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뷰티 서비스 종사자의 직무배태성, 직무자율성 및 직무성과간의 관계

        임미지 ( Mi-ji Lim ),박은준 ( Eun-jun Park ) 한국미용학회 2021 한국미용학회지 Vol.27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eauty service workers' job embeddedness and job autonomy on job result. Based on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management strategy for efficient management. In this study, a total of 500 questionnaires for beauty workers working in Seoul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2.0.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omen and their twenties were the highest, and the job-level ranks were the highest.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job embeddedness of beauty service workers on job autonomy, it was found that sacrifice, connection, and suitability affect job autonomy.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job embeddedness on job result, it was found that job embeddedness affects job result.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job autonomy on job result, it was found that it partially affected job result. Therefore, if beauty service workers lead the long-term work of the workers by giving them the authority to make autonomous decisions on service work, presenting appropriate compensation according to work performance, and opening the possibility for promotion, efficient management can be drawn.

      • KCI등재

        단위분수에 대한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이해 분석 : 지도 맥락과 시각적 표현의 관점에서

        임미인 ( Lim Miin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8 수학교육 Vol.57 No.1

        Despite the significance of fraction in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t is not easy to teach it meaningfully in connection with real life in Korea.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nd analyze 3rd grade students’ understanding on unit fraction concepts and on comparison of unit fractions and to identify the parts which need to be supplemented in relation to unit fraction. For these purposes, I reviewed previous studies and extracted chapters which cover unit fraction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2009 revised curriculums and analyzed teaching contexts and visual representations of unit fractions. From this point of view, I constructed a test which consists of three problems based on Chval et al(2013) to investigate students’ understanding on unit fraction. To apply this test, I selected forty-one 3rd grade students and examined that students’ aspects of understanding on unit fraction. The results were analyzed both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In this study, I present the analysis results and provide implications and some didactical suggestions for teaching contexts and visual representations of unit fraction based on the discussion.

      • KCI등재

        온라인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스페셜티 커피 속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임미,윤대열,류기환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0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6 No.3

        Social interest on high-quality specialty coffee is increased due to customers’ growing experience upon coffee and recent change of coffee culture, which is taking one step further from putting emphasis on not just price and quality but also psychological satisfaction. As a culture of drinking coffee and giving much value on its taste and flavor, a number of customers increasingly demand coffee which is probable to suit one’s taste. Likewise, the number of specialty coffee shops is increasing with growing qualities of their coffe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ain attributes of specialty coffee and to build a marketing system for specialty coffee shops. The text mining on domestic web portal sites by online big-data analysis is used to extract components of properties of specialty coffee and analyze the degree of how the elements affect the properti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tudy, words related to coffee taste, coffee beans and baristas were found to play a central role in the properties of specialty coffee. 최근 커피분야에 대한 소비자의 높아진 인식과 가격대 품질보다 한단계 나아가 심리적 만족에 비중을 두는 커피문화의 변화로 고품질 스페셜티 커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커피를 즐기는 방식이나 맛과 향 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하나의 문화로서 기호에 맞는 커피를 제공받고자하는 고객이 늘어남에 따라 스페셜티 커피전문점의 수도 증가하고 있으며 제공되는 커피의 품질 또한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스페셜티 커피의 주요 속성을 분석하고, 스페셜티 커피 전문점에 필요한 마케팅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으로 온라인 빅 데이터 분석을 통한 텍스트 마이닝을 실시하여 스페셜티 커피의 속성을 형성하는 요소들을 추출하고 영향의 정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커피의 맛과 원두, 바리스타와 관련된 단어들이 스페셜티커피의 속성에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KCI등재

        학출활동가의 택시노조운동 결합 계기와 과정 - 서울ㆍ인천을 중심으로

        임미 한국구술사학회 2018 구술사연구 Vol.9 No.1

        이 연구는 1980년대 중후반 학출활동가들이 택시노조운동에 투신하게 된 배경과과정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인천 지역으로 한정했다. 택시노동자들이 지식인운동에 영감을 준 최초의 사건은 1980년 5월 광주에서 있었던 택시차량 시위였다. 이후 학출활동가와 현장노동자의 직접적인 결합은 1984년5월에 있은 대구택시시위를 전후해 이뤄졌다. 1984년 11월 30일 민경교통 박종만이 분신한 뒤 박종만추모사업회를 결성하는과정에서 제각기 활동하던 학출활동가들과 노조 설립을 추진하던 택시기사들이 결합했다. 이 과정에서 박종만의 부인 조인식이 학출활동가들과 택시기사들을 매개하는 역할을 했다. 1986년 초 발족한 박종만추모사업회는 이후 택시노조운동의 구심이 됐다. 서울의 경우 활동가들의 개별적인 동기가 크게 작용했다면 인천은 조직적 성격이강했다. 1987년 인민노련 소속 송영길이 인천기독교민중교육연구소 내 운수노동상담실를 운영한 것이 시작이었다. 인천도 서울처럼 운수노보를 발간했으며 김장수 열사장례투쟁을 계기로 현장노동자의 관계가 매우 밀접해졌다. 1988년 자동차노동조합연맹에서 전국택시노동조합연맹이 분리해 나온 뒤부터는서울과 인천 모두 지부장 선거에 결합한 뒤 지역지부를 장악해 활동했다. 이즈음부터1992년까지가 택시노조운동의 최전성기로 1987년 이후 서울과 인천의 택시노조는해마다 총파업투쟁을 전개했다. 서울과 인천은 활동가들의 결합 동기 외에 활동 양상도 달랐다. 인천이 서울에 비해 감성적이고 직접적인 방식이었다. 이것은 지역의 규모와 함께 결합 동기의 차이, 주요 활동가의 학번, 그리고 소속조직의 활동방식과 관련이 있었다. The study aims to establish the motive and process of student activists into the taxi workers’ movement from Seoul and Incheon in the 1980s and early 1990s. A demonstration by taxi workers took place during the 1980 Gwangju uprising, shocking the intellectual movement for the first time. Since then, when Daegu taxi protests broke out on May 25, 1984, Mincheongryeon and others issued a supporting statement. When Park Jong-man, a taxi worker burned himself to death on November 30, 1984, the student activists and the workers began to unite. Bae Kiu-Sik, who made the fact report in the Daegu taxi protests, met Park Jong-man's wife Cho In-sik. They established the Park Jong-man Memorial Association in early 1986, and this became the center of the taxi workers' union movement. Whereas activists in Seoul were heavily influenced by individual motives, their counterparts in Incheon had a more organizational nature. In 1987, Song Young-kil, a member of Incheon democratic labor union(Inminnoryeon) started operating a counseling office for drivers at the Incheon Christian Public Education Research Center. Incheon also issued traffic reports, as it did in Seoul, and due to the funeral struggle of martyr Kim Jang-so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ademic activists and field workers has become very close. After the Federation of Motor Workers' Union separated the National Taxi Workers 'Union in 1988, student activists in both Seoul and Incheon combined to vote for branch leaders to control their local chapters. Since then, taxi drivers' union has went on a general strike since 1987. Seoul and Incheon were different in their activities. Incheon was more emotional and direct than Seoul because of the difference in size of the regions and participation motive of the activists: personal motive or organizational determination.

      • KCI등재

        유아의 창의적 행동특성에 물리적, 심리적 가정환경이 미치는 영향: 유아의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의 매개효과

        임미나(Mina Im),신나나(Nana Shin) 인지발달중재학회 2020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1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물리적, 심리적 가정환경이 유아의 창의적 행동특성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유아의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를 통한 간접적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만 4~6세 유아 301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어머니 보고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여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부트스트래핑 방법을 통하여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연구결과: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가정환경 중 심리적 가정환경이 유아의 창의적 행동특성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이 유의하였다. 즉, 심리적으로 지지적인 가정환경일수록 유아가 창의적 행동특성을 더 보였다. 둘째, 물리적, 심리적 가정환경이 유아의 내적 동기를 통해 창의적 행동특성에 미치는 간접적 영향이 유의하였다. 즉, 가정환경이 물리적, 심리적으로 지지적일수록 유아가 높은 내적 동기를 가지고, 내적 동기가 높을수록 창의적 행동특성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유아의 외적 동기는 창의적 행동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매개변인으로 작용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는 가정환경이 유아의 동기를 통해 창의적 행동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통해 유아기 자녀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가정환경 조성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Objective: This study primarily aimed to explor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home environments through preschoolers’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in creative behavioral characteristics. Methods: A total of 301 (119 boys and 182 girls) children aged 4 to 6 years constituted the study subjects. All the questionnaires, including those on the home environment, children’s motivation, and creative behavioral characteristics, were completed by mothers. Data were analyz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a bootstrapping method was used to tes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mediation. Results: First, the psychological home environment had a direct effect on children’s creative behavioral characteristics. Second, both physical and psychological home environments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children’s creative behavioral characteristics through intrinsic motivation. Finally, extrinsic motivation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 between the home environment and the preschoolers’ creative behavioral characteristic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home environment plays a critical role in predicting children’s creativity, indicating the importance of fostering a supportive home environment.

      • KCI등재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심리 중재 연구의 통합적 고찰

        임미해 ( Im Mihae ),곽민영 ( Kwak Minyeong ) 한국간호과학회 정신간호학회(구 대한간호학회정신간호학회) 2021 정신간호학회지 Vol.30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core components of psychological intervention for firefighters by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Methods: Whittemore and Knafl’s integrative review methods was used to synthesize the literature.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and English were identified through seven electronic databases. Nineteen studies were ultimately selected that met the selection criteria for this review. Results: Through in-depth discussion and investigation of the relevant literature, three overarching components emerged: (a) resilience prevention for primary prevention, (b) early crisis intervention for secondary prevention, and (c) tailored recovery intervention for tertiary prevention. Conclusion: The three main components found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important evidence-based data when developing a psychological intervention for firefighters.

      • KCI등재

        인공지능 시대에서 기술 교육의 방향에 관한 고찰

        임미가(Lim, Mika) 한국실과교육학회 2020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3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인공지능 시대의 기술 교육에 대하여 고찰하고, 다가올 교육적 변화를 대비하고 선도하기 위한 유의미한 시사점을 얻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인공지능에 대한 교육, 인공지능을 활용한 교육, 기술 교육, 융합교육과정 등의 이론과 문헌을 고찰하였다. 고찰을 통해 얻은 연구의 결론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공지능의 발달은 우리의 가정생활, 기술의 세계 및 예술, 금융, 국방, 노동시장 등 사회 여러 영역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인공지능은 교육의 흐름도 바꾸었는데 미국에서는 인공지능연합회가 결성되어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을 위한 인공지능 교육과정을 체계적으로 계획하는 등 해외 여러 국가에서 인공지능 교육에 집중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인공지능을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AIED)은 크게 세가지 맥락으로 볼 수 있으며 그것은 비교적 구조화된 문제를 다루기에 적합한 지능형 튜터링 시스템(ITS), 반구조화된 문제를 다루기에 적합한 대화형 튜터링 시스템(DBTS), 비구조화된 문제를 다루기에 적합한 탐구학습 시스템(ELE)로 나눌 수 있었다. 넷째, 기술적 소양과 인공지능의 소양은 내용과 방법이 유사한 특성을 보였으며, 인공지능의 문제해결 과정은 문제인식, 데이터 탐색 및 분류, 알고리즘 선정, 적용 및 일반화로써 기술적 문제해결과정인 문제이해, 아이디어탐색, 실현, 평가와 유사한 과정을 보였다. 다섯째, 기술교육은 인공지능 융합교육에 있어서 ‘무엇을 융합할 것인가?’와 ‘어떻게 융합할 것인가?’ 에 대하여 고민하여야 한다. 즉, 내용적 측면에서 어떠한 개념과 지식을 융합할 것인지와 융합의 범위를 고민하여야 하며, 과정적 측면에서 어떠한 과정을 융합할 것인지와 융합의 범위를 고민하여야 한다. 이와 함께 무엇을 중심으로 융합할지 즉, 기술 교육 중심(TE-oriented)으로 융합할 것인지, 인공지능 중심(AI-oriented)으로 융합할 것인지 고민하여야 한다. 또한, 종합적인 관점에서 다양한 융합교육 실현의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실현 방안에는 기술적 문제해결의 특성을 활용하는 방안, 인공지능 교육 시스템(AIED)의 특성을 활용하는 방안, 기술 교육에 적합한 AIED를 개발하는 방안 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echnology education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o obtain meaningful implications to prepare a foundation for the upcoming changes. To this end, theories and literature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society, education on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education, and convergence curriculum were review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has had a great influence on various areas of society such as our family life, the world of technology, art, finance, defense, and the labor market.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changed the flow of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the AI Association was formed to systematically plan artificial intelligence curriculum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many countries abroad are focusing on AI education. And it was found. Third, a system that can utilize artificial intelligence for education (AIED) can be seen in three main contexts, an intelligent tutoring system (ITS) suitable for dealing with relatively structured problems, and an interactive tutoring system suitable for dealing with semi-structured problems. (DBTS) and Inquiry Learning System (ELE) suitable for dealing with unstructured problems. Fourth, technology education aims to cultivate technological literacy, and technological literac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showed similar characteristics in terms of contents and methods. Fif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roblem solv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 problem solving process of artificial intelligence is similar to problem understanding, idea search, realization, and evaluation, which are technology problem solving processes by problem recognition, data search and classification, algorithm selection, application, and generalization. Showed. Sixth, technology education should consider what will be integrated? and how will it be integrated? in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education.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hat concepts and knowledge will be fused in terms of content and the scope of fusion, and in terms of process, what process will be fused and the scope of fusion. At the same time, it is necessary to think about what to focus on, that is, whether to converge with TE-oriented or AI-oriented.

      • KCI등재

        AI 기반 개별화 학습을 위한 초.중등 기술 교육의 학습자 특성 연구 고찰

        임미가(Lim, Mika) 한국실과교육학회 2021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4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초·중등 기술 교육의 학습자 특성 연구를 고찰하여 AI 기반 개별화 학습을 위한 시사점을 얻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1999년부터 2020년까지의 관련 국내 연구물 중 최종 76편의 연구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기술교육에서 학습자 특성 관련 국내 문헌은 1999년 2편, 2000년 2편, 2008년 5편, 2013년 7편, 2020년 9편 등 점차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물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학습자 특성의 주제는 기술적 문제해결, 기술적 사고, 발명 및 창의, 태도, 학습자 능력, 두뇌 이론, 메타인지, 성격 유형, 인지 양식 등이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중등 기술교육의 학습자 특성 국내 연구의 연도 별 연구 수가 대체로 완만한 증가의 추세를 보이고 있음에 따라 기술 교육 분야에서도 개별화 학습에 대한 관심도가 강화되고 있는 추세임을 알 수 있었다. 둘??, 연구 결과 분석된 학습자 특성은 인지·정의·심리운동적 영역을 고루 고려하고 있었으며 이를 측정할 수 있는 검사도구 및 측정요소가 언급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검사도구는 AI 기반 개별화 학습에 직접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관련 학습자 특성은 AI 기반 개별화 학습 설계의 요소로 고려될 수 있다. 셋째, 검사도구를 AI 기반 개별화 학습에 활용하기 위한 구체적 방법은 학습 단계에 따른 활용, 인지・정의·심리운동·메타인지 등 중점적으로 고려하고자 하는 영역에의 활용, 정서적·감정적 피드백에의 활용, 계획된 의도적 불일치의 교육 설계 등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udy of learner characteristic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technology education to obtain implications for AI-based individualized learning. To this end,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systematic literature reviews, and the final 76 studi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among the related domestic studies from 1999 to 2020.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studies by year showed a gradual increase in general, and that relatively balanced studies were being conducted at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levels. In addi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etailed contents of learner characteristics considered in the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echnology education are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technological thinking, invention and creativity, attitude and learner ability. General learner characteristics include brain theory and meta-cognition. The method of using learner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the research results for AI-based individualized learning is the use of learne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learning stage, and the use in the domains that need focus on, such as cognitive, affective, psychomotor and metacognition. It was the use of the school, and the educational design planned intentionally in contrary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 Based on these findings and implications, it is suggested that a detailed curriculum development study for AI-based individualized learning in elementary and secondary technology education will be conducted in the future, and a follow-up study on the specific methods to implement AI-based individualized learning will be condu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