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남양만 남부 조간대 퇴적환경의 퇴적학적 특성에 관하여

        정공수,박용안,Chung, Gong Soo,Park, Yong Ahn 한국해양학회 1978 韓國海洋學會誌 Vol.13 No.1

        The intertidal flat depositional environment of Southern Nam Yang Bay, west coast of Korea has been studied to understand textural, geochemical and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The intertidal flat environment can be divided into two subenvironments, that is, the mud flat and the sand flat due to the sediment textures. From thd outer sand flat to the inner mud flat the grain size of the sediments decreases and the mud content increases. It is suggested that the intertidal flat environment is in the progradation of marsh deposits in the mud flat.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sediments is related to the sediment textures. The chemical index of maturity of the mud flat sediments is higher than that of the sand flat sediments. The clay minerals of the sediments are chlorite, illite, montmorillonite and kaolinite.

      • SCOPUSKCI등재
      • KCI등재

        강원도 정선 지역 오르도비스기 정선석회암의 속성 역사

        봉련식,정공수,Bong, Lyon-Sik,Chung, Gong-Soo 한국지구과학회 2000 한국지구과학회지 Vol.21 No.4

        탄산염 완사면과 테두리진 탄산염 대륙붕에서 퇴적된 오르도비스기 정선석회암은 다양한 속성양상을 보인다. 어란석 입자나 펠로이드 주위에 분포하는 등후의 침상의 교결물로 나타나는 해수속성작용은 최초의 속성작용이었으며 재결정화된 마이크로스파 내지 스파 방해석, 방해석으로 채워진 증발암 캐스트 그리고 어란석 입자 주위에 분포하는 등후의 스파 방해석으로 나타나는 담수속성작용으로 이어졌다. 얕은 매몰 속성 작용의 양상은 마이크로스타일로라이트와 용해 씸을 포함하며, 깊은 매몰 속성작용의 양상은 스타일로라이트, 매몰 교결물, 거정질 방해석 그리고 포이킬로토픽 방해석을 포함한다. 매몰교결작용은 압력용해양상과 쌍정 엽리를 갖는 거정질 방해석 또는 포이킬로토픽 조직을 갖는 방해석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돌로마이트는 조간대 기원의 극세립 및 세립질 모자이크 돌로마이트, 다양한 기원의 산재된 돌로마이트, 생물 교란 반점이 돌로마이트화 된 패치돌로마이트, 깊은 매몰 기원의 안장형 돌로마이트가 있다. 규화작용은 방해석을 치환한 석영과 열극에 침전된 석영이 있다. 포이킬로토픽 조직을 보이는 극조립질의 매몰교결물은 -10.4%$_o$ PDB의 ${\delta}^{18}$O 값과 -1.0 %$_o$ PDB의 ${\delta}^{13}$C 값, 504ppm Sr, 3643ppm Fe 그리고 152ppm Mn 값을 보인다. 세립 및 조립질 방해석으로 구성된 석회암은 매몰교결물과 비슷한 ${\delta}^{18}$O 값과${\delta}^{13}$C값을 보이나, 매몰교결물에 비해 Sr 함량은 낮고, Fe 및 Mn 함량은 높다 이런 지화학적 경향은 세립 및 조립질 방해석의 재결정화 작용이 담수 환경에서 일어난 후 매몰환경에서 다시 재결정되어 나타난 것으로 해석되며, 매몰교결물은 비교적 높은 온도와 낮은 물/암석 비를 갖는 환경에서 형성된 것으로 해석된다. ${\delta}^{18}$O 값이 -8.2%$_o$ PDB, ${\delta}^{13}$C 값이 -1.9%$_o$ PDB, 213ppm Sr, 3654ppm Fe, and 114ppm Mn을 보이는 극세립 및 세립의 돌로마이트는 조상대 환경에서 퇴적물과 동시기적으로 형성된 후 비교적 낮은 암석/물의 비율을 갖는 매몰 환경에서 재결정 된 것으로 해석된다. 지화학적 자료는 정선석회암의 속성환경은 물/암석의 비가 낮은 매몰환경이 주된 속성환경이었음을 시사한다. 정선석회암은 퇴적될 당시 해수 속성 작용과 담수 속성 작용을 받았다. 행매층과 회동리층의 퇴적으로 정선석회암의 일부는 얕은 매몰 환경 하에 놓이게 되었고, 데본기의 지구조적 변형기에 대기하에 노출되었을 것으로 해석된다. 석탄기와 페름기의 평안계 지층이 약 3km의 두께로 퇴적되어 정선석회암은 이시기에 깊은 매몰환경에 놓이게 된 것으로 해석되며 스타일로라이트, 매몰 교결물, 거정질 방해석 그리고 안장형 돌로마이트가 형성된 것으로 해석된다. 정선석회암은 중생대와 신생대에 있었던 송림, 대보, 불국사 변동으로 대기에 노출된 것으로 보이며 담수 속성환경에 다시 놓이게 된 것으로 해석된다. 백악기와 제3기의 불국사 변동 후 정선 석회암은 대기 하에 노출되어 담수 속성작용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The Ordovician Chongson Limestone deposited in the carbonate ramp to the rimmed shelf shows diverse diagenetic features. The marine diagenetic feature appears as isopachous cements surrounding ooids and peloids. Meteoric diagenetic features are recrystallized finely and coarsely crystalline calcite, evaporite casts filled with calcite, and isopachous sparry calcite surrounding ooid grains. Shallow burial diagenetic features include wispy seam, microstylolite, and dissolution seam whereas deep burial features include stylolite, burial cements. blocky calcite with twin lamellae, and poikilotopic calcite. Dolomites consist of very finely to finely crystalline mosaic dolomite formed as supratidal dolomite, disseminated dolomite of diverse origin, patchy dolomite formed from bioturbated mottles, and saddle dolomite of burial origin. Silicified features include calcite-replacing quartz and fracture-filling megaquartz. Burial cements characterized by poikilotopic texture show ${\delta}^{18}$O value of -10.4 %$_o$ PDB, ${\delta}^{13}$C value of -1.0%$_o$ PDB and 504ppm Sr, 3643ppm Fe, and 152ppm Mn concentrations. Finely and coarsely crystalline limestones show similar ${\delta}^{18}$O and ${\delta}^{13}$C value to those of burial cements; however, they show lower Sr and higher Fe and Mn concentrations than burial cements. This suggests that very finely and coarsely crystalline limestones were recrystallized in freshwater and then they were readjusted geochemically in the burial setting whereas the burial cements were formed in relatively high temperature and low water/rock ratio conditions. Very finely and finely crystalline mosaic dolomites with ${\delta}^{18}$O value of -8.2%$_o$ PDB, ${\delta}^{13}$C value of -1.9 %$_o$ PDB, and 213ppm Sr, 3654ppm Fe, and 114ppm Mn concentrations, respectively are interpreted to have been formed penecontemporaneously in supratidal flat and then recrystallized in the low water/rock ratio burial environment. Geochemical data suggest that the low water/rock ratio burial environment was the dominant diagenetic setting in the Chongson Limestone. The Chongson Limestone has experienced marine and meteoric diagenesis during early diagenesis. With deposition of Haengmae and Hoedongri formations part of the Chongson Limestone was buried beneath these formations and it experienced shallow burial diagenesis. During the Devonian the Chongson Limestone was tectonically deformed and subaerially exposed. During the Carboniferous to the Permian about 3.3km thick Pyongan Supergroup was deposited on the Chongson Limestone and the Chongson Limestone was in deep burial depths and stylolite, burial cements, blocky calcite and saddle dolomite were formed. After this burial event the Chongson Limestone was subaerially exposed during the Mesozoic and Cenozoic by three periods of tectonic disturbance including Songnim, Daebo and Bulguksa disturbance. Since the Bulguksa disturbance during Cretaceous and early Tertiary the Chongson Limestone has been subaerially exposed.

      • KCI등재

        한반도 중서부 지각구조와 물성 연구: 경기도 화성군 남양 및 안산시 탄도지역에 분포하는 퇴적분지의 분석

        박성대,정공수,정지곤,김원사,이동우,송무영,Park, Sung-Dae,Chung, Gong-Soo,Jeong, Ji-Gon,Kim, Won-Sa,Lee, Dong-Woo,Song, Moo-Young 한국지구과학회 2000 한국지구과학회지 Vol.21 No.5

        경기도 화성군 남양지역과 안산시 탄도지역에 분포하는 두 퇴적분지는 백악기(80-90Ma) 퇴적분지로서 10개의 암상과 5개의 상조합으로 구분된다. 상조합 I은 괴상 역암상, 정상점이층리 역암상, 역점이층리 역암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충적선상지에서 암설류와 판류에 의해 퇴적된 것으로 해석된다. 상조합 II는 괴상 이암상, 괴상 사암상, 엽층리 사암상, 괴상 역암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충적선상지와 망상평원 환경에서 판류와 부유 퇴적에 의해 퇴적된 것으로 해석된다. 상조합 III은 괴상 이암상, 엽층리 이암상, 괴상 사암상과 호층을 이루는 하도 역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범람원에서 홍수시에 부유 퇴적과 하도 메꿈작용에 의해 퇴적된 것으로 해석된다. 상조합 IV는 괴상 역암상, 정상점이층리 역암상, 괴상 사암상, 정상점이층리 사암상, 엽층리 사암상, 호층을 이루는 이암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선상지 삼각주에서 암설류와 저탁류에 의해서 퇴적된 것으로 보인다. 상조합 V는 괴상 이암상, 엽층리 이암상, 엽층리 사암상, 호층을 이루는 괴상 역암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호수에서 부유 퇴적과 저밀도 저탁류에 의해 퇴적된 것으로 보인다. 남양분지에서 상조합 I은 분지의 동쪽과 남쪽 부분에 분포하며, 상조합 II는 남북의 대상 분포를 이루며 분지의 중앙부에 분포하고, 상조합 III은 분지의 서쪽부분에 분포한다. 탄도분지에서 상조합 II는 분지 동쪽 중앙부와 북서쪽에 분포하고, 상조합 IV는 분지 남서부에 그리고 상조합 V는 분지 중앙부에 분포한다. 상조합 대비는 남양분지에서 상조합 I과 II는 층서적으로 하부에 그리고 상조합 III은 상부에 분포하고, 탄도분지에서 상조합 II와 IV는 하부에 그리고 IV와 V는 상부에 분포함을 보여준다. 이러한 암상분포 양상은 남양분지는 처음에는 충적선상지와 충적선상지평원/망상평원이 교호하다가 범람원으로 발전하였으며, 탄도분지는 처음에는 선상지 삼각주와 충적평원/망상평원이 교호하며 발달했다가 나중에는 호수환경에서 발전한것으로 해석된다. Two Cretaceous(80-90 Ma) non-marine sedimentary basins, Namyang and Tando Basins, are distributed in the Namyang area, Hwaseonggun and in the Tando area, Ansanshi, Kyungki Province, Korea. The Namyang and Tando Basins are composed of 10 facies, which are pooped into 5 facies associations(FA). FA I consists of massive conglomerate facies, normally graded conglomerate facies and reversely graded conglomerate facies, which is interpreted to have been formed by laminated sandstone facies, massive conglomerate facies(channelized), which is thought to have been formed by sheet flow, stream flow and suspension sedimentation in an alluvial/braided plain environment. FA III consists of massive mudstone(pebbly) facies, laminated mudstone facies, massive sandstone facies and is interbedded by channel-fill conglomerate. It is interpreted to have been deposited by suspension settling during flooding and channel-fill deposition in a floodplain environment. FA IV consists of massive conglomerate facies, normally graded conglomerate facies, massive sandstone facies, normally graded sandstone facies, and laminated sandstone facies and is interbedded with mudstone facies. It is thought to have been deposited by debris flow and turbidity current in a fan-delta environment. FA V consists of massive mudstone facies, laminated mudstone facies, laminated sandstone facies and is interbedded by massive conglomerate bed. It is thought to have been formed by suspension sedimentation and low-density turbidity current in a lake. In the Namyang Basin FA I is distributed in the eastern and southern margin of the basin, FA II in the middle part of the basin as north-south tending band. and FA III in the western part. In the Tando Basin FA II is distributed in the middle part of eastern margin and in the northwestern margin, FA IV in the southwestern part, and FA V in the central part. Correlation of the facies associations shows that FA I and II in the Namyang Basin are distributed in the lower to middle part of stratigraphic sequence and FA III in the upper part of the sequence whereas FA II and IV in the Tando Basin are in the lower to middle part and FA V in the upper part of the sequence. These patterns of facies associations distribution suggest that the Namyang Basin was developed as an alluvial fan and alluvial/braided plain at first and then evolved into a floodplain whereas the Tando Basin was developed as a fan-delta and alluvial/braided plain at first and then evolved into a lake environment.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Structure and Physical Property of the Midwest Crust of Korea : Evolution of Sedimentary Sequences in the Chonsu Basin of the West Coast 서해안 천수분지 퇴적층서의 진화

        Chung, Gong Soo,Song, Moo Young 충남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1995 연구논문집 Vol.15 No.-

        서해안 천수만의 경계와 대체로 일치하는 퇴적분지에 육성기원 역암 및 사암 그리고 이암과 화산쇄설물로 구성된 퇴적층서가 발달해 있다. 본 퇴적분지는 백악기에 형성된 것으로 보여지며 다소 직선적이며 불연속적인 경계로 둘러싸여져 있다. 분지의 북서부에는 선캠브리아기 규암성분의 cobble 내지는 boulder 크기의 역암이 선캠브리아기 기반암과 부정합을 형성하면서 분포하고 있다. 이 역암은 화산쇄설암과 현무암으로 구성된 층서로 덮혀져 있다. 화산쇄설암은 화산 쇄설류에 의해 형성된 화산각력암과 화산역맘 그리고 화산재에 의해 형성된 조립질 및 세립질 응회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현무암이 이들과 호층을 이루고 있다. 본 분지의 경계는 화산각력암과 현무암이 산출되는 간월도의 서쪽 가장자리를 지난다. 본 분지의 북동부는 동쪽으로부터 유래된 암설류에 의해서 형성된 것으로 보이는 원마도가 양호한 cobble 및 pebble 크기의 화강암과 규암파편의 산출로 특징지어 지는데, 퇴적후 일어난 구조 변형으로 본래 서쪽으로 발달된 경사가 현재와 같이 동쪽으로 경사진 양상으로 나타났다. 분지 남동부 학성리 지역은 응회암질 역암, 응회암질 사암, 응회암질 이암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들은 육성기원 퇴적물이 화산퇴적물과 혼합되어 퇴적되어 형성되었다. 본 분지의 남쪽 경계는 육성기원 퇴적물의 산출이 없이 화산 쇄설물만이 산출되는 것이 특징이다. 천수만은 분지내에 enechelon 주향이동 단층의 발달을 수반한 일종의 불완전하게 형성된 pulll-apart 분지에 의해서 형성된 것으로 해석된다. 주향이동단층활동은 정단층의 형성 및 화산활동를 수반하였다. 정단층의 형성은 암설류에 의한 역암의 퇴적을 수반하였고 화산활동은 화산쇄설성 퇴적물의 퇴적과 lava의 흐름을 초래하였다. 불연속적인 선상의 분지경계를 형성한 주향이동단층활동은 약 9천만년전 Izanagi 판이 Eurasia판 아래로 섭입됨에 따라 일어난듯하다. Sedimentary sequences consisted of terrigenous conglomerates, sandstones and mudstone as well as pyroclastic rocks occur in the Chonsu Basin which roughly coincides present Chonsu Bay, west coast of Korea. The basin, thought to be Cretaceous in age, is define by more of less linear and discontinuous boundaries. In the northwest part of the basin massive conglomerate consisted of angular cobble to boulder size Precambrian quartzite fragments are distributed at the base of the sequence forming unconformity with the Precambrian basement. The conglomerate is overlain by a sequence consisted of pyroclastic rocks and basalt. Pyroclastic rocks consist of pyroclastic breccias and lapillistone formed by pyroclastic flow, and coarse and fine tuffs formed by pyroclastic fall which in turn are intercalated by basalt. The basin boundary passes the western tip of the Kanweol island in which pyroclastic breccias and basalt occur. The northeast part of the basin is characterized by the occurrence of rounded cobble to boulder size fragments of granite and quartzite whicd are interpreted to have formed by debris flow and originated from the east: tilting after changed the original west-dipping strata to the present east-dipping strata. The southeast part of the basin (Hakseongri) consists of tuffaceous conglomerate to tuffaceous mudstone formed by debris to sheet flow in mid to distal alluvial fan environment where terrigenous fragments were mixed with pyroclastics. The southern boundaries of the basin are characterized by occurrence of pyroclastics and basalt without any occurrence of terrigenous debris. The Chonsu Basin is interpreted to have formed as an incompletely developed pull-apart basin in which en echelon strike-slip faults were developed. Strike-slip fault activities were accompanied by block-faulting and volcanism. Block-faulting resulted in deposition of conglomerates by debris flows; volcanism resulted in deposition of pyroclastics and overflow of Iavas. The strike-slip faulting which formed smooth and discontinuous basin boundaries has been caused by the subduction of the lzanagi plate beneath the Eurasian plate 90 million years ag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