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재반 학생들의 영어 어휘력에 관한 비교연구

        조형숙(Cho Hyoung-Sook)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구 영남영어교육학회) 2007 영어교육연구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and analyze English-focused gifted students’ vocabulary to establish an authentic guideline for English classes of gifted programs. Since 2002 when the Laws of Promotion of Gifted Education was issued in Korea, gifted programs have been run all over the nation. Some academic studies have been conducted regarding gifted programs of Science and Mathematics. This is pilot research on Korean/English bilingual gifted students with linguistic intelligence. This study focuses on measuring English vocabulary proficiency of English-focused gifted students(N=11) by comparing it to that of graduate students (N=31) majoring in English at a university. The four fields of vocabulary proficiency for comparison are: 1) headwords of Academic Word List, 2) receptive skills, 3) productive skills, and 4) cultural awareness. The data analysis shows that the vocabulary proficiency of gifted students i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to that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English in academic words, receptive skills, and productive skills. Gifted students, however, are obviously poor at cultural awareness, compared to graduate students. These research results will be the basis for creating and developing EAP(English for Academic Purposes) programs for gifted students at the secondary levels.

      • KCI등재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중등 예비교사교육 운영 사례연구

        조형숙(Cho, Hyoung Sook),정환희(Jeong, Hwanhui)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7

        세계화가 진행되고 한국이 주도한 세계시민교육이 UNESCO의 교육의제로 채택됨에 따라 세계시민교육에 대한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학교 현장에서 세계시민교육이 확산되고 있지만 글로벌 시민성과 세계시민교육에 대한교사교육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본 연구는 글로벌 시민성,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태도 및 세계시민교육 교수 효능감 측면에서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운영된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예비교사교육 운영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2021학년도 1학기 중부권의 교원양성기관 예비교사 148명을 대상으로 세계시민교육에 관한 예비교사교육을 운영하였다. 예비교사교육에서는 지속가능발전교육, 소수자(장애학생) 이해, 다문화 탈북학생의 이해, 2015 교육과정과 세계시민교육을 주요내용으로 다루었다. 이러한 예비교사교육의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사전-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대응표본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이 결과 예비교사의 글로벌 시민성,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태도, 세계시민교육 교수 효능감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교사를 위한 세계시민교육 교육과정을 논의하고 제언을 덧붙였다. As Global Citizenship Education(GCED), led by Korea, was adopted as UNESCO’s education agenda, interest in GCED has gradually been increasing in the mid of globalization. GCED is spreading and implemented at schools, but there is a lack of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for GCED. Based on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study aims at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a college course on GCED and sharing the case for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During the 2021 Spring semester, 148 pre-service teachers, in a college of education located in Chungbuk Province, were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The curriculum include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disability and human rights, multicultural education for culturally diverse learners, and GCED in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In order to statistically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is training program, pre- and post-survey were conducted and analyzed with t-tests. The results show that 1) global citizenship of pre-service teachers, 2) attitudes toward GCED, and 3) GCED teaching efficacy have been significantly improved. Based on these results, this paper develops discussions of GCED curricula and adds further suggestions for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충북지역 중학생 자유학기제 비교과 프로그램을 위한 문화교육 영어과 자료 개발 사례

        조형숙(Cho, Hyoung-Sook)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4

        중학교에 자유학기제 시행이 정착됨에 따라 중학생들이 인근대학을 탐방하여 다양한 체험과 진로 탐색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충북지역의 교원양성기관에서 ‘영어 교재연구법’ 과목을 수강하는 중등영어과 예비교사 25명이 충북지역 중학생의 자유학기제 비교과 프로그램에 활용할 영어과 문화교육 자료 개발의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연구 참여자는 중학교 영어 교과서 문화내용 분석, 자유학기제 비교과 프로그램 문화주제 선정 및 자유학기제 비교과 프로그램 영어과 교육자료 개발이라는 세 가지 연구절차를 거쳤다. 세 단계 절차를 거쳐 연구 참여자들은 중학교 영어교과서에서 한국 문화를 다루는 내용이 상대적으로 부족함을 인지하였으며, 충북지역 중학생 자유학기제 비교과 프로그램의 문화주제를 충북의 문화자산인 직지(直指)문화로 결정하고 이에 관한 영어과 자료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자료는 직지문화 조사활동, 직지문화 심화이해 활동, 직지문화 홍보 및 연계활동이라는 세 가지 하위영역으로 분류되며 예비교사의 산출물을 해당 예시로 제시하였다. 충북지역 중학생을 대상으로 지역의 문화자산을 주제로 자유학기제 비교과 프로그램 영어과 자료를 개발함으로써 영어 의사소통 역량과 공동체 역량을 배양이라는 영어교육의 목표에도 부합할 수 있다. 개발절차 및 산출물 예시는 자유학기제 교재개발에 활용가능 할 것으로 기대되며, 본 사례연구가 지역의 문화와 배움을 연계시키고 지역의 중학교와 대학의 연대가 확산하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free semester system in middle schools, students are participating in various experience and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by visiting nearby universities.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case of developing English materials for free semester extra-curricular programs to teach cultural contents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North Chung-Cheong Province by 25 pre-service English teachers who took the “Materials and Research in English Language Teaching” course at a college of education. The study went through three research procedures: analyzing the cultural content of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selecting a cultural theme for free semester programs, and finally developing English materials to teach the cultural theme. Throughout the textbook analysis, the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Korean culture and developed English materials on Jikji culture, a cultural asset of North Chung-Cheong Province,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developed English materials were classified into three sub-categories: survey activities, comprehension activities, and integration activities of Jikji culture, of which examples were provided for further reference. English materials for free semester extra-curricular programs relating to local cultural assets enable middle school students to improve English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community competence. Also, this case study can contribute to link local culture with learning and to build up a framework for close networking between local middle schools and universities.

      • KCI등재후보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영어학습부진 중학생 지도 사례

        조형숙(Cho, Hyoung-Sook)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1 교육발전 Vol.40 No.4

        초·중등학교현장에서 교육격차가 심화되고 있어 예비교사를 준비시킬 필요가 있다는 판단하였고 서원대학교 영어교육과는 ‘영어학습부진아 이해와 지도’라는 과목을 개설하였다. 영어교육 전공 교수를 책임교수로 하여 영어학 전공 교수를 연계하여 융복합교육과정으로 영어학습부진아 이해와 지도를 위한 교과목을 구성하였다. 또한, 산하학교에서 중학교 1학년을 담당하는 영어교사를 협력교사로 위촉하여 예비교사들은 영어 학습부진을 겪고 있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3주간 15차시 영어 멘토링을 실시하고 담당교수와 협력교사로부터 수퍼바이징을 받으며 영어학습부진아 지도에 참여하였다. 마지막으로 영어학습부진아 지도에 대한 성찰을 통해 교수-학습을 성찰하고 보고서를 작성하였다. 이상과 같이 영어학습부진아 이해, 영어학습부진아 지도 및 영어학습부진아 지도에 대한 성찰이라는 3단계 과정을 통해 중등 영어과 예비교사들이 기초학력을 보장할 수 있도록 준비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사례연구가 예비교사 교육과정 개선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As the educational gap betwee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s widening, colleges of education need to prepare pre-service teachers to teach underachieving English language learners. Seowon University opened a course called ‘Understanding and Teaching Underachieving English Learners’ in 2017. With cooperation of professors majoring in English education and English linguistics, a convergence curriculum was implemented for understanding underachieving English learners. In addition, with participation of English teachers in charge of the first grade of a affiliated middle school, pre-service teachers conducted 15 hours of three-week English tutoring for middle school students suffering from under-achievement in English.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teaching underachieving English learners under supervision by their professors and partner in-service teachers. Finally, pre-service teachers reflected on their tutoring and wrote the final reflective journals. As above, the three-step process of 1) understanding underachieving English learners, 2) teaching underachieving English earners, and 3) reflecting their teaching of underachieving English learners was shared to help pre-service teachers prepared for basic competency. We hope this case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preparatory curriculum for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유치원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만 4세 유아의 자발적 쓰기 양상 분석

        조형숙 ( Hyoung Sook Cho ),이건희 ( Kun Hee Le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연구 Vol.32 No.4

        본 연구는 영유아 주도적이고 생활 속에서 소통과 표현의 도구로서 쓰기 활동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그 의미를 밝히기 위해서 유아의 자발적 쓰기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분석하여 문해교육적 측면에서의 쓰기의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만 4세 유아 두 학급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유치원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유아의 자발적 쓰기의 양상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유아의 자발적 쓰기``는 ``유치원 교실에서 자유선택활동 시간 중 자유롭게 유아의 선택으로 시작된 쓰기``만을 의미한다. 관찰된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자발적 쓰기의 목적은 ``정보제공하기``, ``상상적 표현하기``, ``의사소통하기``, ``모방하기``, ``체험적 쓰기``이며 ``정보 제공하기``에는 ``작품의 주인 의식 표시하기``, ``작품명 쓰기``, ``알고 있는 정보나 지식 알리기``가 포함된다. 둘째, 만 4세 유아들이 쓴 내용 안에는 유치원 생활주제와 유아의 일상생활 경험의 영향을 받은 것들이 나타났는데 그 내용은 ``숫자``, ``사랑과 우정``, ``창작 이야기``, ``과학``, ``외국어``였다. 셋째, 만 4세 유아 자발적 쓰기에 나타난 쓰기형식의 특성으로는 ``긁적이기``, ``글자 형태 출현``, ``소리와 관계없는 창안적 글자``, ``소리와 관계있는 창안적 글자``, ``관례적 쓰기`` 다양한 쓰기 형식이 만 4세 유아 동일연령 집단에서 나타났다. The present study intended to find out the meaning of child initiative writing in emergent literacy by analyzing how young children write spontaneously in order to present the importance and meanings of writing as a tool of communication and expression. Two four-year-old children classes were selected and the study focused on four-year-old children`s spontaneous writing in the classroom. In this article "young children`s spontaneous writing" means "a writing that young children choose at a free choice time in the class." Research findings revealed that, first, the purposes of spontaneous writing of four-year-old children were providing information, expressing imagination, communicating, copying, and heuristic writing. Providing information includes showing ownership, writing the title of an artwork, and inform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children know. Second, the contents of children`s writing are related to themes of the curriculum at early childhood centers and everyday life experiences, such as numbers, love and friendship, creative story, science, and foreign language. Third,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spontaneous writing of four-year-old children, children show all different levels of stages, such as scribbling, letters-random, pre-phonetic invented spelling, phonetic invented spelling, and conventional writing even though they are in the same age group.

      • KCI등재

        중도입국청소년 대상 이민자 조기적응프로그램 운영 및 개선방안에 관한 사례연구

        조형숙(Cho Hyoung S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2

        우리 사회로 진입하는 체류 외국인이 증가함에 따라 이민자의 한국 사회 적응을 지원하는 다양한 정책이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2015년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되는 중도입국청소년을 위한 이민자 조기적응프로그램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고찰하고 그 개선방안을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중도입국청소년을 대상으로 조기적응 지원센터에서 실시한 3회의 이민자 조기적응프로그램을 사례(case)로 삼아 다중사례연구로 진행하였다. 2015년 8월부터 문헌 수집을 시작하여, 프로그램 수업참관, 강사, 멘토, 참여자 인터뷰 및 설문조사를 통해 11월까지 자료를 수집하고 이후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분석 과정을 거쳤다. 한국사회 적응에 도움이 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어진 시간에 비해 내용이 많고 이해하기 어려웠다는 점이 대두되었으며, 언어와 문화적인 차이로 인하여 통역을 하며 진행되어 시간이 부족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응이 필요했다. 실생활에 지침서로 사용할 수 있는 기본적인 내용으로 교재를 구성하고, 이중언어 구사자를 강사로 양성하여 통역없이 운영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3차시에 가능한 내용을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추후 심화과정이 필요한 경우 관련 기관으로 연계하여 문화적응을 도와 사회통합을 추진하는 것이 좋겠다. As foreign immigrants have gradually increased, Korea implements diverse policies to help them adjust into Korean societies.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Initial Adjustment Support Program (IASP) for foreign-born immigrant children which began as of 2015 and discusses how to improve the program. Defining each IASP class in a support center as a case. a bounded system, this study is a multiple-case study with three cases. The researcher collected data through survey, documents, class observations, and interviews with instructors, mentors, and immigrant adolescents and relied on within-case analysis and cross-case analysis. Although participants evaluated the programs to be helpful for adjustment, they regarded the program contents difficult to understand. It is necessary for the textbook to consist of easy contents for immigrant children. Because translation mentoring occupied half of the given time, more qualified bilingual speakers are expected to be prepared to overcome translation issues in IASP instructions. To help immigrant children at their initial stage of migration, the IASP contents should be selected for 3-hour programs and need to further connect to social integration programs such as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rograms and Korea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KIIP).

      • KCI등재

        다문화이해교육의 실제와 발전방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조형숙(Hyoung-Sook Cho),이용직(Yong-Jik Lee),이경철(Kyung-Cheol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7

        시장개방과 국제결혼의 증가로 인하여 한국사회는 점차 다문화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교육부는 다문화학생 교육 선진화 방안을 발표하여, 다문화학생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고 있으며,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다문화이해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다문화이해교육의 실제를 파악하고 향후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문화이해교육 강사들이 학교 현장에서 다문화이해교육을 어떻게 진행하고 있는지 고찰하고 다문화 교육과정의 개념적 모형에 비추어 그들의 교수목표와 교육내용이 다문화적 가치를 잘 전달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방법은 4명의 다문화이해교육 강사를 연구 참여자로 섭외하고 사전인터뷰, 수업자료 검토, 수업참관 및 수업참관 후 사후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이 연구과정에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주요 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모두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자신(배우자)의 출신국 문화를 소개하였으며, 수업은 전통복식, 음식 등 풍습위주의 외형적인 문화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다문화이해교육은 대상 학생 및 문화의 측면에서 다양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2차시 분량의 일회성 수업으로 세계적 상황에 대한 공감능력 및 사회적 행위능력을 배양하기 다소 어려웠으며, 교과내용과 연계하여 융합교육과정으로 발전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Due to globalization and the increasing number of international marriages, Korea has become a multicultural society. In 2012,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established guidelines for education on multicultural understanding for all K-12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education on multicultural understanding is conducted and to provide suggestions for improvements. Based on the six goals of multicultural curriculum in Bennett"s conceptual model, this study explores how multicultural education specialists conduct their instructions and how they convey the value of multicultural understanding in public schools. Four multicultural education specialists were recruited, and various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from pre- and post-interviews and classroom observations.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matic analysis. The study findings show that the participants educated elementary students by introducing their own (or spouse"s) culture through their traditional clothes, food, and customs. This indicated that they focused mainly on developing multiple historical perspectives and strengthening intercultural competence. However, their current education on multicultural understanding may not help students to increase an awareness of the state of the planet and global dynamics, and to build social action skills. Finally, we suggest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integrated and infused into national (regular) curricula so that all students can enhance their multicultural understanding.

      • KCI등재

        부산지역 학령기 중도입국청소년의 문화적응과 지원방안 탐색

        조형숙(Hyoung-Sook Ch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4

        다문화가족정책이 결혼이민자의 초기정착 지원에서 다문화가족자녀의 성장지원으로 확대되고 있다. 한국에서 태어난 국제결혼가정의 국내출생자녀에 비해 외국성장 배경을 가진 중도입국청소년은 언어와 문화적 차이로 인한 어려움을 많이 겪는다. 이에 본 연구는 부산지역 학령기 중도입국청소년이 한국 사회 적응 시 겪는 어려움을 조사하고 문화적응을 위한 지원방안을 탐색하고자 한다. 중도입국청소년, 이민자 학부모, 학교 내 실무자 및 학교 밖 실무자를 포함하여 총 17명의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을 실시하여 학령기 중도입국청소년이 겪는 적응의 어려움과 지원방안을 도출하였다. 학령기 중도입국청소년은 문화 인종적 차이, 이름의 차이, 언어적 차이 및 나이 차이로 인한 어려움을 겪었으며, 적응을 위해 한국어 교육, 교과 멘토링, 진로지도 및 학교 내 다문화이해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이주민 및 외국인주민에 대한 결핍모형에 근거한 문화적 동화주의적 접근법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으며, 다양성 모형에 근거하여 중도입국 청소년의 문화적응 지원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음을 역설하였다. Current support policies for multicultural families translate the focus on educating multicultural children from the initial adjustment of foreign-born brides. By contrast with Korean-born biracial/biethnic children of international couples, foreign-born immigrant children suffer linguistic and cultural differences. This study explores the acculturational difficulties and needs of school-aged immigrant adolescents in Busan Metropolitan city and suggests policies to meet their needs. Seventeen participants, including immigrant adolescents, immigrant parents, in-school service providers and out-school service providers, were recruited, and focus-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major themes show that school-aged immigrant adolescents suffer from cultural/racial differences, different naming practices, linguistic differences, and age gaps. In addition, the study participants strongly call for KSL education, academic mentoring programs, career education, and education for multicultural understanding. This study suggests that future policies should be designed to support immigrant adolescents based on a diversity model beyond assimilationist approaches of adeficitmodel.

      • KCI등재
      • KCI등재

        영어학습 부진아 지도를 위한 중등 예비교사 양성 사례연구: 유네스코의 ‘모두를 위한 교육(Education for All)’의 관점에서

        조형숙 ( Cho Hyoung-sook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8 교사교육연구 Vol.57 No.2

        중등학교에서 영어학습 부진이 심화되고 있으며 학습과잉인 한국에서 영어학습 부진아들은 교육 소외를 경험하고 있어 이들을 지도할 교사양성과 교사교육이 절실하다. 본 연구는 ‘모두를 위한 교육 ‘의 관점에서 영어학습 부진아 지도를 위한 중등 예비교사 양성 사례를 제시하고 학부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2016년 동문교사 간담회에서 예비교사들이 영어학습 부진아를 지도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출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제기됨에 따라 대학교-중학교 연계와 담당교수-현장교사 연계를 바탕으로 2017학년 2학기에 ‘영어학습 부진아 이해와 지도’라는 과목을 개설하여 이론수업과 파닉스 지도 연습 및 예비교사-영어학습 부진아 1:1 현장지도를 포함하는 교육과정을 운영하였다. 예비교사와 중학생 각 13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고 관찰 및 설문조사와 평가회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멘토링에 참여한 중학생 영어학습 부진아의 만족도는 높았으나 학습 동기를 유지시키는 과제가 남았으며, 예비교사들은 영어학습 부진아를 다양한 학습자라는 측면에서 이해하게 되었고, 영어학습 부진아의 영어 문식 리터러시 수준에 따라 예비교사들이 도움이 되었다고 느끼는 교육내용은 달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예비교사들은 현장연계형 교육과정에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유네스코의 ‘모두를 위한 교육(EFA)’의 관점에서 교육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영어학습 부진아에 대한 이해와 지도를 목적으로 하는 현장연계형 교육과정으로 예비교사를 양성할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As the English learning tends to be stagnant at the secondary level in Korea, under-achieving English learners are experiencing educational alienation in Korea. In terms of teacher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pre-service teachers (PSTs) to teach these under-achieving English learn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o a case study on secondary pre-service teacher preparation for guiding and instructing of under-achieving learners in English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n undergraduate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for all learners. In 2016, it was suggested that PSTs should be prepared to teach under-achieving English learners. Therefore, based on a university-middle school collaboration and a college professor-school teacher collaboration, the course of ‘Understanding and Guiding Under-achieving English Learners,’ including theoretical reviews, practice of phonics instruction, teaching planning, and tutoring, was open in the 2017 fall semester. Each of the 13 PS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 observation notes, the surveys, and oral and written evaluations were analyzed. The study findings showed that the middle school under-achieving students had high satisfaction, but lacked learning motivation. The task of maintaining the learner motivation remained to pre-service teachers and teacher educators. The participating PSTs understood their students from the perspective of learner diversity, and the contents which the PSTs felt helpful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students’ levels of basic English literacy. Nevertheless, all PSTs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the field-based curricular contents. Finally, this study includes a discuss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UNESCO’s ‘Education for All’ that it is necessary to prepare PSTs to understand and teach under-achieving English learners in the field-based curriculum through establishing educational govern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