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추품종별 재배년도와 재배지역에 따른 품질 특성

        황인국,유선미,이준수,Hwang, In Guk,Yoo, Seon Mi,Lee, Junsoo 한국식품영양학회 2014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7 No.5

        본 연구에서는 우리건, 부강 및 무한질주 세 고추 품종을 대상으로 2011년도와 2012년도 2년간 10개 지역에서 재배, 수확하여 capsaicinoids 함량, 유리당 함량 및 ASTA color value를 분석하여 재배년도별, 지역별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재배지역별 우리건, 부강 및 무한질주 고추 품종의 총 capsaicinoids 함량은 각각 52.53~362, 15.35~126.40 및 3.41~50.86 mg/100 g 범위였고, 고추 품종별 평균 총 capsaicinoid 함량은 우리건 > 부강 > 무한질주 순으로 유의적으로(p<0.05) 높았다. 세 고추 품종의 주요 유리당으로는 fructose와 glucose가 검출되었고, 일부 지역의 우리건 고추에서 sucrose가 소량 검출되었다. 지역별 우리건, 부강 및 무한질주 고추 품종의 총 유리당 함량은 각각 18.29~35.54, 16.91~32.83 및 18.63~33.21%이었고, 품종별 평균 유리당 함량은 재배년도 및 품종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재배지역별 우리건, 부강 및 무한질주 고추 품종의 ASTA color value는 각각 57.17~132.61, 66.23~139.49 및 85.43~133.26 범위였고, 세 품종 모두 2011년도에 비해 2012년도에 재배한 고추의 ASTA color value가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고추의 capsaicinoids 함량 변이는 품종에 의한 영향이, 유리당 함량과 ASTA color value는 환경적 요인에 의한 영향이 더 큰 것으로 판단되며, 추후 고추 육종 및 재배, 고춧가루 가공제품 생산 등의 연구에 기초 결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mounts of capsaicinoid and free sugar, as well as ASTA color values in three pepper cultivars grown in different regions of Korea. Pepper cultivars from ten different regions of Korea were collected in 2011 and 2012. The capsaicinoid contents of the three cultivars, Urigun, Bugang, and Muhanjilju, varied in the range of 52.53~362, 15.35~126.40, and 3.41~50.86 mg/100 g, respectively, depending on their cultivation region. Among the three cultivars, Urigun had the highest average capsaicinoid content, followed by Bugang and Muhanjilju. The free sugar contents of Urigun, Bugang, and Muhanjilju varied in the range of 18.29~35.54, 16.91~32.83, and 18.63~33.21%, respectively, depending on the region. Average free sugar contents did not vary significantly among the cultivars grown in different regions as well as in different years. The ASTA color values of Urigun, Bugang, and Muhanjilju varied in the range of 57.17~132.61, 66.23~139.49, and 85.43~133.26, respectively. ASTA color values of the three cultivars grown in 2012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grown in 2011. Variations in the amounts of capsaicinoids, free sugar contents, and ASTA color values observed in this study can be attributed to the intrinsic genetic characteristics of each cultivar or alternatively to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We assume that the quantity of capsaicinoid is affected more by the genotype than the cultivation region, whereas the reverse holds for the variations in free sugar quantity and ASTA color values.

      • KCI등재

        가열 시간과 고명에 따른 토란병의 품질특성

        황인국,박보람,유선미,Hwang, In Guk,Park, Bo Ram,Yoo, Seon Mi 한국식품영양학회 2013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6 No.4

        본 연구에서는 수문사설 에 수록된 토란병의 제조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토란의 가열 시간 및 고명에 따라 토란병을 제조하고, 품질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가열 시간에 따른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 함량은 각각 83.42~84.61%, 1.25~1.31%, 0.08~0.11%, 0.62~0.81% 범위로 조지방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조회분은 가열처리로 인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토란의 주요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및 sucrose가 검출되었고, 가열 시간에 따라 각각 0.17~0.33%, 0.16~0.29% 및 0.26~0.38% 범위로 15분 가열처리 때까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경도 역시 가열 시간이 늘어날수록 2.75 kg에서 0.14 kg까지 감소하였다. 가열 시간에 따른 관능특성을 평가한 결과, 향과 맛은 각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질감과 전반적인 기호도는 5분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평가되었으며, 10분 처리 이후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토란병의 제조 시 가열 시간은 10분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잣고물, 콩고물, 검은 깨고물 및 밤고물 등 고명 종류에 따른 토란병의 관능특성을 평가한 결과, 색, 향, 질감, 맛 및 전반적인 기호도는 각각 5.20~7.50, 5.40~7.70, 6.10~7.00, 6.10~7.20 및 6.20~7.60 범위로 평가되었고, 콩고물을 묻힌 토란병이 모든 항목에서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best conditions for preparing Toranbyung. We examined different boiling periods (0~20 min) and types of Gomyeong (pine nut, soy, black sesame, and chestnut powder), as recorded in "Sumunsasul". The boiled taros were evaluated for proximate composition, free sugar contents, and Hunter's color values. In addition,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Toranbyung boiled for different periods and prepared using different types of Gomyeong were investigated. The moisture, protein, fat, and ash contents of taro decreased by 83.42~84.61%, 1.25~1.31%, 0.08~0.11%, and 0.62~0.81%, respectively, as the length of boiling time increased. Fructose, glucose, and sucrose, the major free sugars found in taro, decreased by 0.17~0.33%, 0.16~0.29%, and 0.26~0.38%, respectively, as the length of boiling time increased. Sensory evaluation indica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lavor and taste of Toranbyung boiled for different periods of time. However, Toranbyung boiled for 10 min was significantly better and was found to be the most acceptable among all the samples. Furthermore, sensory evaluation of Toranbyung prepared with different types of Gomyeong indicated that the Toranbyung prepared with soy powder was favored over Toranbyung prepared using other types of Gomyeong. In conclusion, we determine that the best conditions for preparing Toranbyung were boiling for 10 min and using soy powder as the Gomyeong.

      • KCI등재

        열처리에 따른 야콘의 항산화 활성 변화

        황인국,김하윤,박보람,한혜민,유선미,Hwang, In Guk,Kim, Ha Yun,Park, Bo Ram,Han, Hye Min,Yoo, Seon Mi The Korean Society of Food and Nutrition 2013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6 No.4

        본 연구에서는 열처리가 야콘의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열처리 온도(100 및 $121^{\circ}C$)와 시간(15, 30 및 60분)에 따른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활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열처리 후 야콘의 갈변도, 유리형 및 결합형 폴리페놀 함량, 유리형 및 결합형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radical 소거 활성 및 ABTS radical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 열처리 후 야콘의 갈변도, 유리형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 활성은 열처리 온도와 시간에 따라 유의적(p<0.05)으로 증가하였고, 결합형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감소하였다. 야콘의 유리형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21^{\circ}C$, 60분 열처리 시 생야콘에 비해 각각 1.2배 및 1.1배로 유의적(p<0.05)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야콘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 및 ABTS Radical 소거 활성도 $121^{\circ}C$, 60분 열처리 시 생야콘에 비해 각각 1.7배 및 2.0배로 유의적(p<0.05)으로 증가였다. 야콘의 갈변도,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DPPH radical 및 ABTS radical 소거 활성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높은 상관관계(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열처리 방법을 통해 야콘의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 활성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한 기능성 식품 소재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effects of heat treatment on poly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yacon. Raw yacon was heated at $100^{\circ}C$ and $121^{\circ}C$ for 15, 30, or 60 min by using an autoclave. The browning intensity, levels of free and bound phenolic and flavonoid compounds, and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ABTS)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yacon extracts following heat treatment were measured. The browning index, free poly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the extrac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with both increased heating temperature and time, while bound polyphenolic levels were decreased. The levels of free phenolic and flavonoid compounds in the yacon extract heated to $121^{\circ}C$ for 60 min were increased by 1.2 and 1.1 folds compared to raw yacon respectively. Moreover, DPPH and ABTS radical-scavenging activities of the yacon heated to $121^{\circ}C$ for 60 min were 1.7 fold and 2.0 fold higher, respectively, than those of raw yacon. A significant (p<0.01) correlation was observed among browning intensity, free and bound phenolic and flavonoid levels, and DPPH and ABTS radical-scavenging activities in heated yacon extract. Thus, heat treatment can be used as a method to enhance the antioxidant compound content in an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yacon.

      • KCI등재

        제한된 범위의 Signed-Digit Number 인코딩을 이용한 병렬 십진 곱셈기 설계

        황인국,김강희,윤완오,최상방,Hwang, In-Guk,Kim, Kanghee,Yoon, WanOh,Choi, SangBang 대한전자공학회 2013 전자공학회논문지 Vol.49 No.11

        본 논문에서는 제한된 범위의 Signed-Digit number 인코딩과 축약 단계를 이용한 고정소수점 병렬 십진 곱셈기를 제안한다. 제안한 병렬 십진 곱셈기는 승수와 피승수를 제한된 범위의 SD number로 인코딩하여 캐리 전달 지연 없이 빠르게 부분곱을 생성한다. 인코딩에 사용하는 숫자의 범위를 줄임으로써 SD number 다중 피연산자 덧셈의 한번에 연산 가능한 피연산자의 개수가 늘어나게 되고, 이에 따라 부분곱 축약 단계의 연산을 빠르게 수행 할 수 있다. 제안한 병렬 십진 곱셈기의 성능 평가를 위해 Design Compiler에서 SMIC사의 180nm CMOS 공정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합성한 결과 기존의 Signed-Digit number를 이용한 병렬 십진 곱셈기보다 전체 지연시간은 4.3%, 전체 면적은 5.3% 감소함을 확인 하였다. 전체 지연시간 및 면적에서 부분곱 축약 단계가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크므로 부분곱 생성 단계에서 약간의 지연시간 및 면적 증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체 지연시간과 면적이 감소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In this paper, parallel decimal fixed-point multiplier which uses the limited range of Singed-Digit number encoding and the reduction step is proposed. The partial products are generated without carry propagation delay by encoding a multiplicand and a multiplier to the limited range of SD number. With the limited range of SD number, the proposed multiplier can improve the partial product reduction step by increasing the number of possible operands for multi-operand SD addition. In order to estimate the proposed parallel decimal multiplier, synthesis is implemented using Design Compiler with SMIC 180nm CMOS technology library. Synthesis results show that the delay of proposed parallel decimal multiplier is reduced by 4.3% and the area by 5.3%, compared to the existing SD parallel decimal multiplier. Despite of the slightly increased delay and area of partial product generation step, the total delay and area are reduced since the partial product reduction step takes the most proportion.

      • KCI등재

        국내산 고구마의 품종 및 조리방법별 비타민 C 함량

        황인국(In Guk Hwang),변재윤(Jae Yoon Byun),김경미(Kyung Mi Kim),정미남(Mi Nam Chung),유선미(Seon Mi Yo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3 No.6

        본 연구에서는 비타민 C 분석법을 검증하고 국내산 고구마 22품종과 조리방법에 따른 고구마의 비타민 C 함량을 분석하였다. 비타민 C 분석법을 검증하기 위해 직선성, 검출한계, 정량한계, 정밀성 및 정확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직선성의 상관계수 값이 0.9999이었으며, 검출한계는 0.03 μg/mL, 정량한계는 0.10 μg/mL, 정밀성의 상대표준편차는 5%이하, 정확성인 회수율은 95% 이상으로 우수하였다. 고구마 품종별 AA, DHA 및 TA 함량은 각각 37.76(신율미)~89.25(주황미), 23.37(신자미)~63.94(신율미) 및 68.52(신자미)~115.95(주황미) mg/100 g 범위로 품종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고구마의 평균 AA, DHA 및 TA 함량은 각각 56.98±12.53, 36.46±9.03 및 93.44±12.00 mg/100 g이었으며, 대부분 품종의 AA 함량은 40~70 mg/100 g 범위에, DHA함량은 20~40 mg/100 g 범위에, TA 함량은 70~90 mg/100 g 범위에 존재하였다. 그리고 육질색 종류에 따른 평균 TA 함량은 일반고구마와 주황색고구마가 자색고구마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Steaming, baking 및 frying 처리에 따른 AA, DHA 및 TA 함량은 조리 처리 후 10.61~58.41, 2.57~52.81 및 14.54~49.92% 범위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baking 처리가 steaming 및 frying 처리에 비해 함량 감소량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고구마의 비타민 C 함량은 품종 및 조리방법에 따라 변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후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mounts of vitamin C in 22 sweet potato cultivars cultivated in Korea as well as evaluate the effects of cooking methods on vitamin C contents. Methods for determining vitamin C was validated by determining linearity, specificity, limit of detection (LOD), limit of quantification (LOQ), precision, and accuracy using HPLC. Results showed high linearity in the calibration curve with a coefficient of correlation (R2) of 0.9999. The LOD and LOQ values for ascorbic acid (AA) were 0.03 and 0.10 μg/mL, respectively. The relative standard deviations (RSDs) for intra- and inter-day precision of AA were less than 5%. The recovery rates of AA and dehydroascorbic acid (DHA) were in the range from 98.21~98.64 and 98.28~100.68%, respectively. Depending on cultivar, contents of AA, DHA, and total ascorbic acid (TA) in sweet potatoes varied in the range from 37.76 (Sinyulmi)~89.25 (Juhwangmin), 23.37 (Sinjami)~63.94 (Sinyulmi), and 68.52 (Sinjami)~115.95 (Juhwangmin) mg/100 g, respectively, and their average levels were 56.98±12.53, 36.46±9.03, and 93.44±12.00 mg/100 g, respectively. The average TA levels were also dependent on flesh color, whish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eneral sweet potato and orange sweet potato than in purple sweet potato. Steaming, baking, and frying processes significantly reduced AA (10.61~58.41%), DHA (2.57~52.81%), and TA (14.54~49.92%) contents in sweet potatoes. The highest reduction of AA, DHA, and TA contents was observed after baking, followed by steaming and frying. We expect that the basic information provided by this study will be useful to plant breeders and food scientists.

      • KCI등재

        보검선인장과 저단선인장의 열매와 줄기 영양성분 조성

        서혜지,최용민,황인국,남진식,황진봉,이기택,이준수,이지윤,김세나,Seo, Hye-Ji,Choi, Young-Min,Hwang, In-Guk,Nam, Jin-Sik,Hwang, Jin-Bong,Lee, Ki-Teak,Lee, Jun-Soo,Lee, Jiyoon,Kim, Sena 한국식품영양학회 2016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9 No.5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nutrient compositions of stem and fruit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OF) and Opuntia humifusa (OH). The results of the two-way analysis of variance test indicated that the parts, varieties and parts*varieties had influence on nutrient content except crude protein, soluble dietary fiber, Fe, Se, I, vitamin E, niacin and vitamin C. Moisture and crude ash content was higher in stem than in fruit, while crude lipid and insoluble dietary content was higher in fruit than in stem. Mineral content revealed that K (1,313.67 mg% in OF, 1,351.38 mg% in OH) was the highest in fruit and Ca (5,146.29 mg% in OF, 1,388.19 mg% in OH) was the highest in stem. Vitamin C was the most abundant vitamin in the fruit of OF (199.98 mg%) and OH (187.12 mg%). Polyunsaturated fatty acid was the highest among fatty acids (66.9~70.1%), with higher content in the stem (753.89 mg%) than fruit (578.01 mg%) in OF, while higher in the fruit (1,093.63 mg%) than stem (475.07 mg%) in OH. Moisture, crude protein, Mg, Se and riboflavin was higher in OF than OH; whereas, crude lipid, insoluble dietary fiber, total dietary fiber and monounsaturated fatty acid were higher in OH than OF.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OF and OH could be a good food source for Ca, K and Vitamin C. Also, different nutrient content by parts and varieties, can be helpful in choice of parts or varieties for consumer purposes.

      • KCI등재

        국산 장려콩으로 만든 두유의 Mineral, Oxalate 및 Phytate 함량과 품질특성

        김기찬(Ki Chan Kim),황인국(In Guk Hwang),김현영(Hyun Young Kim),송항림(Hang Lin Song),김홍식(Hong Sig Kim),장금일(Keum Il Jang),이준수(Junsoo Lee),정헌상(Heon Sang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8

        국산 콩으로 제조한 두유의 품질특성과 무기성분, oxalate 및 phytate 함량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두유의 수율 및 고형분 함량은 각각 8.43(보광콩)~9.15 mL/g(봉의콩과 한남콩) 및 4.37°Brix(안평콩)~7.17°Brix(봉의콩) 범위로 나타났으며, pH와 총산도는 각각 6.43~6.86 및 1.48~1.65% 범위를 나타내었다. 점도는 15.73(다원콩)~20.80 cP(한남콩) 범위를 나타내었다. 색도는 검은색 외피를 갖고 있는 청자콩, 다원콩, 선흑콩 및 검정콩4호로 만든 두유의 L값이 작았고 a값은 크게 나타났다. Calcium 함량은 0.714(금강콩)~1.589 ㎎/g(선흑콩) 범위였으며, oxalate 함량은 0.24(안평콩)~2.14 ㎎/g(한남콩), phytate 함량은 0.63(호장콩)~ 2.18 ㎎/g(안평콩) 범위였다. Calcium/oxalate 함량 분포에서 oxalate 함량이 calcium보다 넓은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phytate/ oxalate 간에는 phytate가 넓은 분포를 나타내었다. 콩에서 두유로의 oxalate 전이율은 13.6(안평콩)~77.6%(진품콩2호) 범위였으며, phytate는 13.9~87.5%로 동북태가 가장 높았고 호장콩이 가장 낮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국산 장려 콩을 이용하여 두유를 제조할 경우 phytate의 전이율이 높고 oxalate의 전이율이 낮은 봉의, 안평콩 및 보광콩이 좋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quality characteristics, and mineral, oxalate and phytate content during soymilk process. The yields of soymilk ranged from 8.43 mL/g in Bokwangkong to 9.15 mL/g in Bongeuikong and Hannamkong, and total soluble solid contents were ranged from 4.37°Brix in Anpyeongkong to 7.17°Brix in Bongeuikong, respectively. The pH and total acidity of soymilk ranged from 6.43 to 6.86 and from 1.48% to 1.65%, respectively. The viscosity of soymilk was the highest value of 20.80 cP in Hannamkong and the lowest value of 15.73 cP in Dawonkong. The highest value of calcium content of soymilk was 1.589 ㎎/g in Seonheukkong, and oxalate and phytate in soymilk were high at 2.14 ㎎/g in Hannamkong and 2.18 ㎎/g in Anpyeongkong, respectively. The transfer ratio of oxalate from soybean to soymilk was the highest value of 77.6% in Jinpumkong 2, and one of the phytate was the highest value of 87.5% in Dongpuktae and the lowest value of 13.9% in Hojangkong.

      • KCI등재

        시설 및 노지 재배한 오디의 품질 특성

        이지영(Ji Young Lee),황인국(In Guk Hwang),김하윤(Ha Yun Kim),유선미(Seon Mi Yoo),박종태(Jong Tae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3 No.12

        본 연구에서는 시설 및 노지 재배한 오디의 총균수, pH, 총산도, 당도, 유리당, 총 폴리페놀 및 안토시아닌 함량을 비교분석하였다. 총균수는 시설 재배한 오디가 노지 재배한 오디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적게 검출되었다. 시설 재배한 오디의 평균 pH 및 총산도는 각각 4.44 및 0.50%였고, 노지재배 시 각각 5.13 및 0.30%로 시설 재배한 오디가 pH는 유의적으로(P<0.001) 낮고 총산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당도의 경우 노지 재배 시 시설 재배에 비해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디의 주요 유리당으로는 fructose와 glucose가 검출되었고, 시설 재배한 오디의 평균 fructose 및 glucose 함량은 각각 5.38 및 5.12%였고, 노지 재배 시 각각 5.42 및 5.09%로 재배방법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시설과 노지재배한 오디의 평균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393.36 및 514.47 ㎎%, 안토시아닌 함량은 각각 205.00 및 265.56 ㎎%로 노지 재배 시 시설 재배에 비해 유의적으로(P<0.001) 높았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lberry cultivated under greenhouse and open field conditions. Quality characteristics such as the number of aerobic bacteria, pH, acidity, soluble solid content, and contents of free sugar, polyphenol, and anthocyanin were investigated. The number of aerobic bacteria in mulberry cultivated in open fields was higher than that of mulberry cultivated in the greenhouse. The average pH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eenhouse mulberry whereas acidity was higher in mulberry grown in open fields. The average soluble solid content of mulberry cultivated in open fields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mulberry cultivated in the greenhouse, al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Fructose and glucose were detected in mulberry as free sugar. The free sugar content of mulberry was not affected by cultivation conditions. The average polyphenol contents of mulberry cultivated in the greenhouse and open fields were 393.36 and 514.47 ㎎%, respectively. The average anthocyanin contents of mulberry cultivated in the greenhouse and open fields were 205.00 and 265.56 ㎎%, respectively. The average polyphenol and anthocyanin contents of mulberry cultivated in open field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mulberry cultivated in the greenhouse.

      • KCI등재

        한외여과 처리에 따른 채취시기별 고로쇠 수액의 품질특성

        정수정(Su Jeong Jeong),이창현(Chang Hyeon Lee),김현영(Hyun Young Kim),황인국(In Guk Hwang),신창섭(Chang Seob Shin),박의석(Eui Seok Park),이준수(Junsoo Lee),정헌상(Heon Sang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5

        고로쇠수액의 채취적기인 3월에 채취한 수액과 후기인 4월에 채취한 수액의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분석하고, 고로쇠 수액의 품질을 향상시키고자 한외여과 전후의 품질특성을 살펴보았다. 4월에 채취된 고로쇠수액이 3월에 채취된 수액보다 총균수 및 탁도가 높았지만, 한외여과 후 탁도는 비슷한 수준으로 감소하였고 미생물을 검출되지 않았다. 유기산, 총산, 유리당 및 총당 함량은 4월의 고로쇠수액이 3월 수액보다 약간 낮았지만, 조회분과 무기성분은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특히 칼슘은 3월과 4월에서 각각 129.40 및 166.38 ㎎/L로 4월이 높았다. 고로쇠나무 수액의 영양성분은 한외여과 후 약간의 감소를 나타내었지만 채취적기 이후(4월)에 채취되는 수액을 한외여과 할 경우 미생물제거 및 탁도 향상등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무기성분이 더 많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영양적으로 우수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ultra filtration (UF) of Goroshoe (Acer mono Max.) sap collected in March and April. The total bacteria and turbidity of the sap collected in April were higher than in March. However, after UF, the turbidity decreased and bacteria were not detected. The total acidity and total sugar of the sap collected in April were lower than that collected in March. After UF, total acidity and total sugar decreased slightly in sap from both of the collection times. The crude ash and mineral content of the sap collected in April were higher than in March. In particular, the calcium and potassium content of the sap collected in April were 166.38 and 29.47 ㎎/L, respectively, which was much higher than in March. Again, after UF, the crude ash and mineral content were decreased in the sap from both collection times. We concluded that UF of Goroshoe sap increased its quality regardless of collection time.

      • KCI등재

        복숭아 품종과 부위별 비타민 C, 안토시아닌 및 카로티노이드 함량 분석

        김지영(Ji Yeong Kim),권수현(Su Hyun Kwon),장미(Mi Jang),이지윤(Ji Yun Lee),김기창(Gi Chang Kim),강해주(Hae Ju Kang),황인국(In Guk Hw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0 No.9

        본 연구에서는 백도 계통(8종)과 황도 계통(8종) 복숭아의 과육 및 껍질 부위에 함유된 ascorbic acid, anthocyanin, carotenoid 함량을 비교 · 분석하였다. Ascorbic acid 분석결과 백도 껍질 부위는 과육 부위보다 약 2배 높은 6.70mg/100 g FW의 ascorbic acid 함량을 나타냈고, 황도의 경우 과육과 껍질 간의 유의미한 함량 차이는 없었다. 또한 황도와 백도를 비교하였을 때 백도 껍질이 황도 껍질보다 유의적으로(P<0.01)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과육 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Anthocyanin 성분 중 cyanidin-3-glucoside(C3G)와 cyanidin-3-rutinoside(C3R) 분석 결과, C3G가 복숭아에 함유된 주요 anthocyanin임을 확인하였으며 백도 껍질 부위가 과육 부위보다 유의적으로(P<0.01)높은 함량을 보였고 황도 또한 껍질 부위가 과육 부위보다 높은 C3G 함량을 나타냈다. 황도와 백도를 비교하였을 때 백도 과육이 황도 과육보다 유의적으로(P<0.05) 높은 C3G함량을 보였으며 백도 껍질과 황도 껍질 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Carotenoid 성분 중 lutein, zeaxanthin, β-cryptoxanthin, α-carotene, β-carotene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 중 β-carotene의 함량이 주요 carotenoid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백도 껍질의 평균 β-carotene 함량은 과육 평균 함량보다 약 13배 높은 함량을 보였고 황도껍질의 평균 β-carotene 함량 또한 과육 평균 함량보다 약 4배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황도와 백도를 부위 별로 비교하였을 때 황도의 껍질 및 과육 부위가 백도의 껍질 및 과육부위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현재 국내 복숭아 품종의 기능성분에 대한 연구 진행이 미흡하기 때문에 본 연구 결과가 향후 복숭아 식품 연구와 신품종 개발에 있어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Peaches (Prunus persica L. Batsch) are one of the commonly consumed fruits. Depending on the color of the flesh, peaches are typically classified into white and yellow varietie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the content of the functional components according to the cultivar and its parts, the ascorbic acid, anthocyanin and carotenoid content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ntent of ascorbic acid was higher in the peel than the flesh of the white peache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lesh and peel of yellow peaches (P>0.05). Anthocyanin analysis showed that cyanidin-3-glucoside was higher in the peel than the flesh in both yellow and white peaches. Cyanidin-3-rutinoside was detected only in the peel of yellow and white peaches. In the case of carotenoids, lutein, zeaxanthin, β-cryptoxanthin, α-carotene, and β-carotene were analyzed. All the carotenoid components showed a higher content in yellow peaches than white peaches. In particular, the content of β-carotene was the highest. The content of β-carotene was higher in the peel than the flesh in both yellow and white peaches, and a higher content was detected in the yellow peaches compared to the white peaches. The differences in content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cultivars as well as the farms and regions (P<0.05). Through this study, the content of functional components according to the cultivar and its parts was confirmed, and it is expected that this data will be widely used in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health foods through additional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