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백계(白溪) 이기인(李基仁)의 「밀산추억기(蜜山追憶記)」연구

        한길로 ( Han¸ Gil-ro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1 嶺南學 Vol.0 No.76

        본고는 독립운동사 뿐만 아니라 한인 이주사에도 상당한 상징성을 갖고 있는 공간인 ‘밀산 한흥동’에 주목하며, 한계 이승희의 차남 李基仁(1894∼1981)이 남긴 「蜜山追憶記」를 분석하는 논고이다. 이 책은 부친을 만나기 위해 1910년 7월(음력) 부산을 출발하여 해삼위를 거쳐 밀산부에 도착, 1913년 경영상의 문제로 그곳을 떠날 때까지를 기록한 일종의 회고록(회상기)이다. 이 자료는 먼저 국내에서 韓興洞까지의 이동 경로를 구체적으로 서술하고 있어 당시 한국인들이 어떠한 경로를 통해 해삼위와 북만주 밀산까지 당도했는지, 또 그 과정에서 어떤 어려움에 봉착했는지를 비교적 상세히 담고 있다. 동시에 연해주 일대 지도자와 각 단체 사이의 현실인식에 관한 ‘온도차’나 대립의 일면 또한 생생히 기술하고 있다. 요컨대, 그의 회고는 이미 공개된 독립운동 관련 자료들이 미처 조명하지 못했던 지점을 보완하는 의미가 있고 당시 상황을 실감나게 기술하고 있어 그 때의 실정을 예측하게 만든다. 더불어 한문글쓰기를 통해 당대 상황과 분위기의 안팎을 생생히 기술하고 있어 『한계유고』를 포함한 한흥동 관련 기록과 기록 사이의 공백을 메워내고 있다. 즉 국내외를 오가며 묵묵히 독립운동에 이바지한 독립운동가 2세들의 인고와 고초 가득했던 삶을 파악하고 이해하는데 요긴한 자료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analyzes the 「Memoirs of Millsan」Written by Baekgye Lee, Gi-in (1894-1981), the second son of Lee Seung-hee. In 1910, he went to Vladivostok from Busan to see his father. He then moved to Milsan, North Manchuria, where he eventually met his father. In 1913, the last story was about moving from Milsan to Andong due to economic problems. In this paper, I analyzes the Lee Gi-in's memoir. In particular, This paper is focused on his experience in traveling and how he remembered the situation in Milsan. First, The book also details the route from Busan to Vladivostok and the route to Millsan. And In particular, they explain what they experienced and how they solved many problems. At the same time, it includes a phase of division and conflict in the Korean community living in Maritime Province(沿海 州). In particular, His book shows the lives and activities of the descendants of independent activists. Through this work, I expect new discoveries and in-depth interpretations of similar text.

      • KCI등재

        삼주 이기원의 삶과 한주학(寒洲學) 전승의 일면 고찰 : 독립운동 조력과 문집발간을 중심으로

        한길로(Han, Gil-Ro)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1 한국민족문화 Vol.78 No.-

        삼주 이기원(三洲 李基元)은 한주 이진상(寒洲 李震相, 1818~1886)의 손자이자 한계 이승희(韓溪 李承熙, 1847~1916)의 장자이다. 이러한 태생적 조건으로 말미암아 그에 대한 삶과 행적은 거의 조명을 받지 못하고 있지만 그 역시 근대기 한주학, 특히 일제 강점기 한주학파의 활동과 전승에 있어서 간과해서는 안 될 인물 가운데 한 명이다. 그의 삶은 을사년의 ‘늑약’ 이후 수많은 지식인들이 고국을 떠나 만주·연해주를 포함한 해외로 이주한 역사적 사건 뒤, 국내에 남아있던 유림계 독립운동가 후손들의 삶을 대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그는 이승희의 해외활동이 시작되자 국내에 남아 부친을 보좌하는 역할을 했다. 부친의 사후에는 학문의 계승과 지속을 위해 매우 절실히 요구되는 문집 발간을 주도했다. 일제의 검열 하 『대계집』 발간과 『한주집』 중간을 주도하며 한주학 계승의 교두보를 마련한 것이다. 동시에 부친과 더불어 선배 한주학파 지도자들이 보여준 일본에 대한 저항과 현실 참여 정신을 계승하며, 3.1운동과 영남 일대의 독립군 군자금 모금활동에 동참했다. 이 두 사실은 곧 한주학이 강조한 의리정신의 구현과 전승의 측면과 ‘접맥’된다. 즉 식민지배 하 급격히 근대로 전환되는 사회 속에서 그가 보여준 삶의 궤적은, 종장(終章)을 향해 흘러가고 있던 한국유학사의 끝에 위치한 사실상 마지막 유림 세대의 삶과 내적 고뇌를 다소나마 유추하게 만든다. Lee Gi-Won is the grandson of Lee Jin-Sang and the son of Lee Seung-Hee. Due to this background, there is not much research on Lee Gi-Won, and it is also briefly mentioned. However, he is also a member of the Hanju school during the modern era, and is especially a notable figure who has worked hard on the activities and succession of the Hanju school. His life reflects the lives of families who left Korea and moved abroad. It is also a symbol of Confucian scholars who have worked hard to maintain tradition in Korea. He assisted his father who went abroad and maintained his family by serving as the head of the household. When his father died, he tried to publish his literary works and reissued his grandfather"s literary works. At the same time, he resisted Japanese imperialism and devoted himself to Korean independence and self-esteem. At that time, Confucianism in Korea was toward the end, and his life illustrates the life of modern Confucian intellectuals and the efforts of traditional succession.

      • KCI등재

        전시체제기 유림 잡지 소재 한시의 성격과 그 실상 - 조선유도연합회의 『유도』를 중심으로 -

        한길로 ( Han Gil-ro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인문학연구 Vol.0 No.53

        일제 말 대표적인 친일 유림단체 조선유도연합회(1939∼1945)의 기관지인 『유도(儒道) 』 는 일제강점기 유림(계) 최후의 `잡지`라는 점에서, 그리고 일제 협력의 면모를 가장 적극적이고 노골적으로 노출하고 있다는 점에서 많은 주목을 요하는 잡지라 할 수 있다. 『유도』는 1939년 조선유도연합회 창립 이후, 1942년 4월 창간호를 시작으로 7호까지(1944년 11월) 발간되었고 대다수는 일어(순한문 포함)로 작성되었다. 먼저 당시 조선에서 일어를 이해하는 조선인이 겨우 16%에 불과했으며 국민의 7할 이상이 농민층에 속해있었다는 사실에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결국이 잡지는 총독부가 `식자(識字)층`이자 `농촌 지도인사`인 유림의 역할에 대단히 주목하며 그들의 적극적인 협력을 이끌어 내기 위한 성격을 갖고 있었던 것이다. 이 시기의 문학은 일종의 절대 권력을 소유한 `주문자(총독부)`의 강력한 `요청`에 따라 그들의 요구를 `작자`가 충실히 반영하여 `생산`하는 구조였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을 _유도_ 역시 매우 충실히 보여주고 있는데, 이들의 한시는 내용적인 밀도나 미학적 가치를 사실상 배제하고 파시즘 체제에 `헌신`해야 한다는 당위를 앞세우고 있었다. 또 전시 파시즘의 내용과 한시라는 `형식의 결합`에 더욱 치중하며 그들의 프로파간다를 압축적으로 전달하는데 주력했다. 나아가 기존의 전통을 전복시켜 일본식 황도유학을 유교의 `전범`으로 삼는 시의(詩意)를 강하게 노출하고 있었고 전쟁을 독려하고 찬양하는 등, 반(反)전쟁적인 전통을 갖고 있던 것과도 역행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잡지에 수록된 `한시`들은 일제 말 `총동원`이라는 상황을 매우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는데, 특히 일제 말 전쟁파시즘과 결합하여 기존의 유학 그리고 한학 전통이 어떻게 변형되고 굴절되며 전복되는지를 매우 잘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In the late Japanese Empire, 『Confucian ethic(儒道)』 as an organ of “Joseon Federation of Confucianism(1939∼1945)”, a representative pro- Japanese Confucian group, requires an attention in terms of the last `Journal` that Confucians(community) left in the Japanese Empire and the Journal that it exposes the aspect of cooperation with the Japanese most aggressively and plainly. After Joseon Federation of Confucianism was established in 1939, 『Confucian ethic(儒道)』 had been published from its first issue in April, 1942 to seventh issue(November, 1944) and most of them were written in Japanese(including Pure-Chinese(漢子)).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re were only 16% of Koreans(People of Joseon) who could understand Japanese in Joseon and more than 70% of people belonged to farmers. In short, authorities highly noticed a role of Confucians as the literate stratum and the figure of Agricultural Extension and systemized Confucians in order to derive their active cooperation. This Journal is the fruit of the process. Literature of this period can be said a structure that a `producer(writer)` reflects and `produces` their demand according to a strong `request` from an `orderer (government general) ` who has a kind of supreme power. 『Confucian ethic』 also shows this historical background thoroughly and their `Sino-Korean Poetry` clearly gives the ambience of the time as well. It uses appropriateness that it should dedicate to Fascism excluding the density in the content or the aesthetic value, and it compressively imparts their propagandaconcentrating more on the combination with a form of `Sino-Korean Poetry`. Furthermore it makes Anti-Confucianism Tradition which considers Japanese Imperial Confucianism as a criminal of Confucianism subverting the current tradition and it shows its retrogression towards a tradition of Sino- Korean Poetry encouraging and praising a war. In conclusion, `Sino-Korean Poetry` in this journal includes the circumstance and the content of the Total Mobilization in the late Japanese colonial era frankly and well reflects how the current Confucianism and the tradition of Chinese studies have been transformed, distorted and subverted especially in the process of combining with Fascism of War.

      • KCI등재

        일반논문 : 일제 말 친일유림의 일제 관료 칭송시에 드러난 총동원체제 찬양의 일면

        한길로 ( Gil Ro Han ) 한민족문화학회 2013 한민족문화연구 Vol.42 No.-

        일제강점기 한시 창작은 급속히 쇠락하며 사실상 종언을 고했지만, 한편으로는 일제의 비호 하에 이들의 통치를 미화하는 수단으로서 다수의 ``한시``가 창작되고 있었다. 특히 총동원시기에 이르면 친일유림단체를 중심으로 노골적인 일제 찬양의 뜻을 담고 있는 한시들이 창작되어 책으로 발간되기에 이른다. 본고에서는 그 가운데 조선총독부 7대 총독 미나미지로南次郞와 그를 보좌한 정무총감 오노 로쿠이치로대大野綠一郞의 퇴임을 기념하며 이들의 통치를 적극적으로 찬양하고 칭송하기 위해 朝鮮儒道聯合會에서 발간한 『奉錢南總督閣下』와 『奉錢大野總裁閣下』를 살펴보았다. 강제와 착취로 점철된 식민지통치 구조를 가장 강제적인 수단을 동원하여 구체화 시켜간 이 두 사람은 ``창씨개명, 지원병제 실시, 조선어교육 폐지 및 일본어 상용常用``등의 극단적인 ``민족성말살정책``을 시행하며 조선의 민족혼을 없애는 동시에 조선을 대륙병참기지·대동아공영건설의 원조기지로 만들기 위해 전조선 민중들을 전쟁협력의 장으로 끌어내는데 헌신한 인물들이다. 일제 통치 하암흑기 중의 암흑기로 평가되는 이 시기, 이들의 통치를 칭송하고 미화하기 위해 편찬 된 위 책들은 한문학을 통한 친일유림의 체제협력과 함께 굴절된 유교이념의 면모를 담고 있다. During Japanese ruling era of Korea, the trend of Chinese poetry declined sharply but some numbers of Chinese poems were written as means of beautifying Japanese colonialism under the wing of the Japanese government. Especially when it came to the time of the general mobilization, the Chinese poems that openly praised for Japan was written and published into books. In this study, 『Bongjeon Nam Chongdok Kakha』and 『Bongjeon Daeya Chongjae Kakha』 are reviewed. They were written by Chosun Confucianism Association (a pro-Japanese group) in memory of the retirement of and to admire the governing of Minami Jiro (the 7th governor-colonial chosun government general) and his aide Ono Rochuichiro (Affairs of State General). The governor-general Minami, who forced Japanese colonial governance in effect, dedicated himself to carrying out extreme genocide Policies such as changing Korean name into Japanese one, abolition of Korean education, common use of Japanese language and pulling the entire Chosen people into the field of war cooperation. In the respect, the author tries to light up the distorted facet of "modern Chinese literature that began with the onset of Japanese ruling as well as to elucidate the pro-Japanese relationship of Confucian intellectuals, the colonialism of Chinese literature and "fascism" concentrating on Korean literature.

      • KCI등재

        일제 말 지방 유림의 지형과 한시에 드러난 동양론 연구 -안변(安邊) 유림의 『황군위문시(皇軍慰問詩)』를 중심으로

        한길로 ( Gil Ro Han )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2013 東亞 硏究 Vol.32 No.2

        『황군위문시』는 1938년 중일전쟁에 참전 중인 황군을 격려하고 이들의 승전을 기원하기 위해 함경남도 안변 유림들이 자발적으로 구성한 순한문 시집이다. 책에는 안변 유림 소속 유림 69명이 작성한 칠언율시 69수가 수록되어 있는데, 시를 수록한 유림의 상당수는 군수·도평의 원·면장·면협의원 및 학평의원 등에 소속되었던 경력을 갖고 있었다. 나아가 지역에서 금융 조합, 수리조합, 과물(果物)조합 등 지역의 각종 조합에 관여하고 있던 지역 유지나 유력자 상당수 역시 안변 유림의 이름으로 시를 창작했다. 이는 일제 말 지방 유림의 지형을 잘 보여준다 할 수 있다. 20년대 이후 총동원시기까지 지역의 유림은 도지사, 군수 등 총독부 관료의 통제를 받고 있었고 지역 관료의 임명에 따라 향교에서의 교임을 맡을 수 있었다. 과거 유림은 지역에서 명망있는 가문이나 유교적 학식이 뛰어난 사람들이 주축이었으나, 당시 유림은 유림으로서의 자격이나 소양보다는 관료의 측근으로서 일제가 추진하는 사업에 협조적으로 임하거나 행정 능력을 구비한 인물들로 구성되어 있었던 것이다. 즉 전통시대 유림이나 향교 운영주체들의 인적구성과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는 것이다. 이러한 지역 유림의 인적 구성의 변화는 한문학 창작 계층 및 경향에도 변화를 가지고 왔다. 즉 전통시대 한시가 갖는 미학적 특징이나 수사적 경향 등을 충분히 습득하지 못한 계층들이 유림의 이름으로 한문학 창작을 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런 이유로 그들의 시는 한문학적 전통을 계승하는 측면보다는 ‘일제 협력의지 표출’, ‘전통 사회에 대한 복고의식’, ‘한자 문화의 귄위에 편승’ 등의 내면을 드러내고 있다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이들이 남긴 『황군위문시』는 ‘일본어-국문’이라는 이중 글쓰기 지형을 보인 조선 문단의 측면과 주변의 문학으로서, 일제 말에 창작된 친일한시의 일면을 웅변하고 있다. 『Hwang Gun Wi Moon Si』 is the collection of poems all written in Chinese which the Confucian scholars spontaneously composed to encourage the imperial army which took part in the Sinjo-Japanese War in 1938 and prayed victory of them. The collection includes Chinese poems of 69 confucian scholars who were belonging to the An-byeon confucians, and all of them were composed by the style of Chinese verse with seven syllables to the line. The considerable number of confucian scholars who contained their poems had a career as a governor, a member of large regional assemble, a head of a township, a member of township assembly or a member of school evaluation assembly. Further more the considerable number of local worthies or influentials who were involved in various associations such as a financial association, irrigation association, and fruit association in their area also created a poem in the name of the An-byeon confucians. 『Hwang Gun Wi Moon Si』 which they left speak one aspect of pro-Japanese Chinese literature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which the pro-Japanese ideology and literal authority of Chinese classics were included by administrators and influentials of each area as literature of the aspect and surroundings of the literal world of the Chosun Dynasty which shows an aspect of double writing in ‘Japanese-Korean’.

      • KCI등재

        이산 예대희(伊山 芮大僖)의 「연성기행(燕城紀行)」 연구-북경 기행에서의 인적교류와 중화인식을 중심으로-

        한길로 ( Han Gil-ro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1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85 No.-

        1895년 ‘청일전쟁’ 이후 이른바 대청사행은 종료되었고 ‘연행길’ 또한 막히게 되었다. 즉 607차에 걸쳐 이뤄진 사행이 종결되면서 연행록 창작도 중단된 것이다. 이는 곧 과거에 비해 변모된 실정이 담긴, 연행록 이후의 새로운 국면의 중국(북경) 기행문 창작을 견인했다. 본고는 연행록 이후의 중국 기행문에 해당되는 이산 예대희(伊山 芮大僖)의 「연성기행(燕城紀行)」을 통해 근대기 한국 유림의 북경 기행과 중화인식의 일면을 고찰한 논문이다. 1913년 12월 안동을 출발하여 북경에 도착한 그는 이 과정에서 다수의 인물들과 만나며 공교운동의 방향과 한인 사회의 안정에 대해 두루 토론했다. 지연(地緣)과 학맥, 계층을 초월한 만남이자 연대의 지가 발견되는 장면이었다. 심양에 당도한 그는 과거 북벌론을 상기하였고 북경에 도착해서는 ‘의관’을 통해 중화의 구제(舊制)를 직접 증명하며 그들의 환대를 받았다. 청의 멸망과 명의 부재, 그리고 서구의 진입이라는 현실 속에서 그는 한국 유학(림)이 전통의 ‘구제’를 보유하고 있음을 자각하고 또 확인하며 이를 더욱 적극적으로 표출하였다. 한국이라는 ‘근거’가 사라지며 자신의 존재증명이 어려워진 상황에서 이른바 ‘중화’의 가치는 더욱 절실하게 인지할 수밖에 없는 존재 가치이자 정체성이었다. 이에 그는 중화의 옛 제도를 자신(한국)에게서 찾는 당대 중국 지식인을 보며 이를 더욱 강하게 보지하였고 직접적인 구현과 실천의 방향으로 나아가 도록 ‘주문’하며 ‘재구축’을 시도했다. 즉 당시 재중 유림에게서 드러난 중화인식의 면모였던 ‘전통과 반전통, 재중화와 탈중화’의 노선 가운데 전자의 입장을 선명히 보여준 것이다. This paper is to study the Chinese travel literature of Yi San-YeDaeHee, a modern Confucian scholar who lived in China. In other words, 「Yeonseong-Giheng」 is a 20<sup>th</sup>-century Chinese travel literary work that reflects the perspective of Confucian intellectuals at that time. Based on this data, this writer examined the travel of modern Korean Confucian scholars travel to China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Sino-centralism. Arriving in Beijing from Andong in December 1913, he met with a number of people to discuss the direction of the Confucian Religion Movement(孔敎運動) and the stability of the Korean community in China. Arriving in Shenyang, he recalled the spirit of the old people and was welcomed by Chinese intellectuals when he arrived in Beijing. Because he was dressed with traditional clothes of the past. He discovered himself through past Chinese traditions and showed signs of restoring confidence. At the same time, he expressed negative opinions about Manchu’s hairstyle and Western attire. After all, this perception was a past tradition that continued in modern times, and it is also the last aspect of this tradition. This was the rebuilding of Sino-centralism in modern times.

      • KCI등재

        일제강점기 조선에 비친 식민지 대만의 허실, 그리고 조선 -『매일신보』 소재 대만시찰기를 중심으로-

        한길로 ( Gil Ro Han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3 人文論叢 Vol.70 No.-

        The major place for inspection (sightseeing) for Joseon people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was ‘The mainland, Japan’. Parties joining in inspection visits focused on strong ties with Japan and felt a sense of belonging for ‘Japanese things’ rather than ‘Korean things.’ While touring, they discovered Japan and became imprinted with the power and status of Japan. In 1920, a new place of inspection emerged which was ‘Colonized Taiwan.’ To show off the colonization model of Japan that was Taiwan both locally and internationall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Taiwan held a fair to celebrate the 20th anniversary of administration in 1916. With this event, the Koreans began to inspect Taiwan in earnest. In the cultural governance era, the inspectorate consisted of Japanese senior government officers and some Koreans who cooperated with them. The top officers in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reviewed the performances of Taiwan critically, which was 15 years ahead of Joseon, and examined the feasibility of colonization in Joseon based on these accomplishments. They checked the superiority of the colonized countries and tried to find methods of management in the Colonial Era, to seek ways of smoothly assimilating the Koreans into Japan. On the other hand, the Koreans in the inspection team had similar identities with the Japanese but they were eager to be Japanized more than anyone else. In addition, they compared the fulfillment of Taiwan with Korean`s deficiency and inferiority, and stressed that the Joseon which lagged behind had to learn from Taiwan. They considered that ‘their tradition’ was the reason of the absence of the Japanese cultures that Taiwan had, and agreed with assimilation and enlightenment. In their inspection reports, the official and personal reviews were mixed. In writing reports, the Japanese concentrated on the assimilation of the colonized countries and Japanese imperialism represented by ‘the Mainland Extension Policy’. On the contrary, Korean inspectors tried to stress the importance of Japanese ruling for modern enlightenment as well as the appropriateness of assimilation, ‘expression of cooperation’ and ‘logics of self-denial’. For Japan, both Korea and Taiwan were ‘the incomplete examples of colonization’ and the places where the experiences in each country could be shared to expand Japanese imperialism.

      • KCI등재

        한계 이승희의 곡부(曲阜) 방문 소회와 현실인식 고찰 - 『서유록(西游錄)』 소재 한시를 중심으로 -

        한길로 ( Han Gil-ro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21 어문론총 Vol.87 No.-

        과거 연행로 밖의 중국 지역을 방문하는 조선 지식인은 매우 드물었다. 유교의 본향(本鄕)이라 할 수 있는 산동성 곡부를 다녀온 인사들도 또한 극히 소수로, 곡부는 그 상징성에 비해 관련 작품 또한 대단히 적었다. 하지만 20세기라는 특수한 환경이 도래하면서 곡부에도 한국 유림의 발걸음이 점차 다다르게 되었다. 『서유록(西遊錄)』(1914)은 한계 이승희(韓溪李承熙, 1847∼1916)의 곡부 방문을 담고 있는, 근대 초기 곡부 관련 한문학 작품이다. 본서는 곡부를 방문하여 그곳 인사들과 교류하며 향후 한 · 중 유림의 협력과 합작의 기초를 닦던 이승희의 모습과 함께, 풍전등화와 같던 시대 배경 하에서 곡부를 바라보는 한국 근대 유림의 시선을 대표적으로 담고 있다. 즉 근대기 한국 유림의 곡부방문의 맥락과 실정을 담고 있는 초기의 기록이자, “연행록” 이후 중국과 관련된 한문 기행문 창작 양상을 대단히 잘 담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특히 그의 시에는 선현(先賢)들의 자취를 직접 몸소 체험하게 된 것에 대한 기대와 설렘의 감정과 함께, 신해혁명 이후 세도의 변천으로 위기에 빠진 ‘현실적’ 상황에 대한 우려와 불안이 누차 표출되었다. 더욱이 목도한 곡부의 실상 역시 그의 예상과 다소 어긋나자, 성지에 대한 기대에는 점차 실망과 한탄이 더해져 보다 복잡해져 갔다. 즉 이제 곡부(曲阜)는 과거와 같은 단순한 동경이나 사모의 대상이 아닌 한·중 유림의 ‘합작’을 통해 지켜야 할, 존망의 기로에 놓인 불안한 ‘성역(聖域)’임을 드러낼 수밖에 없었다. In the past, Korean intellectuals could not visit China, which was not an official route. The Qufu of Shandong Province, which is regarded as the sacred place of Confucianism and the origin of Chinese civilization, was also not easily accessible. It was a space that could not be easily visited unless it was under special circumstances, but it was a place of longing for many intellectuals to visit. In other words, after the 20th century, there was an opportunity to visit Qufu. Lee Seung-hee is a Confucian scholar of the modern era who visited Qufu for the first time, and 「Seoyoulok(西遊錄)」is the first book related to Qufu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is book is a literary work that records the exchange of Confucian scholars from Korea and China and the appreciation of visiting Qufu. Lee Seung-hee, who visited Qufu in 1914, witnessed the Confucian holy site and expressed his feelings through poetry. However, the 20th century was a crisis in Confucianism and a time when Confucius' authority fell. Therefore, he expressed his concerns and anxiety about the present and future. For him, Qufu was a place of admiration, but it was a sacred place to be preserved at the same time.

      • KCI등재

        전시체제기 조선 유림의 일본 체험과 시회 풍경 - 『조선유림성지순배기(朝鮮儒林聖地巡拜記)』를 중심으로-

        한길로 ( Han Gil-ro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4 국제어문 Vol.62 No.-

        일제는 문화통치의 일환으로 내지시찰을 크게 활용하고자 했다. 시찰을 통해 일본의 근대성을 과시하고 조선병합의 합리성을 체현시키며 조선의 전근대적 면모를 스스로 각성케 하여, 향후 일제 통치의 조력자로 만들려는 목적으로 추진되었다. 이러한 일본 시찰의 주요 대상자들 중 하나가 바로 유림들이었다. 이는 이전시대부터 형성된 유림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아직 해체되지 않았음을 인지한 일제가 이들을 통해 지역 사회를 새롭게 재편하고 또 이들의 영향력을 활용하여 조선민중의 저항의식을 차단하려는 의도였던 것이다. 이러한 양상으로 전개된 시찰은 전시체제기(1939∼1945)에 이르러 황국신민화와 전쟁동원에 중심을 두는 시찰로 다소간의 변화가 생긴다. 기존의 `내지시찰단`이 `성지참배단`으로 전환되어 구성된 것이다. 이 시기에도 유림은 성지참배단의 주요 대상자로 지목되었는데, 이들은 대개 `신국 일본의 본연을 체험하고 일본의 황도유학을 조선에 이식시키려는 목적`으로 일본행에 올랐다. 이러한 당시 참배단의 성격과 성지참배의 목적, 또 이에 대한 유림계의 대응은 『조선유림성지참배기』(1943)에 잘 드러나 있다. 이 책은 조선유도연합회 소속 전국 대표 유림(17명)의 19일간의 성지참배(1941)에 관한 기행문(일본어)과 한시를 수록하고 있는데 책은 당대 유림의 인적구성과 성격, 또 일제가 그들에게 주입시켜 확산시키고자 했던 황도유학의 일면을 여실히 담고 있다. 결론적으로 이들의 기행문과 시들은 일본을 배경으로, 일어와 한문으로 작성된 친일 문학의 특수한 일면을 반영하고 있다. 즉 일본을 성지화하고 천황을 절대화하여 조선인의 황국신민 의식을 북돋아 장차 전쟁동원에 활용하려는 일제에 동조한 유림들의 굴절된 내면과 제국주의와 자본주의 그리고 천황제와 결합된 근대 일본 황도유학의 반유가적 실상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in Joseon wanted to take full advantage of Japan tour in `cultural governance`. The tour was implemented as a policy intended to create collaborators in the Japanese colonial rule by parading the modern Japan, embodying the rationale for the annexation of Korea, and voluntarily perceiving the pre-modern appearance of Joseon. Principal targets of the Japan tour was the Korea Confucian scholars.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intended to reshuffle the regions of Joseon to its convenience through the Confucian scholars and take advantage of their influence in suppressing the resistance of Korean people. During the Wartime Period (1939-1945), the previous tour group turned into Holy Land Pilgrimage Group. At the time, the Confucian scholars became the main candidates for the Holy Land Pilgrimage Group, most of whom were tapped for the touring group with the purpose of experiencing the essence of `Japan as the country of god` and transplant the Japanese Confucianism in Joseon. The book includes the travel epilogues and Sino-Joseon poetry written by seventeen Joseon Confucian scholars representing Joseon as members of Joseon Federation for Confucianism, who had their nineteen-day Holy Land Pilgrimage in 1941. It clearly shows the demographics and character of the contemporary Joseon Confucian scholars while reflecting the logic for the policy for creating Japanese imperial subjects out of Joseons. The travelogues and poetry deserve attention in that they demonstrate the distorted Confucian ideology that praised Japan as the Holy Land, Imperialism and Capitalism, as well as the anti-Confucian reality of the modern japanized Confucianism, which was combined with the emperor worship.

      • KCI등재

        대계 이승희의 『달폐일기(達狴日記)』의 창작 배경과 인물형상 연구

        한길로 ( Han Gil-ro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0 嶺南學 Vol.0 No.74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수많은 민중들과 유림들이 이에 저항했다. 구한말 한주학파(寒洲學派)를 이끈 이진상(李震相)의 아들 이승희(李承熙) 역시 이등박문으로 대표되는 일본 세력과 을사오적과 같은 매국대신을 매섭게 성토하며, 오적(五賊)을 척결하고 조약을 파기하라는 상소를 올리려 상경했다. 하지만 이후, 대구경무서(大邱警務署) 소속의 순사(巡査)와 순검(巡檢)의 손에 이끌려 1905년 12월 6일(음력) 대구옥(達狴)에 갇힌 수인이 된 이승희는 이듬해 4월 7일까지, 약 103일간의 옥고를 치르게 된다. 『달폐일기』는 수인이 된 그가 ‘대구옥’에서 경험한 것들을 담고 있다. 『달폐일기』는 일기라는 표제와 형식을 갖고 있지만, 보통의 일기와는 다른 특징을 갖고 있다. 하루하루의 일과 그에 대한 자신의 사유를 차분하게 ‘기록’하여 소장하려는 의지보다는, 자신이 감옥에 갇힌 상태에서 경험하고 느꼈던 것들을 타인에게 생생하게 ‘전달’하기 위한 의지가 깊게 반영되어 있었다. 일기 속 이승희 자신은 일본 경찰의 겁박을 모두 물리치고 나아가 심문과정에서는 을사조약의 합법성과 통감부 설치의 정당성을 모두 논박하는 인물이었다. 또한 계속되는 겁박과 회유에도 그는 자신의 “직분”을 다할 뿐이라는 입장을 고수했다. 결국 감옥에서도 그는 자신의 직분을 다하며 일본과 투쟁했던 경험을 ‘일기’의 형식을 통해 자신의 문중과 그리고 식자층에게 전하고 있었다. 국가는 존망의 위기에 직면했지만 개인은 그것에 굴복하지 말고 자신의 “직분”을 다하며 함께 국난을 극복하기를 기대했던 것이다. 요컨대 그의 일기는 일기라는 표제와 ‘형식’을 하고 있지만, 기존의 ‘일기’류에서는 발견하기 어려운 빼어난 현장감과 생동감 있는 ‘내용’을 전하고 있었다. 즉 이 작품은 을사조약 직후 저항 유림의 구국의지와 불굴의 정신을 대단히 잘 보여주는 ‘대화체 한문일기’라고 할 수 있다. When the “Treaty of Eulsa(乙巳條約)” was signed in 1905, many people and Confucian scholars resisted. Lee Seung-hee also rejected Japanese rule and strongly criticized the “Five Eulsa Traitors(乙巳五贼)”. He wrote to the king, asking him to destroy the treaty and punish the Five traitor. However, he failed to do this and he went to Daegu Police Station with Japanese police. The theme of this diary is Lee Seung-hee's prison experience and records conversations with Japanese police in prison. He lived in a prison at Daegu Police Station from December 6, 1905 to April 7, 1906, and all of them lived in prison for 103 days. In his diary 「Dalpe-ilgi(達狴日記)」, Lee Seung-hee was threatened by Japanese police, but with confidence and dignified attitude, he tolerated their threats. He also argued that the treaty of 1905 should be destroyed, saying that it was illegal and irrational. In this background, his diary is different from the diary in the general sense. So it is not an individual record but a historical record, and the narrative structure is more like a novel than a diary. Through his diary, he told him not to grieve about reality, but to resist it with courage, and that he would do it if he had to. n other words, you have to be faithful to your “personal duties(職分)”. He thought it was the only de facto way to rescue and advance a difficult country. In summary, his diary is not highly complete. But he showed a more realistic and lively literary sense than a diary. His diary is a representative novel diary that shows the spirit of resistance Confucianists and the beliefs of the coun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