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본운동중심의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과 신체활동 즐거움에 미치는 효과

        황지애 ( Ji Ae Hwang ),김성재 ( Sung Jae Kim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5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유아교사가 안정·이동·조작운동을 좀 더 쉽게 유아들에게 접근할 수 있도록 기본운동중심의 신체활동을 구성하여, 이러한 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과 신체활동 즐거움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I시에 소재한 H어린이집의 만5세, 2개 학급의 유아들로서 실험집단 20명과 비교집단 20명 총40명이었고, 12주 동안 매일 20분씩 총60회, 실험집단은 기본운동중심의 신체활동에, 비교집단은 자유놀이중심의 바깥놀이 신체활동에 참여하였다. 유아의 기초체력의 측정은 유연성, 민첩성, 평형성, 순발력, 근지구력으로 구성된 안을섭(2005)의 기초체력검사 도구가 사용되었으며, 신체활동 즐거움검사는 자신감, 재미, 건강유지 및 미적체험, 협동심, 창의성 요인으로 이루어진 김인호(2010)의 도구를 일부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기초체력은 기본운동중심의 신체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 유아가 유연성, 민첩성, 평형성, 순발력, 근지구력에서 자유놀이중심의 바깥놀이 신체활동에 참여한 비교집단 유아보다 통계적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다. 신체활동 즐거움 또한 실험집단 유아가 비교집단 유아에 비해 신체활동 즐거움의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 기본운동중심의 신체활동은 유아의 기초체력과 신체활동 즐거움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had the objective of examining what effects physical activity based on fundamental movement had on young children`s physical fitness and enjoyment of physical activity by providing physical activity programs designed by day-care center teachers that enable a more child-friendly approach for stability movement, locomotor movement and manipulative movement. The subjects were 40 five-years old young children (20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0 in the comparison group) from two classes of H day-care center located in I city.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a total of 60 twenty minute daily sessions during a period of 12 weeks, where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physical activity based on fundamental movement and the comparison group participated in free outdoor physical activity. The measurement of the physical fitness of the young children was conducted on their flexibility, agility, balance, power and muscular endurance based on the physical fitness measurement tool designed by An Eul Seob (2005), and the measurement of enjoyment of physical activity was conducted on the elements of self-confidence, fun, maintenance of health and aesthetic experiences, cooperation and creativity based on the tool designed by Kim Inho (2010).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young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physical activity based on fundamental movement showed statistically higher measurements in flexibility, agility, balance, power and muscular endurance than that of the young children in the comparison group that participated in free outdoor physical activity. Young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also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measurements for enjoyment of physical activity than that of the young children in the comparison group, confirming that physical activity based on fundamental movement had a positive effects on both the physical fitness and also the enjoyment of physical activity of young children.

      • KCI등재

        숲 체험활동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 변화 탐색

        황지애(Hwang, Ji-Ae),김성재(Kim, Sung-Jae),김대명(Kim, Dae-My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5 No.6

        본 연구는 교직준비기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예비유아교사들에게 숲 체험활동을 적용하고, 정서지능에서 어떤 변화과정을 겪는지를 양적, 질적으로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라남도 S시 소재 S대학교의 비교과 프로그램인 ‘숲 교육’ 강좌를 수강한 유아교육과 3학년 학생 87명을 대상으로 숲 체험활동을 주 2시간 12회, 총 24시간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정서지능 척도와 심층면접 자료, 반성적 저널을 분석 자료로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숲 체험활동은 예비유아교사들의 정서지능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들의 정서지능 향상에 영향을 준 내용으로 ‘숲 그냥 기분이 좋아져요: 고마운 숲 활동’, ‘온몸으로 활동해요: 감각이 깨어나는 숲 활동’, ‘숲은 소중해: 생태적 감수성이 살아나는 숲 활동’, ‘내가 해냈어요: 성취감을 맛보는 숲 활동’, ‘내 마음이 보여요: 감성충전소로서의 숲 활동’, ‘친구 마음이 느껴져요: 공감과 이해의 확장으로서의 숲 활동’ 등이 질적 자료 분석을 통해 범주화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 of emotional intellig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participating in forest experiencing activity quantitatively as well as qualitatively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teaching preparation peri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7 third grade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who had taken a non-subject educational lecture on forest education from S college in S city, Jeonnam province. Forest experiencing activities were carried out for 2 hours 12 times a week for a total of 24 hours an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n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in-depth interview data and reflective journals. The statistical results showed that the forest experiencing activity was effective in improvi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Second, following positive results were categorized through qualitative data analysis: the forest that just feels good: thankful forest activity, playing with whole body: forest activity that awakens senses, precious forest: forest activity with ecological sensitivity, i made it: forest activity with a sense of achievement, knowing my feeling: forest activity as an emotional charging station, knowing friend’s feeling: forest activity as an extension of empathy and understanding.

      • KCI등재

        숲유치원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조사

        황지애(Hwang, Ji-Ae),김성재(Kim, Sung-Ja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교직 준비기인 예비유아교사 시기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예비유아교사가 바라보는 숲유치원에 대한 인식 및 요구 조사를 통해 숲유치원관련 예비유아교사교육 지도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남지역 3년제 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38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첫째, 숲과 인간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이 높게 나타났으며, 둘째 숲유치원의 필요성과 교육적 효과에 대해서는 대다수 예비유아교사가 공감하고 있었으며, 자연 속에서의 정서적 안정감과 유아의 감성발달을 이유로 들었다. 셋째,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은 예비유아교사 교육과정에서의 숲유치원 교육의 필요성에 관해 동감하고 있었으며, 교육내용에 대한 요구에서는 숲 실제 활동방법 및 사례를, 교육방법에서는 숲유치원 교육관련 학과목 개설을 답한 경향이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s and the need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he forest kindergarte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ere selected from the Jeollanam-do province. The data analysis for the survey was carried out through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forest and human beings demonstrated a strong preference. Second, concerning the necessity and educational effect on the forest kindergarten won the sympath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s to the reason for the necessity of forest kindergarten, they felt that the forest kindergarten would serve to boost the emotional stability of preschoolers. The largest number of the teachers, who didn’t feel the need for the kindergartens didn’t think that it would be easy to link the curriculum of the forest kindergartens to that of elementary school. Third, the need concerning the necess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he forest kindergarten education in curriculum was high. The Practical activity method on the forest kindergarten was high as the need concerning educational content. The Subject opening related to the forest kindergarten was high as the need concerning educational method on the forest kindergarten.

      • KCI등재

        유아교사들의 삶의 질에 관한 실태분석

        황지애(Ji Ae Hwang),김성재(Sung Jae Kim)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WHOQOL-Bref)를 이용하여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들의 삶의 질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이들의 삶의 질을 증진시킬 수 있는 대책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전북지역 유아교사 49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첫째, 유아교사들의 전반적인 삶의 질 정도는 5점 중 3점대로 만족하지도, 불만족하지도 않은 보통정도의 비율을 보였고, 하위영역에서는 유치원교사의 경우, 신체적 영역에서 가장 높은 만족도를, 전반적인 삶의 질 영역에서 가장 낮은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어린이집교사의 경우에는 사회적 영역에서 가장 높은 만족도를, 신체적 영역에서 가장 낮은 만족도를 보여 근무 기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삶의 질의 차이 분석 결과, 근무기관 유형, 연령, 경력, 학력, 유아의 담당 수, 결혼여부 등에 따라 삶의 질 관련 일부 하위영역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vide basic measurement data towards promoting the quality of life (QL)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child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To analyze their QL, the Korean version of the WHO Quality of Life-BREF (WHOQOL-BREF) was utilized. The study participants included 498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Korea’s North Jeolla Provinc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to derive the mean, standard deviation, t values, and one-way ANOVA using SPSS 19.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QL scor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found to be average. Among the four domains of the WHOQOL-BREF, the highest score for kindergarten teachers was in the physical domain, while the lowest was in overall quality of life and general health. The highest score for childcare teachers, on the other hand, was in the social domain, while the lowest was in the physical domain. Second, an analysis of QL differences according to individual background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ome QL-related sub-domains, including workplace type, age, career, academic background, number of children in their care, and marital status.

      • KCI등재

        유아전자매체 활용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황지애(Ji-Ae Hwang),김성재(Sung-Jae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5

        본 논문은 유아를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는 스마트폰과 태블릿 PC, 전자칠판, 교사 보조로봇 등의 비교적 최근에 거론되기 시작한 스마트기기 활용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연구 동향 상에 나타나는 특징을 파악하고, 유아 전자매체 관련 연구 방향의 시사점을 구하고자 하였다. 스마트기기를 중심으로 유아 전자매체 관련 논문을 온라인 검색 DB를 활용해 검색한 결과, 2009년부터 2015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석·박사 학위논문 및 KCI 등재(후보)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 총 192편 이 발견되었다. 검색 키워드는 연구대상과 전자매체 관련 키워드를 사용하여 교차 검색하였다.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회지에 이중 게재된 논문의 경우는 피어리뷰(peer review)를 실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다고 판단되는 학회지 논문을 연구대상 으로 삼았다. 연구대상 논문을 연구주제, 교수학습방법, 발달 영역별, 활동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연구주제에서는 교수학습 방법과 교사교육의 전문성 등에 관한 내용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교수학습방법에서는 놀이 활동과 문학 활동 통합교육 방법이, 발달 영역에서는 언어발달과 사회발달이, 활동 영역에서는 언어활동과 사회활동이 높은 비율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 를 토대로 향후 유아 스마트기기 전자매체 관련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concerning the use of smart devices by young children,, such as smart phones, tablet PCs, interactive whiteboards and teacher assistant robots, which has begun to be mentioned relatively recently, and attempt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trends and provide guidelines for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A search of articles related to the use of electronic media by young children using an Online Search DB revealed a total of 192 research papers, which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subject of research, teaching-learning method, area of development and area of activity. It was found that the teaching-learning method, teacher education and professionalism were highly prevalent in the subject of research; the education method integrating play activity with literature activity were highly prevalent in the teaching-learning method; language development and social development were highly prevalent in the area of development; and language activity and social activity were highly prevalent in the area of activity.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들이 인식한 교원양성기관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의미

        황지애(Hwang, Ji-A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5 No.6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하여, 이들이 인식한 교원양성기관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전남 S시 소재 S전문대학교 졸업 직전의 3학년 예비유아교사 92명을 연구 참여자로, 질문지와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그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이 인식한 좋은 수업은 ‘마음을 쓰다듬는 수업, 온몸으로 하는 수업, 유아교사로서의 유능감을 길러주는 수업’ 등으로 범주화되었다. 둘째, ‘마음을 쓰다듬는 수업’은 다시 ‘인정받는 수업, 공감하는 수업’으로, ‘온몸으로 하는 수업’은 ‘온몸의 감각이 깨어나는 수업, 온몸으로 함께 움직이는 수업’으로, ‘유아교사로서의 유능감을 길러주는 수업’은 ‘인지적으로 남는 수업, 반성적 사고능력을 길러주는 수업’ 등으로 세분화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예비유아교사의 입장에서 유아교사양성기관이 추구해야 할 좋은 전공수업의 방향을 설정하고, 수업의 성격을 규정할 때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aning of good teaching perceived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2 third grad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f S college in S city, Jeonnam province. Questionnaires and deep interviews were used to achieve research purpose and the collected data were qualitatively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good teaching perceived by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categorized into ‘the teaching soothing the heart,’ ‘the teaching given by the whole body,’ and ‘the teaching developing competence as an early childhood teacher.’ Second, ‘the teaching soothing the heart’ was subdivided into ‘the teaching in which the professor gets recognized’ and ‘the teaching in which the professor empathizes with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teaching given by the whole body,’ into ‘the teaching awakening the senses of the whole body’ and ‘the teaching in which the professor moves the whole body with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and ‘the teaching developing competence as an early childhood teacher,’ into ‘the teaching lingering cognitively’ and ‘the teaching developing the reflective thinking 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as a basic data that can be used when setting up the direction of good teaching that the early childhood teacher nurture Curriculum should pursue from the viewpoint of the student and defining the character of the class.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성과 스마트폰 중독이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황지애(Hwang, Ji-Ae),김성재(Kim, Sung-Ja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6 No.5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놀이성과 스마트폰 중독이 이들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예비유아교사들의 정서지능을 증진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I시와 전라남도 S시 소재 전문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27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고, 자료 분석은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단계적 표준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의 놀이성과 정서지능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들의 스마트폰 중독과 정서지능은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들의 놀이성의 하위변인 중 쾌활성, 기발성, 즉흥성과 스마트폰 중독 하위변인 중 일상생활장애가 정서지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교원양성기관에서 예비유아교사들의 정서지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예비유아교사들의 놀이성이나 스마트폰 중독 상황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layfulness and smartphone addiction on emotional intellig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strengthening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278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colleges located in I city, Jeonllabuk-do and S city, Jeonllanam-do province, an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with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analysis, and standar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 relations between playfulness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there were negative relations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ir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heerfulness, novelty, improvisation among sub-variables of playfulness, and daily life disorder among the sub-variables of smartphone addiction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emotional intellige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layfulness or smartphone addiction problem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가 경험한 자기 주도적 봉사의 의미 탐색

        황지애(Ji-Ae Hwa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11

        본 논문은 예체능 및 놀이문화 형성 프로그램 중심의 ‘2016 여름방학 대학생 돌봄교실 봉사’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이들이 봉사과정을 통해 겪은 경험의 의미를 질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예비 유아교사 6명으로 이들은 봉사프로그램의 계획, 예산편성, 재료구입, 실천, 평가까지 일련의 모든 과정을 스스로 해결해야하는 자기 주도적 봉사의 취지를 수용하고 참의의사를 밝힌 상황에서, 방학 중 40시간 이상 초등학교 저학년(1~2학년) 돌봄교실을 방문하여 봉사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자료로는 연구참여자저널, 개인면담 및 단체면담 전사본, 전화통화 전사본, 메일, 차수별 자체평가 기록지 등을 활용하였으며, 연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삼각측정, 구성원검토작업, 전문가의 조언과 검토 등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자기 주도적 봉사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들의 봉사경험관련 의미는 ‘생각하는 힘이 자라요’, ‘소통의 중요성을 깨달아가요’, ‘함께 하는 자체가 중요해요’, ‘자원․정보 활용능력이 필요해요’ 등으로 이루어진 ‘역량을 갖춘 전문적인 교사 되어가기’와 ‘유초연계교육의 필요성을 알아가요’, ‘유초연계교육에 대해 배우고 싶어요’ 등으로 세분화된 ‘유초연계교육에 대한 안목 키워가기’로 크게 범주화되었다. Six preservic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2016 service of summer vacation daycare programs by university and college students" focused on the programs for the formation of art, music and physical education and recreation culture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they had through the service process was qualitatively analyzed. The subjects accepted the purpose of the self-directed service in which they should themselves solve a series of the entire process, from planning a volunteer program through drawing up the budget and purchasing materials to practice, evaluation and expressed the intention of participation. A volunteer program was conducted including visiting a daycare program for lower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1st and 2nd grades) with more than 40 class hours during vacation. As research materials, research participants" journals, transcripts of individual interviews and group interviews, transcripts of phone calls, e-mail messages, and self-evaluation records of each class hour were collected. To increas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tudy, triangulation, member check, advice and review of the experts were conducted. In the study results, the volunteering experience-related significance for the preservic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elf-directed service were broadly categorized into "Becoming a capable professional teacher", that consists of "Increasing the power of thinking", "Realizing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Doing together itself is important" and "Ability to apply information and resources is needed". "Increase the continuity between preschool and elementary education" was subdivided into "Get to know the necessity of the continuity between preschool and elementary education" and "Want to learn the continuity between preschool and elementary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