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하천 생태학의 발전과 우리나라 하천 연구의 현황

        주기재,김현우,하경,Joo, Gea-Jae,Kim, Hyun-Woo,Ha, Kyong 한국생태학회 1997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ol.20 No.1

        The development of stream ecology, especially the progress of that field in North America, has been briefly reviewed, and stream studies in Korea were analyzed through literature survey. During the last two decades, theoretical advances in stream ecology and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stream ecosystem were made from the studies mainly in North America. Early studies (1960-1970) focused on determination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controlling the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organisms dwelling in streams. Introduction of conceptual development, such as the functional feeding concept, river continuum concept, and nutrient spiraling was notable in the late 70's and the 80's. For last 20 years, experimentation approaches to apply ecological principles were very fruitful in the understanding of community structure. Even though studies on the stream ecosystem is Korea have a long history, most of works were concentrated on limited subjects: water quality, abundance and distribution of aquatic insects and fishes. Basic ecological attributes of stream organi는 and test of ecological principles have rarely been a subject of research topics. We must concentrate our effort to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stream and river ecosystem through qualitative, experimental and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부산·경상남도의 상류하천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부착조류 생체량의 분포

        하경,박성배,김현우,김진수,주기재 ( Kyong Ha,Sung Bae Park,Hyun Woo Kim,Jin Soo Kim,Gea Jae Joo ) 한국하천호수학회 1997 생태와 환경 Vol.30 No.4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chlorophyll-a distribution of the epilithon at the 12 sites of 6 headwater streams in Pusan and Kyongsangnam-do province studied bimonthly from April 1994 to March 1995. Even though all study sites shawed softwater nature, the basic limnological parameters showed wide ranges of variation (alkalinity. 6∼16 mgCaCO_3/l; conductivity, 30∼76μS/cm: pH, 6.4∼7.3: TN, 0.5∼2.1 mg/l; TP. 64∼312㎍/l, n=12). Generally, low chlorophyll-a (4.8±1. 1 mg/m^2) was observed from 1st and 2nd order streams, whereas higher chlorophyll-a (22. 1 ±11.5 mg/m^2) was observed from larger streams. The chlorophyll-a in the summer (7.4±5.1 mg/m^2) was lower than that of the winter (14.2±14.5 mg/m^2) due to precipitation and riparian vegetation. Larger streams with high light input tended to have higher chlorophyll-a.

      • KCI등재후보

        낙동강 하류에서 수서무척추동물에 의한 정수식물의 낙엽분해

        김구연(Gu Yeon Kim),주기재(Gea Jae Joo),김현우(Hyun Woo Kim),신건성(Geon Seong Shin),윤해순(Hae Soon Yoon) 한국하천호수학회 2002 생태와 환경 Vol.35 No.3

        Leaf litter breakdown rates of the Phragmites australis, Ziznia latifolia and Typha angustifolia were determined at the lower Nakdong River from Nov. 1998 to Sept. 1999. The relationship between leaf litter breakdown of three and abundance of aquatic invertebrates was investigated. Aquatic invertebrates collected in the litterbags were 11 family, 11 species(mean density: 222 ind./㎡, n=792), and Chironomidae was dominant. Mean density of Chironomidae in the litterbag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aquatic plant species: Z. latifolia(180 ind./㎡, n=264) T. angustifolia(187 ind./㎡, n=264) P. australis(95 ind./㎡, n=264). The breakdown of Z. latifolia was the shortest, and that of T. angustifolia was shorter than P. australis. Overall, the breakdown rate at floating layer was faster than that of submerged layer in all of three species and differences of the breakdown rate between open bags and closed bags were not found.

      • KCI등재

        신속평가방법(Rapid Assessment Method)을 이용한 습지평가 및 평가항목의 개선

        최종윤,김성기,윤종학,주기재,Choi, Jong-Yun,Kim, Seong-Ki,Yun, Jong-Hak,Joo, Gea-Jae 한국하천호수학회 2017 생태와 환경 Vol.50 No.3

        국내 습지의 가치와 등급을 평가하고 적용방안을 고찰하기 위해, 경상남도에 위치한 146개 습지를 대상으로 신속평가방법 (Rapid Assessment Method)을 이용한 습지평가를 수행하였다. 각 습지에서 평가된 8개 대항목과 주변 피복 비율 간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Self-Organizing Map(SOM)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패턴분석을 실시하였다. 총 8개의 항목 중, '식생다양성 야생동물 서식처'와 '미적 레크레이션' 항목 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대부분 2~3등급의 가치를 가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SOM 분석 결과, 식생다양성 야생동물 서식처 항목이 높은 습지에는 대부분 어류 양서 파충류 서식처 항목이 낮은 성향을 보였는데, 이는 어류 등은 식생다양성이 높은 지역을 선호하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습지 내 수생식물의 높은 풍부도는 미적인 부분을 충족시키기 때문에 미적 레크레이션 점수가 높은 습지는 대부분 식생다양성 야생동물 서식처가 높았다. 또한, 침식조절 기능의 경우 홍수 저장 조절 기능과 밀접하게 관련되며, 침식조절 기능이 높은 습지는 홍수 저장 조절 기능 또한 높은 경향을 가진다. 국내 습지에 신속평가방법을 적용한 결과, 일부 항목이 국내 습지 특성이나 범위에 맞지 않아 개선이 요구되며, 습지 보전 측면에서 '접근성'이나 '시각적 개방성' 등 항목들은 점수 체제의 전환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신속평가방법을 국내 습지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항목 내 평가기준의 조정 혹은 세분화, 현실화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신속평가방법을 이용한 등급화는 습지의 보전이나 관리 방안 마련에 중요한 지표로서 활용될 수 있으며, 잔존하는 습지를 보존하여 멸종위기종 등 생물상 유지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n order to consider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value and class of domestic wetland, we investigated 146 wetlands located Gyeongsangnam-do using Rapid Assessment Method (RAM). We utilized Self-Organizing-Map (SOM) to analysis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on index and land coverage ratio surrounding wetland. Among total 8 evaluation index, 'Fish and herptile habitat' and 'Aesthetic value' were higher, most of the wetlands evaluated as 2, 3 grade. Result of SOM analysis, 'vegetation diversity and wild animals habitat' is negatively related to the 'Fish and herptile habitat', because fishs were not prefer habitat excessively occupied by plant. However, high vegetation diversity can be support high score of 'Aesthetic' in wetland. Also, 'Erosion control' and 'Flood storage and control' were closely related, wetlands with high score of 'Erosion control' have high score of 'Flood storage and control'. When applied RAM in domestic wetland, six out of 6 evaluation index induced biased results, the index of RAM need a little change as some new or modify evaluation index. Therefore, we consider to need adjustable, subdivide, and actualization of some evaluation index for application of RAM in domestic wetlands. Consequently, wetland assessment and class using RAM can be utilized as important indicate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wetland, and contributed greatly to maintain biodiversity include to endangered species by preserving remaining wetland.

      • KCI등재후보

        산지하천에서 빛가 초식에 의한 부착조류의 생체량변화

        김현주,윤해순,김진수,김현우,주기재 ( Hyun Joo Kim,Hae Soon Yoon,Jin Soo Kim,Hyun Woo Kim,Gea Jae Joo ) 한국하천호수학회 1997 생태와 환경 Vol.30 No.4

        Effects of light and grazing on the biomass development of periphyton were evaluated using natural and artificial substrata (unglazed tile: 3.7×9.5x2cm) in a partially shaded 2nd order mountain stream. In open canopy (relative light input 20∼50%), a relatively high biomass (chl. a: 9.5±3.0 mg/m^2, n=25) was maintained than that of closed canopy(<6% of light input. 3.2±0.9 mg/m^2, n= 17). Due to shading and frequent rainfalls, biomass was lower during the summer than in the spring and winter. During the spring, colonization of periphyton on artificial substrata occurred faster than in winter and it took a minimum of 5∼6 weeks to reach the biomass of natural substrata (8∼9mg/m^2). When snails were allowed to freely enter the chamber (mean density: 114 ind./m^2) with artificial substrata, biomass accumulation (chl. a, AFDW) was low compared to the snail excluded enclosure (50∼90% of ungrazed substrata). It was concluded that the light input on periphyton biomass In a partially shaded stream played a more important role than glazing.

      • 저수지 상ㆍ하류 생태통로 실태조사 및 구축방안마련

        최은희 ( Eunhee Choi ),이승헌 ( Seung Heon Lee ),주기재 ( Gea-jae Joo ),정광석 ( Kwang-seuk Jeong ) 한국농공학회 2011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1 No.-

        저수지의 둑을 높이는 과정 및 준공 이후에 걸쳐 파생되는 다양한 물리적 교란 상황은 현재 저수지 수체 내부 및 주변에 서식하는 생물상 분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국내에는 18,000여개의 농업용 저수지가 산재하여 있고, 담수 부존량의 상당부분을 농업용 저수지가 담당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표면적 기준), 농업용 저수지를 서식처로 활용하는 생물상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실정이다. 특히, 저수지 증고사업 시행 시 생물서식처에 대한 배려가 포함되지 않을 경우, 서식처의 단절을 야기할 수 있으며, 이는 서식처 파편화 (fragmentation)를 초래하여 생물자원 개체군의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농업용 저수지 둑높이기 사업 실시 중 저수지 내, 그리고 저수지 주변에서 서식처 단절로부터 생물상을 보호할 수 있는 생태계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저수지 둑높이기 사업」추진 단계에서 생물분류군 분포를 보호할 수 있는 생태계 네트워크 구축 방안을 모색하고, 저수지의 현재 상황과 비교하여 서식처 보전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저수지 생태통로 실태는 문헌 검토를 통해 수행되었다. 국내 문헌은 대부분이 영향평가보고서이며, 대체로 저수지의 유형, 수질, 저류량에 관한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국외문헌에서는 생물종과 서식처를 별개로 보지 않고 하나의 묶음으로 보고, 생태계 내에 존재하는 요소(entity), 연계성 혹은 상호관계(process), 환경(environment or landscape)을 수준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접근하여야 하고, 서식처의 보존을 통한 생물상 관리의 경우 인위적인 활동이 발생할 수 있는 곳으로부터 주요 서식처까지 완충구역(buffer)을 설정하고, core habitat을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방안이 강조되고 있다. 저수지 수질의 경우는 대체로 양호한 수질을 보이는 저수지가 많이 있으나, 수계별 위치별 편차가 심하였다. 포유류 및 조류에 의해서 생물분류군 등급화가 크게 영향을 받지만, 저수지내 혹은 주변에 서식하는 어류 및 양서ㆍ파충류는 현장조사 결과 보호종이 거의 확인되지 않은 상태였다. 문헌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수질상태가 양호하고 생물분류군의 전체종수와 보호종수가 비교적 많이 분포하는 저수지를 목록화하여 수질/생물분류군 복합관리 우선순위 설정(안)을 마련하였다. 이들 저수지는 우선적으로 생물상과 수질의 보전 방안이 강구되어야 하며, 그 외 저수지 역시 보다 정밀한 생물상 조사가 실시될 경우 심도있는 보전 수준이 제시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생태네트워크 구축(안)은 서식처의 단절성 회복 필요성, 제당 신축시 고려사항 및 저수지 공사 중 고려사항을 내용으로 마련되었다.

      • KCI등재후보

        비선형 시계열 하천생태모형 개발과정 중 시간지연단계와 입력변수, 모형 예측성 간 관계평가

        정광석,김동균,윤주덕,라긍환,김현우,주기재,Jeong, Kwang-Seuk,Kim, Dong-Kyun,Yoon, Ju-Duk,La, Geung-Hwan,Kim, Hyun-Woo,Joo, Gea-Jae 한국하천호수학회 2010 생태와 환경 Vol.43 No.1

        In this study, we implemented an experimental approach of ecological model development in order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input variable selection with respect to time-delayed arrangement between input and output variables. Time-series modeling requires relevant input variable selection for the prediction of a specific output variable (e.g. density of a species). Inadequate variable utility for input often causes increase of model construction time and low efficiency of developed model when applied to real world representation. Therefore, for future prediction, researchers have to decide number of time-delay (e.g. months, weeks or days; t-n) to predict a certain phenomenon at current time t. We prepared a total of 3,900 equation models produced by Time-Series Optimized Genetic Programming (TSOGP) algorithm, for the prediction of monthly averaged density of a potamic phytoplankton species Stephanodiscus hantzschii, considering future prediction from 0- (no future prediction) to 12-months ahead (interval by 1 month; 300 equations per each month-delay). From the investigation of model structure, input variable selectivity was obviously affected by the time-delay arrangement, and the model predictability was related with the type of input variables. From the results, we can conclude that, although Machine Learning (ML) algorithms which have popularly been used in Ecological Informatics (EI) provide high performance in future prediction of ecological entities, the efficiency of models would be lowered unless relevant input variables are selectively used.

      • KCI등재후보

        연어(Oncorhynchus keta)의 밀양강 분포 및 소상 한계선 파악

        홍동현,성기백,고의정,정은송,조현빈,주기재,Hong, Donghyun,Seong, Ki Baik,Ko, Eui-Jeong,Jung, Eunsong,Jo, Hyunbin,Joo, Gea-Jae 한국하천호수학회 2020 생태와 환경 Vol.53 No.4

        본 연구는 낙동강지류인 밀양강에 소상한 연어를 대상으로 소상, 산란 분포를 최초로 파악하고 소상 한계선을 확인하였다. 2020년 10월 25일부터 11월 28일까지 확인된 개체들 중, 사체는 전장을 측정하고 암-수 구별을 하였다. 조사 결과 총 40개체의 연어를 발견하였으며 이 중 사체는 25마리, 살아있는 개체는 15마리였다. 대부분 산란장으로 판단되는 지점 인근 수변부에서 살아있는 개체와 사체가 발견되었다. 연어의 소상 한계선 파악의 경우 연어가 소상할 수 없는 형태의 보가 등장할 때까지 상류방향으로 이동하여 확인하였으며, 밀양강 본류의 경우 예림교 기준 상류 13 km, 지천인 단장천의 경우 밀양강 합류부에서부터 12 km까지 연어의 소상이 가능할 것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연어가 소상하기 위한 보의 철거 및 어도설치와 같은 하천연결성 확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며, 연어의 치어생존률을 높이기 위한 산란장 및 미소서식처 자연성 확보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we carried out a distribution and migration boundary lines of chum salmon (Oncorhynchus keta) in the Milyang River. We measured the total length of dead chum salmons. As a results, 40 chum salmons were found during the study period, 25 dead salmons and 15 alive individuals. The ratio of female was 64%. We verified the migration boundary lines of chum salmons based on a sighting survey until detecting a structure that chum salmons are not able to migrate upstream. We discovered that chum salmons were not able to migrate up to 13 km in a mainstream of the Milyang River and up to 12 km in the Danjang stream (a tributary of the Milayang River) from upstream of the Yerim Bridge. Therefore, our results indicate that Milyang River should improve a river connectivity by demolishing weirs that disturb chum salmon's migration or installing appropriate fishways. Also, effective legislations are needed to retain naturality in spawning ground and micro-habitats to increase the survival rate of parrs and smo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