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SCOPUS
      • KCI등재후보

        발달지연 환자의 종적 추적 관찰

        정희정(Hee Jung Chung),김정아(Jeong A Kim),엄소용(So yong Eom),김성우(Seong Woo Kim),송정은(Jung Eun Song) 대한소아신경학회 2016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4 No.4

        목적: 발달지연은 학동기를 포함한 전체 소아의 5-10%에서 나타나는 비교적 흔한 질환으로 소아의 중요한 건강문제 중의 하나이다. 이들을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한 조기 개입을 함으로써 장래에 초래될 수 있는 장애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회적 부담과 비용도 줄일 수 있어 조기 발견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발달지연 클리닉에 내원한 환자 중 2번이상 추적 관찰된 환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종적인 진단의 변화를 살펴보고, 최종진단이 ASD, ID, DLD의 경우, 이 세 질환을 초진 시 미리 판별할 수 있는 예측 인자를 찾아봄으로써 적절한 조기개입을 하는데 도움을 받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2007년 8월-2013년 7월까지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발달지연 클리닉에 내원한 환자(총 733명) 중 2번 이상 방문한 환자 16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는 진료 시 다학제적 접근방식에 따라 소아신경과, 소아재활의학과, 소아정신과의 세 과를 동시에 방문 하였다. 초진시의 기본 검사로 언어평가, 발달평가 혹은 인지평가, 사회성 및 행동평가, 청력검사를 실시하였고, 환자에 따라 아동기자폐증평정척도(CARS), MRI, 뇌파검사, 염색체 검사, 대사이상 검사 등을 선택적으로 시행하였다. 검사 결과 및 병력청취, 진찰소견을 바탕으로 초진 시 내린 잠정진단과 재진 시의 최종진단의 변화를 의무기록 검토를 통해 후향적으로 살펴 보았다. 결과: 1) 1차 방문 아동들의 평균 연령은 2.78세(4-97개월)이며, 추적 방문 아동들의 평균 연령은 4.81세(24-136개월) 이었고, 평균 추적기간은 24.8개월(8-68개월) 이었다. 2) 환자들의 가장 흔한 주 호소는 언어지연이었다(71.5%). 3) 잠정 진단과 최종 진단의 차이는 GDD와 DLD환자군에서 주로 관찰되었는데, 결국 최종진단 ID는 잠정진단 DLD에서보다 GDD에서 더 많이 이행되었으나(65.3% vs 42.3%), ASD는 두 군에서 모두 비슷한 비율로 이행되었다(16.3 vs 19.2%). 4) 초진 시 DLD 환자군 증, 비언어성 인지발달지수(C-DQ)가 정상인 환자일수록 장기적인 예후가 훨씬 양호하였다. 5) 이 변수들 중 세 군을 가장 영향력 있게 판별할 수 있는 예측 변수를 판별분석을 통해 확인해 본 결과, C-DQ (0.7436)가 가장 강력했고, 이후 SMS (0.6239), M_Q (0.6070), eye contact (0.4743), CARS (-0.3148), Rec_Q (0.2984), P_Q (0.2629)의 순서로 나타났다. 결론: 발달지연이 있을 때 경험 있는 의사의 정기적인 추적 관찰은 매우 중요하며, 특히 1차 잠정진단이 GDD나 DLD 환자인 경우, 언어지연이 다른 영역에 비해 저명하면서(예; 자발어 없음) ASD의 예측 변수가 동반된 경우, ASD의 진단 기준에 합당하지 않더라도 최대한 일찍 집중적 조기 중재를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장기적이고 주기적인 추적관찰이 필요하다. Pupose: Early detection of developmental delay is important because early intervention can reduce the disabilities that may arise in the future, as well as reduce social burdens and costs. In this study, we reviewed the changes of the diagnosis of patients who were followed up more than 2 times in the patients who visited the NHIS Ilsan Hospital Developmental Delay Clinic. In the cases whose final diagnosis were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intellectual disability (ID),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 (DLD), we performed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predictive factors of these diseases that can be discriminated in advance in order to provide appropriate early intervention. Methods: From August 2007 to July 2013, 168 patients who visited the NHIS Ilsan Hospital (total 733 patients) more than 2 times were included. All patients visited three departments (Pediatric Neurology, Rehabilitation & Psychiatry) at the same time according to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Speech evaluation, development & IQ test, social and emotional evaluation and hearing test were performed routinely. K-CARS, MRI, EEG, chromosome, and metabolic study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patients. Review of medical records of children was performed retrospectively. Results: 1) The mean age of children at 1st and follow-up visit was 2.78 years (4-97 months) and 4.81 years (24-136 months) each.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4.81 years (24-136 months). 2) The most common chief complaints of patients was language delay (71.5%). 3)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ntative diagnosis and the final diagnosis was mainly observed in the GDD and DLD patients. Eventually, the final diagnosis ID was diagnosed more in the GDD than in the DLD (65.3% vs 42.3%), but the diagnosis ASD was diagnosed similarly (16.3 vs 19.2%). 4) Long-term prognosis was better for patients with DLD who has higher nonverbal cognitive developmental quotient (C-DQ >70) at initial visit. 5) Result of the canonical coefficients by discrimination analysis showed that C-DQ (0.7436) was the strongest discriminating factor that predict the three groups, followed by SMS (0.6239), M_Q (0.6070), and eye Contact (0.4743), CARS (-0.3148), Rec_Q (0.2984), and P_Q (0.2629). Conclusion: Regular follow-up of experienced doctor is very important when a patient is delayed. If language delay is prominent compared to other areas & if discriminating factors of ASD are detected, it is advisable to initiate intensive early intervention with long-term periodic follow-up even if it does not meet the diagnostic criteria of ASD with long-term periodic follow-up.

      • KCI등재

        드론을 활용한 옥외광고물 안전도 검사 방안에 관한 연구

        정희정(Hee-Jeong Jeong),이석형(Suk-Hyung Lee),장혜(Hye-Jung Chang)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 2020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Vol.13 No.6

        옥외광고는 일정한 장소의 건축구조물의 외형에 고정되는 형태가 일반적이므로 건물 및 주변 환경과의 조화가 요구된다. 이러한 옥외광고물은 자연, 건축, 거리경관을 고려한 심미적 요소가 조화롭게 배치되어야 하며, 법적 규제로 인한 실행 제한이 많은 것이 현실이다. 옥외광고물의 안전도 검사는 옥외광고물의 노후화된 상태, 규격 및 설계도서와 일치 여부 등을 판단하기 위해 시행하고 있는데, 노후화된 광고물의 경우 도시의 심미적 요소를 저해할 뿐만 아니라, 차도나 보행로로 떨어지는 사례 등이 발생하여 안전적 측면에서 주기적인 검사가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안전도 검사는 건축물 입면의 높은 간판을 심사할 때 인사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으며, 건물의 입면에 고정된 옥외 광고의 구조물은 심도 있게 검사를 시행하여 내용을 파악하기가 어렵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드론을 활용한 옥외광고물 안전 점검 체계를 제고하고자 하며, 나아가 안전 점검 주기, 유지보수, 간판 제거 등 시설점검 이력 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Safety inspections of outdoor advertisements a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aging status, specifications, and compliance with design documents. Regular inspections are conducted on outdoor advertisements from a safety perspective, as they not only undermine the aesthetic elements of the city but also could cause falls on roads or pedestrian paths. However, the current safety inspection methods are at risk of various accidents during the inspection advertisements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it is difficult to conduct in-depth inspections on them if they are fixed to the elevation of the building. Furthermore, there also is a risk of safety accidents, such as advertising structures falling onto a pedestrian path.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enhance the safety inspection system of outdoor advertisements using drones. This paper also intends to propose measures for facility inspection history management such as safety inspection cycle, maintenance, and removal of signboards.

      • KCI등재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의 개발과 수정의 실제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의 대학한국어과정을 중심으로-

        정희정 ( Hee Jeong Jung ),곽지영 ( Ji Young Kwak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15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43 No.-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and revision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academic purposes focusing on the University Program at KLI`s pre-entrance course. First, it will be mentioned the necessity of a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academic purposes in correlation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learning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Next will be a literature review on the past research papers on Korean language curriculums for academic purposes after 2000. It will then be observed how the development of KLI`s curriculum has proceeded, what problems have arisen during its implementation, how those problems have been resolved, and how this curriculum has changed in the aspect of its level system, curriculum time frame and total hours, operation of elective classes, the ratio of Korean for college life and Korean for academic classes on the basis of textbooks, and various student-aid programs. Finally, the desirable direction of the pre-entrance Korean course for academic purposes will be suggested.

      • KCI등재

        태반 조기박리에서 주산기 예후와 관련된 산과적 요인에 대한 연구

        정희정 ( Hee Jung Jung ),은하 ( Eun Ha Jeong ),이경 ( Kyung Lee ),희라 ( Hee Ra Jung ),김명환 ( Myoung Hwan Kim ),고지경 ( Ji Kyung Ko ),조용균 ( Yong Kyoon Cho ),최훈 ( Hoon Choi ),김복린 ( Bok Rin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1 No.10

        목적: 태반 조기박리에서 주산기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산과적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인제대학교 상계 백병원에 입원하여 태반 조기박리를 진단받고 분만한 54예의 임상 기록지를 관찰, 분석하였다. 결과: 태반 조기박리의 빈도는 0.55%였고, 연령별 분포에서 26세에서 30세의 산모가 가장 높은 빈도 (42.1%)를 나타냈다. 임상 증상으로는 질출혈이 57.4%로 가장 많았고 자궁내 태아사망이 9.3%를 차지하였다. 주산기사망률은 13.0%였으며 모성 사망률은 없었다. 태반 조기박리의 38.9%는 임신주수 33주에서 36주 사이에 진단되었다. 태반 조기박리의 38.9%는 분만 전에 초음파로 진단되었고 9.3%는 만성 태반 조기박리였다. 태반 조기박리의 원인으로는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를 제외하고 임신성 고혈압 (33.3%)이 가장 많았고 그 밖에 조기양막파수 (24.1%), 자궁근종 (3.7%), 만성 고혈압 (1.9%), 흡연력 (1.9%) 등이 있었다. 특히 임신 중 고혈압이 동반된 경우는 태아곤란증이 정상 혈압 임신부에 비해 의미 있게 높은 빈도를 보였다 (63.2% vs 20.0%, P-value: 0.005). 태반 조기박리에서 주산기사망에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산과적 요인은 임신주수와 태반 조기박리의 중증도였으며 임신주수가 빠르면 빠를수록 (mean G.A (days): 194±32.8 vs 248.12±28.0, P-value<0.001), 태반 조기박리의 정도가 심하면 심할수록 (P-value: 0.005) 주산기 예후는 좋지 않았다. 태반 조기박리의 가장 흔한 합병증은 DIC (16예, 29.6%)였고 Couvelaire uterus (4예, 7.4%), 자궁파열 (1예, 1.9%)순이었다. 결론: 태반 조기박리에서 주산기 예후와 관련이 있는 산과적 요인은 진단 당시 임신주수와 태반 조기박리의 중증도임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 To evaluate obstetric variables in the placental abruption that affect on perinatal mortality. Methods: We reviewed clinical data of all singleton deliveries complicated with placental abruption between January 2000 and December 2007, in Department of Ob. & Gyn., Sanggye Paik Hospital. Results: Placental abruption complicated 54 cases (0.55%) of all deliveries (n=9,903)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07. The peak age was 26-30 years (42.1%). The most common symptom was vaginal bleeding (57.4%) and intrauterine fetal death had already occurred in 9.3%. Perinatal mortality rate was 13.0% and there was no maternal death. 38.9% of placental abruption occurred between 33 to 36weeks of gestational age. 38.9% of placental abruption was diagnosed before delivery with ultrasonography and 9.3% was chronic placental abruption. 33.3% of placental abruption was associated with preeclampsia, and then associated with PPROM (24.1%), uterine myoma (3.7%), chronic hypertension (1.9%) and smoking (1.9%). When the hypertensive disorders were associated, fetal distress rate was higher than normotensive pregnancy (63.2% vs 20.0%, P-value: 0.005). Mean gestational age (days) (194±32.8 vs 248.12±28.0, P-value<0.001) and the severity of placental abruption (P-value: 0.005) affect perinatal mortality in placental abruption. The most common complication of placental abruption was DIC (16 cases, 29.6%), followed by Couvelaire uterus (4 cases, 7.4%) and uterine rupture (1 case, 1.9%). Conclusion: Obstetric variables that affect perinatal mortality were gestational age at the diagnosis and the severity of placental abruption.

      • KCI등재후보

        쌍화탕 가미방 일회 섭취가 엘리트 장거리 달리기 선수의 유산소성 운동수행능력 및 생리학적 변인에 미치는 영향

        정희정 ( Hee Jung Jung ),이정필 ( Jeong Pil Lee ),최영진 ( Yeong Jin Choi ),안규석 ( Kyoo Seok Ahn ),오재근 ( Jae Keun Oh ) 한방재활의학과학회 2007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Vol.17 No.3

        Objectives:To identify the effects of one bout administration of oriental herbal drink on aerobic capacity and physiological valuables in elite long-distance runners.Methods:14 male elite college athletes were participated and divided into two group; i) oriental herbal drink group (OG), ii) placebo group (PG).All subjects were completed treadmill using GXT.The VO2max, anaerobic threshold (AT) were measured by gas analysis and heart rate (HR) were measure by polar system at pre, max, post, post 30 min and post 60 min.Blood sample were collected to analyze blood components at pre, post, post 30 min and post 60 min.Results: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VO2max and AT but HR of OG were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to PG at post exercise.The blood LDH concentration of OG were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PG at post.The blood concentrations of Na and K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OG compared to PG.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ed in WBC, RBC, Hct, Hb. The blood concentrations of TC, HDL and creatinin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OG compared to PG at recovery phase.Conclusions:These results suggested that oriental herbal drink can improve aerobic capacities in runners.

      • KCI등재
      • KCI등재

        폐경 여성에서 3년 동안 호르몬 요법, Raloxifene, Alendronate 치료 후 골밀도의 변화

        은하 ( Eun Ha Jeong ),최훈 ( Hoon Choi ),정희정 ( Hee Jung Jung ),이경 ( Kyung Lee ),희라 ( Hee Ra Jung ),김명환 ( Myoung Hwan Kim ),고지경 ( Ji Kyung Ko ),이철민 ( Chul Min Lee ),조용균 ( Yong Kyoon Cho ),김복린 ( Bok Rin K 대한폐경학회 2009 대한폐경학회지 Vol.15 No.1

        Objective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ree-year hormone therapy with raloxifene and alendronate treatment on bone mineral density (BMD) and vertebral fractures in postmenopausal Korean women. Methods: We studied 127 postmenopausal women who had visited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of Inje University Sanggye Paik Hospital between January 2000 and June 2008. These patients were divided into alendronate (n=26), raloxifene (n=18), estrogen therapy (ET) (n=43), and estrogen-progesterone therapy (EPT) (n=40) groups. We measured BMD in the lumbar spine (L1-L4) and femoral neck at baseline at one, two, and three-years after treatment. Vertebral fractures were also assessed at baseline and at three years after treatment initiation. Results: The BMD of the lumber spine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alendronate group by 7.2, 8.8%, and 9.5% at 1, 2, and 3 years after treatment initiation, respectively. It increased by 0.8% in the EPT group at 1 year. The BMD of the femoral neck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alendronate group by 3.4, 5.3%, and 5.8% at 1, 2, and 3 years, respectively. It increased in the raloxifene group by 3.5% at 2 years. It increased in the EPT group by 3.6, 2.6%, and 2.4% at 1, 2, and 3 years, respectively. After 3 years of hormone therapy, women with osteopenia or osteoporosis showed a greater increase in BMD than did women with normal BMD, but not t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gree. There were no new vertebral fractures in any of the four groups three years after treatment initiation. Conclusion: In postmenopausal women, treatment with alendronate, raloxifene, or hormone therapy increases bone mineral density in the spine and femoral neck and is helpful in preventing new vertebral fractures. 연구목적: 폐경 여성에서 3년간 호르몬 요법, raloxifene, alendronate 치료 후 골밀도와 척추 골절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상계백병원 산부인과에서 3년간 호르몬 요법, raloxifene, alendronate 치료 중 한가지 치료를 받은 폐경 여성 중 선별된 127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통해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이들을 alendronate군 (n=26), raloxifene군 (n=18), ET군 (n=43), EPT군 (n=40)으로 나누어 기저치와 치료 1, 2, 3년 후 골밀도를 측정하고 3년간 척추 골절의 발생 유무를 평가하였다. 결과: 요추 골밀도는 alendronate군, EPT 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Alendronate 군에서는 1, 2, 3년 후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각각 7.2, 8.8, 9.5%). EPT군에서는 1년 후 0.8%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Raloxifene군에서는 1, 2년 후 각각 1.4%와 0.4% 증가하고 3년 후 0.1%감소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ET군에서는 3년 후 0.1%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대퇴골 경부 골밀도는 alendronate군, raloxifene군, EPT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Alendronate군에서는 1, 2, 3년 후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각각 3.4, 5.3, 5.8%), raloxifene군에서는 2년 후 3.5%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1, 3년 후에는 증가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EPT군에서는 1, 2, 3년 후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각각 3.6, 2.6, 2.4%). ET군에서는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호르몬 요법군에서 요추 및 대퇴골 경부 골밀도가 정상인 여성보다 저골량인 여성에서 골밀도가 증가 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년 후 새로운 척추 골절의 발생은 네 군 모두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폐경 여성에서 3년간의 호르몬 요법, raloxifene, alendronate 치료는 골밀도를 증가시키며 골절 예방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