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류 및 젓갈 분리 균주 추출물의 비만세포 매개 항염증효과

        Yu-Jin Ko(고유진),Hui-Hun Kim(김희훈),Eun-Jung Kim(은정),Jin-Yong Kim(진용),Sang-Dong Kang(강상동),Yong-Hwi Son(손용휘),Sin-Yang Choi(최신양),Seong-Kwan Cha(차성관),Jong-Won Kim(종원),Jeong-Ok Lee(이정옥),Chung-Ho Ryu(류충호) 한국생명과학회 2011 생명과학회지 Vol.21 No.3

        본 연구에서 장류 및 젓갈 유래 균체를 각각 sonication, 100℃에서 30 min, 125℃에서 15 min의 조건으로 추출하여 HMC-1에 처리하였을 때, 이 추출방법에 따른 HMC-1매개 염증반응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추출방법을 달리하여 추출한 장류 및 젓갈 유래 균체 J80, G147이 HMC-1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은 대조구 B (Not treated)와 비교하였을 때 86~96%로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아 장류 및 젓갈 유래 균체에 의한 세포 독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장류 및 젓갈 유래 균체의 모든 전처리구에서 histamine 유리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100℃에서 30min 동안 가열하였을 때 histamine 억제율이 J80에서 28.86%, G147에서 41.14%으로 가장 높게 나타냈다. IL-8분비량은 J80, G147의 모든 전처리구에서 IL-8 분비억제효과가 나타났으며, J80의 경우 100℃, 30 min에서 처리한구에서 분비량이 0.78 ng/㎖로 대조구 B (Not treated)에 비하여 약 28.45%의 분비억제효과로 가장 높게 나타내었다. G147의 경우 125℃, 15 min에서 처리한 구에서 분비량이 0.73 ng/㎖로 약 36.52%의 분비억제효과로 가장 높게 나타내었다. IL-6 분비량을 측정한 결과 J80, G147의 모든 실험구에서 IL-6 분비억제효과가 나타났으며, J80에서는 100℃, 30 min한 D구의 분비량이 0.40 ng/㎖으로 대조구 B (Not treated)에 비하여 약 38.46%의 분비억제효과로 가장 높았으며, G147 역시 100℃, 30 min 동안 처리한 D구의 분비량이 0.27 ng/㎖으로 대조구 B (Not treated)에 비하여 56.45%의 분비억제효과로 가장 높게 나타냈다. TNF-α 분비량 역시 IL-6와 마찬가지로 J80, G147에서 대조구 B보다 낮은 분비량으로 TNF-α 분비 억제효과가 나타났으며 J80의 경우 100℃, 30 min 처리한 D의 TNF-α 분비량이 0.052 ng/㎖으로 66.67%의 분비억제효과로 가장 높았으며, G147의 경우 sonication을 처리한 C구의 TNF-α 분비량이 0.086 ng/㎖으로 41.1%의 분비억제효과로 다른 구에 비해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위의 결과를 통해서 장류 및 젓갈 유래 균체의 3가지 전처리 방법 중 100℃, 30 min 처리 시 염증 반응 억제 효과가 가장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결과를 미루어보아 장류를 섭취하는 대표적인 방법인 가열하여 찌개로 조리과정 중장류 및 젓갈 속의 균체가 열에 가열되면서 염증억제효과 높일 수 있는 가장 좋은 조리 방법으로 사료되며, 이는 대중들이 가장 가깝게 염증반응 억제효과를 볼 수 있는 식품일 것이다. 또한 염장처리과정만을 거친 젓갈을 섭취하는 것보다 열처리과정을 거친 젓갈을 섭취할 경우 염증억제효과를 더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The mast cell is one of the major effector cells in inflammatory reactions and can be found in most tissues throughout the body. Activated mast cells can produce histamine, as well as a wide variety of other inflammatory mediators such as eicosanoids, proteoglycans, proteases, and several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tumor necrosis factor (TNF)-α, and interleukins (IL-6), IL-8, IL-4, IL-13. In the present study, we isolated two bacterial strains (J80 and G147) from fermented soybean and Jeotgal,and investigated the inhibitory effects of their extracts which were prepared by several pretreatment methods (sonication for 20 min, heating at 100℃ for 30 min, autoclaving at 121℃ for 15 min) on the mast cell-mediated inflammatory response. The pretreated bacterial extracts had no cytotoxicity against Human Mast Cell (HMC-1). Among various pretreatments, the extracts treated at 100℃ showed highest inhibition of histamine release (J80, 28.46%; G147, 41.14%). The J80 and G147 extracts treated at 100℃ resulted in the inhibition of IL-6 secretion by 38.46% and 56.45%, respectively. The J80 extract treated at 100℃ resulted in the inhibition of TNF-α secretion by 66.67%, but G147 extract showed the highest inhibition effect by 41.1% when treated with sonic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bacterial extracts treated at 100℃ have a higher level of anti-inflammatory effects than other treatments such as sonication or autoclaving.

      • KCI등재

        보중익기탕 (補中益氣湯)의 한국, 중국, 일본 처방에 대한 항염증 및 항산화 효과 비교 연구

        최혜민 ( Hye Min Choi ),김희훈 ( Hui Hun Kim ),이화동 ( Hwa Dong Lee ) 대한본초학회 2014 大韓本草學會誌 Vol.29 No.1

        Objectives : Bojungikgitang (BJT), the Oriental medical prescription has been traditionally used about improvement of immune response and infective disease at Asian nation. In this study, we has compared about the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effects on BJT of three countries including Korea (Korean Traditional Medicine, KTM), China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CTM) and Japan (Japanese Traditional Medicine, JTM). Methods : We has basically using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The expression of these inflammatory mediators has measured using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and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lso, free radical scavenging assay has tested for anti-oxidative activity as well as the contents of total flavonoid and polyphenol. Results : As a result, we were founded the inhibitory effects of BJT (KTM, CTM, JTM) on LPS-induced production of NO, TNF-α and IL-6 as well as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Especially the KTM was most effective in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Conclusions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JT (KTM, CTM, JTM) has a good anti- 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effects. But, there were degree of effects on between pharmacopoeia of the countries. Thus, further study is required that find appropriate methods for extracting as well as establish of standardized processe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BJT (KTM, CTM, JTM) as an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agent for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 KCI등재

        고품질 산머루 와인 제조를 위한 Tannin 강화 조건 확립

        박미화(Mi-Hwa Park),이정옥(Jeong-Ok Lee),은정(Eun-Jung Kim),종원(Jong-Won Kim),이효형(Hyo-Hyung Lee),김희훈(Hui-Hun Kim),이상인(Sang-In Lee),영훈(Young-Hun Kim),류충호(Chung-Ho Ryu)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7 No.7

        국내산 산머루 와인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와인의 맛을 결정하는 중요한 기능성 인자인 tannin 성분을 강화시키기 위한 조건을 확립하고 tannin이 강화된 산머루 와인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산머루 와인용 tannin을 강화하기 위한 최적 tannin 추출 조건은 녹차를 40℃에서 주정으로 추출하는 것이 가장 높은 추출율을 나타내었다. 고품질 tannin 강화 산머루 와인 제조를 위한 tannin 첨가 최적 농도는 6.5 ㎎/mL이며 산머루 와인 발효 전에 첨가하는 것이 효율적으로 생각되어 산머루 와인 제조 시 발효 전 최종 tannin 농도를 6.5 ㎎/mL로 조절하여 발효하였다. 최적 발효 조건으로 제조된 tannin 강화 산머루 와인의 pH, 산도, 알코올 함량, 총당, polyphenol, tannin 및 resveratrol 함량을 측정하고 수입 와인 3종과 품질 특성을 비교한 결과, tannin 강화 산머루 와인은 pH 3.69±0.01, 산도 0.96±0.01%, 알코올 함량 12.20±0.01%, 총당 60.00±1.15 ㎎/mL, polyphenol 함량 79.50±0.55 ㎎/mL, tannin 함량 7.40±0.05 ㎎/mL 및 resveratrol 함량 5.00±0.11 ㎎/mL로 기능성 물질 함량이 매우 높아 품질이 우수하고 단맛, 떫은맛과 산머루 자체의 강한 신맛이 균형을 이룬 산머루 와인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에서 검색된 조건으로 tannin을 추출하여 산머루 와인의 tannin을 강화함으로써 기존의 산머루 와인에 비해 단맛과 떫은맛이 강화되었으며, 머루 자체의 강한 신맛과 잘 어우러져 고급 와인의 평가 기준이 되는 단맛, 떫은맛, 신맛이 적절하게 균형을 이룬 고품질의 산머루 와인을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Wild grapes contain lots of organic acids, vitamins and inorganic salts compared to other fruits. Also, it has known to have excellent effects on preventing cancer and heart disease. Wild grapes are supposed to be superior material for fermentation of wine. Tannin contents of wine, which is an important functional factor in flavor of wine, were enhanced to develop quality of Korean wild grape win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annin extraction conditions and analyzed quality properties of tannin-enhanced wild grape wine. The most suitable tannin extraction condition for enhancing tannin of wild grape wine was extraction of tannin from green tea using spirits at 4oC. For producing high quality wild grape wine, added concentration and time of tannin extract were 6.5 ㎎/mL before wild grape wine fermentation. Tannin contents of tannin-enhanced wild grape wine was 7.4±0.05 ㎎/mL. Quality properties of tannin-enhanced wild grape wine fermented under optimized fermentation conditions were analyzed. pH, acidity and alcohol contents were 3.69±0.01, 0.95±0.01% and 12.2±0.03%, respectively. Total sugar, tannin, polyphenol and resveratrol contents of tannin-enhanced wild grape wine were 60.00±1.15 ㎎/mL, 79.50±0.55 ㎎/mL, 7.40±0.05 mg/mL and 5.00±0.11 ㎎/mL, respectively showing significantly higher value than that of commercial wine. Production of high quality wild grape wine is expected with the establishment of optimum fermentation condition and tannin-enhancing process of wild grape wi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