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열성 경련의 재발과 혈청 아연 농도와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박재륜(Jae Ryun Park),이상후(Sang Hoo Lee),유황재(Hwang Jae Yoo) 대한소아신경학회 2007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5 No.1

        목 적 : 열성 경련의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 지진 않았으나, 유전적인 요인, 시토카인 증가, 그리고 미량 원소들의 변화 등이 알려져 있다. 열성 경련의 원인으로 알려진 미량 원소로는 철, 아연, 구리 등이 있으며, 그 중에 아연은 혈청 혹은 뇌척수액 아연의 농도가 열성 경련 소아에서 감소 되었다고 보고되어 아연의 결핍이 열성경련의 원인으로 제시되었다. 이에 본 저자들은 혈청 아연 농도가 열성 경련의 재발과는 어떠한 상관 관계가 있는지 알아 보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3년 6월부터 2005년 7월까지 본원에 열성 경련으로 입원한 환아들 중에 3번 이상의 열성 경련을 보인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다(이하 반복 열성 경련군). 대상 환아 중에 뇌파검사 혹은 뇌자기 공명 영상 검사에서 이상 소견을 보인 경우는 제외하였다. 대조군은 한번의 열성 경련 이후 1년동안 경련을 보이지 않은 환아군(이하 단순 열성 경련군)과 경련의 기왕력 없이 단순히 열을 동반한 환아군(이하 열성 질환군)을 무작위 표본 추출하여 혈청 아연의 농도를 비교하였다. 통계분석은 window용 SPSS v. 12.0을 사용하여 t-test를 통해 분석을 하였으며, 유의수준은 P<0.05로 하였다. 결 과: 세 군 모두 33명이 선택되었다. 반복 열성 경련군은 남아 20명,여아 13명으로 성비는 1.5:1이었고, 평균 연령은 30.1개월 이었다. 단순 열성경련군은 남아 21명, 여아 12명으로 성비는 1.7:1이었고 평균 연령은 26.6개월이었다. 발병의 원인으로는 세군 모두에서 상기도 감염(인두 편도염, 기관지염, 후두염, 중이염)이 가장 빈도가 높았다. 혈청 아연 농도는 반복 열성 경련군, 단순 열성 경련군, 열성 질환군에서 각각 123.7±9.6 μg/dL, 112.5±8.9 μg/dL, 154.1±6.8 μg/dL였으며, 경련군들이 열성 질환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혈청 아연 농도가 낮았으나(P<0.05), 단순 열성 경련군과 반복 열성 경련군 간에는 통계학적 유의성이 없었다. 결 론: 혈청 아연의 농도는 열성 경련의 재발과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조군인 열성 질환군에 비해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낮은 수치를 보이므로 열성 경련의 발생과는 상관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he etiology of febrile seizures is not yet ascertained but it is known that genetic factors, cytokines or trace elements are associated with pathogenesis of febrile seizures. Among them, zinc deficiency is known to play some role of pathogenesis of febrile seizures. We purposed to know the relation between recurrence of febrile seizures and serum zinc level. Methods : The subjects were recurrent febrile seizures group who were admitted to our hospital from June 2003 to July 2005 because of more than 3 times febrile seizures. The other two control groups were simple febrile seizures and acute febrile illness groups admitted to our hospital in same period. Simple febrile seizures group showed no more seizure over 1 year after first onset. We investigated serum zinc level in each group. Results : The number of patient in each group is 33 children. Recurrent febrile seizures group was composed of 20 boys and 13 girls (the ratio of 1.5:1) with an average age 30 months old. The mean serum zinc levels in the recurrent febrile seizures group (123.7±9.6 μg/dL)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simple febrile seizures group(112.5±8.9 μg/dL). Both of the recurrent and simple febrile seizures groups had significantly lower serum zinc levels than the febrile illness group(154.1±6.8 μg/dL). Conclusion : We suggested that serum zinc level is not relationship with recurrence of febrile seizures. Nevertheless, the fact remains that serum zinc level was decreased in recurrent and simple febrile seizures groups compared with acute febrile illness group.

      • SCOPUSKCI등재

        급성장염으로 인한 탈수 환아에서 혈청 요산의 염상적 유용성

        송준호,장명완,유황재,김철흥,Song, Jun Ho,Jang, Myung Wan,Yoo, Hwang Jae,Kim, Cheol Hong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6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9 No.1

        목 적: 급성 장염은 소아의 유병률과 사망률의 중요한 원인이기 때문에, 탈수 정도를 정확하게 평가하여 교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탈수평가에서 임상적 척도들과 검사실 지표들의 효용성이 비교 연구되어 왔고, 검사실 지표들의 효용성이 비교 연구되어 왔고, 검사실 지표들 중 BUN, creatinine, 중탄산엽, 혈당, 요비중 등이 쉽게 검체를 얻을 수 있고 신속하게 결과를 알 수 있어 많이 연구되어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검사실 지표들과 함께 요산을 체중 변화에 의한 탈수의 정도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2년 6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관동대학교 명지병원에 장염으로 인한 탈수증세로 입원한 환자 9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액치료를 하기 전에 각각의 환자의 체중을 측정하였고, 퇴원 전에 다시 체중을 측정하여, ([최종 체중-초기 체중/최종체중]${\times}100$)으로 환아의 체중 감소량을 측정하여 각각 경증, 중등도, 중증 탈수군으로 분류하여, BUN, creatinine, 혈청 중탄산염, 혈당, 혈청 요산, 요비중과 비교하였다. 결 과: 경증 탈수군은 54명으로 전체의 60%, 중등도 탈수군은 24명으로 전체의 26%, 중증 탈수군 12명으로 전체의 14%에 해당하여 경증 탈수군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BUN, creatinine, 혈청 중탄산염, 혈당, 요비중은 탈수 정도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요산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혈청 요산 7 mg/dL을 기준으로 중등도 이상의 탈수 예측치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조사한 결과 민감도는 66.6%, 특이도는 87.1%, 양성 예측도는 77.4%, 음성 예측도는 79.6%이었다. 결 론: 본 연구에 혈청 요산이 탈수 정도와 연관이 있었다. 따라서 임상적 지표와 함께 혈청 요산을 탈수 판단의 지표로 사용했을 경우 소아장염 환아에서 조기에 탈수 정도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이에 대해서는 좀 더 광범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estimation of fluid deficit is crucial to the proper management of dehydrated children. Without well-documented serial weights on the same scale, the estimation of any given child's fluid deficit is imprecise and dependent largely on subjective clinical criteria. Despite the abundance of literature on clinical and laboratory evaluation of dehydration, few studies have focused on serum uric acid. So, we examined the usefulness of scrum uric acid in gastroenteritis patients with dehydration. Methods: Medical records of 90 gastroenteritis patient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By the body weight loss, we classified patients with mild, moderate, and severe dehydration groups. We studied the relevance of laboratory data (BUN, creatinine, serum bicarbonate, glucose, urine specific gravity, and uric acid) with dehydration. Results: 54 children (60%) were dehydrated mildly, 24 (26%) dehydrated and moderately, and 12 (14%) dehydrated severel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BUN, creatinine, serum bicarbonate, glucose, and urine specific gravity could not be observed. But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uric acid and the degree of dehydration. Data analysis suggested that the level of 7.0 mg/dL is the best cut-off value for predicting the development of moderate or severe dehydration. At this cut-off value,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ere 66.6% and 87.1%. Conclusion: Our study supports that the measurement of serum uric acid with traditional scale is useful for predicting the development of dehydration. But, in order 10 be used as the indicator for proper treatment at an earlier stage, further validation about serum uric acid is necessary.

      • KCI등재후보

        기립성 단백뇨에 동반된 Nutcracker 증후군 1례

        김영빈,백성철,유황재,김철홍,이현희,박노혁,김병길,Kim Young-Bin,Baek Sung-Chul,Yoo Hwang-Jae,Kim Cheol-Hong,Lee Hyun-Hee,Park Noh-Hyuck,Kim Pyung-Kil 대한소아신장학회 2004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8 No.1

        저자들은 학교검진에서 우연히 발견된 기립성 단백뇨를 보인 환아의 복부 도플러 초음파검사에서 좌측 신정맥 죄임 소견을 확인하여 신정맥 조영술을 시행해 nutcracker 증후군을 확진한 1례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Orthostatic proteinuria is documented as a benign condition and the most common cause of isolated proteinuria. The etiology and pathogenesis of orthostatic proteinuria is not clear yet. Recently there were a few report that nutcracker syndrome seemed to cause orthostatic proteinuria. We experienced a case of a twelve-yeat-old female patient with incidently discovered orthostatic proteinuria who was suspected to have nutcracker phenomenon by doppler sonography. We confirmed this patient as nutcracker syndrome by renal venography.

      • 최근 4년간 서부 경남지역의 소아에서 발생한 쯔쯔가무시열의 임상적 고찰

        주혜영,이준수,김정희,유황재,김천수,Ju, Hye Young,Lee, Jun Su,Kim, Jeong Hee,Yoo, Hwang Jae,Kim, Chun Soo 대한소아감염학회 2001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8 No.2

        목 적 : 급성 열성 질환으로 입원한 환아들 중 임상적 또는 혈청학적 소견상 쯔쯔가무시열로 진단된 17례의 임상양상을 조사하여 소아에서 발진을 동반한 급성 발열성 질환의 감별에 있어서 쯔쯔가무시열의 조기진단과 치료에 도움을 주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7년 9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성균관대학교 마산삼성병원 소아과에 급성 열성 질환으로 입원한 환아들 중 임상적 또는 혈청학적 소견상 쯔쯔가무시열로 진단된 17례를 대상으로 성별 및 연령 분포, 발생시기, 임상증상, 검사소견, 치료결과 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쯔쯔가무시열의 임상적 진단기준은 1일 이상의 발열을 주소로 입원한 환아들 중 최근 3주내 유행지역에 노출된 병력이 있으면서 반점 구진상의 피부 발진과 가피, 림프절 종대 등의 특징적인 진찰소견이 동반된 환아들로 제한하였다. 혈청학적 진단기준은 O.tsutsugamushi 항원 감작 면양 적혈구를 이용한 수동혈구응집반응검사(PHA)인 Genedia tsutsugamushi PHA 2 kit(녹십자, 한국)를 이용하였는데 O.tsutsugamushi 항체가 가 1 : 80 이상이면 양성으로 판정하였고, 양성으로 판정된 검체는 1 : 5,120까지 계단 희석하여 항체가의 변화를 정량 분석하였다. 또한 Hantann virus와 Leptospira에 대한 혈청학적 검사도 동시에 시행하였다. 결 과 : 연구군 17례의 연령 분포는 6개월부터 12세까지로 평균 연령은 $6.9{\pm}3.6$세였으며 성별은 남아가 10례(58.8%), 여아가 7명(41.2%)으로 남아에서 많았다. 발생 시기는 10월에 7명, 11월에 10명으로 전례에서 10~11월에 발생하였고, 환아들 중 14명은 유행지역의 외부환경에 노출된 병력이 있었다. 임상증상은 발열이 전례에서 있었는데 입원 전 발열기간은 2~8(평균 $5.2{\pm}1.7$)일의 분포를 보였고 그 외에 두통, 기침, 소양감, 콧물, 복통, 구토, 설사 등이 있었으며 진찰소견은 피부 발진이 전례에서 있었고 그 외에 가피, 림프절 종대, 결막 충혈, 인후 발적, 피부의 막양 낙설, 간 비대, 발의 부종 등의 순으로 관찰되었다. 가피는 14례에서 관찰되었는데 등과 서혜부가 각각 3례로 가장 많았고 그 외에 경부, 가슴, 슬와부, 두부, 대퇴부 등에서 발견되었다. 말초혈액 검사상 빈혈은 1례에서 관찰되었고 백혈구 감소와 혈소판 감소는 각각 5례에서 보였다. 소변검사에서는 혈뇨와 단백뇨가 각각 1례에서 있었고, 급성기 반응으로 ESR은 단지 2례에서 상승되었으나 CRP는 12례에서 양성이었으며, 간기능 검사상 AST와 ALT치는 각각 9례와 7례에서 증가되었다. 혈청학적 검사(PHA)상 입원 당시의 양성반응은 8례(47%)였으며 발열기간에 따른 양성율은 7일 미만군(38.5%)에 비해서 7일 이상군(75%)에서 더 높았으나 유의성은 없었고 입원 당시 음성반응이었던 9례 중 발병 후 2~3주경에 추적검사한 4명에서는 모두 양성반응으로 전환되었다. 치료는 8세 미만인 9례에서는 chloramphenicol(25 mg/kg)을 8시간 간격으로 정맥 주사하였고, 8세 이상인 8례에서는 doxycycline(5 mg/kg/day)을 2회로 나누어서 경구 투여하였으며 해열 후 4일까지 투여하였다. 치료 후 해열에 걸리는 기간은 chloramphenicol군 : $1.3{\pm}0.6$일, doxycycline군 : $1.5{\pm}1.0$일로 두 군에서 비슷하였다. 합병증은 간질성 폐렴이 1명, 무균성 뇌수막염이 3명 있었으나 17명 전례에서 휴유증이나 재발 없이 완쾌되었다. 결 론 : 소아 쯔쯔가무시열의 발생시기와 임상양상은 성인과 유사하나 소아에서는 남아에서 발생율이 더 높은 Propose : Tsutsugamushi fever is a acute febrile disease, which is caused by O. tsutsugamushi. Recently, this disease is increasingly reported in children.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clinical features of tsutsugamushi fever in children. Methods : This study involved 17 children with tsutsugamushi fever who were admitted to Masan Samsung hospital between September 1997 and December 2000. We investigated the age, sex ratio, clinical manifestations, laboratory findings, response of therapy and prognosis. Results : The age of patients was $6.9{\pm}3.6$ years, ranging from 6 months to 12 years and male predilection(58.8%) was noted and all cases of patients occured in October or November. The most common symptoms were fever in all cases and headache in 8(47.1%). The most common signs were skin rash in all cases, eschar in 14(82.4%) and lymphadenopathy 8(47.1%). Locations of the eschars were back and inguinal area in each 3 cases, neck and chest in each 2, popliteal area in 2, scalp and thigh in each 1. Laboratory findings included anemia in 1 case, leukopenia and thrombocytopenia in each 5, hematuria and proteinuria in each 1, ESR elevation in 2 and positive CRP in 12, AST elevation in 9 and ALT elevation in 7. Serologic diagnosis was made by passive hemagglutination assay(PHA) in 8 cases(47%) on admission, 4 cases in initial negative group were performed follow-up test at 2nd or 3rd weeks of illness and then all cases of 4 were converted to positive reaction. Clinical improvement was noticed in all cases after treatment to chloramhenicol or doxycycline. Mean duration for defervescence after treatment was $1.4{\pm}0.8$ days. Complications were interstitial pneumonia in 1 case and aseptic meningitis in 3, but all cases of patients were recovered without sequelae or recurrence. Conclusions : Tsutsugamushi fever in children was similiar to adult in the clinical features except male predilection. Early diagnosis and empirical treatment based on clinical manifestations such as fever, skin rash, eschar, lymphadenopathy is important and serologic diagnosis need to perform follow-up test at 2nd or 3rd weeks of illness.

      • KCI등재
      • SCOPUSKCI등재

        2000년도 경남 서부 지역에 유행한 홍역의 임상양상

        권병오,주혜영,김정희,유황재,김천수,Kwon, Byoung O,Ju, Hye Young,Kim, Jeong Hee,Yoo, Hwang Jae,Kim, Chun Soo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2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5 No.3

        목 적 : 1965년 국내에 홍역 예방 접종이 도입된 후 1985년대부터 국가사업으로 무료예방 접종을 실시하면서 홍역 환아의 발생이 급격하게 줄었다. 1990년과 1994년의 전국적인 유행에 따라 예방 접종방법이 조금씩 바뀌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2000년도에는 사상 유래 없는 32,080명이라는 엄청난 환아가 전국적으로 발생하였다. 보건복지부에서 자체 역학조사가 있었지만, 학계에서는 이시기에 유행했던 홍역에 대한 임상연구 및 보고가 미비하여 저자들은 이시기에 경남 서부 지역에 유행한 홍역의 역학을 조사하여 2000년 홍역의 대유행의 역학적 특징을 분석하고, 예방 접종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홍역근절이라는 예방 대책을 세우는데 도움이 되고자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방 법: 2000년 1월부터 12월까지 마산삼성병원을 방문 또는 입원한 환아들 중에 경남 서부 지역에 거주하는 자로서 임상적으로 홍역이 의심되어 홍역 IgM 항체 검사를 실시한 15세 미만의 환아 489명 중에 홍역 IgM 항체가 양성반응으로 확인된 344명만을 대상으로 하여 발병연령 및 월별 발생, 임상증상 및 합병증, 예방 접종력과 홍역 IgG 항체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결 과 : 1) 발병연령 및 월별 발생현황 : 발병연령은 12개월 미만의 환아가 127명(36.9%)으로 가장 많은 빈도를 보였으며, 그 이후에는 11세에 정점을 보였다. 월별 발생현황은 5월에 첫 환아가 발생하여 10월부터 기하급수적인 증가를 보였다. 2) 임상증상 및 합병증 : 모든 환아에서 발열과 기침, 발진을 볼 수 있었으며, 결막염은 54.9%에서 발견되었으며, Koplik 반점은 23.8%에서 관찰되었다. 합병증을 보인 환아는 112명(32.6%)이었으며, 폐렴이 80명(71.4%)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기관지염, 장염, 후두염, 중이염의 순서였다. 3) 예방 접종력 : 예방 접종력을 확인할 수 있었던 261명 중에 1차 예방 접종을 했던 환아는 109명(41.8%)이었고, 연령별 1차 예방 접종률과 환아 발생 수를 비교하였을 때 12개월 이하에서 1차 접종률이 가장 낮았으며, 가장 많은 환아가 발생하였다. 이후 접종률이 증가하면서 환아수가 감소하였다가 접종률이 떨어지는 10세 전후로 해서 환아 발생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P<0.01). 하지만, 2차 접종률과 비교하였을 때는 오히려 2차 접종률이 높은 연령에서 환아수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4) 홍역 IgG 항체 : 홍역 IgM 항체와 IgG 항체를 동시에 검사한 환아는 152명이었으며, 이들 중에 1차 예방 접종을 받은 35명의 환아 중에 IgG 항체가 음성인 환아는 22명(62.9%)이었으며, 2차 예방 접종을 받은 6명중에는 3명(50%)이 IgG 항체가 음성이었다. 결 론: 2000년 홍역의 대유행은 전국적이었으며, 여전히 12개월 미만의 홍역 환아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러므로 현재 유행 시에만 실시하는 생후 6개월의 홍역 단독 예방 접종을 유행지역에서는 기본 접종에 준해서 시행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거나 원천적으로 기본 예방 접종으로 전환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예방 접종 후에 홍역 IgG 항체 형성율이 낮은 것은 예방 접종의 방법보다는 백신자체의 문제나 백신의 운반이나 유통과정에 문제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므로 객관적인 판단을 위해서는 보다 많은 증례를 대상으로 한 체계적인 조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Purpose : To investigate the feature of the range of measles in 2000, we studied epidemics of the measles in western Kyungnam District. Methods : Among 489 patients under 15 years of age who visited or were admitted to in our hospital from January to December in 2000, we selected 344 patients whose measles IgM antibody was positive. We investigated age, monthly incidence, clinical features, vaccination history, and measles IgG antibody. Results : Patients under 12 months of age occupied the largest proportion(36.9%). Patients firstly occurred in May and geometrically increased from October. Fever, cough and rashes were observed in all patients but conjunctivitis in 54.9%, Koplik spot in 23.8%. The first vaccination ratio was 41.8%. Compared with the number of patients and the first vaccination ratio, the first vaccination ratio was the lowest under 12 months of age. After that age group, the number of patients was decreased as the first vaccination ratio was increased. Among 152 patients sampled for measles IgG antibody, 35 patients had received the first vaccination and 6 patients had received the second vaccination. Among 35 patients who received the first vaccination, 22(62.9%) patients were negative of measles IgG antibody. Among 6 patients who received the second vaccination, 3(50%) patients were negative. Conclusions : Measles patients under 12 months still dominated. Therefore, routine vaccination of single measles vaccine, is currently done at 6 month when measles are prevalent, should be considered. High first vaccination failure suggests problems of vaccines itself, transport and storage rather than vaccination methods. Therefore a thorough investigation should be made.

      • KCI등재후보

        보존적 항생제 요법으로 완치된 다발성 거대 신농양 1례

        박재륜,오진원,김병길,유황재,Park Jae-Ryun,Oh Jin-Won,Kim Pyung-Kil,Yoo Hwang-Jae 대한소아신장학회 2006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10 No.1

        신농양은 소아에서는 드문 질환이므로 성인의 치료 지침을 따른다. 성인에서 신농양의 치료 지침은 3 cm 이하의 경우는 항생제 투여만으로 치료하지만 3 cm 이상의 경우에는 경피적 배농술이나, 수술적 배농을 고려해야만 한다. 저자들은 2세된 여아에게 생긴 4 cm 이상의 다발성 신농양을 2주 동안의 항생제 정주 요법과 그 이후의 경구 항생제 투여만으로 완치된 1례를 경험하였기에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Renal abscess in childhood is a rare disease, and generally treatment of renal abscesses in childhood follows the guidelines in adults. The guidelines of treatment of renal abscesses in adults include the following : renal abscesses smaller than 3 cm in size can be managed by antibiotics administration, while renal abscesses above 3 cm in size must be considered for percutaneous abscess drainage or open drainage. We experienced a case of a 2 year-old girl with multiple renal abscesses greater than 4 cm in size which resolved by oral antibiotics administration after 2 weeks of intravenous administration. We report this case with literature review.

      • KCI등재후보

        소아 야간 발작의 임상적 고찰

        이준수(Jun Su Lee),김정(Jung Kim),유황재(Hwang Jae Yoo) 대한소아신경학회 2002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0 No.2

        목 적:야간발작은 임상에서 흔히 마주치는 질환이지만, 소아에서는 그 연구가 드물어 야간발작을 보인 환아들의 임상적 특징 및 치료 및 경과를 조사하여 치료에 대한 도움이 되고자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방 법:2001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마산삼성병원 소아과에 간질로 진단받고 치료 중인 환아 중에 수면시에만 발작을 보인 31례의 환아들의 연령 및 성비, 발작 형태, 뇌파소견, 뇌영상소견, 치료 및 경과에 대해 조사하였다. 결 과: 1) 남녀의 성비는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고, 발생 연령은 3세에서 12세까지였다 2) 발작형태는 부분발작이 30례(96.8%)였으며, 이 중에 2차성 전신화 발작이 21례(67.7%)로 대부분이었다. 3) 뇌파 소견상 부분발작 30례 중에 중심측두부 간질파를 보인 경우가 17례(54.8%)로 가장 많았으며, 후두부가 5례(16.1%), 중심부가 4례(12.9%)였다. 뇌영상검사상 비정상 소견을 보인 경우는 없었다. 4) 원인은 양성롤란딕간질이 24례, 양성후두엽간질이 5례, 야간 전두엽 간질이 1례, 각성시 강직간대성 간질이 1례의 순으로 나타났다. 5) 28례(90.3%)에서 단독요법만으로도 발작이 조절되었으며, 3례는 add-on therapy로서 2가지 약물을 사용한 후에 더 이상의 발작은 없었다. 결 론: 소아에서 야간 발작은 대부분 2차성 전신화 발작 형태를 보이는 부분발작으로서 치료에 대한 반응 및 예후가 양호한 질환이므로 항경련제 치료에 있어 valproic acid보다는 carbamazepine 이나 oxcarbazepine을 단독 요법으로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Nocturnal seizure is a common seizure disorder in childhood. But there are a few study about nocturnal seizure. To be a great of help, We investigated clinical characteristics, response of treatment and prognosis of nocturnal seiuzure in childhood. Methods: From January to December 2001, We selected patients who had nocturnal seizure in epilepsy patients. Total 31 patients was selected and we investigated age distribution, sex ratio, type of seizure, EEG finding, brain imaging study, treatment and prognosis. Results: Man and woman's ratio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nd age distribution was mostly from 3 years old to 12 years old. Partial seizure was showed in 30 patients (96.8%). Among that patients secondary generalization of partial seizure was showed in 21 patients(67.7%). In EEG, epileptiform discharges in centrotemporal region were showed in 17 patients(54.8%), occipital region in 5 patients(16.1%), central region in 4 patients (12.9%). Brain imaging studies were normal in all patients. The most common cause of nocturnal seizure was benign childhood epilepsy with centrotemporal spikes(24 patients, 77.4%). Benign childhood epilepsy with occipital paroxysms were showed 5 patients(16.1 %). Nocturnal frontal lobe epilepsy was showed 1 patient(3.2%). 28 patients(90.3%) were treated with monotherapy. They has been no seizure during 6 months after treatment. 3 patients(9.7%) were treated with two AED therapy. They has been also no seizure during 6 months after add-on therapy. Conclusion: Nocturnal seizure in childhood was mostly occurred from 3 years old to 12 years old. Mostly they were partial seizure with secondary generalization and good response on AED medication and good prognosis. Therefore carbamazepine or oxcarbazepine monotherpy is more effective than valproic acid.

      • KCI등재후보

        위장관염을 동반한 양성경련 환아의 임상 양상에 관한 연구

        이은정(Eun Jeong Lee),방성준(Sung Joon Pang),유황재(Hwang Jae Yoo) 대한소아신경학회 2011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9 No.1

        목적 : 위장관염을 동반한 양성경련 환아(Benign convulsion with acute gastroenteritis, 이하 CwG)에서 복합성(Complexness)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2006년 6월부터 2008년 5월까지 관동의대 명지병원에 위정관염을 동반한 무열성 경련을 보인 환아를 대상으로 15분이내 한번의 발작을 보인 단순발작군(A군)과 15분이상 혹은 두번 이상의 발작을 보인 복합발작군(B군) 사이의 임상적 특징을 비교하여 통계학적 유의성을 알아보았다. 결과 : 총 43명의 환아가 위장관염을 동반한 무열성 경련을 보였으며, CwG로 진단된 환아는 18명이었다. 중앙연령이 B군이 26.3개월로서 18.7개월인 A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P<0.05), 남녀 비는 A군이 여아에서 3.5배 유의하게 더 높게 발생하였다(P<0.05). 발작의 유형은 두 군 모두 전신성 강직발작이 흔하였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으며 검사실소견에서 두 군간의 통계학적차이는 없었다. 뇌 영상의학검사와 뇌파검사 모두 B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비정상적인 소견이 높게 발생하였다(P<0.05). 그러나 뇌 영상의학검사상 이상소견은 모두 구조적 이상소견 이었고, 뇌파검사에서 이상소견은 추적검시에서는 정상을 보였다. 결론 : CwG 환아에서 복합발작을 보이는 경우는 3세 이상에서 남녀의 차이 없이 흔히 발생하며, 중추신정계의 기저 질환을 가진 경우에 흔히 발생할 것으로 사료 됩니다. 또한 임상적으로 복합 발작으로 보이더라도 CwG인 경우에는 예후가 영호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Purpose : We investigated the complexities of benign convulsions associated with gastroenteritis in children. Methods : We selected children diagnosed as afebrile convulsion with acute gastroenteritis from June 2006 to May 2008 who had been admitted to the Kwandong Medical College Myongji Hospital. We investigated clinical features, EEGs, and brain imaging results for patients exhibiting complex-type seizures (Group B) and compared the data with that from patients with simple seizures (Group A).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subsequently examined. Results : A total of 43 patients showed afebrile benign convulsions with acute gastroenteritis, and 18 patients were diagnosed as CwG (benign convulsions with acute gastroenteritis). The median age of Group B was 26.3 month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Group A (P<0.05). The gender ratio was 3.5 times more in higher female of Group A compared to Group B (P<0.05). The most common type of seizure in both groups was generalized tonic convulsions, and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laboratory results between the two groups. Further, Group B showed more frequent abnormal findings than Group B with respect to EEG and brain imaging studies (P<0.05). All of the abnormal findings in brain imaging studies were structural abnormalities unrelated with CwG, and patients with abnormal EEGs showed no recurrent seizure attacks and exhibited normal follow-up EEGs after discharge. Conclusion: CwG with complex-type seizure frequently occurred in children older than three years of age regardless of gender, and also in patients with underlying CNS diseases. Regardless of recurrent seizures or seizures lasting more than 15 minutes, patients diagnosed as CwG would receive a favorable prognosis.

      • KCI등재후보

        만성 두통 환아의 진단적 접근에 있어 어지럼증의 임상적 의의에 대한 연구

        오진원(Jin Won Oh),이효상(Hyo Sang Lee),유황재(Hwang Jae Yoo) 대한소아신경학회 2008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6 No.2

        목 적 : 소아에서 두통은 흔히 접하는 신경학적 증상으로 만성 두통을 보인 소아에서는 다른 질환과의 감별이 필요하다. 이에 저자들은 만성 두통을 가진 소아에서 진단적 접근 시 어지럼증을 동반하는 경우 어떤 질환을 염두에 두어 어떤 방향으로 검사를 진행해야 하며, 어떤 임상적 의의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두통을 주소로 원인규명을 위해 입원을 하였거나 외래를 방문하여 검사를 받았던 환아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2004년 1월부터 2006년 7월까지의 환아들을 선별하였으며, 이들 중에 혈액검사, 소변검사, 뇌영상검사, 뇌파검사 등을 통해 원인질환을 조사할 수 있었던 총 86명이 선택되었다. 이들을 어지럼증을 동반한 군(Group A)과 어지럼증을 동반하지 않은 군(Group B)으로 나누어 연령, 성별, 두통의 임상양상, 두통의 원인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결 과 : 86명의 대상 환자 중 어지럼증을 동반한 경우(Group A)가 38명, 어지럼증을 동반하지 않은 경우(Group B)가 48명이었다. 남녀 비는 Group A는 1:1.7, Group B는 1:0.85로 Group A가 여아에서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연령은 Group A는 10세 이상인 경우가 73.7%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Group B는 7세 이하인 경우가 56.3%로 많은 부분을 차지하여 통계학적 유의성을 보였다. 두통의 발생시기에 있어서는 Group A는 주로 오전에 발생하였고, Group B는 주로 오후에 발생하였으며, 두통의 지속기간은 90분이상인 경우가 Group A의 50.0%에 비해 Group B는 87.5%로서 통계학적 유의성을 보였다. 두통의 발생빈도는 Group A는 대부분(92.1%)에서 주 4회 이상의 빈도를 보였으나 Group B는 주 4회 이상인 경우는 58.3%로서 Group A가 유의 있게 높은 빈도를 보였다. 동반증상으로는 Group A는 오심(47.3%), 구토(25.4%), 시력장애(12.7%) 등이었고, Group B는 시력장애(45.5%), 수명(14.8%), 구토(13.6%) 등의 순이었다. 두통의 원인으로는 Group A는 편두통(31.6%), 기립성 저혈압(15.8%), 체위성 기립성 빈맥 증후군(13.2%), 양성 발작성 두위 현훈증(10.5%) 등이었으며, Group B는 부비동염(50.0%), 편두통(31.3%), 합병성 편두통(8.3%) 등이었다. 결 론 : 만성 두통을 가진 소아에서 어지럼증을 동반한 두통을 가진 여아이면서 두통의 양상이 아침과 야간에 발생하는 특징을 보일 경우 전정기관의 이상과 체위불내성에 대한 검사를 먼저 시행하여 철저한 검사가 이루어져야 하며, 특정 질환이 의심된다 하더라도 편두통의 가능성을 두고 진단적 접근을 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Headache is a common neurologic symptom in children but chronic headache in them must be diagnosed in different way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algorithm of diagnostic approach for children with chronic headache and know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dizziness in evaluating those children. Methods : We recruited children with headache at Myongji Hospital from January 2004 to July 2006. The study was based on a retrospective review of their medical records and interviews with the children and their parents. We divided them into two groups : Group A headache with dizziness, Group B headache without dizziness. Results : The medical records of 86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headache were reviewed. Age for group A ranged from 10 to 15 years(73.7%) and gender ratio was 1:1.7. Age for group B ranged mostly under 7 years(56.3%) and gender ratio was 1:0.85. Headache in group A frequently occurred predominantly in the morning(37.3%). The duration of the attack was over 90 min(87.5%) in group A and over 90 min(50.0%) in group B. Associated symptoms were mainly nausea(34.2%), vomiting(18.4%), blurred vision(12.7%) in group A. Over 90% of them had headache 4 times a week and so did dizziness. The final diagnoses in cases of group A were migraine(31.6%), orthostatic hypotension(15.8%), postural orthostatic tachycardia syndrome(13.2%), and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10.5%). While in group B diagnoses included sinusitis(50.0%), migraine(31.3%), and complications of migraine(8.3%). Conclusion : This study revealed high percentage of headache concurred with dizziness in children. The association of headache with dizziness is complex and maybe coincidental. If chronic headache with dizziness in girls occurs mainly in the morning, it maybe related to vestibular disorder and orthostatic instability. In conclusion, dizziness and other associated symptoms or clinical features should carefully be assessed in the diagnosis of headach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