술교육학회 2005 美術敎育論叢 Vol.19 No.3

        교육과정 설계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교육내용의 선정과 조직에서 비롯된다. 특히 내용 조직과 관련하여 다양한 학습이론들이 조직 방법에 많은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 최근에 비약적인 발전을 보이는 인지이론과 구성주의는 이 문제에서 타당한 기초를 제공해주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인지와 교육과정 문제에 대해 Efland는 기존의 계층적인 학습을 가정하는 나선형 모형을 비판하고 다원적이고 비순차적인 학습을 보장해주는 Lattice 모형을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 모형의 배경과 주요 특징을 살펴보고, 미술교육과정설계에 가능한 적용 방안을 논의해보는 데 초점을 둔다. 그리고 래티스 모형의 발전을 을 위하여 브루너의 지식의 구조와 나선형의 본질에 입각한 보다 타당한 논의에 기초하여 통합적인 모형의 개발을 제안하고 있다. 향후 래티스 모형의 장점과 단점을 보완하여 학교교육에서 보다 나은 미술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학생들에게 가치 있는 교육과정을 제공하려는 노력은 멈출 수 없는 것이며, 인간 사고와 지식의 다양성에 기초하여 보다 풍부하고 다양한 교육과정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the suggestion of art curriculum design on the basis of Arthur D. Efland's lattice curriculum model. Curriculum design concerns with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learning experience and content through interrelating various curriculum elements. In particular, spiral pattern as a mode of organization has been challenged by current theory of constructivism, Recent views of learning and cognition are contrasted with the learning theories of the late 1950s and early 1960s. There are many critics about spiral pattern in art curriculum in the line of the nature of art knowledge and structure of knowledge. Here is that Bruner's idea are contrasted with current theoretical efforts. Current cognitive views, though still indebted to Bruner, differ markedly, suggesting that a sufficient base of knowledge must be in place before advanced knowledge acquisition is fruitful(Efland, 1995). Now arts curriculum should be reconsidered by cognition and structure of knowledge. Efland(1995) suggest lattice curriculum model may be constructed on the basis of cognitive reflexibility theory. So, according to his argument, curriculum design of art should be estabilished in the line of lattice model rather than spiral model. In deliberation of his suggestion, we discuss the nature and value of lattice model and examine the validity of that model. In the future curriculum model of art need to be integrated model of spiral and lattice on the basis of the nature and structure of art knowledge. We are look forward to seeing new picture of arts curriculum nested in structure of knowledge and cogn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