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HA-3 최종 라운드 후보 Skein에 대한 부채널 공격 방법

        박애선,박종연,한동국,이옥연,Park, Ae-Sun,Park, Jong-Yeon,Han, Dong-Guk,Yi, Ok-Yeon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19 No.3

        NIST(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는 SHA-2의 대체 알고리즘 부재로 SHA-3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 되고 있는 중 이다. 2010년 최종 라운드 후보 5개가 발표되었고, SHA-3 최종 라운드 5개의 후보에 대한 부채널 공격 시나리오가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SHA-3 최종 라운드 후보 중 Skein에 대한 부채널 공격 시나리오를 32비트 레지스터를 사용하는 ARM Chip을 이용하여, 8 비트의 블록단위로 Divide and Conquer 분석이 가능함을 실험을 통해 증명한다. 9700개의 파형으로 128비트 키의 모든 비트를 찾을 수 있음을 실험으로 검증하였다. Due to the absence of an alternative algorithm SHA-2, NIST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is proceeding to development project of SHA-3. NIST announced five candidates of the final round at the end of 2010. Side-channel attack scenarios of five candidates for SHA-3 final round have been proposed. In this paper, we prove the possibility of the analysis against 32-bit modular addition by 8-bit blocks from our experiment on ARM chip board with a register size of 32-bit. In total we required 9700 power traces to successfully recover the 128-bit secret key for the attack against.

      • KCI등재
      • KCI등재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

        박애선(Park, Ae-Sun) 한국웰니스학회 2017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2 No.1

        이 연구는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Bronfenbrenner의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청소년의 개인수준, 가족수준, 학교수준, 지역사회수준의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NYPI)의 한국아동 · 청소년패널조사(KCYPS)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2013년 4차년도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 응답자는 2013년 기준 중학교 1학년 재학생이며, 총 2,092명의 응답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수들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건강상태, 자아탄력성, 양육방식(방임), 교우관계, 교사관계, 지역사회 인식, 공동체 의식이 다문화 수용성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둘째,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자아탄력성(개인수준), 교사관계(학교수준), 공동체 의식(지역사회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가족수준요인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즉,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교사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공동체 의식이 강할수록 다문화 수용성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을 높이기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ecosystemic factors that affect the multicultural receptivity of the youth. From Dr. Bronfenbrenner"s ecosystemic perspective, this study aims to analyze personal level, family level, school level, and community level factors that affect the multicultural receptivity.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utilized the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data of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NYPI) and used the fourth year data from 2013 in the final analysis. For the data used in the analysis, respondents were 7th graders in 2013 and a total of 2,092 responses were analyzed.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first of all, health, ego resilience, parenting style (laissez-faire), relationship with friends, relationship with teachers, community perception, and community spirit were the variables tha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multicultural receptivity. Second, ego resilience (personal level), relationship with teachers (school level), and community spirit(community level) affected multicultural receptivity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way, while the family level factor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ther words, multicultural receptivity increased if a respondent has a higher ego resilience, a better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a stronger community spirit. Based on this result, the study makes a recommendation for ways to increase the multicultural receptivity of the youth.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학교폭력 피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박애선(Park, Ae-Sun) 한국웰니스학회 2016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1 No.1

        이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학교폭력 피해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양육태도와 학교폭력 피해경험의 관계에서 또래애착관계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구지역 초등학교 6학년에 재학 중인 521명의 설문응답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또래애착관계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고,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학교폭력 피해경험은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또래애착관계와 학교폭력 피해경험은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학교폭력 피해경험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고,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학교폭력 피해경험의 관계에서 또래애착관계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학교폭력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몇 가지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desires to examine the effect of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youths recognize on victimization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and to analyze a mediated effect of peer attachment relation in relation between child-rearing attitude and victimization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To achieve this purpose, survey materials of 521 students in a 6th grade at elementary school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eer attachment relation, and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eer attachment relation and victimization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Second,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had a meaningful effect on victimization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and mediated effect of peer attachment relation was showed in relation between mothers’child-rearing attitude and victimization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Social welfare undertone was suggested to prevent school violence based on such results.

      • KCI등재

        자폐성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관계 연구

        박애선(Park, Ae-Sun) 한국사회복지학회 2012 한국사회복지학 Vol.64 No.1

        이 연구는 자폐성 장애아동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하기 위한 사회복지개입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Double ABCX 모델을 적용하여 자폐성 장애아동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 양육스트레스, 가족기능성, 사회적 지지 그리고 위기상황에 대한 가족의 재정의 요인들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대구시에 거주하고 있는 자폐성 장애아동 어머니 20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첫째, 자폐성 장애아 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사회적 지지, 가족기능성, 위기상황에 대한 가족의 재정의, 심리적 안녕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위기상황에 대한 가족의 재정의는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가족기능성, 사회적 지지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자폐성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사이에 가족기능성, 사회적 지지, 위기상황에 대한 가족의 재정의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가족기능성, 사회적 지지, 역량 강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an effective way for social welfare in order to promote psychological well-being of a mother having a child with autism.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ed factors of parenting stress, family functioning, social support, and redefinition of family affecting psychological well-being of a mother having a child with austin by way of applying the Double ABCX model. A survey was conducted with a sample of 207 mothers having a child with autism in Daegu. Results from the surve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impacts of parenting stress on social support, family functioning, the redefinition of family on crisis situ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family functioning and social suppor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mo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while the redefinition of family on crisis situation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others having a child with autism. Third, it turned out that family functioning, social support, and the redefinition of family on crisis situation played a mediating role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family functioning should be strengthened for promoting psychological well-being of mothers having a child with autism. We should construct and provide social supports in multilateral aspects and help mothers having a child with autism positively recognize stressful situations and improve their capacities to overcome them as well.

      • KCI등재

        학령기 자폐성 장애아 어머니의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박애선 ( Ae Sun Park ),이준상 ( Jun Sang Lee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2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8 No.1

        이 연구는 학령기 자폐성 장애아 어머니의 적응과정을 분석하기 위하여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가족기능성, 사회적 지지, 위기상황에 대한 가족의 재정의, 그리고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자료는 대구광역시에 거주하고 있는 학령기 자폐성 장애아 어머니 181명의 응답내용이다. 조사결과, 첫째, 학령기 자폐성 장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평균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고, 가족기능성과 위기상황에 대한 가족의 재정의의 평균은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령기 자폐성 장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가족기능성, 사회적 지지, 위기상황에 대한 가족의 재정의,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러나 학령기 자폐성 장애아 어머니의 가족기능성, 사회적 지지는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았으며, 위기상황에 대한 가족의 재정의 요인만이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학령기 자폐성 장애아 어머니의 가족기능성, 사회적 지지, 위기상황에 대한 가족의 재정의 요인들은 양육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사이에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학령기 자폐성 장애아 어머니의 적응과정과 안녕감을 증진하기 위한 개입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parenting stress, family functionality, social support, redefinition of family in dangerous situation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order to analyze the adjustment process of mothers of children with autistic disability in school age. Analysis data is based on responses of 181 mothers of children with autistic disability in school age, who live in Daegu cit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of parenting stress of parenting stress of the mothers of the children with autistic disability in school age was relatively low, and the average of the family functionality and the redefinition of family in the critical situations was high. Second, the parenting stress of the mothers of the children with autistic disability in school age were exerting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amily functionality, social support, redefinition of family in the critical situation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amily functionality and social support of the mothers of the children with autistic disability in school age were not exerting a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only a factor of redefinition of family of the critical situations was exerting a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it was found factors of family functionality of the mothers of the children with autistic disability in school age, social support, and redefinition of family in the critical situations play a role as a mediator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ased on this analysis, intervention programs were proposed in order to enhance the well-being and the adjustment process of mothers of children with autistic disability in school age.

      • KCI등재

        장애아동 어머니가 인식한 사회적 지지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박애선(Park, Ae-Sun),고강호(Koh, Kang-Ho)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6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0 No.4

        이 연구는 장애아동 어머니가 인식하고 있는 사회적 지지,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의 수준을 알아보고, 이들 간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증진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장애아전담어린이집을 이용하고 있는 장애아동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180명의 응답자료를 토대로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장애아동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는 양육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가 높아질수록 양육스트레스는 낮아졌다. 둘째, 장애아동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는 양육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적 지지가 높아질수록 양육효능감은 높아졌다. 셋째, 장애아동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와 양육효능감 사이에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증진하기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basic information to increase parenting efficacy of mothers of disabled children by examining a level of parenting efficacy, parenting stress, and social support mothers of disabled children realize and revealing a relation between them. To achieve this purpose, a survey is conducted targeting mothers of disabled children using day care centers for disabled children, and a study result is drawn based on answer materials of 180 mothers. First, social support of mothers of disabled children has a direct impact on parenting stress, and the higher social support of mothers, the lower parenting stress. Second, social support of mothers of disabled children has a direct impact on parenting efficacy, and the higher social support, the higher parenting efficacy. Third, there is a mediated effect of parenting stress between parenting efficacy and social support of mothers of disabled children.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searcher suggests a proposal to increase parenting efficacy of mothers of disabled children.

      • KCI등재

        자폐성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가족기능성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검증-

        박애선 ( Ae Sun Park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3 한국가족복지학 Vol.41 No.-

        이 연구는 자폐성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양육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족기능성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폐성 장애아동 어머니 173명의 설문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육스트레스의 평균은 2.75(SD=.73)로 중간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고, 가족기능성의 평균은 3.43(SD=.53)으로 이 연구의 주요 변인들 중에서 가장 높았으며, 사회적 지지의 평균은 3.14(SD=.66), 심리적 안녕감의 평균은 3.12(SD=.50)로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었다. 둘째, 자폐성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심리적 안녕감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자폐성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족기능성과 사회적 지지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자폐성 장애아동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하기 위한 사회복지적인 실천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impact of stress received by a mother parenting a child with autism on her psychological well-be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 of family functioning and social support in the impact of parenting stress on psychological well-being.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173 mothers with children with autism were taken as study subjects. Questionnaire survey was done with them and the result of answer sheet analysis is as following. First, the average of parenting stress was 2.75 (SD=.73), which was slightly higher than intermediate. The average of family functioning was 3.43 (SD=.53), which was the highest among the major variables in this study. The average of social support was 3.14 (SD=.66) and the average of psychological well-being was 3.12 (SD=.50). Both of them were on generally high level. Second, when the parenting stress of a mother with a child with autism became lower, her psychological well-being became higher. Third, it has been found that the family functioning and social support perform mediation role in the impact of parenting stress of mothers with a children with autism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Based on this result, a social welfare practice plan, which can enhanc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others with children with autism, has been suggested.

      • KCI등재
      • KCI등재

        성인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주간보호센터 이용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이준상(Jun-Sang LEE),박애선(Ae-Sun PARK),최형임(Hyung-Im CHOI)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1 상담심리교육복지 Vol.8 No.1

        이 연구는 성인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주간보호센터 이용 경험에 대한 의미를 분석하여 보다 나은 장애인 주간보호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성인 발달장애인의 어머니 4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고, 2018년 5월~8월까지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갈 곳이 있다는 것에 감사함’, ‘항상 대기하고 초조한 마음’, ‘시설 부족 및 정보의 사각지대’, ‘제한적인 주간보호프로그램’, ‘결국 가족의 몫인가? 자녀의 미래 및 부모 사후에 대한 두려운 마음’ 등으로 범주화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함의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better day care services for the disabled by analyzing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mothers who have grown-up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using a day care center.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four mothers who have grown-up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were using a day care center,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derive the resul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an be categorized into Thankful of having a place to go, Always on standby and edge, Lack of facilities, Information blind spot’, ‘Limited services, Is it ultimately up to the family? A fear of the future of children and after their parents death , etc. The study presented pract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