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네트워크 모형화에 의한 최적 항로 결정

        이희용,김시화,Lee, Hee-Yong,Kim, Si-Hwa 한국항해항만학회 2001 한국항해학회지 Vol.25 No.3

        Optimum Ship Routing can be defined as \"The selection of an optimum track for a transoceanic crossing by the application of long-range predictions of wind, waves and currents to the knowledge of how the routed vessel reacts to these variables\". This paper treats the methodology how to solve optimum ship routing problem by network modeling and reveals the validity of the network model by some numerical experiments.periments.

      • KCI등재

        국내 대학의 인문예술 융합교육 실태연구

        이희용(Lee Hee-yong),윤아영(Yoon Ah-young),김재득(Kim Jae-deunk)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4 인문사회과학연구 Vol.44 No.-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대학 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인문융합교육의 현황과 실태를 파악하는 것이다. 우선 인문예술 융합교육과 관련된 기존의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여 인문예술 융합교육의 현황과 실태에 대한 전반적인 논의가 아직은 체계적으로 다루어지고 있지 않은 점을 확인하였다. 이런 확인과 함께 본 연구에서는 국내대학에서 시행되고 있는 인문예술융합교육의 현황과 실태를 전반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홈페이지 등을 통해 공시된 자료를 전체 대학을 대상으로 수집하였을 뿐만 아니라, 인문학 및 예술 분야 융합교육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하는 그룹심층인터뷰 조사를 선행적으로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문헌연구를 통해 접근할 수 없었던 융합교육의 현장에 대한 다양한 차원의 실제적인 지식과 정보를 얻을 수 있었고, 다른 하나는, 그 결과를 기반으로 설문조사를 작성하여 국내 대학에서 실행되고 있는 인문예술 융합교육의 교육여건과 교육환경의 세부실태를 파악할 수 있었다. 그것으로부터 본 연구는 국내 대학에서의 인문예술 분야에서의 융합교육은 많은 우려와 반대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다양한 형태로 시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대학 내에서 인문예술 융합교육의 적절한 자리매김과 활성화 방안을 위한 지속적인 논의들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an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and present state of humanities and arts convergence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Different from previous research that only dealt with narrow topics, theoretical reviews, presentation of models, or curriculum designs, this research widely scrutinizes overall educational practices in Korean universities. At the outset previous research related to humanities and arts convergent education and forward education of creative thinking is reviewed. It is confirmed that theoretically refined outcomes of the meaning and need of convergent education in the fields of humanities and arts are still insufficient, and that existing empirical research is limited to the mere introduction of institutional and curricula models of convergent education. Therefore this research began with a focus group interview (FGI) with specialists in interdisciplinary and convergent education in the humanities and arts, and applied its results to the consultation of the survey on the views of the teachers and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the convergent education program in the university. The results of the survey indicate that humanities and arts convergent education has been practiced in various types and curriculums. However, they also indicate that there are several things that should be improved upon for the educational quality in this area, including teachers' professionalism, content development,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for teachers and students engaged in convergent education. This research has been designed to provide reliable information on the current situation of convergent education, and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further discussion about its direction and future policies.

      • KCI등재

        논문 : 아우구스티누스의 내적 말에 대한 해석학적 이해

        이희용 ( Hee Yong Lee ) 한국중세철학회 2007 중세철학 Vol.0 No.13

        이 글은 『삼위일체』(De trinitate)에서 나타난 아우구스티누스의 내적 말론(eine innere Verbumslehre)을 철학적 해석학의 관점에서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우리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아우구스티누스의 내적 말론에 대한 해석학적 접근은 특별한 주의를 요구한다. 가다머적 의미에서 해석학적 접근은 언어를 사태 이해의 보편적 매개체로 제시하고자 하는 분명한 의도를 함축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내적 말론도 기존의 언어이해와는 다른 접근을 시도하고 있기 때문이다. 가다머는 내적인 말에 대한 아우구스티누스의 숙고로부터 해석학적 경험의 보편적 이해를 근거 지을 수 있는 결정점을 찾아내고자 한다. 가다머는 자신의 철학적 해석학에서 텍스트의 사태 경험(die Sacherfahrung des Textes, the experience of subject matter in text) 즉 해석학적 경험의 문제를 진지하게 해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그는 특히 내적인 말과 ‘사태 자체’(Sache selbst, subject matter itself)의 관계에 관심을 기울이는데, 이 둘의 관계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삼위일체』에서 하나님 말씀과 하나님 자신의 관계와 마찬가지로 유비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가다머는 아우구스티누스의 내적 말론으로부터 말과 사태의 ‘용해되지 않음’ (Unaufl?sbarkeit)과 말함과 사유함의 사태 관련성에 대한 근본 통찰을 이끌어냄으로써 자신의 철학적 해석학의 전개에 있어서 가장 어려운 차단목이었던 희랍의 도구주의적 언어관을 넘어서서 언어적으로 매개된 해석학적 경험의 보편적 이해를 명시하고자 하였다. 서구적 전통을 지배해 온 희랍적 언어관은 언어의 탐구를 오로지 진술에만 한정시킴으로써 언어현상 전체를 등한시하였다. 여기에서는 말이 사태 자체와 분리되고, 따라서 “언어의 존재는 단지 순수한 기호존재로 평준화되는” 운명에 처할 수밖에 없었다. 그와 달리 플라톤 이래로 풀리지 않은 진리와 인식의 문제는 아우구스티누스에게 있어서 언어의 문제와 근본적으로 연관됨으로서 해결가능성이 나타나고 있다. 그의 언어적 숙고로부터 나타나는 이런 통찰을 보르쉐(T. Borsche)는 해석학적인 것으로 여긴다. “어쨌든 인식론은 이제부터 해석학으로 이해될 수 있다. 참다운 인식은 주어지고 인정된 기호의 바른 해석으로 구성된다.” 위의 문제 연관성에서 이 글은 아우구스티누스의 내적 말론이 함축하고 있는 말의 사태성과 말함과 사유의 사태 연관성을 해석학적 관점에서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것을 위해 먼저 말에 대한 아우구스티누스의 견해의 변화를 살펴보았고, 그 다음으로 내적인 말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그 말이 어디에서 형성되는지, 그 말의 진리성이 어떻게 보장될 수 있는지를 규명하였다. 그리고 내적인 말론에서 드러나고 있는 사태, 내적인 말함 그리고 사유함의 상호 공속성을 플라톤의 언어 이해와의 비교가운데 좀 더 명시하면서, 그 통찰이 철학적 해석학의 논의를 위해 지닌 중대한 의미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aim of this essay is to examine from a hermeneutical standpoint the central content and meaning of Augustine`s theory of the inner word, in particular the relationship of speech and thought with subject matter, which Augustine deals with in ?trinitate?. The theory of the inner word is distinguished not only from the ancient view of language but also from the modern, that is the nominalistic and conventional foundation. But in another sense the theory of the inner word is discussed anew in the contemporary fields of communication and hermeneutics, which both are related inevitably with language. This theory gives important principles and insight to those fields. In this sense, the investigation of Augustine`s theory of the inner word is necessary for the examination of Gadamer`s program of hermeneutical experience, which tries to develop on the basis of a new view of language. This new view of language is found in Augustine`s theory of the inner word, which presents the relationship of speech and thought with subject matter. To elucidate this relationship of speech and thought with subject matter, this essay first surveys the change of Augustine`s view of the word, which is suggested in his works. Then it investigates the meaning of the inner word, its source, and the guarantee of its truthfulness. Finally it inquires about the correlation between subject matter, the inner word, and thinking in comparison with Plato`s view of language in detail. Augustine`s theory of the inner word gives important insights to contemporary discussions, that tries to overcome the tendency to separate the word from the subject matter and to regard it only as an instrument of thinking. Further, it contributes a decisive foundation to Gadamer`s philosophical hermeneutics, that tries to found hermeneutical experience on the relatedness of speech and thought with subject matter.

      • 특집 : 존재와 해석 ; 가다머의 해석학적 존재론의 근거로서 언어이해

        이희용 ( Hee Yong Lee ) 한국해석학회 2012 해석학연구 Vol.29 No.-

        Die vorliegende Arbeit zielt darauf ab, die Sprache als Verstehenshorizont der hermeneutischen Ontologie Gadamers zu erschließen. Gadamer hielt ``Seinsvergessen heit``, welche die abendlandische Metaphysik hatte ubersehen, fur die Sprachvergess enheit, und versuchte, Seinsverstehen aus die Sprachvergessenheit hermeneutisch zu erlosen. Die grundsatzliche Aufgabe seiner hermeneutischer Ontologie ist das Sein verborgene in der Sprache angemessen zu freilegen. Um die grundsatzliche Aufgabe seiner hermeneutischer Ontologie angemessen zu erschließen, sah die vorliegende Arbeit zuerst die Horizont der Sprache durch, an der die Sein sich zeigt und die Versandnis der Sein ausgefuhrt wird. In Anschluß daran untersuchten wir, unter welcher Gesichtspunkt und aus welchem Grund Gadamer die Sprche als das universale Medium der hermeneutischen Erfahrung bestimmt, und die Zugehorigkeit von Sprache und Sache und die Einheit von Sagen und Denken erschlißt. Die Zugehorigkeit und die Einheit macht den wahre Grund der hermeneutischen Ontologie aus. An diesem Fall ist es die wichtige Problem, die unvermeidliche Auseinandersetzung zwischen instrumentalischer Sprachtheorie und Gadamers Sprachauffassung angemessen zu erfassen. Wir untersuchte, in welchem Sinn die instrumentalische Ssprachtheorie in der Platonischen Sprachsuffassung Abfahrtspunkt der Sprachvergessenheit war und sich als solideste Schranke gegen Gadamers hermeneutiwche Versuch erweist, die hermeneutische Ontologie an der Horizont der Sprache zu erschließen. Am schluß untersuchten wir Gadamers kernarbeit, an der mittelalterlichen Wortleh ren die Schranke zu uberwinden und des weiteren aus der mittelalterlichen Wort- lehren die hermeneutischen Erfahrung und Ontologie zu begrunden. Durch die Betrachtung der vorliegenden Arbeit wird bestatigt, daß aus der spekulativen Rahmen der Sprache die Wirklichkeit und die Wahrheit an Gadamers hermeneutische m Horizont fur uns verstanden werden konnen.

      • KCI등재

        대학 교양과목을 통한 미디어에 대한 수강생들의 인식 : <미디어 리터러시와 창의적 소통> 사례를 중심으로

        이희용(Lee, Hee Yong)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6

        본 연구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방향성을 규정한 후, 이를 근거로 대학 교양과목을 통한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수강생들의 인식을 <미디어 리터러시와 창의적 소통>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론적 고찰과 함께 현대 대학 교양교육 차원에서 시행되고 있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본 연구는 다양한 이론 연구를 토대로 실제적으로 가르쳐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과정을 분석하여 체계적으로 제시하였다. 둘째로, 사전설문조사를 통해 강의 초 수강생들이 갖고 있는 미디어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였다. 수강생 대부분은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에 대해 잘 알지 못했고, 미디어에 대해서도 이해도가 낮았으며, 지금 사회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디지털 미디어의 문제와 해결방 안에 대해 적절한 대처 능력을 갖지 못하였으며,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미디어를 활용하는 교육으로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사전설문조사에 참여한 수강생 중 30명을 대상으로 내러티브적 방식의 인터뷰를 통해서 미디어에 대한 수강자들의 태도와 인식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본 강의의 15주 교육과정을 마친 후에 수강자 대부분은 미디어가 영향을 강하게 미치고 수강자들의 의식과 삶을 긍정적으로 또는 부정적 으로 규정할 수 있다는 시각과 함께 미디어 메시지의 정확성, 공정성 또는 유해성을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는 새로운 인식과 더불어 미디어에 대한 이해력, 분석력, 비판력이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15주간 학습과정을 통해 나타난 학습효과들을 구체적 제시하였으며, 본 강좌를 수강생들이 미디어에 대한 핵심 역량(접근역량, 비판적 이해역량, 사회문화적 참여역량)을 실제적으로 키울 수 있는 효과적인 교양교과 모델로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students’ perception of media literacy through university liberal arts, focusing on cases involving ‘media literacy & creative communication’, which is defining the direction of media literacy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is study, researchers examined the case of media literacy education already being implemented in university general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may be noted: First, this study presented the media literacy curriculum systematically, and an analysis was made based on various theoretical studies. Secondly, the student’s perception of media literacy in the beginning of the lecture was checked through a Preliminary survey. Most students were not fully aware of the concept of media literacy, had low understanding of media, and were lacking in their ability to cope with problems of digital media, such as “fake news” and the practice of the “deep fake.” Thirdly, through the focus group interview(FGI) we learned that students’ attitude and perceptions were changed to an enhanced extent after 15 weeks of being enrolled in the curriculum. Most students’ understanding, analytical skills, and critical ability of media seem to have grown significantly. Finally,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found among students from their studies after being enrolled in the curriculum for 15 weeks, and presented plans to activate ‘media literacy and creative communication’ among the students as a effective curriculum model of liberal arts. Through this it is hoped that students can develop core competencies of media, such as an ability to properly approach media, and to improve their critical understanding capabilities, as well as their socio-cultural participation capabilitie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ARPA 레이더 개발을 위한 물표 획득 및 추적 기술 연구

        이희용(Hee Yong Lee),신일식(Il Sik Shin),이광일(Kwang Il Lee) 한국항해항만학회 2015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9 No.4

        ARPA(Automatic Radar Plotting Aid)는 자동레이더 플로팅 장치로써, 레이더 물표의 상대침로와 상대방위로 구성된 운동벡터에 본선의 침로와 방위로 구성되는 운동벡터를 가감 연산(벡터연산)하여, 물표의 진침로와 진방위 및 최근접점과 근접시간을 계산하는 장치를 말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ARPA 레이더를 구현하기 위한 물표의 획득 및 추적 기술을 개발하는 것으로, 이에 관한 여러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적용 가능한 알고리듬 및 기법을 조합하여 기초적인 ARPA 기능을 개발하였다. 주요 연구내용으로, 레이더 영상에서 물표를 획득하기 위하여, 회색조 변환, 가운시안 평활 필터 적용, 이진화 및 라벨링(Labeling)과 같은 순차적 영상 처리 방법을 고안하였고, 이전 영상에서의 물표가 다음 영상에서의 어느 물표인지를 결정하는데 근접이웃탐색알고리듬을 사용하였으며, 물표의 진침로와 진방위를 계산하는 거동해석에 칼만필터를 사용하였다. 또한 이러한 기법을 전산 구현하여 실선실험을 수행하였고, 이를 통해 개발된 ARPA의 기능이 실용상 사용가능함을 검증하였다. ARPA(Automatic Radar Plotting Aid) is a device to calculate CPA(closest point of approach)/TCPA(time of CPA), true course and speed of targets by vector operation of relative courses and spee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arget acquisition and tracking technology for ARPA Radar implementation. After examining the previous studies, applicable algorithms and technologies were developed to be combined and basic ARPA functions were developed as a result. As for main research contents, the sequential image processing technology such as combination of grayscale conversion, gaussian smoothing, binary image conversion and labeling was deviced to achieve a proper target acquisition, and the NNS(Nearest Neighbor Search) algorithm was appllied to identify which target came from the previous image and finally Kalman Filter was used to calculate true course and speed of targets as an analysis of target behavior. Also all technologies stated above were implemented as a SW program and installed onboard, and verified the basic ARPA functions to be operable in practical use through onboard test.

      • KCI등재

        민관협력 노인구강건강증진사업 수혜자 평가

        이희용 ( Hee Yong Yi ),유기준 ( Ki Jun Yu ),이수진 ( Soo Jin Lee ),정민지 ( Min Ji Jeong ),정수빈 ( Su Bin Jeong ),문애란 ( Ae Ran Moon ),목보람 ( Bo Ram Mok ),송연희 ( Yeon Hee Song ) 대한구강보건학회 2014 大韓口腔保健學會誌 Vol.38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 seniors`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establishing a cooperation model between public and private sectors. Method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argeting the seniors frequenting a community center in the Sosagudistrict of Bucheon-si in the Gyeonggi-do province of South Korea. Data were obtained from self ad ministered questionnaires or personal interviews with elders after they participated in the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Their perceived satisfaction with their oral health before and after the oral health program was compared.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s, ANOVA, paired t-tests, and logistic regressionusing SPSS to assess the effects of explanatory factors on the seniors` satisfaction of the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Results: In total, 22.7% of participants had a positive idea about the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before their participation. The mean score of change in and difference of satisfaction with oral health tended to increase in each of the following groups: women, aged 80-84 years, number of permanent teeth, full denture wearers, and those who did not require dentures. Satisfaction notably increased 0.4points in the group of full denture wearers (P<0.05). Moreover, after 1 month,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e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increased 5.2 times (95% CI, 1.04-25.49) compared to dissatisfaction levels. Ultimately, satisfaction with oral health shows a major impact on the satisfaction with an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Conclusions: The subjects who received the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responded very positively, but this program needs overall consideration about work processes and further reliable evaluations.

      • KCI등재

        경북지역 중소기업 수출지원정책 및 제도 활용 실태분석

        이희용 ( Hee Yong Lee ),여택동 ( Taek Dong Yeo ) 한국통상정보학회 2009 통상정보연구 Vol.11 No.1

        This paper intends to analyse the export assistance programs for SMEs(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located in Gyeongsangbuk-do Province as well as to suggest export promotion policy for the local government. In order to accomplish these objectives, the present paper makes an extensive survey about export-support programs conducted by Gyeongsangbuk-do Province. The survey was rigorously made to evaluate export-support programs taken by the provincial government of Gyeongsangbuk-do and the regional firms` awareness about them. The paper utilized SPSS for empirical analysis. The frequency analysis was used to know the precision of data and its general features. The Crosstabulation Analysis was also used to evaluate firms` recognition about export-support programs and their practical use,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enterprises. The results show that the local government must effectively systematize export support programs and develop export-support programs customized for the characteristics of enterprises in Gyeongsangbuk-d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