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 Case of Neuromyelitis Optica Spectrum Disorder Aggravated after Varicella Zoster Infection

        고영준(Young Jun Ko),우승(Seung Woo),김헌민(Hun min Kim),임병찬(Byung Chan Lim),황희(Hee Hwang),채종희(Jong Hee Chae),김기중(Ki Joong Kim),황용승(Yong Seung Hwang),최지은(Ji Eun Choi) 대한소아신경학회 2015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3 No.2

        시각신경척수염은 양측 시신경과 척수를 침범하는 중추신경계의 자가면역성 탈수초 질환이다. 질병 특이적 항체인 AQP-4 항체가 밝혀지면서 기존의 진단 기준이 바뀌었고, 반복성 광범위 횡단 척수염 혹은 반복성 시신경염과 같이 시각신경 척수염의 범주에 속하는 질환에 대한 인식이 생겼다. 시각신경 척수염의 치료는 면역억제제 치료로 스테로이드를 투여하며, 부작용으로 중증 감염이 생길 수 있다. 본 저자들은 면역억제 치료 중에 발생한 수두 감염 이후 시각신경척수염 스펙트럼장애의 악화소견을 보인 1례를 경험하고, 이 증례를 통해 시각신경척수염 스펙트럼장애 치료뿐만 아니라 치료의 부작용을 감시하고 예방하는 것의 중요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Neuromyelitis optica (NMO) is a rare demyelinating disease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CNS) that affects the optic nerves and spinal cord. Although aggressive immunosuppressive treatment is mandatory due to the poor prognosis of NMO, there is always a risk of life-threatening infections. A 4-year-old boy was admitted because of headache and weakness of both lower extremities. Brain and spi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demonstrated diffuse ill-defined lesions with T2 hyperintensity in the lower medulla and whole cervical cord. He improved with intravenous immune-globulin (IVIG) and methylprednisolone pulse therapy. However, after 2 years, he developed recurrent vomiting and hyperesthesia on his neck and shoulder. Aquaporin-4 antibody (AQP-4 Ab) was positive in his serum and he was diagnosed with NMO spectrum disorder (NMOSD). After 1 year, he developed a generalized vesicular rash and was treated with acyclovir for chickenpox. However, after 2 weeks, he re-developed left ear vesicles with severe headache and hyperes-thesia on his post scalp and upper shoulder without muscle weakness. His brain and spinal MRI revealed extensively increased T2 hyperintensity lesions down through the upper thoracic cord (T6). He again received IVIG and methylprednisolone pulse therapy, followed by oral prednisolone and azathioprine maintenance. We also treated zoster infection with IV acyclovir for 3weeks and chronic famciclovir pro-phylaxis and neurontin for trigeminal neuralgia. His headache and hyperesthesia showed some improvement, but not complete. Here, we present a case of NMOSD aggravated after varicella zoster infection during chronic steroid maintenance.

      • KCI등재후보

        Metachromatic leukodystrophy의 임상 양상

        김영준(Young Jun Kim),채규영(Kyu Young Chae),최지은(Ji Eun Choi),김기중(Ki Joong Kim),황용승(Yong Seung Hwang),김인원(In-One Kim) 대한소아신경학회 1995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3 No.1

        연구배경 : 이염성 백질이영양증(metachromatic leukodystrophy,MLD)은 arylsulfatase A의 결핍으로 이염성 물질인 sulfatide가 신경계 및 다른 여러 조직내에 축적되는 상염색체 열성 대사장애 질환이다. 국내에서는 증례 보고만 몇 차례 되었으므로 저자들은 임상 양상을 정리하여 향후 다른 뇌백질 질환들과의 감별 및 예후 예측에 도움이되고자 하였다. 방 법 : 1988년 5월부터 1995년 8월까지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과에서 MLD로 진단받았던 8명(남아 3례, 여아 5례)의 환아들을 대상으로 임상 양상 및 질병의 경과, 검사 소견 그리고 방사선학적 소견등을 조사라였다. 결 과 : 발병 연령은 8개월에서 2년 4개월 이었다. 초발 증상은 운동발달의 정지 혹은 퇴행이 7례에서 있었고, 보행장애가 5례, 구음 장애가 2례, 발작이 1례에서 있었다. 강직성 근긴장도는 6례에서 있었고, 심부 건반사는 5례에서 증가되어 있었다. 8례 모두에서 소변의 ASA 활성도가 감소되어 있었고, 소변의 metachromatic granule 검사는 3명에서 시행하여 2례에서 양성반응을 보였다. 뇌척수액 검사는 4명에서 시행하여 이중 1례에서 단백의 증가가 있었다. 3명에서 실시한 신경전달속도 검사상 모두 신경전달속도가 감소되어 있었다. 담낭의 초음파 검사상 7명중 4례에서 담낭벽의 비후를 보였고, 뇌 자기공명영상상 8례 모두에서 T2가중영상에서 뇌실과 반난형 중추 주위의 백질에 비정상적으로 신호가 증가되어 있었다. 결 론 : MLD는 발달장애 혹은 보행장애 등을 주소로 하는 뇌백질 질환으로, 다른 뇌백질 질환이나 대사성 질환과의 감별이 요구된다. 상기 증상과 함께 뇌 자기공명영상상 뇌백질 침범 소견이 보이는 경우는 소변내 ASA활성도 측정을 통한 MLD의 감별 진단이 필요하리라 생각다. Background : Metachromatic leukodystorphy(MLD) is an autosomal recessive inherited neurological disorder chracterized by progressive demyelination of the central and peripheral nervous system and sulfatide accumulation in different tissues. We reviewed the clinical, biochemical and radiological chracteristics of the patients with metachromatic leukodystorphy Method :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8 cases of metachromatic leukodystorphy, admitted at the Department of Pediatric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from May, 1998 to August, 1995. Results : 1) the range of age on onset was from 8 month to 2 year 4 month(mean age 13.6 month). 2) Regression of motor development was the most common intial manifestation, followed by gait disturbance and speech disturbance. 3) On neurologic examination, 6 cases showed spasticity and 5 cases showed increased deep tendon reflex. 4) Twenty-four hour urine arylsulfatase A activity was decresed in the all cases. Urinary metachromatic granule was positive in 2 of the 3 cases. 5) Cerebrospinal fluid protein level was incresed in 1 of the 4 cases. 6) Nerve conduction velocity was delayed in all of the cases. 7) All showed high signal intensity of periventricular white matter on T2 weighted MR image. Conclusion : MLD is an inherited neurological disorder chracterized by progressive developmental delay, which is diffilcult to be differentiated to other white matter disease of metabolic disease. The patient with developmetal delay and abnormal high signal intensity on the T2 weighted MRI imaging should be tested for urinary ASA activity.

      • SMN2 유전자 복제수가 척수성 근위축 환자의 표현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우승(Seung Woo),고영준(Young Jun Ko),김수연(Soo Yeon Kim),최선아(Sun Ah Choi),유일한(Il Han Yoo),김헌민(Hun min Kim),임병찬(Byung Chan Lim),황희(Hee Hwang),채종희(Jong Hee Chae),최지은(Ji eun Choi),김기중(Ki Joong Kim),황용승(Yong Seu 대한소아신경학회 2015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3 No.2

        목적: 척수성 근위축은 SMN1 유전자 기능이 소실되면서 운동 신경이 퇴행하여 발생하는 질환이다. SMN2 유전자는 SMN1 유전자와 구조가 상당히 비슷한 유전자인데, 그 복제수에 따라서 척수성 근위축 환자들의 중증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한국 척수성 근위축 환자들에게서 SMN2 유전자 복제수에 따른 유전형과 표현형의 상관관계 및 임상적인 질병의 경과를 조사해 보았다. 방법: 서울대 어린이 병원에 방문한 척수성 근위축 환자들을 대상으로 SMN2 유전자 복제수와 중증도 지표들(생존 유무, 호흡 보조기 사용 유무, 독립 보행 유무)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총 60명의 환자들(남자 29명, 여자 31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고 이들의 평균 추적관찰 시간은 3.5년(0.2년­16.7년)이었다. 한 명의 환자가 1개의 SMN2 유전자 복제수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 환자는 호흡 보조기를 사용하고 있었다. 20명의 환자가 2개의 SMN2 유전자 복제수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중 19명의 환자가(95.0%) 제 1형 척수성 근위축 그룹에 속해있었고 11명이(55.0%) 호흡 보조기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이 환자들 중 사망한 수는 4명 이었다. 37명의 환자가 3개의 SMN2 유전자 복제수를 가지고 있었는데, 그 중 36명은(97.3 %) 제 2형 척수성 근위축 그룹에 속해 있었고 3명의(8.1%) 환자가 호흡기 보조기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17명의(45.9%) 환자가 보행 경험이 있었다. 2명의 환자가 4개의 SMN2 유전자 복제수를 가지고 있었는데 이들은 각각 제 1형, 제 3형 척수성 근위축 그룹에 속해 있었다. 또한 3개의 SMN2 유전자 복제수보다 2개의 SMN2 유전자 복제수가 사망률 및 조기 호흡 보조기 사용률과 더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결론: 이번 연구는 한국 척수성 근위축 환자들에게서 시행된 첫 번째 SMN2 유전자 복제수 분석 이었다. 연구를 통해서 SMN2 유전자 복제수가 작을수록 더 심한 임상 경과를 갖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각 아형 내에서 보다 정확한 예후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인자들을 포함한 광범위한 코호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Purpose: Spinal muscular atrophy (SMA) is degenerative disease of motor neuron caused by loss of survival motor neuron (SMN )1 gene. SMN2 gene is highly homolo­gous to SMN1 and is known to influence disease severity according to its copy num­ber. Our purpose was to investigate genotype­phenotype correlation between the SMN2 copy number and the clinical course in spinal muscular atrophy patients. Methods: The correlation between SMN2 copy number and clinical severity (sub­type, ventilator support, mortality and independent walking) was analyzed. Results: The SMN2 copy number was analyzed in 60 SMA patients (male 29, female 31). The average follow­up duration was 4.0 years (0.2 to 16.7). One patient had 1 SMN2 copy and was on ventilator support. In 20 patients who had 2 SMN2 copies, 19 (95.0%) were type I and 11 (55.0%) were on ventilator support. There were 4 mor­talities in these patients. In 37 patients who had 3 SMN2 copies, 36 (97.3%) were type II. The 3 patients (8.1%) were on ventilator support and 17 (45.9%) could walk independently. The two patients had 4 SMN2 copies, each patient was type I and III. Two SMN2 copi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arlier ventilator dependence and higher mortality than three SMN2 copies. Conclusion: This is the first report that compared the relationship between SMN2 copy number and clinical phenotype in Korean SMA patients. The lower SMN2 gene copi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evere clinical outcomes of SMA. However, additional biomarkers capable of predicting more detailed clinical outcomes within subtypes need to be further determined in an extended cohort.

      • Facial Nerve Paralysis with Brain Stem Cavernous Hemangioma in 1-month-old Infant

        우승(Seung Woo),고영준(Young Jun Ko),김수연(Soo Yeon Kim),최선아(Sun Ah Choi),유일한(Il Han Yoo),김헌민(Hun min Kim),임병찬(Byung Chan Lim),황희(Hee Hwang),채종희(Jong Hee Chae),최지은(Ji eun Choi),김기중(Ki Joong Kim),황용승(Yong Seu 대한소아신경학회 2015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3 No.2

        안면신경 마비는 7번 뇌신경의 기능장애로 발생하는 질환이다. 안면신경 마비는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 특별한 원인이 발견되는 경우는 많지 않고 별다른 치료 없이 증상이 호전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뇌 안쪽의 병변이나 안면신경 핵 주변의 병변을 원인으로 증상이 발생한 경우 다른 신경학적 증상이 동반되기도 하는데, 이런 경우 진단과 치료가 초기에 이루어 지지 않으면 생명에 지장을 줄 수도 있다. 우리는 이번 증례에서 좌측 눈이 감기지 않고 빠는 힘이 약해진 1개월 된 환자에게서 좌측 안면마비 증상을 발견하였고 영상 검사 후 뇌교의 해면 혈관종과 이와 동반된 급성 뇌출혈을 발견하였다. 이 환자는 증상이 발생한 나이가 어렸고, 산모의 주산기 문제 및 외상이나 감염의 병력이 없었다. 증상 발생 전 보챔과 삼킴장애가 있었다는 점, 빠는 힘이 약했다는 점이 전형적인 안면신경 마비 증상과 차이가 있었다. 매우 드물지만 안면신경 마비의 원인이 본 증례와 같이 치명적인 원인에 기인할 수 있기 때문에, 비전형적인 임상양상을 보이는, 12개월 미만의 안면마비 환자들에게서는 추가적인 영상검사를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Facial nerve paralysis is a disease caused by dysfunction of the seventh cranial nerve. It can be caused by numerous conditions, but in most cases there is no specific iden-tifiable cause of facial nerve paralysis and symptoms improve without treat ment. Moreover, when we encounter patients with both upper and lower facial paralysis, clinicians usually suspect peripheral type facial nerve paralysis. But, Facial nerve paralysis caused by a lesion of an intracranial or perifacial nerve nucleus may have accompanying neurological symptoms. In such cases, lack of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could lead to permanent neurological damage or result in life threatening situations. We report a case of cavernous hemangioma with acute hemorrhage in a 1-month-old infant who came to our outpatient clinic presenting with left side facial paralysis.

      • KCI등재후보

        뇌파상 광발작 반응과 간질 발작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채규영(Kyu Young Chae),최지은(Ji Eun Choi),김영준(Young Jun Kim),김기중(Ki Joong Kim),황용승(Yong Seung Hwang) 대한소아신경학회 1995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3 No.1

        연구 배경 : 각성 뇌파 기록상 광자극시에 나타날 수 있는 광과민성중, 뇌파상 지속적 광발작 반응군 및 제한적 광발작군에서 간질의 임상상 및 발작의 형태상 차이점을 알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88년 2월부터 1995년 8월까지 7년 6개월간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과에서 각성 뇌파검사를 시행한 환자중, 광자극에 대해 전반성 극파 또는 극서파 복합으로 구성된 광발작 반응을 보인 135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중 61례를 반응 기간에 따라 제한적 광발작군 및 지속적 광발작군으로 구분하여 이를 다시임상 발작을 가진 군, 갖지 않은 군, 애매한 군으로 세분하여 두군사이의 임상적 특징과 관질과의 관계에 대히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1) 광발작 반응은 광자극이 시행된 뇌파의 1.6%에서 발생하였으며, 학동기 및 초기 청소년기의 여야에서 호발하였다. 2) 광발작 반응은 10에서 15Hz사이의 광자극에 높은 빈도의 반응을 보였다. 3) 광발작 반응을 가진 환자들에서의 임상 발작 유형은 강직-간대 발작이 가장 많았으며 광발작 반응기간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4) 임상 발작 빈도는 지속적 광발작 반응군이 제한적 공발작군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의미는 없었다. 5) 다른 독립적인 간질파가 있는 경우, 임상 발작 빈도는 지속적 광발작 반응군 및 제한적 광발작군에서 차이가 없었다. 6) 다른 독립적인 간질파가 없는 경우, 지속적 광발작 반응군에서 임상 발작 빈도가 제한적 광발작군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의미는 없었다. 결론 : 광발작 반응은 학동기 및 초기 청소년기의 여아에서 호발하며, 지속적 광발작 반응 군 및 제한적 광발작 반응군 모두 임상적인 발작과 깊은 연관성을 가지나 지속적 광발작군이 제한적 광발작군에 비해 임상적인 발작 빈도가 더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Background : Photoparoxysmal responses(PPRs) are generalized spike or spike-and-wave discharges occuring during photic stimulation. Although it is well known that there are two types of PPRs. prolonged and self-limited types, it is still uncertain whether the different type of the PPRs might reflect a different incidence or type of the epileptic seizures. Methods : We reviewed the electroencephalographies performed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from 1988 to 1995 Of the 8,406 electroencephalographic recordings that photic stimulations were performed, 135 showed PPRs. Seventy four cases were excluded because of their incomplete data. For the remained 61 cases, We evaluated the incidence and type of epileptic seizures, and other clinical manifestations according to prolonged and self-limited PPRs. Results : 1) The overall incidence of PPRs was 1.6%, and PPRs developed most commonly in females of childhood and early adolescent periods. 2) PPRs occurred typically at the middle flash frequencise of 10 to 15 Hz. 3) Of the 119 patients in whom the past medical history was available. 95(79.8%) had definite epileptic seizure. 17 had a questionable history, and 7 had no history of seizure. 4)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type of seizures in the patients with prolonged PPRs and those with self-limited PPRs. 5) Of the 13 patients with prolonged PPRs. 11 had epileptic seizures and 2 was questionable. Of the 48 patients with self-limited PPRs, 35 had epileptic seizures, 12 were questionable, and 3 had no seizure.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incidence of seizure (p = 0.43). 6) It seemed that the patients with prolonged PPRs developed seizures more frequently than those with self-limited PPRs when other epileptiform discharge was absent.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 : Our study showed that both prolonged and self-limited PPR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epileptic seizures, but the patients with prolonged PPRs seemed to have higher chance of developing epileptic seizure.

      • KCI등재후보

        아급성 경화성 범뇌염(Subacute Sclerosing Panencephalitis) : 임상 경험 6례

        이택영(Taeg Young Lee),김상덕(Sang Duk Kim),임병찬(Byung Chan Lim),황희(Hee Hwang),강윤종(Yun Jong Kang),채종희(Jong Hee Chae),김기중(Ki Joong Kim),황용승(Yong Seung Hwang),김인원(In One Kim) 대한소아신경학회 2002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0 No.2

        목 적 : 아급성 경화성 범뇌염(subacute sclero-sing panencephalitis, SSPE)은 10세 전후의 청소년기에 발생하여 1-3년의 임상 경과를 거쳐 사망하게 되는 심한 퇴행성 신경질환이다. 홍역 감염 후 6-8년의 잠복기르르 거쳐 발병하는데, 2세 이전에 홍역을 앓을 경우 위험성이 증가한다. 국내에서 1-2년 전 홍역이 전국적으로 유행하였고 특히 2세 미만의 환아 비율이 높아 4-6년 후 SSPE 환자가 많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저자들은 SSPE 6례의 임상적 고찰을 통해 조기 진단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방 법 : SSPE 환자 6명(남 4, 여 2)을 대상으로 하였다. 후향적으로 임상 소견, 뇌척수액 검사 소견, 뇌파 소견 및 뇌 자기공명영상 소견 등을 정리하였다. 결 과 : 6례 중 4례가 1세 이전에 홍역 감염이 있었다. 임상 증상은 근간대 6례, 넘어짐 4례, 운동 실조 4례, 구음장애 3례, 발작 2례, 사지의 불수의 운동 2례, 진전 2례, 고개 떨굼 1례, 수면장애 1례 등이었다. 검사가 시행된 전례에서 CSF IgG, CSF IgG/albumin ql, CSF/serum IgG index가 상승되어 있었고 oligoclonal band도 양성이었다. 뇌척수액 항홍역 바이러스 IgG 항체는 전례에서 양성이었다. 뇌파상 전례에서 고진폭 δ파가 전두부에서 관찰되었고, 다초점성의 간질파도 주로 전두부에서 관찰되었다. 뇌 자기공명영상상 T2 강조영상에서 심부 백질을 중심으로 고신호강도를 보였다. 결 론 : SSPE는 전형적인 임상양상과 뇌척수액 항홍역 바이러스 항체 역가의 상승으로 진단할 수 있고 뇌파 소견, 뇌척수액 검사 소견, 그리고 뇌자기공명영상 소견이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향후 국내 SSPE의 발생률이 증가할 위험성이 높으므로 적극적인 진단 및 치료를 요할 것이다. Purpose : Subacute sclerosing panencephalitis(SSPE) is a severe and usually fatal neurodegenerative disorder of childhood and adolescence. The etiology is related to previ-ous measles infection especially during the first 2 years of life. Since recent measles epi-demics in Korea may increase the late risk of SSPE, the authors investigat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SSPE focusing on brain MRI. Methods : Six cases(4 males, 2 females) of SSPE patient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for clinical, EEG, laboratory and brain MRI findings. Results : Four of 6 had a history of measles infection in the first year of life. Clinical manifestations were as follows : myoclonus(6), falling(4), ataxia(4), dysarthria(3), seizures(2), involuntary movements(2), tremor(2), head drop(1), sleep disturbance(1). In all cases, CSF IgG, CSF IgG/albumin ratio, and CSF/serum IgG index increased, oligoclonal bands were positive, and CSF antimeasles antibodies were positve. Frontal high amplitude δ activities and anteriorly-accentuated multifocal epileptiform discharges were noted on EEG. Brain MIRI revealed T2-weighted high signal intensity of the deep white matter. Conclusion : The diagnosis of SSPE depends on characteristic clinical features and elevation of measles antibodies in CSF, supported by others including EEG, CSF and brain MRI findings. We hop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we mentioned may be useful for the early diagnosis and active management of SSPE in Korea.

      • KCI등재후보

        소아 난치성 부분 간질 환자의 수술적 치료

        황 희(Hee Hwang),권영세(Young Se Kwon),이종화(Jong Hwa Lee),이란(Ran Lee),채종희(Jong Hee Chae),김기중(Ki Joong Kim),황용승(Yong Seung Hwang),조병규(Byung Kyu Cho) 대한소아신경학회 2001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9 No.2

        목 적 : 난치성 부분간질 환자에서 수술전 진단 방법들의 가치 및 정확도, 수술적 치료의 결과 및 효율성, 병리조직학적 특성 등을 정리하여 적절한 수술적 치료의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 법 : 간질 수술을 시행한 소아 난치성 부분간질 환자 4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 26명 여자 21명이었고, 평균 발병 연령 6년 2개월, 수술시 평균 연령 9년 1개월이었으며, 수술 후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29개월이었다. 수술전 평가로 발작간기뇌파, 발작기 뇌파, 뇌 MRI, FDG-PET과 발작간기 및 발작기 SPECT 등을 시행하였다. 간질은 측두엽 간질, 전두엽 간질, 두정엽 간질, 후두엽 간질로 구분하였다. 수술 후 결과는 Engel 분류에 따랐다. 결 과 : 1) 47명 중 28명이 측두엽, 8명이 전두엽, 8명이 후두엽 간질이엇고 3명이 두정엽 간질이었다. 28명은 측두엽 절제술을 19명은 측두엽외 절제술을 시행 받았다. 2) 병리검사상 측두엽 간질 28명 중 피질 이형성증 5례, 해마 경화증 8례, 경화증과 피질 이형성증의 공존 8례, 피질 이형성증과 종양의 공존 4례, 피질 이형성증, 종양, 해마 경화증의 공존 1례, 종양 2례였다. 측두엽외 간질환자 19명 중 피질 이형성증이 16례, 종양 2례, 이소성 신경원증 1례였다. 3) MRI, 발작간기 및 발작기 SPECT, FDG-PET의 검사 양성률은 각각 78.7%, 35.3%, 77.3%, 95.7%로 FDG-PET이 가장 높았다(P value<0.05). 4) 영상 검사상 양성과 발작기 뇌파와의 국소화 일치도는 MRI 86.5%, 발작간기 SPECT 83.3%, 발작기 SPECT 70.6%, FDG-PET 72.7%로 MRI의 일치도가 가장 높았다(P value<0.05). 5) 수술 후 결과는 Engel 분류 class Ⅰ 34례(72.3%), class Ⅱ 4례(8.5%), class Ⅲ 3례(6.4%), class Ⅳ 6례(12.8%)였다. 6) Favorable outcome은 측두엽 절제술 82.1%, 측두엽외 절제술 73.7%에서 있었다(P value>0.05). 7) 수술 후 부작용으로 시야결손 4례, 두개강내 농양 1례, 일시적 반신마비 3례 등이었다. 결 론 : 소아 난치성 부분 간질의 수술적 치료는 발작의 조절에 있어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향후 더 세밀하고 개별적인 수술전 평가, 수술후 관리, 장기적 인지기능 발달 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Purpose : Few studies have been performed on the value and efficacy of presurgical evaluation methods, postoperative outcomes and characteristic pathologic features in the children who underwent epilepsy surger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mmarize experiences of epilepsy surgery in children with intractable partial epilepsies. Methods : Forty-seven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ll had medically intractable partial epilepsy and underwent epilepsy surgery after meticulous presurgical evaluation including interictal and ictal EEG, MRI, interictal and ictal SPECT and FDG-PET. Results : Out of the 47 patients, 28 had temporal lobe epilepsy, 8 frontal lobe epilepsy, 8 occipital lobe epilepsy, and 3 parietal lobe epilepsy. Pathologic findings were as follows: cortical dysplasia in 21, hippocampal sclerosis in 8, cortical dysplasia combined with hippocampal sclerosis in 8, cortical dysplasia with tumor in 4, and cortical dysplasia, hippocampal sclerosis and tumor in 1, tumor in 4, heterotopia in 1. FDG-PET was the most sensitive imaging modality. MRI showed the highest specificity in terms of concordance with ictal EEG finding. Postoperative outcome was as follows: Engel class I in 34, class II in 4, class III in 3, and class IV in 6.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postoperative outcome between the temporal and the extratemporal resection group. Postoperative seizure outcome was not correlated with MRI or pathologic finding. Conclusion : Epilepsy surgery seems to be an effective and safe therapeutic choice in children with intractable partial epilepsies regardless of the location of epileptogenic zone. Further study is necessary on the efficacy of each imaging modality, postoperative quality of life and the effect on long-term neurocognitive function.

      • KCI등재후보

        소아 복잡부분발작에서 뇌파상 발작간 간질파의 국소화와 임상발작양상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최지은(Ji Eun Choi),김영준(Young Jun Kim),채규영(Kyu Young Chae),김기중(Ki Joong Kim),황용승(Yong Seung hwang) 대한소아신경학회 1996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3 No.2

        연구배경: 복잡부분발작은 대뇌에서 국소적으로 시작되며 의식장애가 동반되는 발작으로 소아의 간질 발작의 50%이상을 차지하며 그 시작부위에 다라 다양한 임상발작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들은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과에 내원한 복잡부분발작 환아들을 대상으로 발작의 임상양상과 발작간 뇌파상간질파의 분포형태를 비교하여 간질 원인 부위(epileptogenic zone)의 국소화에 도움이 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95년 9월을 기준으로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과 경련성 질환 클리닉에 등록되어 정규적으로 항경련제치료를 받아 온 환아들 중 설문조사와 의무기록 등을 참조하여 복잡부분발작으로 진단되었던 환아 316명(남아 183명, 여아 133명)을 대상으로 임상발작양상과 의무기록을 고찰하여 발병연령, 위험인자, 신경학적 이상소견, 뇌파소견, 뇌 방사선학적 검사, 전조증상, 자동증, 운동성 증상 등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 1) 발작간 뇌파상 국소성 간질파를 보인 경우는 271례(85.8%)였으며 간질파를 발생위치에 따라 국소화하였을 때 측두부 104례 (38.4%), 두정-후두부 48례(17.6%), 전두부 25례9.6%) 등이었고, 국소화하기 어려웠던 경우가 71례(26.2%)였다. 2) 전두부군에서 전조증상은 소화기 또는 감정적인 증상 57.7%, 두뇌적 증상 34.6%, 정신적 증상 30.8% 신체감각적 증상 23.1%로 나타났다. 자동증은 소리내기 30.8%, 구강소화기 자동증 23.1% 손 자동증과 의태 자동증이 각각 15.4%씩 나타났다. 운동성 증상은 행동정지 61.5%, 안구고정 57.7%, 두부편위 42.3%, 상지의 부정위적 자세 38.5%였다. 3) 측두부군에서 전조증상은 소화기 또는 감정적인 증상 46.2% 두뇌적 증상 29.8%, 신체 감각적 및 정신적 증상이 각각 9.6%에서 보였으며, 자동증은 구강소화기 자동증 28.9%, 손 자동증 24.0%, 소리내기 22.1%, 의태 자동증 12.5%, 발 자동증 10.6%였다. 운동성 증상은 안구고정 52.9%, 두부편위 42.3%, 행동정지 28.9%, 상지의 부정위적 자세 25.6%였다. 4)두정-후두부군에서 전조증상은 소화기 또는 감정적인 증상 60.4%, 두뇌적 증상 39.6%, 정신적 증상 25.0%, 시각적 환각 18.8%였다. 자동증은 구강소화기 자동증 37.5% 손 자동증 20.8%, 소리내기 18.8%, 발 자동증 12.5%, 경련 시 말하기 8.3%였다. 운동성 증상은 안구고정 47.9%, 두부편위 47.9%, 행동정지 37.5%, 상지의 부정위적 자세 29.2%, 주위를 둘러보기 14.6%였다. 5) 발작간 간질과 전조증상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전두부군에서 88.5%, 두정-후두부군에서77.1%, 중심부군 54.6%, 측두부군에서 53.9%로 나타났으며 각 군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정신적 증상은 전두부군의 30.8%, 두정-후두부군 25.0%, 중심부군 18.9%, 측두부군 9.6%에서 나타나 전두부구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5). 시각적 환각을 보인 환아는 두정-후두부군 18.8%, 전두부군 11.5%, 측두부군 5.8% 중심부군 4.6%로 두정-후두부군에서 많았다(p=0.065). 기타 다른 증상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6) 발작간 간질파의 국소화와 자동증파의 관계를 살펴보았을때 유의한 관계는 없었다. 7) 발작간 간질파의 운동성 증상과의 관계를 보면 행동정지를 보인 경우는 전두부군 61.5%, 두정-후두부군 37.8%, 중심부군 31.8%, 측두부군 28.9%로 전두부군이 유의하게 높았다(p<0.05). 기타 다른 증상과는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복잡부분발작 환아에서 발작간 간질파의 국소화와 전조증상은 상당한 연관성이 있는 Background: Complex partial seizures(CPS) are focal onset seizures associated with consciousness and show variable clinical symptoms according to sites of epileptogenic region. Method: To clarify the significance of localizing value of auras, automatisms and motor phenomena,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linical ictal patterns and sites of interictal spike discharges in complex in complex partial seizures of childhood using interictal scalp EEG and evaluated their courses, investigations and seizure status at follow-up. Result: Three hundred sixteen patients with CPS were studied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Neurology Clinic. The frequency of the presence of aura and psychial auras a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rontal group(P<0.05) and the visual hallucinations are more frequent in the parieto -occipital group(P=0.065). The frequency of behavioral arrest in motor phenomena is higher n the frontal group(P<0.05). Conclusion: The type of aura, when elicited by careful history taking, provides useful localizing information but further exact and inclusive studies using long-time video-EEG monitoring and/or depth electrodes during epileptic surgery are required for the more exact localizing value of clinical ictal patterns.

      • KCI등재후보

        신경세포 이주장애의 발작 양상 및 뇌파 소견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김영준(Yooung Jun Kim),김규영(Kyu Young Kim),손동우(Dong Woo Kim),박경희(Kyung Hee Park),김기중(Ki Joong Kim),황용승(Yong Seung Hwang) 대한소아신경학회 1997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5 No.1

        목적 : 대뇌신경세포의 발달과 이주 및 조직화 과정의 이상으로 발생하는 신경세포 이주장애는 형태학적으로 활택뇌증, 피질이형성증, 회색질이소증, 열두기형 그리고 반구거대뇌증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최근 신경세포 이주장애는 소아에 있어서 신경학적 이상의 중요한 원인중의 하나로 알려지고 있으나, 동반될 수 있는 간질성 발작에 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저이다. 이에 저자는 신경세포 이주장애를 가진 환아에서 형태졀로 간질 발작의 임상적 양상을 알아보고 뇌파 소견의 특성 및 뇌자기공명 영상상의 병변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방법 : 1990년 1월부터 1996년 8월까지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과를 방문하여 뇌 자기공명영상상 신경세포 이주장애로 진단된 환아 중 간질발작의 증상을 가진 60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병력지 고찰을 통해 상기 5가지 형태학적 분류에 따른 간질 발작의 임상적 양상과 뇌파 소견의 특성 및 병변과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1) 간질발작의 발현시기는 신경세포 이주장애의 형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활택뇌증, 반구거대뇌증 그리고 피질이형성증에서 다른 형태의 장애군에서보다 빨랐다(P<0.05). 2) 영아연축을 포함한 전신 발작이 모든 형태의 군에서 주된 발작의 형태였고, 부분발작은 국소성피질이형성증과 회색질이소증 그리고 열두기형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빈도를 보였다. 3) 뇌파검사가 시행된 55례중에서 자기공명 영상상 병변으로 보이는 부위를 중심으로 간질파와 배경활동이상이 관찰된 경우는 각각 28례와 25례였고, 정상으로 보이는 부위에서 간질파와 배경활동의 이상소견이 보인 경우는 각각 14례와 8례였으며, 나머지에서는 뇌파검사상 이상소견이 관찰되지 않았다. 4) 추적관찰을 받은 환아 48례중에서 6개월 이상 간질발작이 조절되었던 경우는 35례였으며, 항경련제의 치료효과는 신경세포 이주장애의 각 형태군에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신경세포 이주장애의 형태학적 분류에 따른 간질발작의 발현시기 및 발작의 임상적 형태가 다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일부 진단적 가치를 가진 뇌파소견에 대하여 관심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뇌파검사상 이상 뇌파 소견과 자기공명 영상상 병변의 분포와 범위를 비교 분석한 연구의 결과들은 향후 수술을 포함한 간질발작의 치료방침을 결정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는 바이다. Purpose: Neuronal migration disorder(NMD) is a heterogeneous disorder of the development and organization of cerebral cortex with a variety of subtypes including lissencephaly, cortical dysplasia, heterotopias, schizencephaly, and hemimegalencephaly. NMD is becoming increasingly recognized as a cause of neurologic abnormalities in children, but the informations about the epileptic seizures in this disorder are not fully available yet. So the author reviewed the clinical, electroencephalography(EEG)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MRI) features in patients with NMD Methods : The study group is composed of 60 patients who had epileptic seizures and diagnosed as NMD by magnetic resonance imaging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Neurology Clinic from Jan. 1990 to Aug. 1996. The findings were analyzed and compared according to the 5 subtypes of the disorder. Results : Clinical epileptic seizures began significantly earlier in the patients with lissencephaly, hemimeglencephaly and cortical dysplasia than in the patients with schizencephaly and heterotopias at the mean age of onset : 1.0, 1.4 and 2.2 yr versus 3.5, 4.8 yr, respectively. Generalized seizure including infantile spasm was a major clinical seizure type at first seizures in all subtypes and partial seizures were observed relatively often in focal cortical dysplasia, heterotopias and schizencephaly comparing with lissencephaly and hemimegalencephaly. The location and extent of abnormal findings on interictal scalp EEG were not exactly correlated to those of the lesion defined by MRI. Among 55 cases of EEG examination, epileptiform discharges and background activity abnormalities were observed in the area of the lesion in 28 and 25 cases, in the area remote from the lesion in 14 and 8 cases respectively, and the remainders did not show any abnormalities. Clinical seizures were well controlled by conventional antiepileptic drugs for more than 6 months in 35 out of 48 patients whose follow-up durations were at least 1 year.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that the types and the ages of the first seizures varies according to the subtypes of NMD; the epileptic seizures were not so intractable; the EEG abnormalities were not confined to the area of the lesion on MRI. The latter observations seem to provide some clues to the further investigation of the epileptogenesis and the determination of the treatment plan for the epileptic seizures in NMD including surgery.

      • KCI등재후보

        Duchenne/Becker Muscular Dystrophy의 진단

        이지훈(Jee Hun Lee),이란(Ran Lee),권영세(Young Se Kwon),이종화(Jong Hwa Lee),채종희(Jong Hee Chae),김기중(Ki Joong Kim),주세익(Saeick Joo),박성섭(Sungsup Park),조한익(Han Ik Cho),지제근(Jegeun Chi),황용승(Yong Seung Hwang) 대한소아신경학회 2000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8 No.2

        목적: Duchenne/Becker muscular dystrophy(DMD/BMD)는 X-연관 열성유전하는 진행성 근육질환으로 dystrophin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하여 발병한다. 유전자 이상은 55-65%의 환자에서 결실에 의하여 일어나며, 최근에는 이에 근거한 분자유전학적인 방법을 진단에 이용하고 있다. 저자들은 근이양증 환자들의 임상양상을 정리하고, dystrophin 유전자 검사 및 면역조직화학 검사의 양상을 분석하며, 이에 근거한 국내 환자들의 분자 유전학적 및 형태학적 진단의 표준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1989년부터 1999년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소아과에서 임상양상, 혈청 creatine kinase, 근전도 및 근육생검 소견에 근거하여 근이양증으로 진단된 환아 69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하였다. 34명에서 26 set의 primer를 이용한 multiplex PCR을 통한 유전자 결실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5명에서 dystrophin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시행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의 내원시 평균연령은 5년 8개월이었으며, 평균 초발연령은 3년 6개월이었다. 첫 증상은 하지의 근력약화, 우연히 발견된 간효소의 상승, 보행이상, 운동발달 지연 등이었다. 41%에서 운동발달 지연이 있었고, 42%는 15개월 이후에야 혼자 걷기가 가능하였다. 대부분에서 비복근의 가성비대가 관찰되었으며, 혈청 creatine kimase는 평균 11,232IU/L였고, 44%에서 심전도상 이상소견을 보였다. 근육생검을 시행한 63례 모두에서 전형적인 병리소견이 관찰되었다.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실시한 5명 중 2례에서 DYS1, 2, 3 전체에서 염색이 되지 않았고, 3례에서는 DYS1, 2에서 불규칙한 염색상을 보이고, DYS3에서는 염색이 되지 않았다. Multiplex PCR을 시행한 34명 중 14례(41%)에서 결실이 확인되었으며, 이 중 11례 (78.6%)에서 hot spot으로 알려진 exon 44와 exon 55 사이의 결실이 있었다. 결론: Multiplex PCR을 이용한 dystrophin 유전자 검사는 전체 환자의 50% 정도만을 진단할 수 있으므로 나머지 환자의 진단을 위해서는 dystrophin 단백의 발현에 대한 검사가 같이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분자유전학적인 진단이 DMD/BMD의 선별진단 도구가 되고 있으므로, 근육생검의 침습성을 감안하면, 임삭적으로 의심이 되는 경우 유전자의 흔한 돌연변이 유무를 우선적으로 확인한 후, 결손이 없는 경우 근육생검을 실시하여 광학현미경적 소견과 아울러 면역조직화학적 소견을 확인하여 다른 근이영양증과의 감별을 시도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인 진단과정으로 생각된다. Purpose: Duchenne/Becker muscular dystrophy(DMD/BMD) is an X-linked recessive disease caused by the mutation of dystrophin gene. Since the majority of mutations are deletions, recent diagnosis is made by the moleculargenetic tools. The authors summariz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analyzed the moleculargenetic and immunohistochemical characteristics of DMD/BMD. Methods: We reviewed the clinical and laboratory findings of 69 patients diagnosed as DMD/BMD from 1989 to 2000. Multiplex PCR using 26 primer sets was performed on 34 cases,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using dystrophin antibody was done on 5 cases. Mutation profile and phenotype-genotype relationship were analyzed. Results: 1) Mean age of onset was 3 years and 6 months. The presenting symptoms were motor weakness of the lower extremities, incidentally found elevated hepatic enzyme level, abnormal gait and motor developmental delay. Forty one percent had history of motor developmental delay, and most patients showed pseudohypertrophic calf muscles. Mean serum creatine kinase level was 11,232IU/L, and 44% revealed abnormal electrocardiogram. 2) All of the 63 cases showed typical histological findings of muscular dystrophy. Of the 5 cases with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2 showed complete(DYS1, 2 and 3) and 3 showed partial(DYS3) absence pattern. 3) Of the 34 cases on which multiplex PCR was performed, 14 showed deletions, and 11 of them had deletions between exon 44 and 55. Conclusion: Since the deletions were detected in less than 50% of the patients with multiplex PCR, tools for dystrophin protein expression must be combined for the correct diagnosis. Considering the invasiveness of muscle biopsy, we conclude immunohistochemistry should be followed in the cases with negative results in multiplex PCR, although moleculargenetic study is the primary diagnostic t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