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안경형 히어러블 제품의 사용자 경험 평가 연구 ‒ 정글 팬서 중심으로

        석아영(Seok, Ayoung),최용순(Choi, Yongsoon)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20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9 No.4

        연구배경 웨어러블 시장 발전에 따라 1세대에서는 사람들에게 익숙한 웨어러블 아이템과 웨어러블 기능이 서로 연결되는 방향으로 제품이 생산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히어러블은 소리 재생을 위한 웨어러블 제품으로 향후 웨어러블 시장에서 주요 제품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상생활에서 사용 가능한 스마트 글래스 등 안경형 웨어러블 제품들이 발전을 이끌기 위해 안경형 히어러블에 대한 디자인 가이드라인과 사용자 경험 평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안경형 히어러블인 정글 팬서 1세대 제품을 중심으로 안경형 히어러블 제품에 대한 사용자 경험 평가 요소를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안경형 웨어러블 제품의 특성과 히어러블 제품의 특성 그리고 정글 펜서에 내장된 골전도 스피커의 특성을 이해하고, 안경형 웨어러블 제품에 대한 사용성 평가 요소들과 소리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 경험 평가 요소들을 기반으로 전문가 회의를 통해 최종 27개의 안경형 히어러블 제품에 대한 사용자 경험 평가 요소를 추출하였다. 실제 사용자 실험을 위해 피터 모빌의 허니콤 사용성 모델을 기초로 추출한 27개의 사용자 경험 평가 요소를 다시 재분류하여 8개의 최종 안경형 히어러블 제품에 대한 사용자 경험 평가 요소를 정리하였다. 연구결과 최종 정리된 평가 요소는 Useful, Usable, Desirable, Findable, Accessible, Credible, Valuable 및 소리 재생과 관련한 경험으로 Audible 항목을 추가하여, 설문 및 인터뷰를 위한 질문지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기준 및 요소들의 확인을 위한 파일럿 조사를 진행하여 HMD 및 안경형 웨어러블 제품의 사용 경험이 있는 5명의 실험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팬서 제품을 일상생활에서 사용하게 하였다. 이후 개발한 안경형 히어러블 제품에 대한 사용 경험 평가 요소를 기초로 한 5점 척도 설문 조사 및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안경형 히어러블 제품의 사용 경험에 대한 전반 내용과 보완이 필요한 평가 요소들에 대해 분석하였다. 결론 제품의 기능에 대한 사용성보다는 패셔너블한 디자인과 착용감 등 제품의 기능적 사용 경험 보다는 착용 및 디자인 관련한 사용 경험에 더 민감한 것으로 보였다. 향후 안경형 웨어러블 미디엄의 특성을 고려해 제품의 디자인 및 심리적 경험에 대한 평가 요소들과 정량적 연구를 보완한 후속 연구를 통해, 보다 일반적인 안경형 히어러블 디자인 가이드라인과 사용자 경험 평가 모델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Background It is expected that the wearable products will be produc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amiliar wearable items and wearable function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first generation of the wearable market. The Hearables is a wearable product for sound reproduction and is expected to grow into a major product in the wearable market in the future. As eyewear wearable products such as HMD and AR glasses are developed, research on Hearables’s design guidelines and user experience evaluation is required. Methods This research is about the user experience evaluation factor for Hearables products focusing on the first generation Zungle Panther, which is a glasses-type wearable Hearables. This study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glasses-type wearable products, the characteristics of Hearabl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bone conduction speaker built into the jungle fencer. Then an expert meeting was executed for extracting usability evaluation elements for glasses type wearable Hearables. Through this, 27 usability evaluation elements were extracted for the final experiment based on Peter Morville’s Honeycomb usability model. For actual user experiments and final 8 user experience evaluation elements of Hearables were reclassified and summarized. Result The finalized evaluation elements were Useful, Usable, Desirable, Findable, Accessible, Credible, Valuable. And Audible element was added as experiences related to sound reproduction and a questionnaire for survey and interview was developed. In order to conduct a pilot research on this, 5 users who had experience using HMD or glasses-type wearable products were asked to use Zungle Panther products in their daily lives for one day, and then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after a user experience evaluation of 5-point scale on Hearables and the factors for evaluating user experience were analyzed. Conclusion It seemed to be more sensitive to the wearing and design-related experience than the functional experience and usabilities of the product.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wearable medium, evaluation factors for product design and psychological experience should be supplemented and quantitative research should be supplemented in follow-up research.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Hearables design guideline and usability evaluation model that can be applied to future eyewear-type wearable products based on the follow-up research.

      • KCI등재

        An Analysis of Instagram Hashtags Related to the Exhibitions in Korea

        Jihyun Park(박지현),Ayoung Seok(석아영),Youngjun Yoon(윤영준),Boa Rhee(이보아)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Instagram hashtags related to the exhibitions as a online communication platform of museums. At the same time, it focuses on efficiency of hashtags as a reference framework of inferring viewing experiences. We collect and visualize Instagram hashtags of exhibitions held in Korea for the past two years including ‘Paper Present (2017)’, ‘YOUTH (2017)’, ‘Monet, Draw Light Exhibition (2018)’, ‘Van Gogh Inside (2016)’, ‘Drawn by the Wind: Shin yun-bok & Jeong Seon’. To sum up, significant data related to viewing experiences are not derived, and hashtags as a reference framework of inferring viewing experiences are turned out to be inefficient. Meanwhile, we conclude that potential for distributing information about the exhibitions is inherent in hashtags. In terms of informational characteristics, we notice that the influence of hashtags related to regional information is presented more than the response toward the viewing experiences. This result shows that Instagram users in the exhibitions are worthy of place making rather than viewing experiences.

      • 인스타그램 해시태그 기반의 전시관람경험에 대한 반응 분석

        박지현(Jihyun Park),석아영(Ayoung Seok),윤영준(Youngjun Yoon),이보아(Bo-A Rhee)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8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박물관 3.0시대의 도래와 함께 박물관 경영 측면에서 빅데이터 분석, 그리고 공유와 개방의 관점 및 커뮤니케이션 플랫폼과 마케팅 도구로써 소셜 미디어의 영향력이 증대되고 있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나 비콘에 의존했던기존의 박물관 빅데이터 분석과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전시에 대한 인스타그램의 해시태그를 분석함으로써, 관람객 분석도구로써 인스타그램 해시태그의 효용성과 가치를 입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최근 2년 동안 국내에서 개최된 다섯 개의 전시의 인스타그램 해시태그를 수집 및 시각화했다. 그 결과, 모든 전시의 인스타그램의 해시태그는 전시명, 전시장소, 전시회, 지역명, 작가명에 집중되었다. 결론적으로 인스타그램의 해시태그는 전시관람 경험에 대한 분석을 위한 빅데이터로 사용하는 것이 부적합했다. 또한 관람객 개발을 위한 도구로써 인스타그램 해시태그의 효용성과 가치는 입증되지 못한 반면, 노출형에 해당하는 해시태그의 정보 확산에 대한 잠재력은 확인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